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슈타인 · 레비나스 · 앙리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 ||||||||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진 · 네그리 · 바디우 · 가라타니 · 지젝 · 피셔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아즈마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콰인 · 타르스키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루이스 / 피츠버그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퍼트넘 · 설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윌버 · 차머스 | ||||||||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쿤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라우든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위너 · 엘륄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미디어 철학
|
매클루언 · 비릴리오 · 한병철 | ||||||||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노직 · 호페 / 사회자유주의: 롤스 · 센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기타: 벌린 · 슈클라 · 라즈 | ||||||||
공화주의 |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
보수주의 |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랜드 · 아롱 | ||||||||
윤리학 | 규범윤리학: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싱어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 ||||||||
인식론 | 카시러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골드만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풀러 · 하트 · 드워킨 | ||||||||
종교철학 |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베유 · 힉 · 지라르 · 닐슨 · 큉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크레이그 | ||||||||
탈식민주의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파이어스톤 · 오킨 · 맥키넌 · 영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1. 개요
구스타프 라드브루흐(Gustav Radbruch, 1878년 11월 21일 ~ 1949년 11월 23일)는 독일의 법학자(법철학, 형법학), 정치가이다.[1]법철학에서 반드시 거론되는 대학자 중 한 명으로,[2] 법의 이념으로 정의(Gerechtigkeit), 법적 안정성(Rechtssicherheit), 합목적성(Zweckmäßigkeit)을 제시한 것과 '라드브루흐 공식'(Radbruch’sche Formel)
정치가로서는 금고형의 폐지, 간통과 단순 동성애의 비범죄화, 금지착오의 명문화 등을 추진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후 그가 추진한 형사정책은 독일연방공화국 수립 후 결실을 보게 되었다.
2. 생애
베를린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까지 취득하였다. 프란츠 폰 리스트가 지도교수였다. 이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로 건너가 1904년에 교수자격 학위를 받았다. 1910년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외래교수로 부임했고, 1914년에 쾨니히스베르크 대학, 1919년엔 킬 대학으로 적을 옮겼다.바이마르 공화국 때인 1920년부터 1924년까지 제국의회(Reichstag) 의원을 지냈고, 1921년부터 1923년까지 법무부장관(Reichsjustizminister)을 역임한 후,[3] 1926년에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초빙으로 학계에 복귀하였다.
1928년에도 법무부장관 직을 맡아 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거부하였으며, 나치 독일이 들어선 후인 1933년 5월에 교수직에서 해임되었다.
나치 독재가 종식된 후 교수직에 복귀하였으며, 71세를 일기로 하이델베르크에서 사망하였다.
3. 주요 저서
- 법철학 원론(Grundzüge der Rechtsphilosophie)(1914)
- 법철학(Rechtsphilosophie)(1932) - 한국어 번역이 있다(최종고 역).
- 도미에의 사법풍자화(Karikaturen der Justiz) - 한국어 번역이 있다(최종고 역).
- 법의 지혜(Kleines Rechtsbrevier), 법학 명상록(Aphorismen zur Rechtsweisheit) - 한국어 번역이 있었으나(최종고 역), 절판되었다.
- 마음의 길(Der Innere Weg) - 자서전이다. 한국어 번역이 있었으나(최종고 역), 절판되었다.
형법학자 아르투어 카우프만이 구스타프 라드브루흐 전집(Gustav Radbruch Gesamtausgabe)을 2003년에 완간한 바 있다(총 20권).
4. 여담
-
윤재왕 교수(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는 《구스타프 라드브루흐: 법철학자, 정치가, 형법개혁가》(울프리드 노이만 저)의 번역서에서 자신이 겪은 다음과 같은 씁쓸한 일화를 전한다.
윤재왕: ...
[1]
Rad와 Bruch가 결합된 합성어로, 독일어의 합성어를 발음할 때는 각각의 본래 음을 살려서 발음한다. 두덴 사전에서도
/ˈraːtbrʊx/(라트브루흐)로 국제음성기호를 제시하고 있다. 추가로
독일어 녹음자료를 참고할 것. 그러나 한국에 출간된 번역서는 모두 "라드브루흐"라고 표기하고 있고, "라트브루흐"라고 표기한 예가 없다.
[2]
순수법론(Reine Rechtslehre)을 제창한 한스 켈젠(Hans Kelsen. 1881–1973)과 마찬가지로
신칸트주의를 이론적 기초로 삼았다.
[3]
요제프 비르트 내각과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내각에서 장관을 지냈다.
[4]
Klaus Lüderssen (1932–2016). 독일 형법학자. 《Goethe und die Jurisprudenz》(괴테와 법학)이라는 책을 출간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