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dcd2d1><tablebgcolor=#dcd2d1>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Side A | |||
<rowcolor=#000>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
<colcolor=#000,#dcd2d1> 1 | Black Dog | <colcolor=#000,#dcd2d1> 4:55 | ||
2 | Rock and Roll | 3:41 | ||
3 | The Battle of Evermore | 5:52 | ||
4 | Stairway to Heaven | 8:03 | ||
Side B | ||||
<rowcolor=#000>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
1 | Misty Mountain Hop | 4:38 | ||
2 | Four Sticks | 4:45 | ||
3 | Going to California | 3:32 | ||
4 | When the Levee Breaks | 7:09 | ||
Rock and Roll | |||
|
|||
<colbgcolor=#dcd2d1><colcolor=#000> 앨범 발매일 |
1971년
11월 8일 1971년 11월 12일 |
||
수록 앨범 | |||
싱글 발매일 | 1972년 2월 21일 | ||
싱글 B면 | Four Sticks | ||
장르 | 로큰롤, 하드 록, 헤비 메탈 | ||
작사/작곡 | 플랜트-페이지, 존 본햄, 존 폴 존스 | ||
러닝 타임 | 3:40 | ||
연주자 |
|
||
프로듀서 | 지미 페이지 | ||
스튜디오 | 헤들리 그레인지 | ||
레이블 | 애틀랜틱 레코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colcolor=#000><colbgcolor=#dcd2d1> 독일 싱글 커버 |
[clearfix]
1. 개요
|
|
1972년 라이브 | 1973년 라이브 |
|
|
1979년 라이브 | 2007년 라이브 |
2. 상세
Stairway to Heaven, Whole Lotta Love, Dazed and Confused, Kashmir 등 과 함께 레드 제플린의 가장 대표적인 곡이다. 강렬한 드럼 인트로와, 초반부의 흥겨운 기타 리프, 그리고 로버트 플랜트의 시원시원한 보컬로 유명하며, 레드 제플린을 모른다고 해도 들어보면 “아 이거?”라고 하는 사람들도 많을 정도로 인지도가 높다. 이 외에 지미 페이지의 기타솔로가 뭐라 형언하기 힘든 괴이한 박자를 타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지미 페이지 연주 중에서도 정말 커버하기 난해한 연주.[1]인기에 힘입어 1972년 싱글로도 발매되었으나, 레드 제플린이 얻고 있던 큰 인기에 비하면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다만 서독 차트에서는 13위까지 올랐다.
로큰롤의 특징인 3화음에 기반을 두고 있고, 롤링 스톤스의 ‘이언 스튜어트’[2]가 건반 세션으로 참여 했는데 기존 로큰롤에 비해 훨씬 공격적이고 빠른 분당 170 비트로 구성되어있다. 즉 초기의 로큰롤을 하드 록, 헤비 메탈과 결합한 독특한 곡이다.
특히 곡의 작곡 부터 로큰롤 곡에서 유래 되었다. 존 본햄은 리틀 리처드의 Keep A-Knockin의 드럼 인트로를 연주했으며, 지미 페이지는 이에 맞춰 척 베리 스타일의 기타 연주를 했다고 한다. 이렇게 15분만에 즉흥적으로 곡의 구조를 완성했고, 특히 편곡 하면서 강렬해진 드럼 인트로는 록 음악 최고의 드럼 인트로로 꼽힌다. 그런데 문제는 드럼 파트를 그대로 인용 했음에도 크레딧을 남기지 않아 논란이 되기도 했었다.
1971년 라이브 공연 때부터 레드 제플린 라이브 공연의 하이라이트로 불렸고 특히 73년도 매디슨 스퀘어 가든 라이브와 79년도 네브워스 라이브 버전은 전설적인 공연으로 꼽힌다. 1985년 라이브 에이드 공연에서도 맨 처음으로 연주되었다. 곡이 발매되고 1972년까지는 라이브에서 원키 그대로 불렀으나 1973년부터는 음을 낮추어 부르기 시작했다.
3. 가사
Rock and Roll It's been a long time since I rock-and-rolled 내가 로큰롤을 한 지는 오래됐어 It's been a long time since I did the Stroll 스트롤을 춘 것도 오래됐지 Ooh, let me get it back, let me get it back, let me get it back 오오, 돌아가게 해 줘, 돌아가게 해 줘, 돌아가게 해 줘 baby, where I come from 내가 처음 있었던 곳으로 It's been a long time, been a long time, been a long lonely, lonely, lonely, lonely, lonely time 오랫동안이었어, 오랫동안이었어, 그동안 외롭고, 외롭고, 외롭고, 외롭고, 외롭고, 외로운 시간이었어 Yes, it has. 정말 그랬지 It's been a long time since the book of love 사랑의 책이 나온지는 오래됐어 I can't count the tears of a life with no love 사랑이 없는 삶의 눈물을 셀 수도 없어 Carry me back, carry me back, carry me back, baby, where I come from 날 보내줘, 보내줘, 보내줘, 내가 처음 있었던 곳으로 It's been a long time, been a long time, been a long lonely, lonely, lonely, lonely, lonely time 오랫동안이었어, 오랫동안이었어, 그동안 외롭고, 외롭고, 외롭고, 외롭고, 외롭고, 외로운 시간이었어 (기타 솔로) Seems so long since we walked in the moonlight 우리가 달빛 아래를 걸은지도 오래된 것 같아 Making vows that just can't work right 지켜질 수 없는 맹세를 하고 Open your arms, open your arms, open your arms, baby, let my love come running in 팔을 벌려줘, 팔을 벌려줘, 팔을 벌려줘, 자기, 내 사랑이 달려들 수 있게 It's been a long time, been a long time, been a long lonely, lonely, lonely, lonely, lonely time 오랫동안이었어, 오랫동안이었어, 그동안 외롭고, 외롭고, 외롭고, 외롭고, 외롭고, 외로운 시간이었어 It's been a long time, been a long time, been a long lonely, lonely, lonely, lonely, lonely time 오랫동안이었어, 오랫동안이었어, 그동안 외롭고, 외롭고, 외롭고, 외롭고, 외롭고, 외로운 시간이었어 |
4. 커버 버전
워낙 유명한 곡인만큼 커버 버전도 매우 많다. 다만 음역대가 음역대이다보니 남성 보컬들보다는 여성 보컬들이 주로 커버하는 곡이다.밴 헤일런의 커버 버전. Rock and Roll 커버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버전으로, 에디 밴 헤일런이 기타 솔로를 전혀 다르게 연주한다.
푸 파이터스의 커버 버전.
로저 달트리의 커버 버전. 록 에이드 아르메니아에서 커버한 것으로, 보컬 로저 달트리 외에도 베이스와 드럼을 각각 아이언 메이든의 스티브 해리스와 니코 맥브레인이 맡았다.
스티비 닉스의 커버 버전.
하트의 커버 버전.
김종서의 커버 버전. 김종서는 어마어마한 레드 제플린 빠로 유명한데(…), 국내 팬들에게는 김종서의 커버 때문에 많이 알려졌을 것이다. 기타는 신대철이 맡았다.
96년도 박완규의 커버 버전. 당시 박완규의 엄청난 가창력과 미성이 돋보인다.
2012년 김경호, 윤도현의 커버 버전.
5. 여담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BC9B7, #DBC9B7 40%, #DBC9B7 60%, #DBC9B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order-radius:5px;" {{{-2 {{{#!folding [ 데뷔 이전 멤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000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 | |||
1969 |
1969 |
1970 |
1971 |
|
1973 |
1975 |
1976 |
1979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Singles ]
{{{#!folding [ 관련 문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