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8:21:31

시외버스 인천-속초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인천광역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5eb8><colcolor=#ffffff>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강원도 ↔양양, 속초
대전/충남 ↔대전복합 ↔천안, 아산 ↔태안 ↔서산
광주/전남 ↔광주 ↔목포, 진도 ↔순천 ↔여수
전북 ↔전주 ↔익산 ↔남원
부산/경남 ↔부산 ↔부산사상 ↔진주 ↔김해
대구/경북 ↔서대구, 동대구
시외버스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수도권 ↔안산, 수원, 오산 ↔안양, 용인 ↔평택 ↔수원, 용인
↔성남 ↔고양, 파주 ↔이천 ↔안성
↔동서울 ↔가평
강원 ↔춘천 ↔원주 ↔강릉 ↔홍천
↔태백
대전/충청 ↔서산(한서대, 해미 경유) ↔청주 ↔음성 ↔증평
↔진천 ↔세종 ↔유성 ↔공주, 부여
↔충주 ↔제천 ↔청양, 부여 ↔청주대
↔당진 ↔보령
대구/경북 ↔구미, 대구서부 ↔문경, 상주 ↔영주, 안동 ↔경주, 포항, 울진
부산/울산/경남 ↔원지, 진주, 사천, 삼천포 ↔함양, 거창 ↔통영, 고현 ↔울산
↔마산, 창원
호남 ↔군산 ↔부안 ↔영광, 함평, 무안 ↔광양
↔완도
인천국제공항 지방버스
}}}}}}}}} ||



파일:속초시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속초시 시외버스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속초(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color=#fff> ↔동서울 ↔인천 ↔서울경부 ↔철산, 광명
}}}}}}}}}
[ 속초(시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213A8F><colcolor=#fff><width=5000px> 강원 ||<width=22.5%> ↔간성,거진 ||<width=22.5%> ↔춘천 ||<width=22.5%> ↔삼척,동해 ||<width=22.5%> ↔강릉(완행,직행) ||
영남 ↔부산 ↔울산 ↔영덕,동대구 ↔대구북부
↔울진
(동대구행)
(부산행)
수도권 ↔동서울 ↔부천,호계,안양 ↔인천공항
충청 ↔대전복합 ↔유성
호남 ↔전주
운행중단 ↔철산 ↔광주
}}} ||


파일:inscic-ngp.png
파일:인천속초_프레스티지.jpg
동부고속 프리미엄 차량 대원고속 프리미엄 차량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주의사항6.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시외버스 인천 ↔ 속초
기점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 인천종합터미널) 종점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조양동( 속초고속버스터미널)
속초행 첫차 06:30 인천행 첫차 06:40
막차 19:40 막차 19:50
배차간격 일 8회[1]
운수사명 대원고속, 동부고속, 한일고속 인가대수 6대[2]
경로 인천종합터미널 남동IC 제2경인고속도로 안현JC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강일IC 서울양양고속도로 양양IC 44번 국도 양양종합여객터미널 7번 국도 속초고속버스터미널

2. 개요

인천광역시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을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를 잇는 전환시외 노선이며, 대원고속, 동부고속, 한일고속이 운행한다.

3. 역사

  • 1996년 9월 19일 개통하였으며 동부고속, 삼화고속, 한일고속 3개 회사에서 운행했다.[3] 개통 당시에는 인천 ↔ 속초의 직통 노선이었으며, 3회는 우등이고 3회는 일반으로 운행했다.[4][5]
  • 1997년 11월 20일 인천터미널이 용현동에서 관교동으로 이전함에 따라 인천 출발지도 용현동에서 관교동으로 이전하였다.
  • 2022년 01월부터 우등이 5회 → 4회로 감회되는 대신 프리미엄이 3회 → 4회로 증회되었으며, 다이어가 바뀌면서 프리미엄의 첫차를 운행한 회사가 프리미엄의 막차도 같이 운행[7] 동시에 전 배차가 윤번제로 적용되었다. 그래서 고정차량이 없다.

4. 특징

  • 우등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프리미엄의 경우 한일고속은 타 노선에서 투입되었던 차량을 투입하는 지라 16번 좌석을 발권할 수 있지만 동부고속과 대원고속은 비상문이 설치된 신차를 운용하여 16번 좌석의 발권이 불가능하다.[12]
  • 앱에서는 소요 시간이 3시간이라고 되어있지만 실제로는 차가 안 막힐때가 아니면 3시간 30분~50분이 걸린다. 평일에는 청계IC ~ 산본IC, 주말/공휴일에는 서울양양고속도로 전반에서 정체가 걸리기 때문에 표시된 시간보다 늦게 도착하며, 최악의 경우 4시간 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다.
  • 대원고속 속초발 노선 중 유일하게 속초고속버스터미널 및 양양종합여객터미널을 경유한다.[14]
  • 막차가 이르기 때문에 막차 시간 이후에 인천에 가려면 서울행 시외버스를 타고 강남터미널로 가서 7호선이나 인천으로 가는 광역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 대원고속의 경우 프리미엄이 정비 등의 이유로 결행될 경우, 인접한 시간대에 우등 차량이 대체 투입된다.[15]

5. 주의사항

  • 프리미엄으로 국가유공자 할인 불가능하며, 별도로 금~일/공휴일 한정 정상 요금도 모자라 마일리지 적립조차 불가능하다.[17]

6. 연계 철도역



[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 12회 [2] 각 회사당 우등 1대 및 프리미엄 1대 [3] # [4] 한일고속 인천-속초가 나오는데 일반이다. [5] 인천터미널 용현동시절 마지막 신규노선이였다. [6] 2018년 07월 20일부터 개통했다가 2019년 08월 26일부터 인천공항 양양의 노선이 수요 저조로 폐지한 후 뒤늦게서야 대체했다. [7] 덤으로 원래 동부의 프리미엄이 속초 및 대원, 한일의 프리미엄이 인천에 숙박하던 것이 상실되었다. [8] 속초행 기준. 우등 → 프리미엄 → 우등 → 프리미엄... / 인천행 기준. 프리미엄 → 우등 → 프리미엄 → 우등... [9] 강원특별자치도 [10] 동서울의 노선 경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에 일부 시간이 서울경부의 노선하고 동일하게 양양을 무정차했다. [11] 대원고속의 경우 일반만 운행하는 대신 경기고속은 우등 및 프리미엄을 운행한다. [12] 단, 일반 및 우등은 가능하다. [13] 이 경로는 2020년 03월까지 평소의 경로였다. [14] 나머지 KD 속초 노선은 전부 양양을 미경유하고 속초시외버스터미널을 경유한다. [15] 인천에서 굴리던 시외버스 차량에 A4 용지로 양양/속초라고 프린트된 종이를 붙인다. [16] 기존에는 사용가능하였으나 2023년 중 사용 불가로 변경되었다. [17] KOBUS 기준으로 전환고속의 회사이자 대원고속(2군)이 공배로 껴 있다는 것이 원인이다.-삼화고속 매각만 안했으면- 단, 동부고속 한일고속의 경우 사용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