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30 00:15:03

MPI 엔진

🚗 자동차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차급(세그먼트)
경형(A) · 소형(B) · 준중형(C) · 중형(D) · 준대형(E) · 대형(F)
마이크로 · SUV(J) · MPV(M) · 스포츠 쿠페(S)
바디 스타일
<colbgcolor=#eee,#000> 원박스 승합차 · LCV · 경상용차
투박스 해치백 · 왜건(스테이션 왜건 · 에스테이트 · 슈팅 브레이크)
쓰리박스 세단 · 쿠페 · 노치백 · 패스트백
컨버터블 컨버터블 · 로드스터 · 타르가 · T-탑 · 브로엄
이륜자동차 오토바이( 틀:오토바이) · 사이드카 · ATV
기타 코치 빌드 · 리무진 · 후드 오너먼트 · 패널 밴 · 크로스오버 · 삼륜차
용도
승용 비즈니스 세단 · 쇼퍼드리븐 자동차 · 퍼스널 럭셔리 카 · 패밀리카 · 택시
스포츠카 그랜드 투어러 · 포니카 · 머슬카 · 스포츠 세단 · 핫해치 · 슈퍼카 · 하이퍼카
RV SUV( 오프로더 · CUV · 쿠페형 SUV) · MPV( LAV) · 픽업트럭 · 캠핑카
상용차 승합차 · LCV · 경상용차 · 버스 · 트럭 · 트레일러
군용차 소형전술차량 · 기갑차량( 장갑차 · 전차 · 자주포)
특수목적 긴급자동차( 소방차 · 경찰차 · 구급차) · 농기계 · 건설기계 · 구난차 · 방탄차 · 공항 작업차량 · 항구 작업차량 · 경호차 · 방송차 · 취재차 · 현금수송차 · 장의차 · 우편차 · 운전교육 및 시험용 차량 · 헌혈차
기타 자가용 · 올드카(클래식카) · 레이스 카 · 콘셉트 카 · 뚝뚝 · 오토릭샤 · 고카트 · 핫로드 · 로우라이더 · 수륙양용차 · 커넥티드 카 · 자율주행차 · PRT · PAV
추진 방식
외연기관 증기 자동차
내연기관 가솔린( 자연흡기 · TJI · 린번 · GDI · MPI · TSI · HCCI · LPG) · 디젤( CRDi · VGT) · 바이퓨얼 · 수소내연기관 · 목탄자동차
에너지 저장 체계( 연료) 화석 연료 · 이차 전지 · 바이오 디젤 · CNG · 경유 · 에탄올 · 수소( 연료전지)
전기 전기자동차 · 수소자동차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 자동차(풀 하이브리드 · 마일드 하이브리드)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구동 방식
구동 바퀴 전륜구동 · 후륜구동 · 2륜구동 · 4WD(4륜구동)
레이아웃(엔진/구동) FF · FR · RMR · RR
엔진 구성 수평대향 엔진(수평대향 · 플랫(박서)) · 왕복 · 단기통 · 직렬 · V형 · 반켈 }}}}}}}}}


파일:mpi-fuel-injection.jpg

1. 개요2. 상세3. 장점과 단점
3.1. 장점3.2. 단점

1. 개요

Multi-Point Injection
가솔린(휘발유)를 열린 상태의 흡기 밸브 뒤에 분사해 공기와 함께 실린더로 넣어 연소시켜 구동하는 내연기관.

2. 상세

GDI 엔진과 달리 실린더 내부에 직접 분사하는 게 아니라 흡기과정에 흡기밸브 뒤에서 연료를 간접적으로 분사하는 방식이다.

대체로 자연흡기 차량들이 이런 방식을 사용하며, GDI보다 부피당 출력이 작은 반면에 진동 소음이 적고 연료 품질에 덜 민감하며 구조가 단순하다. 또한 흡기밸브에 계속해서 가솔린을 분사하기 때문에 밸브에 퇴적되어 저항을 만드는 경우가 적어지고, 실린더 내에 액체 방울이 적게 생겨 연소실 내부 상태도 오래 유지되면서 탄소화합물에 의한 미세먼지도 적게 나온다.[1]

구조가 단순하여 부속 부품이 적게 들어가기 때문에 터보가 사용되지 않는 경차 이륜자동차에는 GDI가 거의 쓰이지 않고[2] MPI가 대세이다.

3. 장점과 단점

3.1. 장점

  • 내구성이 매우 좋다. 인젝터가 폭발압을 직접 받지 않기 때문에 인젝터 수명이 길고, 분사된 연료가 흡기 밸브를 씻어주어 카본이 쌓이지 않는다.
  • 구조가 간단해서 정비가 쉬우며 큰 고장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 연료가 실린더 안에서 방울지지 않기 때문에 노킹위험이 현저히 낮으므로 저렴한 일반유로도 얼마든지 정상주행이 가능하다.

3.2. 단점

  • 열효율이 떨어져서 연비가 나쁘다.
  • 출력이 낮기 때문에 순간적인 가속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대처하기 어렵다.
  • 흡기속도를 강제로 높이면 연료가 연소지점 밖으로 흩어져 실화가 발생하므로 과급기를 달지 못한다.
  • 어느 정도 몰아볼만한 차량은 최소 2,000cc급 부터 시작인데 상대적으로 배기량이 커서 세금이 많이 나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이것과 후술할 구조 때문에 GDI 분사방식과 같이 하이브리드로 나오거나 지금도 많은 미국차들은 MPI 엔진(특히 크라이슬러 계열)을 아직도 만드는 경우가 많다. [2] 단, 경차라도 터보 모델은 GDI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