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27fda0,#000><colcolor=#fff,#27fda0> MEKANISM | |
버전 | 1.7.10 ~ 1.20.1[목록] |
모드로더 |
포지~1.20.1 네오포지1.20.1~ |
다운로드 |
CurseForge 코어필수 발전기 모듈사실상 필수 장비 모듈선택 추가 모듈선택 |
| | 위키 | 번역 |
1. 개요2. 월드3. 튜토리얼4. 기계
4.1. 기본 기계
5. 광물 정제4.1.1. Metallurgic Infuser4.1.2. Enrichment Chamber4.1.3. Energized Smelter4.1.4. Crusher4.1.5. Precision Sawmill
4.2. 발전기4.2.1. Heat Generator (열 발전)4.2.2. Wind Generator (풍력 발전)4.2.3. Solar Generator (태양광 발전)4.2.4. Bio-Generator (바이오 연료 발전)4.2.5. Gas-Burning Generator (가스 발전)4.2.6. Fission Reactor (핵분열 원자로)4.2.7.
Fusion Reactor (융합로 발전)
4.3. 기타 기계4.4. Upgrade5.1. 정제 과정
6. 장비7. 도구7.1. Flame Thrower7.2. Electronic Bow7.3. Atomic Disassembler7.4. Configurator7.5. Cardboard Box7.6. Dictionary7.7. Energy Tablet7.8. Portable Teleporter7.9. Charge Pad7.10. Electric Pump7.11. Robit
8. Chamber/Factory9. Transmitters (케이블) 9.1. Universal Cable (전기)9.2. Pressurized Tubes (가스)9.3. Mechanical Pipes (액체)9.4. Logistical Transporters (아이템)9.5. Thermodynamic Conductor (열)
10. Storage (저장 장치)10.1. Bins10.2. Energy Cubes10.3. Gas Tanks10.4. Fluid Tanks10.5. Dynamic Tanks (다이나믹 탱크) 10.6. Induction Matrix
11. Components (구성 요소)12. 시설13. 아이템 필터 시스템13.1. Logical Sorter
14. 기타15. 둘러보기[clearfix]
1. 개요
Mekanism은 이름답게 여러 산업 관련 기계들을 추가하여 자동화를 추구하는 모드이다. IC2보다는 편리하고, Thermal Expansion보다는 현실적인 난이도를 가져 처음 산업계열 모드를 시작한다면 추천되는 모드이다.
이 모드의 가장 큰 특징은 광물 제련이다. 초중반엔 광물을 정제하여 주괴를 2배, 3배까지 얻을수 있지만, 극후반엔 디지털 마이너 등으로 자동으로 채굴한 광석들을 최대 5배까지 제련하여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다른 모드와의 호환성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이 모드에서는 자체 전력인 J[2]는 물론, RF(FE), IC2 EU[3]까지 지원한다. 한 때 빌드크래프트의 MJ도 지원하였다.[4] 메카니즘의 기본 제어 회로는 산업모드의 전자 회로와 호환이 가능하다. 또한 전선 케이블은 산업의 전압 시스템에 구애받지 않는다.
또한 삼중수소와 중수소를 사용하여 매우 많은 전력을 뽑아내는 핵융합 발전과, 거대한 용량을 담을 수 있는 멀티블럭 형식의 다이나믹 탱크(액체)와 인덕션 매트릭스(에너지) 저장소도 존재한다.
원래는 영어만 지원했지만, 최근 업데이트에 유저 번역이 적용되어 한국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를 지원한다. 다만 한국어의 경우 오역이 상당하기에 영어가 된다면 그냥 영어로 쓰는 게 더 낫다. 아니면 ko-kr.lang 파일을 직접 뜯어고치는 방법도 있긴 하다.
버전 10으로 넘어오면서 컨텐츠가 상당히 많이 늘어났는데, 그 중 상당수가 다른 기술모드, 그 중에서도 버전 업이 정체된 모드들과 상당히 유사한 모습이 보인다.
- Mekasuit - Modular Powersuits 대체
- 핵분열 원자로 - Big Reactors/Extreme Reactors, Reactorcraft 대체[5]
- QIO 창고 시스템 - Applied Energistics 2 대체[6]
1.13 이후 바닐라 마인크래프트의 대규모 코드 변경과 너무 빠른 버전 업으로 인해 다수의 모드들이 따라가질 못해 본래 기술모드의 전형적인 플레이 방식이었던 모드 간의 상호 유기적인 연계가 어려워졌는데, 메카니즘의 개발자는 단독 완성형 기술모드로 방향을 바꿔 새로운 흐름에 대응하려는 듯하다. 다만 코드상에 타 모드들에 대한 지원이 더미 데이터로 남은 것으로 볼 때, 해당 모드들이 업데이트되면 지원을 재추가하려는 모양이다.
2. 월드
2.1. 광물
-
구리(copper)
게임 버전 1.17부터는 바닐라에 구리가 추가됨에 따라 삭제되었다.
구리 원석 및 주괴에 대한 내용은 마인크래프트/아이템/재료 문서의 구리 부분을참고하십시오. - 주석(Tin)
-
오스뮴(Osmium)
오스뮴은 이 모드에서 많이 쓰이므로 많이 쌓아둘 것을 권장한다. 위키에서는 y좌표가 얼마나 되든 땅속이면 찾을 수 있을 정도로 흔하다고 한다. 이 모드에서는 오스뮴이 구리/주석과 같은 일반 재료이지만 GregTech 5 / CE와 같이 오스뮴이 희귀하거나 고티어 재료로 설정된 모드를 같이 쓴다면 밸런스 파괴를 일으킬 수 있으니 유의하자. 서로의 오스뮴이 광석 사전 이름이 동일하여 상호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오스뮴 광석의 생성을 비활성화 시킨 후 CraftTweaker를 사용하여 레시피의 오스뮴을 다른 저렴한 재료로 대체하는 것이 권장된다. - 납(Lead)
- 우라늄(Uranium)
1.18부터는 주석, 납, 오스뮴, 우라늄 광석도 블록 대신 광물 원석 아이템을 드랍한다. 또한 심층암 버전의 광석들이 추가되었다.
2.2. 몹
-
아기 스켈레톤
바닐라의 아기 좀비의 스켈레톤 버전. 겉보기엔 귀여울 수 있지만 아기 좀비와 마찬가지로 히트박스가 작고 이동속도도 빠른데다 일반 스켈레톤과 동일하게 원거리 공격을 하기에 상당한 짜증을 유발한다. Config 설정에서 끄고 켤 수 있으니 꺼두는 걸 추천.
3. 튜토리얼
출처3.1. 시작하기
- 초반에는 광질을 통해 많은 자원을, 특히 오스뮴을 많이 모아주어야 한다. 오스뮴은 돌 곡괭이 이상의 곡괭이로 수집할 수 있다.
- 만약 Thermal Expansion 혹은 Applied Energistics 2 등의 모드를 함께 설치했다면, 이 모드들에 있는 Pulverizer 이나 Grindstone 등의 기계를 활용해서 오스뮴 광석을 오스뮴 가루로 만들어 굽는 것으로, 광석당 2개의 오스뮴 주괴를 획득할 수 있다.
- 만약 타 기계 모드가 없을 경우 Enrichment Chamber에 오스뮴 광석을 넣어서 2배로 정제할 수도 있다.
- 오스뮴으로 가장 먼저 만들어야 할 것은 Heat Generator 이다. 가장 기본적인 발전기로, 석탄 / 목탄 등을 넣어 발전하거나, 용암 속에 설치하는 것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3.2. 필수적인 부품 및 파워 네트워크 증축하기
- 가장 먼저 Metallurgic Infuser을 만들어 Heat Generator에 연결해 주자. Mekanism의 핵심인 합금을 만드는 필수 기계다.
- 이 기계로 최우선으로 만들어야 할 것은 강철이다. 왼쪽의 보라색 슬롯에 석탄 또는 목탄을 넣고, 화살표 왼쪽에 있는 빨간 슬롯에 철 주괴를 넣는 것으로 Enriched Iron을 만들 수 있으며, Enriched Iron을 전과 같이 보라색 슬롯에 석탄 / 목탄을 넣고 빨간 슬롯에 Enriched Iron을 넣는 것으로 강철 가루를 만들 수 있다. 이 강철 가루를 화로에서 구우면 강철 주괴가 된다.
- 보라색 슬롯에 넣는 재료는 한번에 한 종류만 넣을 수 있다. 만약 실수로 다른 재료를 넣었다면 DUMP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기계에서 재료를 없앨 수 있다. 다만 이럴 경우 잘못 넣은 재료는 없어지므로 실수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 이제 강철을 이용해 전선을 만들어 발전기 하나로 여러가지 기계들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Basic Universal Cable을 몇개 만들어 모든 Heat Generator들에 이어주고, 자주 사용하기 편한 위치로 Metallurgic Infuser을 옮겨 그곳으로 전선을 이어주자.
- 초반에 강철을 많이 만들다 보면 전기가 부족한 것이 느껴질 것이다. 강철을 만드는 데에도 석탄이 들어가기 때문에 보통 화력 발전을 용암 속에 넣어놓는 것 만으로 의지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발전량이 굉장히 적어 전기가 부족해지게 된다. 때문에 연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친환경 발전기들도 초반에 매우 도움이 된다. 태양광 발전기인 Solar Generator와와 풍력 발전기인 Wind Turbine 두 가지가 있는데, Solar Generator의 경우 좀 더 비싸지만 훨씬 효율이 좋은 Advanced Solar Generator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다만 밤에는 발전을 하지 못한다는 점은 고려하자. Wind Generator의 경우, 태양관 발전기보다 싸고 훨씬 더 많은 발전을 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냥 지붕에 설치하면 되는 태양광 발전기와 다르게 최대 효율을 내기 위해서는 무려 y = 255에 설치하여 전선으로 이어주어야 한다(...). 자세한 것은 아래에서 후술. 물론 최대 효율 기준이므로 집이 y = 100 이상의 높은 산 등에 있다면 그냥 설치해도 무방하다.
- Mekanism은 상술했다시피 다른 모드들과의 호환성이 매우 뛰어나 거의 모든 기술 모드의 전기 (EU, FE, RF, J, MJ 등)를 받을 수 있다. 때문에 다른 기술 모드들을 해본 적이 있다면 해당 모드들의 초반 발전기를 사용해서 전기를 만들어도 무방하다.
3.3. 기계 만들기
- 가장 먼저 Mekanism의 모든 기계에 들어가는 부품인 Infused Alloy를 넉넉히 만들어 두자. Metallurgic Infuser에서 보라색 슬롯에 레드스톤을 넣고, 빨간색 슬롯에 철을 넣는 것으로 만들 수 있다.
- 대부분의 Mekanism 기계에 들어가는 부품인 Steel Casing을 넉넉히 만들어 두자.
- 위의 두가지가 준비되었다면 이제 기본적인 기계들인 Enrichment Chamber, Energized Smelter, Precision Sawmill, Crusher 등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전부 필수적인 기계들이니 꼭 만들어 두자. 다만 다른 기술 모드가 있을 경우 화로인 Energized Smelter 대신 다른 화로를 사용해도 무방하며, TreeChop 등의 모드가 있어 나무가 남아 돌 경우 Precision Sawmill 역시 제작을 미루어도 된다.
- 원할 경우 Osmium Compressor을 제작해 발광석, 혹은 흑요석 기반의 도구를 만들 수 있다. 둘 다 다이아몬드보다 훨씬 구하기 쉬운 데 반해 성능이 매우 강력하므로 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
- 이제 Mekanism의 진가인 광물을 배로 정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시작하자. 최소 2배에서 최대 5배까지 불릴 수 있는 1티어 ~ 4티어까지의 정제 방법이 있으며, 자세한 정제 방법은 아래에 후술한다.
- 메카니즘의 자동 채굴기인 Digital Miner는 꽤나 부담스러운 레시피를 가지고 있지만, 그 성능이 매우 강력하기에 다소 무리를 해서라도 초반에 만드는 것이 좋다. 절대적인 속도는 좀 느리지만 전력 소모가 크지 않고, 원하는 광물만 지정해서 캐낼 수 있기에 광물 획득 속도는 오히려 매우 빠른 편이다. 디지털 마이너+광물 3배 정제 시스템만 구축해 두어도 광물 모자랄 일은 거의 없다.
- 이후의 진행은 자신의 몫이다. 2티어까지의 광물 재련 시스템은 구축하기 매우 쉽지만 3티어부터는 급격하게 복잡해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2티어까지만 구축하고 Atomic Disassembler, Digital Miner 등의 신기한 도구 및 기계들을 연구해보거나, 4티어 광물 정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핵융합로 등을 만들어 극한의 효율을 추구할 수도 있다.
4. 기계
4.1. 기본 기계
기본 기계들은 모두 Factory(공장) 버전이 존재한다. 기본, 고급, 엘리트, 궁극 버전이 존재하며, 단계마다 공정 칸이 2개씩 늘어난다. 즉, 일반 기계 대비 성능이 3배, 5배, 7배, 9배로 늘어난다. 여기에 업그레이드까지 합쳐지면 궁극 기계 블럭 하나가 웬만한 기계실급의 성능을 보여주기도 한다.업그레이드 방법은 직접 조합하거나 등급 설치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비용차이는 딱히 없으니[7] 간편한 등급설치기를 이용하면 된다.[8]
4.1.1. Metallurgic Infuser
주로 합금이나 회로를 만들때 사용하는 도구. 주입(Infusing)을 담당하는 기계이다. 메카니즘을 시작할 때 맨 처음으로 만들게 되는 기계이며, 끝까지 매우 높은 빈도로 사용한다. 나중에는 합금 라인을 여러개 만들어서 철을 넣으면 자동으로 합금, 강철이 만들어지게 하면 편하다.4.1.2. Enrichment Chamber
다른 모드의 분쇄기처럼 광물을 2배 정제하고, 레드스톤이나 청금석, 형석, 네더 석영 같은 Gem 광물 정제, 주입 부재료를 8배로 늘리는 등[9] 다양한 용도를 가지고 있는 기계. 이외에도 AE2의 석영 씨앗을 바로 성장시키는 데에 시용하기도 하고, 추가 모드가 없다면 황산을 만들기 위한 레시피에서도 사용된다.4.1.3. Energized Smelter
평범한 전기 화로다. 기본형에서는 다른 모드의 화로에 밀리지만, 공장화와 업그레이드가 더해진다면 어느 모드도 따라올 수 없는 속도를 자랑하게 된다. IC2의 유도 전기로에 비교하면, 유도 전기로는 대략 40초에 2세트를 동시에 제련하지만, 엘리트 등급 풀업 스멜터는 20초 내로 2세트를 제련한다. 1.16 이상 버전에선 궁극단계 공장화가 가능해 15초 이내로 제련해내는 성능을 가진다.4.1.4. Crusher
정식 번역은 분쇄기이지만 타 모드의 분쇄기와는 조금 다르다.[10] 광물을 갈아 2배로 만드는 레시피가 강화 챔버로 넘어가서 그런지 광물을 직접 분쇄하지 못하고, 대신 3배 이상의 정제 과정에서 광물 덩어리를 더러운 광물 가루로 분쇄하는데에 사용된다.[11]또한 각종 작물을 바이오연료로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 그래서인지 사탕수수를 설탕으로 만들지는 못한다. 타 모드의 분쇄기들은 대부분 사탕수수를 갈아서 설탕 2~3개를 생산하는 기능이 있는 것을 보면 이질적인 면이 있다.
4.1.5. Precision Sawmill
나무를 분쇄하는 기계이며, 다양한 조합법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원목을 판자 6개로 만들어주고, 톱밥을 만들때 사용할 수 있으며, 고무나무를 분쇄해주기도 한다.4.2. 발전기
4.2.1. Heat Generator (열 발전)
열 발전기로, 가장 먼저 사용하게 되는 기초적인 발전기이다. 이 열 발전기는 용암이나 카본(석탄)으로 발전을 할 수 있다. 펌프로 용암을 퍼줄 수도 있고 석탄을 넣어 발전할수 있지만, 소모하는 양에 비해 발전량이 매우매우 적으므로 용암을 끼얹는 발전 방법을 활용하자. 용암을 끼얹어서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방법은 한 면이 용암으로 뒤덮일때마다 5 FE/t의 전기를 생산하는데, 기계 가격이 싸니까 용암을 좀 많이 퍼와서는 몇개씩 돌리면 초반에 쓸정도의 전력은 충분하다. [12][13]
참고로 인벤토리에서 볼 때는 열전기 보일러와 모양이 흡사하니 주의해야한다.
4.2.2. Wind Generator (풍력 발전)
풍력 발전은 화력 발전 이후에 가장 쉽게 갈아탈수 있는 지속적인 에너지원이다. 풍력 발전은 바깥에 있어야 하므로, 풍력 발전기 위에 아무것도 없어야만 발전을 할 수 있다. y = 24에서 가장 적은 양인 60 J/t의 전기를 생산하며, y = 250에서 최대량인 480 J/t의 전기를 생산한다. 너무 높은 곳에 설치하면 전선을 연결하기 힘들고, 그렇다고 너무 낮은 곳에 설치하면 발전량이 매우 적어지므로 집이 높은 산에 있을 경우 사용하면 좋다. 발전량 공식은 (20y+180)÷11이다.
해수면 수준인 60y에서도 125J/t(50rf/t)이라는 준수한 발전량을 내주므로 소규모지만 무한 발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기 좋다.
오스뮴과 금, 강철이 많다면 30개씩 y 250에 올려서 9000RF/t을 낼 수 있다. 이 정도면 웬만한 기계를 돌릴 수 있을 정도로 초~중반의 강력한 무한 동력을 얻게 된다.
성능 외적인 문제인데, 현실고증인지 소음이 엄청 심하다.[14] 기계 근처에 있으면 기계소리가 묻힐 정도로 심하니 발전량도 올릴 겸 높은 곳에 설치하자.
4.2.3. Solar Generator (태양광 발전)
태양광 발전 역시 위에 아무것도 없어야만 발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낮에만 발전을 하기 때문에, 꼭 에너지 큐브와 연결하여 밤 시간동안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거나, 해가 지면 바로 침대에 누워 밤을 패스해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자. 아래의 2가지 종류의 발전기가 있다. 또한 이 발전기들은 사막 바이옴에서 사용할 경우 50%의 전기를 추가적으로 발전한다. 집이 사막에 있다면 유용하게 써먹어보자.태양광 발전기는 특히 자원 소모가 크니 초반에는 대량발전을 못 한다. 초반엔 풍력발전기쪽을 사용하자.
-
Solar Generator
기본 태양광 발전기로, 태양이 보일 경우 60 J/t의 속도로 전기를 발전하며 내부에 최대 96 kJ의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 발전량이 적어 단독으로 사용하기 힘들기 때문의 아래의 발전기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좋다.
* Advanced Solar Generator
* Advanced Solar Generator
위의 기본 태양광 발전기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기본 태양광 발전기 4개를 필요로 한다. 태양이 보일 경우 300 J/t의 속도로 전기를 발전한다. 기본 태양광 발전기가 4개만 필요한 데 반해 발전량은 5배이므로 이 발전기를 만드는 것이 여러모로 이득이다. 게다가 나중에 열 증발시설에도 쓰이므로 많이 만들어놔도 상관없다.
이 발전기를 만드는 데 필요한 원자재는 다음과 같다.- 유리판 36개 ( = 유리 18개)
- 레드스톤 54개 (아래 참조)
- 철 주괴 37개
- 오스뮴 주괴 36개
- 오스뮴 가루 8개
- 금 주괴 12개
참고로 Enrichment Chamber에서 주입할 재료를 처리하면 8배 더 많이 사용 가능한 '압축된 재료'가 나온다. 즉, Enrichment Chamber의 보유 여부에 따라 필요 레드스톤 수가 달라지므로, Metallurgic Infuser에서 Enriched Alloy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레드스톤의 개수는 서술하지 않았다.
4.2.4. Bio-Generator (바이오 연료 발전)
바이오연료 발전은 다른 발전에 비해서 진입장벽이 낮지만, 농장 하나를 바이오연료를 만드는데 써야하기 때문에 태양광이나 풍력발전기보단 사용하기 귀찮다. 하지만 발전기 비용이 저렴하고, 발전량도 초반 발전기 치고는 높기에[15] 상황에 따라선 풍력 발전기나 태양열 발전기를 대체할 수 있다. 풍력이나 태양열 발전기의 재료비가 아깝거나, Minefactory 등 손쉬운 자동농사 모드가 있다면 바이오연료 발전을 하는 것이 좋다. 바이오 연료 발전은 700 J/t의 전기를 생산하며, 바이오 연료 하나가 대략 40초 정도 돌아간다.
바이오 연료로 더 효율적인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바이오 연료로 에틸렌을 만들어 발전을 해야 한다. 에틸렌 발전에 대해서는 아래에 기술.
4.2.5. Gas-Burning Generator (가스 발전)
수소, 에틸렌 등 태울 수 있는 가스를 태우는 것으로 전기를 발전한다. 수소는 1mB당 200J의 전기를 발전하여 200J/t, 에틸렌은 1mB당 28400J의 전기를 발전하여 705J/t이 나온다. 내부에 최대 18000mb 까지의 가스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량이 부족하다면 근처에 가스 탱크 등을 연결해 저장량을 늘리면 된다.
Mekanism이 v9으로 업데이트되면서 새로운 기능이 생겼는데, 발전기의 내부 가스 잔량에 따라 틱당 가스 사용량이 점점 늘어나 최대 28mB/t까지 가스를 소모할 수 있다. 발전량도 덩달아 늘어나 최대 버퍼인 16000mB이면 발전기 하나가 대략 7,000RF/t을 뽑아내기 때문에 가스 발전기의 증설은 천천히 하면 된다.
재료 수 대비 총 발전량은 바이오 연료 쪽이 더 높지만, 위의 사용량 가속 덕분에 틱당 발전량은 가스 발전이 더 높다.
4.2.6. Fission Reactor (핵분열 원자로)
V10 버전에 새롭게 추가되었다.우라늄을 활용하여 fissile fuel를 만들고, 이것으로 증기를 만드는 방식이다. 다만 fissile fuel를 만드는 데 황산이 들어가는지라 정제 공정이 장난 아니게 복잡하다. 아직 광물 5배 정제를 시작하지 않았다면 이를 먼저 구축하고 사용 후 남은 황산을 모아두는 것이 좋다. 정확한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우라늄을 농축기에 넣어 2개의 우라늄염으로 바꾼다.
2. 우라늄염을 화학적 산화장치에 넣어 500mB의 산화 우라늄을 만든다.
3. 형석과 황산을 화학적 용해장치에 넣어 불산을 만든다.
4. 불산과 산화 우라늄을 화학적 반응장치에 넣어 육불화 우라늄을 만든다.
5. 육불화 우라늄을 원심분리기에 넣어 핵 연료를 만든다.
이 과정에서 산화장치의 생산속도가 느려 병목이 생기므로 반물질을 제대로 굴리고자 하면 산화 장치는 2~4개정도 만들어두면 좋다.
최소 3*3*4에서 최대 18*18*18까지 건설이 가능하며 내부의 연료봉 블록 배치에 따라 원자로 성능이 갈린다.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내부에 연료봉과 제어봉을 배치해야 하며, 입출력 포트를 사용해 연료와 물을 공급하고 증기와 핵폐기물을 빼내야 하는 등 원자로 자체의 사용법은 빅 리액터와 비슷하다. 다만 이쪽은 패시브형 원자로는 없고, 대신 물과 소듐 중에서 냉각제를 선택할 수 있다. 물을 쓴다면 원자로와 터빈만 지어서 이어주면 되지만, 소듐을 쓴다면 Thermoelectric Boiler도 지어서 원자로-보일러-터빈을 이어주어야 한다. 소듐을 쓰는 쪽이 냉각 성능이 우수하고 복잡하지만 최대 발전량은 더 높다. 714mB 이상의 연소율을 보일 수 있는데, 이 이하라면 연료당 발전량은 동일하므로 굳이 소듐 냉각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빅 리액터와 달리 이쪽은 관리를 똑바로 하지 않으면 폭발하거나 방사능이 유출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물을 다 쓰면 온도가 올라가면서 원자로가 터질 수 있고, 그러면 반경 5청크 이내가 방사능으로 뒤덮여서 방호복이나 차폐 모듈이 달린 Mekasuit 풀세트 없이는 발도 들이기 힘든 영역이 된다. 따라서 물 공급에 극도로 신경 써야 한다. 제작자가 의도한 방식은 원자로에서 생산된 스팀으로 증기 터빈을 돌리고, 여기서 나온 물을 다시 원자로에 넣어주는 방식으로 물을 순환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감당이 안 될 정도로 물 소모가 엄청나다. Cooking for Blackhead 모드가 있으면 해당 모드의 Sink를 사용하면 처음에 편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는 Fusion Reactor도 동일. 원자로와 터빈을 딱 붙여놓으면 터빈과 원자로 사이의 증기, 물 이동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므로 해당 방식을 추천한다.
발전기에서 나오는 부산물인 핵폐기물(nuclear waste)로는 폴로늄(polonium)과 플루토늄(plutonium)을 만들 수 있는데, 중반 이후의 각종 조합법(Mekasuit 등)에 왕창 들어간다. 특히 폴로늄이 무식하게 들어가니 처음 원자로를 만들 때 핵폐기물 재처리 시설까지 같이 만들어두는 게 좋다. 이외에 플루토늄은 재처리를 추가로 거쳐 fissile fuel를 다시 만들 수 있다. 정확히는 fissile fuel 10,000mB 당 1,000mB의 플루토늄을 얻을 수 있고, 이로부터 8,000mB의 fissile fuel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이 연료 재처리 시설을 건설해서 우라늄을 아끼느니, 그냥 바로 핵융합 발전으로 건너뛰고 남아도는 우라늄으로 반물질을 만드는게 더 좋다.
핵폐기물을 재처리한 뒤에 나오는 spent nuclear waste는 사용처가 없고, 오로지 메카니즘 자체 가스 파이프로만 운송이 가능하고, radioactive barrel에만 보관이 가능하다. 운송 중인 가스관을 깨거나 radioactive barrel을 부수거나 하면 즉시 해당 블록에 들어있던 만큼의 spent nuclear waste가 사라지고, 분량에 따라 주변 영역에 방사능을 흩뿌린다.[16] 청크 단위로 뿌리는 거라 블록으로 못 막고, 근처에서 멋모르고 얼쩡대면 순식간에 방사능 노출량이 몇십 시버트까지 치솟으면서 허기가 빠르게 감소하고 체력도 계속 감소한다. 이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은 오로지 radioactive barrel뿐인데 분당 1mB만큼의 spent nuclear waste를 제거할 수 있다.[17] 반물질이나 Mekasuit, 핵융합로 같은 걸 잔뜩 만들었다면 사실상 맵 삭제 전까지는 못 제거하는 셈. 온칼로처럼 지하 깊숙이 radioactive barrel을 수십에서 수백 개를 만들어놓고 잊어버리던가, 발전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까지 파이프를 연결하고 부숴서 방류하는 방식밖에 없다.[18] RFTools 같은 차원 생성 모드가 있다면 간단히 해결 가능한데, 안 쓰는 차원에다 원자로를 놔두고 전기만 빼오면 된다. 방사성 폐기물은 대충 멀리다 갖다 놓고, 지나치게 오염되었다 싶으면 원자로를 해체한 뒤 차원을 폐쇄해버리면 된다.
spent nuclear waste는 폴로늄 펠릿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므로 폴로늄을 액체상태 그대로 SPS[19]에 집어넣으면 핵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SPS 자체가 폴로늄 펠릿이 있어야 만들어지고, 정작 반물질은 폴로늄 펠릿을 만들지는 못하므로 방폐장은 필수다.
정리하자면 원자로 본체의 사용 방법은 빅 리액터와, 연료 생산과 폐기물 처리 과정은 리액터크래프트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V10 버전부터 아래의 핵융합로 건설에 폴로늄 및 플루토늄이 필요해졌기 때문에 핵융합 발전으로 가기 위해서는 좋든 싫든 핵분열 원자로를 한 번은 건설해야 한다.
4.2.7. Fusion Reactor (융합로 발전)
내용이 길어져 분리되었다. Mekanism/융합로 문서 참고.4.3. 기타 기계
4.3.1. Fuelwood Heater
고체 연료를 태워서 열을 생산하는 기계이다. 밑의 보일러나 열 증발탑 시설에 연결해두고 사용할 수 있으며, Advanced Solar Generator를 쓰는 것 보다 효율이 좋다. 용암 양동이를 넣을 수도 있으며, 용암 양동이는 연료중 제일 긴 연소 시간과 최고의 효율을 자랑한다.주로 열증발 시설을 소규모로 운용할 때 많이 사용한다.
4.3.2. Resistive Heater
전기로 열을 만들어 내는 히터. 전력 사용량을 설정해 열 발생량을 조절 가능하다. 100만RF/t까지 소모가 가능해 전력 쓰레기통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핵분열로에선 전력이 꽉 차면 터빈이 멈춰 결국 냉각도 멈추게 되는데, 증기를 덤핑하거나 전력을 빼주거나 해야 한다. 물을 추가적으로 투입할 상황이 아니라서 증기를 버리기 뭣한 경우 전기 히터로 전기를 버려줄 수 있다.4.3.3. Digital Miner
기술모드에 으레 있는 자동 채굴기. 컨피그에서 채굴 높이, 범위 등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며 화이트리스트 설정이 매우 세세해서 원하는 광물을 선택적으로 채광할 수 있다.특정 블럭을 채굴한 후 지정된 블럭으로 대체하기에 건축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빌크의 필러로는 하기 어려운 복잡한 형상도 손쉽게 블럭교체가 가능하다.
기본 소모 전력은 1000J/t 수준으로 높지만, 작동을 위한 최소 전력 단위가 없다. 풍력발전기 한두 개만 붙여놔도 느리게나마 채광하므로 미리 만들어놔도 상관없다.
사실 들어가는 재료에 비해 채광속도는 느린 편이다. 대략 0.5초마다 광석 하나를 캐는데, 청크를 순식간에 갈아엎어버리는 ExU2나 Rftools의 쿼리보다는 확연히 느리다. 하지만 원하는 광물을 즉시 채광하므로 즉응성이 높고, 미관도 해치지 않는다. 철이나 구리 같은 광물은 쿼리로, 다이아 같은 희귀한 광물은 디지털 마이너로 채광할 수도 있다.
4.3.4. Quantum Entangloporter
차원 간 무선으로 에너지, 아이템, 액체, 가스를 수송시키는 기계. 메카니즘판 테서랙트라고 보면 된다. 레시피를 보면 아토믹 등급 서킷과 합금, 옵시디언 주괴에 텔레포터 코어까지 들어가니 비싸보일 수 있지만, Enriching을 통해 압축된 재료로 만들면 다이아는 4개 정도밖에 안 들어간다.써멀의 테서랙트와 비교하면 장단점이 뚜렷하다. 테서랙트는 다이아가 하나만 들어가지만, 백금과 엔더진주가 들어가는데다 가스를 직접 운송이 불가능하다.
반면 Quantum Entangloporter는 다이아가 최소 4개나 들어가는 대신, 원재료가 쿼리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들로만 이루어져있다. 가스도 직접 운송이 가능하고, 입출력을 임의로 설정 가능한 것도 장점. 몹 농장을 만들기 귀찮고, 쿼리 운용으로 다이아가 딱히 희귀한 광물이 아니라면 Quantum Entangloporter가 태서랙트의 적절한 대용품이 된다.[20]
4.4. Upgrade
기계를 업그레이드하는 부품. Shift+우클릭이나 업그레이드 UI칸에 직접 넣는 것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Speed Upgrade 속도 업그레이드
기계의 가동속도를 올리는 업그레이드. 전력 소모량도 덩달아 늘어나니 아래 '에너지 업그레이드'와 병용해야한다. 기본적으로는 합연산으로 늘어나 최고 8배지만, 전기분해기 등 일부 기계는 곱연산으로 늘어나 256배가 되는 경우도 있다. 한도는 최대 8개. -
Energy Upgrade 에너지 업그레이드
기계의 전력 효율과 저장 용량을 올리는 업그레이드. 속도 업그레이드로 올라간 전력 소모량을 다시 낮춰준다. 속도 업그레이드와 개수가 같으면 전력 소모량은 그대로에 속도만 올라간다. 예외적으로 전기분해기 같이 속도 업그레이드가 곱연산으로 적용되는 기계의 경우, 에너지 업그레이드를 달아도 전력 용량만 올라가고 전력 소모량은 감소하지 않는다. 한도는 최대 8개. -
Filter Upgrade 필터 업그레이드
펌프에 적용하여 물 대신 중수를 끌어올리게 만드는 업그레이드. 그 외의 용도는 없다. 최대 1개. -
Gas Upgrade 가스 업그레이드
가스 종류의 소모 효율을 늘리는 업그레이드. 원심 압축기 같이 가스를 단순 변환하거나, 화학물질 인퓨저 같이 새로운 가스를 만드는 기계에는 사용 못 한다. 최대 8개. -
Muffling Upgrade 방음 업그레이드
기계의 소음을 줄여준다. 최대 4개.
5. 광물 정제
메카니즘을 상징하는 시스템 중 하나로, 메카니즘에서는 다양한 기계들을 거쳐 최대 5배 까지 광물의 양을 불릴 수 있다. 3배 정제 이상이 드문 다른 모드와 차별점을 주는 특징.[21]다만 지원하는 광물이 그렇게 다양하지는 않은 편이다. 예를 들어 써멀의 니켈이나 IC2의 이리듐 같은 광물은 광물 조각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3배 이상 정제를 할 수 없다.[22]
만약 원래는 지원되지 않는 타 모드의 광물들도 정제하고 싶다면
이 애드온을 이용하면 된다. 우라늄, 니켈, 백금에다 드라코닉 에볼루션의 드라코늄, 아스트랄 소서리의 스타메탈 등 별의별 자원들을 지원하니 같이 설치하면 좋다. 이 애드온으로도 지원하지 않는 자원은 마인트위커, 커스텀 아이템 등으로 직접 조합법을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광석 정제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많은 자원이 필요함은 물론이며 기계 배치에도 신경을 곤두세워야 한다.[23] 메카니즘의 광석 정제 시스템은 티어 1부터 티어 4까지 있는데, 티어 2(3배)까지는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지만 그 다음인 3티어부터는 염화수소가, 4티어에는 황산까지 필요해지기 때문이 티어가 올라갈수록 정제과정에 필요한 기계가 급격하게 많아지며[24] 당연히 파이프나 케이블을 배치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정제에 사용되는 가스도 많은데, 산소, 수소, 염소, 염화수소, 이산화황, 삼산화황, 황산등 7가지의 가스가 필요하다. 이 가스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데에도 또 다시 생산라인이 필요하다.
또한, 티어가 올라갈수록 공정이 길어져 정제 속도가 많이 느려지게 된다. 속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다량의 가스와 물, 전기 공급이 필요하다. 특히 5배 정제의 필수 기계인 chemical crystalizer는 공장화가 불가능하다보니 병목현상의 주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결정화 시설을 아예 따로 빼놓은 다음 병렬화를 하든지 해서 속도를 늘려야한다.
이런 문제 때문에 실제로는 3배 정제 라인까지만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버전 10으로 넘어온 후에는 핵분열 원자로 연료 생산을 위해서는 어차피 황산 생산시설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기왕 하는 김에 5배 정제 라인까지 같이 구축하는 유저들도 많아졌다.
본격적으로 5배 정제 시스템을 구축하려 한다면 광물 정제 시설과 가스 생산 및 저장 시설을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권장된다. 일단 생산라인 설계가 한층 편해지고, 관리할때도 어느 라인이 문제인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만들어놓은 가스를 다른 곳에 돌려쓰기도 좋다.
초기단계라 화학물질 분해 챔버를 하나만 쓸 거라면, 기계들의 등급을 고급 단계로 맞추면 효율적이다. 광물 정제 결과물은 어차피 5개까지만 나오기 때문에 슬롯도 5개만 있는 고급 단계의 공장화를 사용하면 된다. 물론 결정화 시설은 5대 이상 있어야 속도가 맞춰진다.
1.18부터는 광물 원석도 이용 가능하도록 정제 시스템이 변경되므로 섬세한 손길 마법부여로 블록을 얻지 않아도 광석 정제가 가능하다. 출처 행운 3 마법부여를 같이 사용할 경우 한 광물에서 최대 4개(구리의 경우 최대 20개)의 원석이 얻어지므로 여기에 5배 정제를 할 경우 최대 20배(구리의 경우 100배)까지 광물의 양을 불릴 수 있게 되었다.
5.1. 정제 과정
1티어 정제(2배)- 광물을 강화 챔버에서 광물 가루 2개로 변환
- 광물 가루를 화로에서 제련
2티어 정제(3배)
- 광물을 정화 챔버에서 산소, 혹은 부싯돌을 넣어 광물 덩어리 3개로 변환
- 광물 덩어리를 분쇄기에서 더러운 광물 가루로 분쇄
- 더러운 광물 가루를 강화 챔버에서 광물 가루로 변환
- 광물 가루를 화로에서 제련
3티어 정제(4배)
- 광물을 화학물질 주입 챔버에서 염화수소를 넣어 광물 조각 4개로 변환
- 광물 조각을 정화 챔버에서 산소, 혹은 부싯돌을 넣어 광물 덩어리로 변환
- 광물 덩어리를 분쇄기에서 더러운 광물 가루로 분쇄
- 더러운 광물 가루를 강화 챔버에서 광물 가루로 변환
- 광물 가루를 화로에서 제련
4티어 정제(5배)
- 광물을 화학물질 분해 챔버에서 황산을 넣어 슬러리[26] 1000mB으로 변환
- 슬러리를 화학물질 세척기에서 물을 넣어 깨끗한 슬러리 1000mB으로 세척
- 깨끗한 슬러리를 화학물질 결정기에서 200mB당 광물 결정 1개로 변환
- 광물 결정을 화학물질 주입 챔버에서 염화수소를 넣어 광물 조각으로 변환
- 광물 조각을 정화 챔버에서 산소, 혹은 부싯돌을 넣어 광물 덩어리로 변환
- 광물 덩어리를 분쇄기에서 더러운 광물 가루로 분쇄
- 더러운 광물 가루를 강화 챔버에서 광물 가루로 변환
- 광물 가루를 화로에서 제련
보면 알겠지만 상위 티어는 하위 티어의 정제 과정을 전부 포함하고 있다. 즉 티어가 올라가도 쓸모없어지는 기계는 없으니 부담없이 기계를 늘려도 된다.
염화 수소 제작[27]
- (소금을 화학물질 산화기에 넣어 기체 소금물로 변환)
- (기체 소금물을 원심 압축기에 넣어 소금물로 변환)
- 소금물을 전기 분해기에 넣어 나트륨[28]과 염소로 변환
- 염소를 화학물질 인퓨저에서 수소를 넣어 염화 수소로 변환
황산 제작
황산은 유황을 먼저 만들어야 하는데, 두 가지 방법이 있다. PRC는 기계가 적은 대신 석탄이 계속 필요하고, 화약 추출법은 복잡한 대신 원재료가 무한이다. PRC는 석탄 공급 라인 문제로 확장이 귀찮다보니 보통 화약추출법을 쓴다.
PRC(Pressurized Reaction Chamber) 사용[29]
* 석탄(목탄으로도 되기도 한다)과 물, 산소를 가압 반응 챔버에 넣어 유황과 수소로 변환
* 석탄(목탄으로도 되기도 한다)과 물, 산소를 가압 반응 챔버에 넣어 유황과 수소로 변환
화약에서 추출
* 조약돌을 분쇄기에 넣어 자갈로 분쇄
* 자갈을 정화 챔버에서 산소나 부싯돌로 자갈을 부싯돌로 변환
* 부싯돌을 분쇄기에 넣어 화약으로 분쇄
* 화약을 화학물질 주입 챔버에서 염화수소를 넣어 유황으로 변환
* 조약돌을 분쇄기에 넣어 자갈로 분쇄
* 자갈을 정화 챔버에서 산소나 부싯돌로 자갈을 부싯돌로 변환
* 부싯돌을 분쇄기에 넣어 화약으로 분쇄
* 화약을 화학물질 주입 챔버에서 염화수소를 넣어 유황으로 변환
유황을 구했다면 아래 과정으로 넘어간다.
- 유황을 화학물질 산화기에 넣어 이산화황으로 변환
- 이산화황을 화학물질 인퓨저에서 산소를 넣어 삼산화황으로 변환
- 삼산화황을 화학물질 인퓨저에서 수증기[30]를 넣어 황산으로 변환
6. 장비
6.1. Jet Pack
가슴 부위에 장착 가능한 이 제트팩은 플레이어가 하늘을 날 수 있게 해준다.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며 24,000mb의 용량을 탑재할 수 있다.
- 연료 충전 : 제트팩은 수소를 배출하는 슬롯 어디든 간에 충전할 수 있다. 예시를 들자면,
-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로 나누는 Electrolytic Separator의 output 슬롯에 수소가 차 있다면 그 슬롯에 제트팩을 넣어서 충전 가능함.
- 수소 기체로 찬 Gas Tank의 output 슬롯에 넣어서 충전 가능.
-
작동 모드 : 'Armor Mode Switch' 키를 눌러 여러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작동 시킨다. 기본 키는 G이며, 키 컨트롤은 Esc 메뉴에서 설정 가능하다.
- Regular : 스페이스 키를 눌러 하늘 위로 떠오르며, 키를 떼면 아래로 떨어진다. 천천히 떨어지지 않으면 낙하 데미지를 받기 때문에 컨트롤에 유의하자.
- Hover : 지속적으로 공중에 떠 있을 수 있으며, 스페이스 키로 고도를 올리거나 쉬프트 키로 고도를 낮출 수 있다. 지속적으로 수소 연료를 소모하지만 Regular 모드와 비교하면 낮은 수치이다.
- Disable : 말 그대로 제트팩을 끈다.
제트팩의 연료 잔여량은 모드 작동 시 화면 아래 왼쪽 구석에 확인 할 수 있다.
6.2. Armored Jet Pack
제트팩에 장갑판을 붙여 방어력을 부여한 장비다. 다이아몬드 흉갑보다 약간 더 높은 방어력을 제공하니 자원이 된다면 제트팩을 그냥 쓰는 것보다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이 좋다.6.3. Scuba Tank
잠수용 산소탱크. 아래 가스마스크와 함께 쓰면 수중에서 산소를 공급한다.6.4. Gas Mask
스쿠버 탱크와 같이 사용해 수중에서 산소를 공급하는 도구.6.5. Free Runner
발에 장착하며 1블럭 높이를 계단처럼 부드럽게 올라갈 수 있도록 해준다. 계단식으로 광산을 만들었다면 계단을 설치하는 등의 귀찮은 과정 없이 간단하게 오르내릴 수 있다.또한 낙하대미지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으므로 제트팩과 같이 사용하면 안성맞춤이다.
6.6. Mekasuit
V10 버전에 추가된 방어구 세트. 방어구 4파츠+멀티툴로 구성되는 점, 필요에 따라 각종 기능 모듈을 추가해서 사용하는 형태인 점, 모듈 탈착을 위한 전용 장치의 존재[31], 슈트 디자인[32] 등 많은 면에서 Modular Powersuits 와 유사하다.7. 도구
7.1. Flame Thrower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화염 방사기이다. 짧은 거리에서 거대한 몹들에게 매우 효과적이다.
3가지 모드가 존재한다. 쉬프트 + M키를 눌러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 Combat : 기본 모드. 몹들에게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지면 위에 불을 붙일 수 있다. 불 위에 있는 모든 아이템과 블럭을 파괴합니다.
- Heat : 기본 모드와 비슷하나, 블럭/아이템을 향해 발사하면 화로 레시피와 같이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광석을 향해 불을 뿜으면 철 주괴로 변하며, 모래를 유리블럭으로 바꿀 수 있다.
- Inferno : 기본 모드와 비슷하나, 크리퍼와 가스트, TNT 등의 폭발 데미지를 줄 수 있는 것들을 막아 줄 수 있으며, 당연하지만 파괴도 가능하다. 가까운 블럭에 불이 붙을 수 있다.
팁을 주자면,
- 사정거리는 16블럭이다.
- 느리거나, 근접 공격을 하거나, 뭉쳐 다니는 몹들에게 효율이 좋다.
- 발사 시, 화염이 느리게 움직이므로 몹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움직이면서 불을 지지면 더욱 효과적으로 적들을 통구이로 만들 수 있다.
- 발사하면서 앞으로 갈 때 자신에게 불이 붙을 것 같지만, 자기가 쏜 불꽃에 자신에겐 절대 데미지가 가해지지 않으니 걱정하지 말고 과감하게 불태워버리자.
7.2. Electronic Bow
- 내구도 대신에 에너지를 소모하는 활로, 기본 모드와 파이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마인크래프트의 기본 활의 사거리와 똑같지만, 파이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물론 파이어 모드를 사용하면 에너지 소모가 크다.
7.3. Atomic Disassembler
- 이 모드에서 추가하는 다용도 도구[33]이며, 모드를 설정하여 채굴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기본(20)과 꺼짐(0), 느림(8), vein[34](20), 그리고 빠름(128)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 채굴 속도는 다이아몬드 기본 곡괭이의 채굴 속도보다 약간 빠르다. 근데 빠름 모드의 경우, 채굴 속도가 크리에이티브에서의 채굴 속도보다 훨씬 빠르다. 물론 이 빠른 속도만큼 에너지를 빨리 소모하니 주의하기 바란다.
디이아는 3개만 들어가지만[35] 제작 방법이 좀 까다롭다. 가운데의 Atomic 합금을 만들려면, Metallurgic Infuser라는 기계에 일단 레드스톤 가루와 철 주괴 1개와 혼합하여 강화 합금을 만든 다음, 다이아몬드 가루와 강화 합금을 Metallurgic Infuser에서 또 혼합하여 강화된 합금(위의 강화 합금과는 다르다는 점 유의하라)을 얻는다. 그리고, 압축된 옵시디언이나 옵시디언 가루와 강화된 합금을 위의 기계에 또 넣어서 혼합한 뒤, 비로소 Atomic 합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최종적으로 들어가는 다이아 수는 Atomic 합금에 2개, 옵시디언 주괴에 1개로 다이아 곡괭이와 같다. 성능은 이쪽이 훨씬 우월하니 가능하다면 Atomic Disassembler를 만들어 쓰자.
7.4. Configurator
-
메카니즘 모드의 기계와 파이프 등의 입출력을 설정할 수 있는 도구이다.
4가지의 설정 모드를 변경 할 수 있다.
- Configure : 기계의 면을 우클릭으로 눌러 각 면의 색깔을 보여 주며, 이를 통해 입출력을 확인할 수 있다. Shift + 우클릭으로 면 색깔(입출력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 아이템 : 어두운 적색, 어두운 청색, 보라색 (Metallurgic Infuser only), 녹색, 또는 회색
- 액체 : 노란색 또는 회색 (Pressurized Reaction Chamber only)
- 가스 : 어두운 적색, 어두운 청색, 또는 회색
- 에너지 : 녹색 또는 회색
- Normal
- Pull :기계로부터 아이템이나 액체를 뺴내옴.
- Push : 아이템 등을 기계 등에 넣음.
- None : 연결을 끊음.
추가적으로, 케이블, 파이프, 운송통로, 또는 튜브와 기계 인벤토리 사이의 연결 조정과 레드스톤 신호 조절이 가능하다. 이 또한 우클릭으로 확인 가능하며 레드스톤 신호를 받거나 안 받게 할 수 있다. Shift + 우클릭으로 연결을 끊거나 입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 Empty
- Rotate : 기계 면을 바라보고 우클릭을 하면 그 면을 '앞'으로 설정함. 그 반대로 쉬프트 + 우클릭을 하면 그 면을 '뒤'로 설정할 수 있음.
- Wrench : 우클릭으로 기계를 회전 시킴. 쉬프트 + 우클릭으로 지면에 놓인 기계를 즉시 아이템화 시킴.(파이프도 마찬가지)
7.5. Cardboard Box
스포너, 일반 상자 등 그냥 부수면 귀찮아지는 블럭을 포장해서 간단하게 옮길 수 있게 만드는 아이템이다. iron chest의 상자들도 포장이 가능하다.7.6. Dictionary
7.7. Energy Tablet
휴대용 에너지 저장기이지만, 저장되는 양이 적어 보통 조합용 재료로 더 많이 쓰인다. 다양한 조합법에 쓰이는데 스택이 안되므로 조합이 귀찮아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인덕션 셀을 만들 때 그런데, AE2의 자동조합을 이용하면 매우 간편해진다.7.8. Portable Teleporter
휴대용 텔레포터. 텔레포터 블럭에다 주파수를 맞춰두면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즉각 텔레포트할 수 있다. 주 사용처는 집에 텔레포터를 두고 귀환석으로 쓰거나 여러 기지를 오갈때 사용한다.7.9. Charge Pad
메카니즘의 충전 패드. 위에 올라가 있으면 인벤토리에서 충전이 가능한 아이템을 자동으로 충전해준다. Robit이 사용할 수도 있다.7.10. Electric Pump
평범한 펌프. 펌프 밑의 액체를 퍼나른다. 기본 기계는 상당히 느리기 때문에 업그레이드를 붙이게 되는데, 다른 기계도 그렇지만 이 기계도 속도 업그레이드를 많이 붙이면 전력 소모가 무시 못 할 정도로 늘어나게 된다.중수는 오직 이 펌프를 통해서만 추출할 수 있다.
7.11. Robit
Robit은 Mekanism에서 추가하는 기계 동료이다.물론 그만큼 제조 비용이 비싼 편이다. Atomic Alloy와 Electric Chest, Refined Obsidian Ingot 2개, Energy Tablet 2개, 강철 주괴 1개가 요구된다.
Robit을 사용하는 방법은 우선 Chargepad를 놓은 뒤, 로빗을 차지패드에 우클릭하면 스폰된다.[36] 물론 차지패드에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것 잊지 말자. Configurator로 쉬프트 우클릭하면 다시 아이템화된다.
에너지가 떨어지거나 체력이 떨어졌다면 자동으로 차지패드에 텔레포트를 하기 때문에 잃어버릴 걱정은 안해도 된다!
로빗을 우클릭하면 UI가 나타나는데, 여기서 이름을 짓거나 여러 기능을 켰다 끌 수 있다. "Follow"를 키면 플레이어를 계속해서 따라오게 할 수 있고, "Pick Up Item Drop"을 키면 근처 아이템들을 줍는다.
플레이어를 잘 훈련된 셰퍼드 마냥 굉장히 잘 따라오고, 실제로도 길들여진 늑대의 행동패턴과 유사하다.
참고로 멀티서버에서 사용할 시, 한번 피격되면 그 자리에서 그대로 멈춰 따라오지도, 텔레포트 하지도 않는 버그가 있다. 아이템화 시키고 다시 놓으면 다시 잘 돌아다닌다. 기지 내부라면 그나마 낫지만 탐험할 땐 한번 잃어버리면 다시 찾기 어려우니 차지패드로 텔레포트 시켜놓자.
8. Chamber/Factory
메카니즘에서는 기본 기계들은 업그레이드로 공장을 만들 수 있다. 공장으로 전환하게 되면 Basic(등급) Infusing(기계 종류) Factory등의 이름을 갖게 된다. 직접 공장을 조합하거나 Tier Installer를 통해 기본 기계나 공장을 다음 등급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이어야 한다.Basic 업그레이드에서는 3개로 동시 작업 갯수가 늘어나며, Advanced 업그레이드에서 5개, Elite 업그레이드에서 7개, Ultimate 업그레이드에서 9개로 늘어난다. 전력은 가동 중인 라인 수 만큼 든다. 엘리트 등급 화로에서 라인을 2개만 사용한다면 소모되는 전력은 라인 2개 분량이다.
9. Transmitters (케이블)
메카니즘 모드에서 추가되는 케이블, 파이프이다. 'Configurator'를 통해 파이프의 입출력, 연결을 설정한다. 따로 서보를 설치할 필요 없이 트랜스미터에 컨피규레이터로 설정하는 것만으로도 입출력 설정이 가능하다보니 매우 간편하다.
트랜스미터는 아래와 같은 공통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 Logistical Transporters를 제외한 모든 트랜스미터는 레드스톤 신호를 받을 때 작동하지 않는다.
- 트랜스미터는 Forge Multipart와 완벽하게 호환된다.
- Logistical Transporters를 제외한 모든 트랜스미터는 네트워크에 있는 트랜스미터의 개수에 따라 독립적인 버퍼를 가진다. 무슨 말이냐 하면, 트랜스미터 자체가 배터리나 탱크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개의 Universal Cables가 서로 붙어 있다면, 케이블 자체에서 20 KJ의 전력을 저장 가능하다.
- Logistical Transporters를 제외한 모든 트랜스미터는 최대 수송량이 전체 버퍼 용량에 비례한다. 즉, 32kRF/t을 지닌 엘리트 등급 전선이 10개 붙어있다면 최대 수송량은 320kRF/t이 된다.
- Logistical Transporters를 제외한 모든 트랜스미터는 수송속도가 무한, 즉 순간이동한다.
트랜스미터는 전기,아이템,액체,가스,열 파이프의 5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9.1. Universal Cable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는 케이블. 타 모드의 전력 전송 케이블에 비해 전송량과 속도가 압도적으로 높다! 메카니즘의 발전기들이 워낙에 어마어마한 출력을 자랑하는 바람에 케이블 전송량도 높다. 물론 공짜는 아니고, 얼티메이트 등급은 전선 8개당 다이아 3개씩 들어간다.[37]
게다가 RF,EU,J를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기능도 있는 사기적인 케이블이다.[38] 또한, 전압의 차이로 인해 산업 기계가 터지는 것을 방지해준다.[39]
메카니즘 파이프의 특징으로, 전체 파이프 버퍼 용량이 곧 최대 수송량이 된다. 그래서 전선만 계속 붙인다면 사실상 수송량이 무한이다.
9.2. Pressurized Tubes (가스)
가스 종류를 이송하는 파이프. 메카니즘의 가스는 다른 유체와는 아예 별도의 시스템이라 반드시 압력 튜브로 이송해야한다. 참고로 Steam(증기)는 가스가 아닌 유체 취급으로 기계적 파이프로 이송해야한다.
9.3. Mechanical Pipes (액체)
액체류를 이송하는 파이프. 다른 모드의 유체 수송관과 비슷하나, 최대 수송량(mB/t)의 산정 방식이 조금 다르다.[40] 타 모드들은 보통 파이프 자체에서 수송량 제한이 걸려있지만, 메카니즘은 전체 파이프 용량이 수송량이 된다. 그래서 수송량을 늘리려면 파이프를 덕지덕지 붙여야한다.
9.4. Logistical Transporters (아이템)
아이템을 운송하는 트랜스미터. 써멀의 아이템덕트와 유사하다. 아이템이 엔티티화되어 직접 이동하는 방식이라 랙의 주범이 되니 유의해서 사용해야한다.
써멀의 덕트와 다른 점은, 따로 서보 필요없이 입출력을 컨피규레이터로 설정 가능하므로 간편하다는 점이다. 또한 메카니즘 기계가 써멀 덕트에 auto eject를 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논리 운송 파이프를 사용하면 해결된다.
참고로 유일하게 트랜스미터 간 연결을 끊을 수 있는 트랜스미터다. 컨피규레이터로 쉬프트+우클릭을 하면 색이 바뀌는데, 무색을 제외한 다른 색의 트랜스미터와는 연결되지 않는다.
9.5. Thermodynamic Conductor (열)
메카니즘의 열을 운반하는 케이블이다. 다른 모드의 열을 운반할 수는 없으며, 열을 사용하는 기계에 주로 사용된다. 다른 파이프들에 비해 용량이 부족한 편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의 파이프를 달거나 많이 달아둬야 충분한 열을 운송할 수 있다.10. Storage (저장 장치)
10.1. Bins
아이템 저장 장치.10.2. Energy Cubes
평범한 에너지 큐브.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산업이나 기타 다른 모드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편이다.참고로 입출력 설정은 회수 후 재설치하면 초기화된다. 이 점 유의.
10.3. Gas Tanks
평범한 가스 탱크. Basic은 가스를 64000 가량 저장 할 수 있다. 수소 파이프에 연결해두면 좋은 제트팩 충전 시설이 된다.10.4. Fluid Tanks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 대체제가 없는 가스탱크와는 달리 액체를 저장하는 블럭은 차고 넘치니 잘 사용되지 않는다.10.5. Dynamic Tanks (다이나믹 탱크)
Dynamic Glass, Dynamic Valve, 그리고 Dynamic Tank를 이용하여, 최소 3×3×3부터 최대 18×18×18까지 건설할 수 있는 멀티블럭 탱크이다. 육면체 모양이라면 어떻게 만들든 상관없다. 설정에서 바꿀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탱크 부피 1블록마다 350,000mB의 액체 용량, 16,000,000mB의 기체 용량을 가진다. 예를 들어, 최소 사이즈인 3×3×3의 탱크는 27개의 블럭을 가지고 있으므로, 총 9,450,000mB의 액체 용량을 가지게 된다. 18칸짜리 최대용량 탱크는 약 20억mB, 즉 2백만 버킷쯤 되는 크고 아름다운 용량을 자랑한다. 기체로 저장시 무려 9천만 버킷이다! 대신 탱크 건물 하나에 하나의 유체밖에 보관이 안되는 점이 흠. 당연하지만 핵폐기물은 보관할 수 없다.
10.6. Induction Matrix
대용량 전력 저장용 멀티블럭. 케이싱으로 틀을 만들고 내부를 인덕션 셀, 프로바이더 등으로 채우면 그에 맞춰 저장용량과 수송량이 정해지는 구조다. 수용량은 기본적으로 J로 표시되지만 RF나 기타 다른 단위로 바꿀 수 있다.내부에 무조건 하나 이상의 프로바이더와 셀이 들어가야하므로 최소 크기는 3×3×4가 된다.
- Induction Casing 인덕션 케이싱
- Induction Port 인덕션 포트
- Induction Cell 인덕션 셀
- Induction Provider 인덕션 프로바이더
11. Components (구성 요소)
단독으로는 쓸모없고, 다른 아이템의 제작 재료로 들어가는 아이템들. HDPE가 악명높다.- Solar Panel
- Steel Casing
-
HDPE Pellet
황산과 함께 유저를 엿먹이는 주범. 물, 수소, 바이오 연료로 에틸렌과 substrate를 만들고, 이것들을 다시 산소와 합쳐서 HDPE 펠릿으로 만든다. PRC를 2대나 사용하는데 많이 필요한 재료도 아니기에 투자 대비 효용이 별로 없다. - HDPE Sheet
- HDPE Rod[44]
- Plastic
11.1. Alloys (합금)
메카니즘의 여러가지 기계들을 만들기 위한 합금. 총 3가지 종류가 있다.-
Infused Alloy
철괴에 레드스톤을 Infusing해서 만드는 합금. 기본 기계, 업그레이드 제작 등에 사용된다. -
Reinforced Alloy
Infused Alloy에 다이아몬드 가루를 Infusing해서 만드는 합금. 엘리트 등급의 기계와 등급 설치기 제작 등에 사용된다. -
Atomic Alloy
우선 흑요석 가루에 다이아몬드 가루를 Infusing하여 Refined Obsidian Dust로 만들고, 이를 다시 Reinforced Alloy에 Infusing하면 만들어진다. 얼티메이트 등급 아이템 제작에 사용된다.
공통적으로 10mB만큼의 Infusing용 재료를 소모하며, Enrichment Chamber에 넣어 농축하면 재료 하나당 80mB으로 늘어난다.
최신버전에선 등급이 높아질수록 사용되는 인퓨징 재료가 많아지는 너프가 가해졌다. 다만 농축의 존재로 인해 Refined obsidian 같은 재료가 지나치게 많은 인퓨징 횟수[45]를 가지던 문제가 해결되어 적절한 너프라는 의견이 많다.
합금들은 Transmitter에 우클릭하면 자동으로 그 등급으로 업그레이드 시켜주는 기능이 있다. 한 네트워크에서 정확히 8개씩 올려주니 조합이 귀찮다면 사용해보는 것도 나쁘진 않다. 전부 다 업그레이드 되어도 합금은 계속 사용되니 잘 확인하면서 업그레이드 해야한다.
11.2. Control Circuits (회로)
메카니즘의 여러 기계들을 만들기 위한 회로. 합금과 다르게 4단계가 있는데, 기본 회로와 고급 회로는 ic2의 회로를 대체할 수 있다.[46]11.3. Cores
12. 시설
12.1. Thermal Evaporation Plant
Thermal Evaporation Block, Thermal Evaporation Controller, Thermal Evaporation Valve로 구성된 최소 4x4x3, 최대 4x4x18 크기의 멀티블럭 시설이다. 열을 받아 내부의 액체를 증발 시켜 다른 액체를 만든다.별도의 전력은 들지 않지만 내부 온도에 따라 생산속도가 크게 달라지며, 더운 기후의 바이옴에 Thermal Evaporation Plant를 짓거나, Thermal Evaporation Valve와 Resistive heater같은 히터를 Thermodynamic conductor로 연결하거나, 꼭대기 네 모서리 블럭을 고급 태양열 전지판으로 바꾸어 설치하여 내부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바이옴과 태양열 전지판은 아무래도 귀찮다보니 전기만 넘친다면 히터로 올린다. 최대온도 3.3k에서 소금물 생산량 1080mB/t, 리튬 생산량 1080mB/t을 만족한다.[47]
염산 제조를 위해서 소규모로 운영할 계획이라면 전기히터 대신 석탄이나 나무를 태우는 Fuelwood 히터를 사용하면 좋다. 히터 하나만 있어도 속도가 꽤 나와주는데다 전력도 들지 않는다.
이 시설에 물을 투입해 소금물[48]을 얻을 수 있으며, 소금물을 다시한번 투입하면 액체 리튬을 얻을 수 있다. 액체 리튬은 핵융합로의 연료인 삼중수소 제작, Induction Matrix의 재료인 리튬가루 제작[49]에 사용되니 필수적으로 지어야한다.
참고로 열만 공급하면 실내에서도 작동한다. 태양열 발전기를 다시 떼내야 하겠지만.
12.2. Thermoelectric Boiler
열을 받아 물을 증기로 변환하는 멀티블록 보일러. 고체연료 가열기(Fuelwood Heater)를 사용해 열을 공급받거나 소듐냉각식 핵분열 원자로가 생산하는 가열된 소듐을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열된 소듐을 사용할 경우 이걸 다시 일반 소듐으로 바꿔주며, 이 일반 소듐을 원자로로 다시 보내서 순환시키는 형태로 운용하게 된다.만약 핵분열로가 없는 버전이라면 굳이 만들진 않는다. 아래에 적힌 용암발전기로의 전용도 증기생산량이 너무 적으니 그냥 짓지 않고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고체연료 가열기에 용암 양동이를 넣으면 최고의 효율을 내므로 고효율 용암 발전기로 사용 가능하다. 다만 반드시 양동이 형태로 넣어야 하는데다 메카니즘 기본 파이프로는 연결이 되지 않으니 다른 모드의 파이프와 기계를 이용해 넣어야 한다.
12.3. Industrial Turbine
증기를 받아 전기로 전환하는 멀티블록 터빈. 위의 보일러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핵분열 원자로나 핵융합로를 연결 할 수도 있다. 최소 크기인 5x5x9의 최대 발전량이 Big Reactor모드의 최고 효율 발전기의 최대 발전량과 같다. 다만 그만큼 증기를 엄청나게 소모하므로, 정말 최대 효율을 내고 싶다면 핵융합로를 이용해 증기를 공급해줘야 한다. 너비 5의 터빈이 무려 최대 512000mB/t을 요구하므로 어지간한 증기로는 한계도 못 간다.발전량(메카니즘 J)은 증기유입량(mB/t) × 터빈 블레이드 개수 × 25/7이다. 최소 사이즈 터빈이어도 블레이드 개수는 최소 8개이다보니 출력이 잘 나온다.
보통 Big reactor의 발전기와 같이 사용할텐데, 리액터 스팀 출력과 터빈 스팀 입력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면 순식간에 냉각수가 상실되고 터빈은 돌지 않으면서 리액터 온도만 미친듯이 올라가는 막장 상황이 생기니 반드시 해결해야한다. 일반적으로는 터빈을 이루는 블럭 중 하나를 한번 부수고 다시 설치하면 해결된다.
참고로 멀티블럭 구성에 Electromagnetic Coil이 들어가는데, 세로로는 이어지지 않으니 유의해야한다.
13. 아이템 필터 시스템
메카니즘의 아이템 필터 시스템은 매우 독특하다. 다른 모드들은 대부분 시작지점이나 도착점에 필터 설정을 통해 아이템 필터링을 하지만, 메카니즘은 아이템 자체에 색을 부여하여 필터링한다.예를 들어 조약돌을 '짙은 파랑색'으로 설정했다면, 그 조약돌은 '짙은 파랑색' 파이프를 우선적으로 통과하려 한다. 또한, 색이 부여된 파이프는 동일한 색의 아이템이 아니라면 절대 통과시키지 않는다. 색이 지정되지 않은 아이템도 막힌다.
특정 색깔의 정육면체 격자가 아이템에 씌여지는데, 이것으로 어떤 아이템에 어떤 색이 부여되었는지 알 수 있다.
입출력을 설정 가능한 모든 기계는 기본적으로 산출물에 색깔을 부여하는 기능이 있고, 아래의 Logical Sorter를 이용하면 임의의 아이템에 색 부여가 가능하다.
13.1. Logical Sorter
인벤토리 옆에 붙이면 설정대로 아이템에 색을 부여하여 인접한 파이프에 출력하는 기계. 설정 방식은 디지털 마이너와 동일하나, 한번에 출력할 아이템 개수를 설정 가능하다.여담으로, 작동 중에는 찰칵찰칵 하는 사진기 같은 소리가 나온다. 소리 한 번 당 아이템 출력 한 번으로 받아들이면 된다.
14. 기타
14.1. Balloon
헬륨 풍선. 어딘가에 막히지 않으면 하늘로 계속 떠오르다가 터진다. 엔티티로 취급되는지 밀 수 있으며, 클릭해서 터트릴 수도 있다.14.2. Bio Fuel
농작물을 분쇄기에 넣으면 나오는 바이오 연료. 바이오 연료 발전기에 넣거나, 플라스틱의 원료가 되는 기질을 생산하는 데 사용한다.14.3. Obsidian TNT
일반 TNT보다 넓은 반경을 가지고, 옵시디언을 부술 수 있다.14.4. Teleporter Portal
두 지점을 잇는 순간이동용 멀티블럭. 우선 텔레포터를 놓고, 텔레포터 프레임으로 가운데 2칸이 비어있는 3×4의 직사각형을 만들면 완성된다. 주파수를 일치시키면 가운데 비어있던 공간에 보라색 포탈이 생기며 서로 이어진다.Portable Teleporter를 사용해 기지 귀환 용도로만 쓴다면 텔레포터 프레임 없이 텔레포터만 있어도 된다.
15. 둘러보기
[목록]
1.7.10, 1.10.2, 1.11.2, 1.12, 1.12.1, 1.12.2, 1.15.1, 1.15.2, 1.16.1, 1.16.3, 1.16.4, 1.16.5, 1.18.2, 1.19. 1.19.1, 1.19.2, 1.20.1
[2]
10J=4RF=1EU
[3]
EU는 1.15.2부터 임시로 지원이 제거되었다.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의 업데이트가 오랫도록 중단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2022년 1월부터 IC2의 업데이트가 재개되었지만 4월 현재 한창 개발중이므로 아직 지원이 어려운 상황이다. 참고로 이름만 동일하고 완전히 별개의 시스템인
GTCE의 EU는 지원하지 않는다.
[4]
그러나 빌드크래프트가 RF로 통합하면서 지원이 제거되었고, 이후 다시 MJ를 재추가하였지만 API가 불안정한데다가, 1.15부터는 패브릭 모드로 전환되어 지원을 끊게 되었다.
[5]
멀티블록 형식은 빅 리액터를, 핵연료 정제와 폐기물 시스템은 리액터크래프트를 닮았다.
[6]
입력/출력 버스, 자동 조합 시스템 등 AE2를 상당히 참고로 한 부분이 보인다. 다만 자동조합의 편의성은 AE보다 한참 밀리는 반면 무선 네트워크라 시스템 구축하기는 훨씬 편한 점 등 차이점도 상당하다.
[7]
기계 업그레이드 조합에 기계 대신 나무판자를 넣으면 등급 설치기가 된다.
[8]
반대로 가스탱크같은 저장고 블럭은 제어 회로 시리즈를 사용하지 않아 직접 조합으로 업그레이드 하는게 더 싸게 먹힌다.
[9]
다이아나 레드스톤 같은 부재료는 원래 1:1로 들어가지만, 강화 챔버에서 압축된 재료로 만들면 8배 더 많이 사용가능하다.
[10]
기계 이름의 뉘앙스도 다르다. 예를 들어 써멀의 pulverizer는 우리가 아는 '분쇄하다'라는 뜻이지만, Crusher는 '으깨다'라는 뉘앙스가 강하다. 비유하자면 믹서와 절구의 차이 정도.
[11]
그래서 분쇄기라는 이름만 보고 다른 모드를 하듯이 처음부터 만들면 큰일난다.
[12]
1.16.5버전을 기준으론 발전기 본체와 발전기에 연결된 전선까지 총 7면을 쓸 수 있다. 발전기 본체를 시프트+우클릭 하면 용암이 반블럭이나 계단처럼 설치된다.
[13]
발전기를 5방향 모두 용암으로 덮으면 25 FE/t의 출력이 나온다. 상당히 적지만, 무한발전이므로 효율이 은근히 잘 나온다.
[14]
현실의 풍력 발전도 소음이 커 소음공해가 문제 중 하나다.
[15]
700J/t으로 rf 환산시 280RF/t이다. 써멀 다이나모에 2단계 업그레이드를 박으면 320rf/t이 나오는 것을 봤을때 적지않은 발전량이다.
[16]
방사능을 가지고 있는 폴로늄과 플루토늄 역시 이를 운송하고 있는 가스관을 깨면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17]
V10.1 버전에서는 초당 1mB로 버프되었다.
[18]
참고로 '무적 핵폐기물' 시스템은 리액터크래프트에서 먼저 제안된 시스템이다. 나쁜 것만 배워 온다.
[19]
폴로늄을
반물질(antimatter)로 변환시키는 멀티블럭 기계.
[20]
1.7.10보다 상위의 버전에서는 태서랙트가 없기 때문에 이쪽을 쓴다.
[21]
로터리크래프트의 익스트랙터도 5배 이상이 가능한데, 각 단계마다 확률적으로 증가하는 방식이고 단일 기계다.
[22]
철,구리,주석,금,은,오스뮴, 우라늄(버전 10 이상 한정) 등이 메카니즘 기계로 정제가 가능하다. 보면 알겠지만, 전부 바닐라 광물 혹은 메카니즘에서 자체적으로 추가하는 광물이다. 다행히 광물사전 덕분에 구리, 주석은 다른 모드의 것이라도 정제 가능하다.
[23]
5배 정제의 경우에는 기체, 액체, 고체를 넘나드는 공정 때문에 세심하게 설계하지 않으면 멈추기 쉽다.
[24]
사실 광물 정제에 직접 관여하는 기계만 보면 그렇게 많이 늘어나지는 않지만, 황산과 염산의 복잡한 생산 라인까지 필요해서 실제로는 상당히 늘어난다.
[25]
현실의 공장처럼 만드는 데에 재미를 느끼는 유저들은 제작 공정을 체계적으로 분리한 다음 건물부터 올리고 본다. 숙련자라면 거의 공단 수준.
[26]
의외로 가스로 분류된다.
[27]
괄호 안의 과정은 열 증발 시설이 있다면 생략 가능하다.
[28]
핵분열 원자로가 없는 버전이라면 용도 자체가 없으니 그냥 덤핑해버려도 상관없다.
[29]
특정 버전에선 조합법이 없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 필수.
[30]
원심 압축기에서 물을 기체로 바꾸면 제작 가능. 액체 취급인 일반 증기와는 다르다.
[31]
심지어 이름도 비슷하다.
[32]
디자인은 정확히 말하면 파워슈트와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의 퀀텀슈트를 섞어놓은 형태에 가깝다.
[33]
일단 곡괭이로 분류되지만, 도끼나 삽, 검(10하트)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포레스트리가 있다면 벌집 채취도 가능하다.
[34]
광맥 전체를 동시에 채굴하는 모드
[35]
압축된 재료로 사용하면 다이아 하나로도 충분하다.
[36]
로빗을 놓은 차지패드는 플레이어가 올라가도 인벤 아이템을 충전시키지 않는다.
[37]
강화 챔버에서 압축된 재료로 만들면 8배로 사용가능하니 다이아 하나로 16개를 제작 가능하다.
[38]
단, 1.7.10 버전 산업모드의 경우 유니버설 케이블로 인풋은 되지만 아웃풋이 안되기에 산업모드 자체 전선으로 전력을 빼서 메카니즘 저장장치를 거쳐야한다.
[39]
ic2의 물질복제기와도 연결이 되는데, 문제는 전력을 주는대로 다 받아먹어서 몇 초만에 억 단위의 RF가 사라져버리니 주의.
[40]
참고로 Pump rate는 Pull 모드로 설정된 파이프가 액체를 빼오는 양을 말하는 것으로, 파이프의 수송량과는 관련이 없다.
[41]
유리에 강철 4개를 둘러 조합하는 블럭으로 기본적으로 실크터치 없이도 회수가 된다.
[42]
즉 모서리와 꼭짓점에는 배치할 수 없다.
[43]
환산치 4억RF, 1억EU. 단, 10J=4RF=1EU 사용.
[44]
1.7 버전에서는 오역으로 HDPE 길로 되어있다.
[45]
다이아몬드 하나를 농축 후 인퓨징하여 Refined obsidian 8개를 만들고, 이걸 다시 농축하면 아토믹 합금 64개를 만들 수 있다.
[46]
ICBM 모드의 회로도 대체 가능하다.
[47]
모서리에 설치한 고급 태양열 전지판에서 열을 받아오는것과 전기생산이 동시에 되다보니 그 전기를 전기히터에 집어넣어서 더 뜨끈하게 가열할수도 있다.
[48]
염산을 만드는데에 쓰인다.
[49]
액체 리튬을 회전식 응축기(Rotary Condensentrator)에서 돌려서 리튬 가스로 만들고, 리튬가스를 화학 결정기(chemical crystalizer)에 넣어서 리튬가루를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