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15:39:49

이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이고(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무신정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연립정권 제1대 제2대
이고 · 이의방 · 정중부 이의방 정중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경대승 이의민 최충헌 최우 최항
제8대 문신 제9대 제10대 제11대
최의 류경 김준 임연 임유무
기타
  조원정 · 두경승 · 안경공 · 이소응
고려 국왕 }}}}}}}}}

무신정변 주도자
최종 직위 <colbgcolor=white,#191919>대장군 위위경 겸 집주
(大將軍 衛尉卿 兼 執奏)
이름 이고(李高)
사망지 고려 개경 정궁(正宮) 궁문 앞
생몰연도 ? ~ 1171년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에서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고려 무신(武臣)이자 권신(權臣).

한때 이의방, 정중부와 견줄 정도로 위상이 컸지만 실질적으로는 집권하지 못했기 때문에[1] 고려사》에서는 별도의 <열전>으로 수록되지 못했다.

2. 생애

1170년 8월 정중부, 이의방 등과 함께 무신정변을 주도했으며, 당시 직책은 근위대 하급 장교에 해당하는 견룡군(牽龍軍) 산원(散員)이었다. 이 때 이의방과 함께 정변을 일으킬 것을 사전에 계획한 후 명망 높던 장군인 우학유를 끌어들이려고 시도했으나 그가 거부하자 정중부를 주모자로 끌어들였다. 의종 흥왕사에서 보현원으로 행차하자 순검군을 동원해 정변을 일으켜 직접 임종식, 이복기 등 왕을 호종하는 문신들을 모두 몰살시켜버렸다. 수도 개경에 들어가 한뢰 등 문신 50명의 목숨을 빼앗으면서 문신을 모두 살해하자고 주장했지만 정중부의 만류로 이를 그만둔다. 의종이 응양군 중랑장에 봉했으며, 이후 당여들과 함께 의종을 폐위하고 1170년 9월 명종을 옹립하면서 1170년 10월 대장군 위위경 겸 집주(大將軍 衛尉卿 兼 執奏)에 올랐는데 정중부, 이의방과 함께 벽상공신으로서 공신각 위에 초상이 그려졌다고 한다.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시대 실패한 내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내란 주도 세력
왕규의 난 <colbgcolor=#ffffff,#670000> 왕규
김훈 최질의 난 김훈, 최질
이자의의 난 이자의
이자겸, 척준경 암살 미수 사건 인종, 지녹연, 안보린
이자겸의 난 이자겸
묘청의 난 묘청
김보당의 난 김보당
이고의 난 이고
조위총의 난 조위총
망이 망소이의 난 망이 , 망소이
동경민란 이의민
김사미 효심의 난 김사미, 효심
이비 패좌의 난 이비, 패좌
만적의 난 만적
수창궁 사변 희종
최광수의 난 최광수
이연년 형제의 난 이연년
삼별초의 난 삼별초
정세운 암살 사건 김용, 안우, 이방실
흥왕사의 변 김용, 기황후
김저의 난 김저 }}}}}}}}}

하지만 이고 본인에게 공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무신들에 비해 심한 푸대접을 받고 있는 것에 불만을 품어서[2] 1171년 1월 정권을 독차지하기 위해 몰래 불량배 및 법운사의 스님인 수혜, 개국사의 스님인 현소 등과 교분을 맺고 밤낮으로 연회를 벌여 술을 마셨으며, 그들에게 큰일이 성공하면 높은 벼슬을 얻게 될 것이라 떠들어댔다. 거짓으로 제서를 꾸며 태자의 관례를 위해 태자궁인 여정궁에서 연회가 열리게 되었고, 이것을 계기로 이의방 제거를 시도했지만 이고의 사환이었던 교위 김대용의 아들을 통해 교위 김대용과 내시장군 채원이 함께 이의방에게 고변하면서 일이 틀어지게 되었다. 이고는 평소 이의방을 핍박했는데 이의방이 이들을 통해 계획을 알아채자 이의방은 채원 등과 함께 궁문 밖에서 기다렸고, 이후 이고는 궁문 밖에서 이의방의 철퇴에 맞아 목숨을 잃었다. 이의방의 명령을 받은 순검군에 의해 이고의 어머니와 일당들은 모두 처형되었으나 이고의 아버지만은 이고가 불량하다고 하여 오래 전부터 의절하였기 때문에 처형되지는 않고, 대신 유배만 떠났다고 한다.

3. 대중매체에서

파일:external/img.kbs.co.kr/1_b_0016.jpg }}}]] ||
  • < 박시백의 고려사>에서도 등장하는데 정중부에게 언제까지 우리가 언제까지 이러고 있어야 되냐고 투덜거리는 모습으로 첫 등장한다. 그러다 1170년 10월 11일 한뢰 이소응의 뺨을 때리는 사건이 벌어지자 정중부가 한뢰에게 쓴 소리를 했지만 의종이 그냥 넘어가자 열받은 이고가 칼을 빼면서 “열 받는데 그냥 여기서 일 벌이죠?”라며 정중부에게 말한다. 하지만 정중부는 “아니, 계획대로 간다,”라고 말하면서 보현원으로 간다. 이고는 이의방과 함께 먼저 보현원으로 가서 황명이라 속이고 순검군을 집합시켜 한뢰를 비롯한 문신들을 전부 죽여버리고 최고 실세로 떠오른다. 그러다 하급 무신들이 자기들을 죽이려고 하자 이의방과 같이 이들을 제압하고 “사람은 모름지기 주제를 알아야해, 안 그래?”라고 이의방에게 말해 이의방을 열받게 만든다. 하급 관리에서 대장군으로 초고속 승진을 하자 야심이 커진 이고는 최고 권력자가 되기위해 승려들과 친분을 맺고 반란을 일으켜 이의방을 죽이고 최고 권력자가 되려했지만 정보가 세어나가는 바람에 이의방이 이고의 계획을 알아버렸고 이의방은 채원과 함께 같이 궁궐 문 앞에서 이고 일당을 기다렸다가 이고 일당이 오자 이의방이 “주제를 알아야지 인간아!”라고 말하면서 이고를 철퇴로 때려죽인다. 이 모습을 마지막으로 등장종료.

4. 관련 문서


[1] 5개월 간의 연립정권 도중 살해당했기 때문이다. [2] 일부에서는 특히 이 불만이 이의방을 향해 있었다는 추측을 하기도 한다. 정중부야 애초에 경력이나 직위로나 이고 본인이 넘볼 수 있는 사람이 아니었던 반면, 이의방은 그래도 넘볼 만한 위치였고, 본인 역시 같이 정변을 주도했는 데 받는 대접이 이의방에 비해 못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