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01:42:29

MILESTONE(메이플스토리)


#!wiki style="font-size:0.8em; letter-spacing: -1.2px;
{{{#!wiki style="margin: 0 auto; padding: 7px 10px; max-width: 650px; border-radius:8px; border: 2px solid #fff;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e64371, #F361A6;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eae8ea 30%, #f0eef0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메이플스토리|[[파일:메이플스토리 로고_오리지널.png|width=120]]]]}}}[br]'''{{{#c13e31 {{{-1 역대 대규모 업데이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c9c9c9 45%, #c9c9c9 55%, transparent 55%); width: 92.5%"
}}}{{{#!wiki style="padding: 6px 6px 6px; border-radius: 8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color: #000; min-width: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0.8px; font-size:0.9em;"
{{{#!wiki style="border-radius: 6px; border: 1px solid #000; margin-top: 7px; color: #f3f3f3;"
{{{#!wiki style="background: #333333; border-radius: 6px; border: 1px solid #fff; padding: 10px 10px;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10}}}}}}}}}{{{#!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B1727, #546989);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빅뱅(메이플스토리)|[[파일:빅뱅_mini.png|width=40]] {{{#fff '''빅뱅'''}}}]]}}}}}}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B012A, #611104);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카오스(메이플스토리)|[[파일:카오스_mini.png|width=40]] {{{#fff '''카오스'''}}}]]}}}}}}}}}{{{#!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11}}}}}}}}}{{{#!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7f5f6, #b6d4d3);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레전드(메이플스토리)|[[파일:레전드_mini.png|width=40]] {{{#1882a5 '''레전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FA293, #89B450);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저스티스(메이플스토리)|[[파일:저스티스_mini.png|width=40]] {{{#fff '''저스티스'''}}}]]}}}}}}}}}{{{#!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12}}}}}}}}}{{{#!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696973, #696973);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템페스트(메이플스토리)|[[파일:템페스트_mini.png|width=40]] {{{#F8F8FC '''{{{#!html <span style="font-weight:700; color:#FFF">템페스트</span>}}}'''}}}]]}}}}}}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000, #5e0215);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언리미티드(메이플스토리)|[[파일:언리로고.png|width=40]] {{{#fff '''언리미티드'''}}}]]}}}}}}}}}{{{#!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13}}}}}}}}}{{{#!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420514, #95102B);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레드(메이플스토리)|[[파일:red_mini.png|width=40]] {{{#!html <span style="font-weight:700; color:#FFF">레드</span>}}}]]}}}}}}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EC600, #FEC600);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유앤아이(메이플스토리)|[[파일:유앤아이_mini.png|width=40]] {{{#fff '''유앤아이'''}}}]]}}}}}}}}}{{{#!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14}}}}}}}}}{{{#!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D200, #FFBA00);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조율자의 손길|[[파일:조율자_mini.png|width=40]] {{{#1c2340 '''{{{-1 조율자의 손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21c1e, #495057);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MIB(메이플스토리)|[[파일:mib_mini.png|width=40]] {{{#fff '''MIB'''}}}]]}}}}}}}}}{{{#!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15}}}}}}}}}{{{#!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at 50% 50%, #0a95f5 0%, transparent 60%), linear-gradient(to top, #2b4c91, #2b4c91);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리:부트|[[파일:reboot_mini.png|width=40]] {{{#fff '''리:부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1c2745, #1e2b4b, #435778);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8em; letter-spacing: -1.8px;"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업데이트)|[[파일:히오메_mini.png|width=30]] '''{{{#!html <span style="font-weight:700; color:#f2f5f1">히어로즈 오브 메이플</span>}}}''']]}}}}}}}}}{{{#!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16}}}}}}}}}{{{#!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at 50% 0%, #0a95f5 0%, transparent 50%), linear-gradient(to top, #032b4d, #023e6b);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V(메이플스토리)|[[파일:V_mini.png|width=40]] {{{#!html <span style="color:#60f6f3; font-weight:700; font-size:100%">V</span>}}}]]}}}}}}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61b24, #161b24);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BEYOND(메이플스토리)|[[파일:beyonu_mini.png|width=40]] '''{{{#!html <span style="font-weight:700; color:#fbfbfb">BEYOND</span>}}}''']]}}}}}}}}}{{{#!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17}}}}}}}}}{{{#!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deg, #202f40, #202f40);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NOVA(메이플스토리)|[[파일:nova_mini.png|width=40]] {{{#dac8b0 '''NOV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e0204, #1e0204);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ARK(메이플스토리)|[[파일:ark_mini.png|width=40]] '''{{{#!html <span style="font-weight:700; color:#FFF">ARK</span>}}}''']]}}}}}}}}}{{{#!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18}}}}}}}}}{{{#!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deg, #000000, #000000);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검은마법사(업데이트)|[[파일:검은마법사_mini.png|width=40]] {{{#f0ece4 '''검은마법사'''}}}]]}}}}}}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6D91D, #B6D91D);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어드벤처(메이플스토리)|[[파일:어드벤쳐_미니.png|width=40]] {{{#fff '''어드벤처'''}}}]]}}}}}}}}}{{{#!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19}}}}}}}}}{{{#!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deg, #3b302a, #3b302a, #3b302a);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GLORY(메이플스토리)|[[파일:glory_mini.png|width=40]] {{{#caa57b '''GLORY'''}}}]]}}}}}}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c2340, #1c2340);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RISE(메이플스토리)|[[파일:RISE_mini2.png|width=40]] '''{{{#!html <span style="font-weight:700; color:#d6d9ff">RISE</span>}}}''']]}}}}}}}}}{{{#!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20}}}}}}}}}{{{#!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deg, #252525, #252525, #252525);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AWAKE(메이플스토리)|[[파일:awake_mini.png|width=40]] '''{{{#00e5ef A}}}{{{#fff WAK}}}{{{#ff3294 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81818, #181818);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NEO(메이플스토리)|[[파일:네오_MINI2.png|width=40]]]] [[NEO(메이플스토리)|{{{#D42C19 '''NEO'''}}}]]}}}}}}}}}{{{#!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21}}}}}}}}}{{{#!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a8d2, #ee7ff0, #b64de7);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메이플 LIVE|[[파일:메이플라이브_mini.png|width=40]] {{{#fede29 '''메이플'''}}} {{{#47e3df '''LIV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d3652, #374467, #2f91a2);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DESTINY(메이플스토리)|[[파일:destiny_mini.png|width=40]] '''{{{#!html <span style="font-weight:700; color:#fff">DESTINY</span>}}}''']]}}}}}}}}}{{{#!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22}}}}}}}}}{{{#!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60540, #D95436, #F29849);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IGNITION(메이플스토리)|[[파일:이그니션_mini.png|width=40|height=38]] '''{{{#ffffff IGNITI{{{#FFD48B O}}}{{{#fff N}}}}}}''']]}}}}}}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4d484f,#3d3f4e,#3e4454);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SAVIOR(메이플스토리)|[[파일:세이비어_mini.png|width=40|height=38]] {{{#f8d881 '''SAVIOR'''}}}]]}}}}}}}}}{{{#!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23}}}}}}}}}{{{#!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60deg, #3d9dd8, #6b4dc6, #8247c1);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NEW AGE|[[파일:뉴에이지미니.png|width=50]] '''{{{#d6ebfe N}}}{{{#d1e3fe E}}}{{{#cadafd W}}} {{{#d2d7fa A}}}{{{#cfcdfd G}}}{{{#c4befd 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28005a, #a74bde);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DREAMER(메이플스토리)|[[파일:드리머미니.png|width=50]] {{{#!html <span style="color:#fff; font-weight:700; font-size:100%">DREAMER</span>}}}]]}}}}}}}}}{{{#!wiki style="display: flex;"
{{{#!wiki style="width: 50px; text-align: center; margin-right: 10px; padding: 5px 0;"
{{{-1 {{{#ffddbb 2024}}}}}}}}}{{{#!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60deg, #2b38ee, #7e7efd);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MILESTONE(메이플스토리)|[[파일:마일스톤미니.png|width=40]] '''{{{#8ff6f0 M}}}{{{#fbf498 I}}}{{{#fe96fb L}}}{{{#fd7ffe E}}}{{{#5ffeea S}}}{{{#fdaa64 T}}}{{{#cd8ffd O}}}{{{#bcf3b9 N}}}{{{#71e5fc 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60deg, #ddd, #8cd5f5);padding:5px;margin:5px;border-radius: 8px;border: 1px solid #1d0e00;width:45%;max-width:270px;text-align: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color:#fff; font-size:0.9em; letter-spacing: -1.4px;"
[[메이플스토리|[[파일:메이플스토리 로고_화이트.png |width=40]] {{{#!html <span style="color:#fff; font-weight:700; font-size:100%">2024 겨울</span> }}}]]}}}}}}}}}}}}}}}}}}
}}}}}}}}}}}}

파일:마일스톤배경.png
파일:마일스톤_임시 로고.png


2024년 6월 20일
개화월영
아란·은월 리마스터
기억 속의 한 페이지
2024년 7월 18일
신규 보스 림보
헥사 스텟 Ⅱ
광휘의 보스 장신구
2024년 8월 13일
에픽 던전 : 앵글러 컴퍼니


2024년 9월 12일
신규 지역 탈라하트
그랜드 어센틱심볼
2024년 10월
아즈모스 협곡
메이플스토리 X DAVE THE DIVER
2024년 11월
메이플스토리 X 귀멸의 칼날

1. 개요2. 사전 쇼케이스3. 영상4. 업데이트 이전
4.1. 업데이트 예상
5. 업데이트 상세
5.1. 로드맵
5.1.1. 진행 일정
5.2. 2024 여름 이벤트
5.2.1. 기억 속의 한 페이지
5.2.1.1. 잊힌 축제의 서5.2.1.2. 비밀 기록 탈환5.2.1.3. 미니게임형 이벤트
5.2.1.3.1. 정령의 기억
5.2.1.4. 아스완 무녀의 축복
5.2.2. 하이퍼 버닝 & 아이템 버닝
5.3. 컨텐츠
5.3.1. 개화월영 : 아란/ 은월 리마스터
5.3.1.1. 개화월영: 하이퍼버닝
5.3.2. 신규 보스 림보5.3.3. HEXA 스탯 Ⅱ5.3.4. 에픽 던전 : 앵글러 컴퍼니5.3.5. 신규 지역 탈라하트
5.3.5.1. 그랜드 어센틱심볼
5.3.6. 아즈모스 협곡
5.4. 탈라하트 스토리 이벤트5.5. 콜라보레이션
5.5.1. 데이브 더 다이버 콜라보레이션5.5.2. 귀멸의 칼날 콜라보레이션
5.6. 시스템 개선
6. 평가
6.1. 긍정적 평가6.2. 부정적 평가6.3. 복합적 평가
7. 기타8. 후속 패치

1. 개요

하나하나 차곡차곡 쌓다보면 마침내 길이 된다.
MAPLESTORY MILESTONE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2024년 여름 업데이트이자 김창섭 체제 하에 진행되는 두 번째 대규모 업데이트이다.

2. 사전 쇼케이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이플스토리 2024 SUMMER SHOWCASE MILESTON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월, Maple Now에서 김창섭 디렉터가 5월 라이브에서 쇼케이스에 대한 내용을 가져올 것이라는 뉘앙스를 풍겼으나, 5월 16일 진행된 Maple Now에서는 쇼케이스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고, 끝나기 직전 쇼케이스 진행 방식만 간단하게 언급하였다.

쇼케이스는 다음 순서로 진행될 예정이다.
  • 5월 27일: 쇼케이스 테스트를 위한 퀴즈쇼 이벤트 진행 및 쇼케이스 관련 내용 공개: 테스트 당일에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으며, 업데이트명과 쇼케이스 일자를 공개했다.
  • 6월 8일: 메이플스토리 인게임 온라인 쇼케이스

이번 쇼케이스는 SAVIOR 쇼케이스 이후로 오랜만에 온라인으로 다시 진행되는 쇼케이스이며,[1] 기존 온라인 쇼케이스와 똑같은 방식으로 하기보다 유저들끼리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게임 쇼케이스를 진행한다. 오프라인 쇼케이스를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대관 난이도가 주요 원인으로 추측된다.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 2027년까지 리뉴얼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해지면서 기존 올림픽체조경기장, 핸드볼경기장, 잠실실내체육관 등 기존 장소의 대관 난도가 매우 높아졌기 때문. 그나마 여유가 있는 전문 공연장인 인천 영종도 인스파이어 아레나의 경우 인천공항과 직선 거리로만 4km 씩이나 떨어져 있는데다 유일한 연계 대중교통인 인천 버스 204는 배차간격이 평균 1시간인지라 접근성이 너무 떨어진다. 하지만 김창섭 디렉터는 어떻게 하면 많은 유저들에게 쇼케이스라는 것이 크게 기억되게 할까 고민하다 결국 많은 유저들을 만나볼 수 있는 장소는 인게임이라고 생각해서 이런 형식을 준비했다고 한다.

인게임 쇼케이스는 쇼케이스 전용맵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메이플스토리에서 인게임 쇼케이스를 진행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라, Maple Now에서 김창섭 디렉터는 기술적으로 걱정되는 부분들이 있다며,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후 2024년 5월 27일에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2024년 5월 27일 오후 6시에 각 마을에 있는 운영자 NPC를 통해 쇼케이스 전용맵으로 입장하고, 입장한 쇼케이스맵에서 사전 퀴즈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준비된 기능들이 잘 돌아가는지 확인하였다.[2] 해당 라이브에서 업데이트의 명칭이 'MILESTONE'인 것과 쇼케이스의 진행 날짜가 공개됐다. 쇼케이스는 2024년 6월 8일 토요일 오후 4시에 진행될 예정이며, 성승헌 캐스터도 출연한다.

쇼케이스는 인게임과 유튜브 양쪽으로 관람할 수 있게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인게임에선 마이크와 성캐가, 오프라인 유튜브 생중계에선 김창섭 성승헌이 진행할 예정이다.

쇼케이스 티저는 2024년 5월 27일 진행된 쇼케이스맵 테스트 방송에서 최초공개 되었으며, 이후 2024년 6월 5일에 개별로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 되었다.

쇼케이스맵인 메이플 스퀘어는 2024년 6월 8일 오후 2시부터 쇼케이스 종료 전까지 자유롭게 입장할 수 있다. 쇼케이스 시작 시간으로부터 2시간 전인 오후 2시부터 입장이 가능한 것이 좀 의아한 부분인데, 이는 쇼케이스 전에 퀴즈쇼를 진행하기 위함과 쇼케이스 시작 직전 시간에 많은 유저들이 몰려 서버가 터지는 현상을 막으려고 2시간 전부터 입장할 수 있도록 결정한 듯 하다.

3. 영상

티저 영상
하이라이트 영상
개화월영
하이퍼 버닝 & 아이템 버닝

4. 업데이트 이전

4.1. 업데이트 예상

====# 쇼케이스 관련 #====
2024년 2월 Maple Now에서 김창섭 디렉터가 그동안의 쇼케이스에서는 여름이나 겨울 업데이트 기간인 약 3개월 정도의 분량만 소개하였으나, 이번 쇼케이스에서는 조금 더 먼 미래까지의 이야기를 하겠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성수기인 여름 기간뿐 아니라 겨울 업데이트 이전까지의 비수기까지, 혹은 그 이후까지의 로드맵이나 방향성이 언급될 것으로 보인다.

쇼케이스의 형식에 대해서도 고민 중이라고 언급하였는데, 최초로 인게임에서 함께 관람하는 쇼케이스를 시도하게 됐다.[3][4]

쇼케이스 명칭인 MILESTONE이정표, 또는 일생의 중대한 사건을 의미한다. 앞선 언급들에 의거했을 때 이 쇼케이스는 큐브 확률조작 사건 이후 큰 위기를 겪게 된 메이플스토리가 나아갈 새로운 길과 방향성을 소개하는 자리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추측된다.[5] 김창섭 디렉터는 쇼케이스를 다 보고 나면 업데이트의 명칭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을 거라고 했다.[6]

다만 일각에서는 아기자기한 쇼케이스 티저와 MILESTONE이라는 이름에서 새로운 컨텐츠 위주보다는 또 다시 내실 쌓기 위주로 업데이트 분량이 부실해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티저 영상에서도 굉장히 저렴한 분위기 속에서 하나하나 차곡차곡, 출발점 따위를 언급하며 스케일이 큰 업데이트라기보다는 내실 다지기[7]에 가까운 패치일 것을 예고하는 듯한 뉘앙스를 보여 많은 유저들에게 불안감, 실망감을 줬다. #, #

반면 넥슨 보고서에 본 여름 업데이트를 가리켜 large-scale Summer update라며 대형 업데이트를 진행할 것이라고 예고했기 때문에, # 일각에서는 단순한 내실 패치가 아니라 큰게 올 수도 있지 않냐며 행복회로를 태우는 경우도 존재하기는 한다.

====# 컨텐츠 관련 #====
첫번째로 고레벨 및 고스펙 전용 컨텐츠의 출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024년 2월 Maple Now에서 김창섭 디렉터가 "올해(2024년)에는 작년에 추가했던 성장 요소를 가지고, 즐길 수 있는 컨텐츠를 추가하는 것에 집중하겠다."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에픽 던전 : 하이마운틴도 그 일환이었다고 했는데 이에 비추어 보아 에픽 던전 : 하이마운틴을 잇는 두번째 에픽 던전이 추가될 수도 있으며, 세르니움의 다음 지역인 호텔 아르크스와 관련된 지역일 가능성이 높다.

21주년 이벤트를 통해 보스 스우가 리마스터되었기 때문에 데미안 역시 리마스터되는 게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지만,[8] 개발 기간이 겨우 두 달에 불과한 시간이다 보니 가능성은 굉장히 적다. 빨라 봐야 여름 이후의 비수기(9월~11월) 혹은 2024년 겨울 업데이트 시기에 나올 듯하다.

신규 보스가 출시될 가능성 역시 제기되고 있다. 카링 이후로 신규 보스가 안 나온지 어느덧 1년이나 흘렀기 때문에 2024년 여름에 카링 이후로 오랜만에 신규 보스가 추가될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9] 스토리 내용 상 보스로 나올 개연성이 충분하고, 이미 보스 관련 데이터와 도트가 존재하는 림보 카르시온 지역의 레이드 보스로 나올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예측이 우세하다.[10] 아예 다르모어 사도아닌 그란디스의 또 다른 인물이 보스로 출시되거나, 혹은 아에 메인 스토리와는 관련 없는 레이드 보스가 나올 수도 있다.[11]

또한, 에픽 던전이나 보스 이외의 전혀 새로운 형태의 전투 컨텐츠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는데 이번 업데이트에서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 직업 관련 #====
신규 직업의 출시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반응도 있다. 2024년 기준으로 SAVIOR 업데이트에서 칼리가 출시된 이후 1년 반 가량의 기간동안 신규 직업이 출시되지 않고 있는데, 만약 이번 업데이트에서도 신규 직업이 출시되지 않을 경우 다음 신규 직업 출시까지 최소 2년이 넘게 되어 빅뱅 업데이트 이후 최장의 신규 직업 공백기가 된다.[12]

방학 업데이트 단위로는 중단됐던 직업군 리마스터가 다시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대부분 방학 업데이트 시작 일자에서 일주일 전에 쇼케이스를 진행하였으나, 이번에는 업데이트가 최소 6월 20일 이후에 시작함에도 상당히 이른 6월 8일에 쇼케이스를 진행하는 것이 이그니션 업데이트 때 처럼 첫번째 업데이트에 직업군 리마스터를 배치하기 위해 빠르게 테스트를 시작하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다. 직업 리마스터를 진행한다면 첫번째로는 데몬 직업군이 리마스터 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근거로 이전 DREAMER 쇼케이스에서 김창섭 디렉터가 마스테리아를 말하며 그란디스 이후의 이야기를 언급했고, 리뉴얼된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 스토리에서 하인즈가 관측 가능한 세계로 마스테리아를 말해 마스테리아가 3부 스토리 무대로 유력해졌기 때문에 마스테리아 컨텐츠 추가의 일환으로 데몬 직업군을 리마스터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13] 또한 5월 27일에 진행되었던 테스트 라이브 당시 OX퀴즈의 카운트 다운 색상이 히어로즈 오쓰/프리드의 가호의 색상과 비슷하다는 것을 근거로 영웅 리마스터가 진행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존재하지만 이그니션 당시 총괄 디렉터였던 강원기가 추후의 직업 리마스터는 개별 직업 단위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발언을 했기 때문에 단순한 우연에 그칠 것이라는 반론도 존재한다.

====# 6차 전직 관련 #====
마스터리 코어의 경우 최우선으로 진행하여 최대한 빨리 완성시키겠다는 지속적으로 언급한 바가 있고, 지난 DREAMER 업데이트에 이어 이번 여름에도 마스터리 코어는 추가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외의 새로운 스킬 코어나 공용 코어의 추가는 불명이다. 다만 새로운 스킬 코어와 두번째 헥사 스탯이 개방될 수도 있다. 두 코어 모두 총 6칸인데 마지막으로 열린 것이 1년이 지났고, 1년의 주기로 개방된다고 가정했을 때 모든 칸이 개방되는데만 해도 무려 6년이 걸리기 때문이다. NEW AGE 쇼케이스에서 스킬 코어를 소개하면서 '이번에는 오리진 스킬이 추가된다'는 발언으로 보았을 때, 만약 새로운 스킬 코어가 열린다면 오리진 스킬이 아닌 다른 형태의 스킬일 수도 있다. 그와 더불어서 스킬 코어강화에 드는 수치나 솔 에르다 최대 보유수량 조정도 들어갈 가능성도 있을 전망이다.

또한 6차 전직 퀘스트 개선이나 필요 경험치 감소 또한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스토리 전개 관련 #====
카르시온 스토리 이후의 스토리가 전개될 수 있다. 카르시온 에필로그에서 제른 다르모어와의 전면전이 시작될 것을 암시했는데 이 전면전 스토리 전개를 이미 직전 업데이트에서 도전의 영역이라는 명분으로 한 번 건너뛰었기에 또 메인 스토리 전개가 보류된다면 유저들의 평가도 좋지 않을 것이다.[14]

만약 카르시온 스토리 이후의 스토리가 나온다면, 블록버스터나 지금까지 선보이지 않았던 새로운 방식의 스토리 컨텐츠를 통해 공개할 가능성이 크다. 카르시온의 입장 레벨인 285를 달성한 인원도 여전히 심각하게 적고, 신규 지역이나 스토리를 이전처럼 5레벨 단위로 끊어가기엔 만렙이 300이라는 점에서 아직 이르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다만 대도시 서버의 카르시온의 사냥터 자리 문제, 신규 보스를 출시할 시 보스 레벨링 문제를 들어 290 신규 지역이 나올 것이라는 의견 또한 존재한다.[15] 신규 지역이 나오지 않는다면 제른 다르모어 서사를 가진 두 번째 차원의 도서관 에피소드나 블록버스터 컨텐츠를 통해 스토리를 풀어나가거나, 테네브리스 세르니움처럼 이벤트 지역으로 선보였다가 이후에 정식 지역으로 들여오는 형식으로 스토리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2월 Maple Now에서 김창섭 디렉터가 작년에 추가한 성장 요소를 통해 즐길 수 있는 컨텐츠를 추가하는 것에 집중하겠다고 발언했기 때문이다.[16]

카르시온 이후 스토리에 대해선 프리머시라는 이름의 집단이 등장하는데 아델 스토리 최종장에서 제롬이 프리머시에 들어갈 것을 암시했기에 카르시온 이후 스토리가 전개된다면 베로니카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카로테 스토리에서 전 군단장 윌과 함께 언급 된 인물들인 카링, 하보크, 림보가 카로테 이후 스토리에서 모두 등장했고 아르테리아 서브 퀘스트에서 미하일이 이끄는 소울마스터 부대가 윌 추적의 실마리를 잡았다는 언급을 근거로 윌이 재등장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또한 기억 속의 한 페이지에서 군단장인 아카이럼, 반 레온, 윌, 스우, 오르카, 힐라의 과거가 상세히 드러날 것으로 보이며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되는 군단장은 윌인데 왜냐하면 윌은 제른 다르모어와의 전면전에서 변수가 될 수 있는 중요 인물이기 때문이다.

====# 그 외 #====
일반 큐브에 이어서 에디셔널 큐브가 삭제되고 메소화 될 예정이다. 상반기 중 적용을 예정했으나 게임 경제에 미칠 영향을 우려해서 빠르게 진행하고 있지는 않는다고 밝힌 바가 있다. 적어도 여름 업데이트 기간에는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어센틱심볼의 강화 비용, 속칭 심볼세라 불리는 비용의 인하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본래 아케인심볼/어센틱심볼의 경우 전용 필드 사냥/보스에 필요한 포스와 더불어 강화 때마다 추가되는 주스탯이 웬만한 타 장비/장신구 아이템들의 강화 대비 가성비가 뛰어나다고 평가받아 무조건 강화하는 것이 이득이라는 평가였으나, NEW AGE 업데이트로 6차 전직이 생기고 어센틱심볼이 6개로 늘어난 이후 상위 레벨에서 어센틱심볼의 스탯 대비 강화 비용이 매우 높아지며 가성비는 커녕 사냥터 원킬컷이 맞춰진다면 그 이상 강화하는 것은 오히려 효율이 좋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초고스펙 유저들을 제외한 상당수 유저들이 본인이 주로 사냥하는 필드의 어센틱포스 컷까지만 심볼 강화를 하고, 이후로는 강화를 하지 않는 상황이 대세가 되었다.[17] 이에 상위 레벨의 어센틱심볼 강화 비용을 인하해 달라는 의견이 늘어나고 있으나 김창섭 체제에 들어오면서 메소 가격 디플레이션을 방어하기 위해 메소 수급처 및 지급량을 줄이고 반대로 소모처는 계속해서 늘리는 패치를 반복하는 상황이라 메소 회수 목적으로 만들어 놓은 어센틱심볼 강화 비용을 완화시켜 줄지는 미지수.

2024년 5월 8일, 공지사항에서 6월 20일에 진행되는 업데이트를 통해 윈도우 최소 시스템 사양을 변경[18]할 것을 알렸다. 이를 통해 여름 업데이트가 큰 것이 올거라는 예상이 있었다. 하지만 이런 업데이트는 여름 업데이트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긴 어렵고, 보통 지원이 끝난 시스템의 보안 위험성 때문에 업데이트 하는 것이기에 게임 내부 보안 때문에 한다고 보는 것이 좋다.

5. 업데이트 상세

5.1. 로드맵

파일:마일스톤로드맵.jpg
로드맵[19]

5.1.1. 진행 일정

  • 2024년 7월 23일
    • 제주도 메이플 카페

5.2. 2024 여름 이벤트

5.2.1. 기억 속의 한 페이지

5.2.1.1. 잊힌 축제의 서
5.2.1.2. 비밀 기록 탈환
5.2.1.3. 미니게임형 이벤트
5.2.1.3.1. 정령의 기억
5.2.1.4. 아스완 무녀의 축복

5.2.2. 하이퍼 버닝 & 아이템 버닝

5.3. 컨텐츠

5.3.1. 개화월영 : 아란/ 은월 리마스터

리마스터 스킬 목록
아란 | 은월

아란 은월의 리마스터가 실시되며, 패치는 2024년 6월 20일에 적용된다.

신규 유저들의 입장에서는 만족할만한 패치이나,[26] 기존 유저들은 드디어 개발자들이 유저들을 상대로 역대급 신경전을 벌였다는 반응이 대다수이다. 불합리한 딜구조를 가진 몇몇 직업들의 리마스터 요구가 계속되자 아예 아란과 은월을 제물로 삼아 다른 직업들을 대상으로 "우리는 일을 하기 싫으니, 앞으로 리마스터를 요구하면 너희들의 직업을 이렇게 만들어주겠다"라는 선전포고를 한 게 아니냐는 비판이다.

리마스터에 대한 비판은 다음과 같다.
  • 보통 리마스터의 경우 기존 불합리한 구조를 완화하거나 딜량을 올리면서 해결해주는 식으로 진행해 왔으나, 아란/은월 리마스터는 도리어 딜 사이클을 훼손하고 딜량조차도 감소시키는 바람에 리마스터로 가장한 너프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 특히 엔버 리마스터 때부터 집착한 60초 극딜을 은월에게도 적용해 은월 유저들 사이에 여론이 폭발해 버렸다. 60초 극딜은 보스돌이에 좋긴 하나 극딜주기가 밀려버리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어 단점이 명확한 주기임에도 기어코 적용해 딜링 난이도가 급격하게 올라갔다. 아란 역시 블리자드 템페스트가 90초로 변경되긴 했으나, 원래 준극딜 비중이 높은 직업이기도 했고 딜량이 높은 라스트 스탠드가 180초라서 그나마 나은 편.
  • 스킬 리마스터 되면서 헥사 강화 효율 역시 문제되었다. 기존 딜 점유율이 높은 스킬을 떼어다가 점유율이 낮았던 다른 스킬로 이관되면서 헥사 강화 효율이 크게 뒤바뀌어 버렸다. 특정 스킬에 몰빵 강화한 기존 유저들은 그동안 강화했던 수단을 보상받지 못해 도리어 손해를 보게 되었다.
  • 아란의 상징이던 늑대 이펙트가 삭제되고 주력기 비욘더의 이펙트를 파스텔톤 색감이 강한 사신수로 대체해 버렸으며, 은월은 스킬이 바뀌면서 랑 모습의 수호령이 삭제되고 폭류권 등 자체 스킬 이펙트가 혹평을 받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서는, 특히 아란에 대해서는 메이플스토리판 블랙 워싱이라는 지적이 많다.
  • 이펙트와 디테일 역시 저열하기 짝이 없다. 이는 최근 몇 년간의 리마스터 때마다 올라온 이슈로, 메이플스토리만의 감성이었던 직업 개성이나 컨셉 관련 이펙트가 사라지고 임의적으로 판단한 근본없는 컨셉이나 과할 정도의 파스텔톤 번쩍번쩍 떡칠, 연기, 잔상 원툴[27] 이펙트가 많고, 스킬 아이콘 또한 이전보다 가시성도 매우 떨어졌다.
  • 심지어 이펙트와 디테일 관련 비판은 이미 굿즈를 출시하는 바람에 본서버에 들어와도 고칠 수 없다는[28] 핑계로 개선의 여지조차 조기에 차단하며 강행했기에 변경될 가능성이 전무하다.

이 때문에 타 직업에게도 리마스터를 꺼리는 분위기가 형성되었으며 한편으로는 개발진이 단지 귀찮다는 이유로 신규 직업 출시를 대체할만한 큰 보험을 날려버린 멍청한 선택을 했다는 비웃음도 나오고 있다.

다만 리마스터로 5차 이하 저점 보정을 어느정도 해두었기 때문에 신규 유저입장에서는 큰 불편함이 없는 상태고[29] 해당 직업 육성 시 보너스 하이퍼 버닝이라는 막대한 이벤트에 나름대로 독특한 개성을 확보해 유입 자체는 꽤 되는 편이다.
5.3.1.1. 개화월영: 하이퍼버닝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하는 아란 또는 은월 캐릭터에 하이퍼 버닝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다. 아란과 은월 중 하나의 직업만 지정할 수 있으며, 둘 다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2024년 6월 20일 이후 생성된 아란 또는 은월 캐릭터
  • 200 ~ 258레벨의 기존 아란 또는 은월 캐릭터: 이 경우 기존에 달성한 레벨의 보상은 획득할 수 없다.

해당 이벤트를 수행할 경우 하이퍼 버닝 캐릭터를 2개까지 생성할 수 있다. 2개의 캐릭터에 하이퍼 버닝을 지정한 유저들의 충분한 육성 기간을 확보하기 위해 이번 버닝 월드는 운영 기간이 4개월로 길게 잡혀있다.

5.3.2. 신규 보스 림보

5.3.3. HEXA 스탯 Ⅱ

5.3.4. 에픽 던전 : 앵글러 컴퍼니

5.3.5. 신규 지역 탈라하트

5.3.5.1. 그랜드 어센틱심볼

5.3.6. 아즈모스 협곡

5.4. 탈라하트 스토리 이벤트

5.5. 콜라보레이션

5.5.1. 데이브 더 다이버 콜라보레이션

5.5.2. 귀멸의 칼날 콜라보레이션

5.6. 시스템 개선

  • 메이플 스케줄러 추가
    일일퀘스트, 이벤트, 보스, 등 여러 일정들을 확인해서 체크할 수 있다.
  • 200레벨 이하 성장 동선 개선
    • 퀘스트 메인/일반 라인으로 구분, 및 스토리라인 개선
    • 길라잡이 이동 조건 삭제
  • 캐릭터 프리셋 단축키 프리셋 추가
  • 안개 숲 수련장 전용 버프 시스템 추가
  • 버프 표시 개선
    내 직업의 버프, 파티 버프, 공통, 아이템 순으로 분류되어 표시된다.
  • 빠른 캐릭터 변경 기능 추가
    메이플스토리M처럼 월드 선택창에 진입하지 않고도 인게임에서 바로 다른 캐릭터로 변경이 가능해진다.
  • 보스 개선
    • 루타비스: 열쇠 시스템 및 카오스 입장 조건(노말 5회 클리어) 삭제, 선행퀘스트 월드 공용으로 통일
    • 보스 컷신 스킵 기능 추가
      해당 사항의 경우 7월 업데이트로 적용된다.
  • V 매트릭스 개선
    • 슬롯 개수 추가(기본 7칸→12칸, 최대 25칸→30칸)
    • 강화 코어 강화시 강화 선택 추가
  • 6차 개선
    • 전직 시 필요 경험치 스톤당 500억에서 100억으로 감소, 초반에 필요한 나의 아케인 스톤 3개에서 1개만으로 모든 여신 퀘스트 진행 가능[30]
  • 제네시스 무기 해방 개선
    • 퀘스트 진행 확인 UI 추가
    • 진행 시 필요한 편린 삭제
  • 주문의 흔적 피버 타임 일요일 → 금, 토, 일로 변경
  • / 안드로이드 투명화 기능 추가[31]

6. 평가

DREAMER 업데이트에서 수직 컨텐츠의 부실함이 많은 비판을 받았고, 이에 이전 라이브 방송에서 김창섭 디렉터는 "강해진 캐릭터로 즐길 수 있는 컨텐츠 요소를 추가하겠다"는 언급을 했는데, 그 예고대로 신규 최상위 보스 및 지역의 추가, 신규 최상위 장신구 세트와 290제 아획/메획 옵션 어센틱 심볼, 펀치킹 이벤트 등 수직 컨텐츠에 초점을 맞춰 진행했다는 평가이다.

이에 부합하는 상위 유저들에게는 즐길거리가 풍성한 업데이트라는 평을 받는 반면[32] 이를 제대로 즐길 스펙이 되지 못하는 대다수의 유저들에게는 리마스터 대상인 아란, 은월 직업 유저들이 아닌 이상 즐길만한 컨텐츠가 신규 에픽 던전 외에는 마땅치 않다는 점에서 유저들의 스펙에 따라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전술했던 DREAMER 업데이트에선 '새로 게임에 유입될 유저들이나 아직까지 메이플스토리를 제대로 시작해본 적이 없는 유저들에게는 흥미를 돋울 내용이 많으나 정작 이미 메이플스토리에 꾸준한 돈과 시간을 투자했던 고스펙 유저들에게는 즐길 거리가 하나도 없었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는데 이번 MILESTONE 업데이트에서는 정반대의 평가를 받고 있는 중이라는 것.

김창섭 디렉터가 쇼케이스 마지막에 언급한 바에 의하면 본 쇼케이스 시점에서 밸런스 패치와 더불어, 6차 스킬 내지 마스터리 코어의 추가 계획이 당장은 없으며, 완성도 문제와 더불어 개발이 지연되어 최소 겨울 업데이트로 연기된다고 언급했는데, 아래 후술하겠지만 이에 대해서는 혹평이 가득하다.

결론적으로 신규 유저들은 역대급으로 빵빵한 성장 및 지원 이벤트를 받으며 게임에 녹아들기 수월해졌고, 게임에 충성도가 가장 높은 엔드스펙급 코어 유저들을 위한 컨텐츠의 규모와 내용도 상당하기에 해당되는 유저들은 대부분 만족하는 분위기. 정작 대부분의 인구 비율이 몰려있는 기존 중~저스펙 유저들을 위한 업데이트 내용이 상당히 부실한데다 스펙을 막론하고 기존 유저들 대부분이 가장 기다려왔던 신규 6차 스킬이나 전직업 밸런스 패치가 일절 없기에 심각한 혹평을 받았다.

게다가 2차 테스트 서버 오픈 이후에는 에디셔널 재설정 비용이 1월 테스트 서버 때 보다 50%나 인상된 것이 알려지고, 월마다 무료로 주는 큐브를 삭제하는 등 인게임 메소 소모처를 늘리는 데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곳에는 하나도 개선된 점이 없어 반응을 보고 있는지 의문이 드는 수준이다.

그 외에도 쇼케이스에서도 게임 외적으로 논란이 되었던 손가락 관련 논란에 대한 입장이 없는 와중에 새로 교체된 루타비스 관련 이미지에서도 논란이 되는 손가락 모양이 나와 논란이 되었다.[33]

6.1. 긍정적 평가

  • 역시나 편의성 패치에 특출난 김창섭인 만큼, 이번에도 편의성 패치는 호평이 많다. 특히나 메이플스토리는 RPG 게임 중에서도 버프의 종류가 독보적으로 많아 복잡함을 넘어서 난잡하기까지 했는데, 이제 버프 별 분류/On Off가 가능해져 가시성이 크게 향상된 것은 고무적이다. 이외에도 스우 리마스터 때부터 요구된 컷신 스킵, 캐릭터 즉시 변경[34] 6차 전직 과정 완화, 에픽 던전 보상 선택적 수령 기능 추가, 펫/안드로이드 투명화[35], 프리셋 단축키 전환 추가 등 여러 편의성 패치들이 들어올 예정이다.
  • 기존보다 길어진 하이퍼 버닝 기간과 버닝 캐릭터 성장의 비약 사용 가능, 성장 동선 개선, 6차 전직 과정 완화 및 이번 업데이트부터 새롭게 지원되는 아이템 버닝 등 신규 유입 및 복귀 유저들에게 상당한 혜택이 주어지는 것에 대해 평이 매우 좋다.
    특히 신규 이벤트인 아이템 버닝의 혜택이 꽤나 파격적이다. 지원 아이템을 최종 단계까지 성장시키면 내실이 부족한 뉴비에게 통곡의 장벽이었던 그란디스 지역 사냥 스펙컷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하드 스우 ~ 데미안까지 도전할만한 스펙을 쌓을 수 있기 때문. 기간제이긴 하지만 아이템이 유지되는 기간 동안 하스뎀 이하 보스돌이와 그란디스 사냥터에서 사냥하며 모은 조각들을 팔며 열심히 플레이를 한다면 이벤트 기간이 끝나기 전까지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아이템을 충분히 장만할 수 있다. 뉴비들이 무자본으로 정착하기에는 가장 좋은 시기인 셈.
  • 직전 대형 패치인 DREAMER 패치의 이벤트가 너무 장기간으로 설계되어 후반부가 루즈해지고, 이벤트 링 전용 레전드리 주문서를 거의 마지막에 주는 등 보상 체계가 엉성하여 비판을 받았는데, 본 패치의 이벤트는 기간을 2분기로 나누어 두 개의 이벤트를 진행함으로써 이를 해소했다. 또한 잠재능력 재설정 메소화 패치로 인해 여름에 단종이 예고되었던 화이트 에디셔널 큐브의 삭제를 전면 철회하였고, 단종되었던 블랙 큐브까지 복각시키며[36] 이벤트 보상을 재차 풍성하게 한 것은 호평받고 있다.
  • 2차 이벤트를 통해 신규 지역인 탈라하트를 모두가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만든 점에서는 긍정적인 평가. 9월에 공개될 탈라하트는 레벨 290 이상인 극소수의 유저들만 입장할 수 있어 대부분의 유저들은 이 지역에 가기 어려운 상황이기에 스토리 컨텐츠 진입장벽을 이벤트로라도 임시 감상할 수 있게 어느 정도 완화한 것이다.이미 테네브리스 때 했던 거다
  • 군단장들의 과거사를 다루는 기억 속의 한 페이지, 그란디스 스토리를 다루는 에픽 던전 앵글러 컴퍼니와 신규 지역 탈라하트, 마스테리아가 배경인 아즈모스 협곡 등 여러 스토리 컨텐츠가 나올 예정이기에 스토리를 즐기는 유저들에게 기대 받고 있다.
  • macOS 지원예정이라는 기술적 변화가 생겼다.[37] 기존의 한국 온라인게임은 개발툴이나 엔진, 보안 프로그램 특성상 windows를 제외한 다른 OS는 고려대상 자체가 아니었으나 출시 21년이나 경과한 게임에서의 크로스플랫폼 지원은 메이플스토리의 기술력이 상당히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38]
  • 2월 Maple Now에서 김창섭 디렉터가 2024년에는 작년에 추가한 성장 요소를 가지고 즐길 수 있는 컨텐츠를 추가하는 것에 집중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번 업데이트에서 신규 보스 림보, 에픽 던전 : 앵글러 컴퍼니, 신규 지역 탈라하트, 전투 컨텐츠 아즈모스 협곡 6차 전직을 마친 유저들을 타겟으로 하는 컨텐츠들이 다수 업데이트 되어 Maple Now에서 김창섭 디렉터가 약속했던 것들이 반영되었다.

6.2. 부정적 평가

  • 이번 업데이트가 초고스펙 유저들을 대상으로 한 신규 컨텐츠에 초점을 맞춰서 그런지 대부분의 유저층을 차지하는 중-저스펙을 위한 컨텐츠는 추가된 것이 거의 없어[39]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게다가 쇼케이스의 상당 시간을 할애한 편의성 개선 파트는 대형 업데이트 쇼케이스에 내세울 만한 컨텐츠라기엔 볼륨이 부족하다.[40]
  • 쇼케이스 진행에 대한 비판이 많다. 아란과 은월 리마스터의 경우 볼륨이 크지 않은 내용임에도 테스트 서버에서도 확인이 가능할 부가적인 설명만 일일이 하며 진행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다.[41] 소통을 위해 만든 인게임 라이브 맵은 잠수 경험치를 사냥에 가까운 수준으로 제공한 것에는 호평이었지만, 업데이트 소개 도중에 서버 별 이벤트 필드 실황을 지속적으로 비춰주다 보니 진행 흐름도 수시로 끊겼다.

    이로 인해 오후 4시에 시작한 쇼케이스가 장장 3시간이 지난 오후 7시도 훌쩍 넘겨 끝나며 역대 최장 시간을 기록한 것[42]은 물론, 나란히 시작한 로아온보다도 늦게 끝났다.

    또한 쇼케이스 도중에 유저들이 간단한 퀴즈를 맞추면 보상을 받아가는 유저 참여 이벤트 또한 방식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었다. 쇼케이스 진행 초기엔 평가가 나쁘지 않았으나 문제는 퀴즈를 한번에 몰아서 내는 방식이 아닌 쇼케이스 진행 도중 중간중간 기습적으로 출제하는 방식으로 진행이 되어, 이로 인해 풀 참여를 위해서 사냥을 포기해야 한다거나,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퀴즈 이벤트가 진행 될 우려에 많은 유저들이 쉽사리 자리를 떠나지 못하고 피로감을 표출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시간대가 저녁 식사 시간대와도 겹쳤기에 이에 대해 불편을 호소한 유저가 많았다.

    소통 방식 또한 아쉽다. 이번 쇼케이스는 역대 쇼케이스 행사 중에서 최초로 온라인으로 진행이 되었는데, 일부 악질 유저들의 어그로를 우려한 탓인지 인게임 유저들은 채팅이 아닌 개발진이 만든 칭찬성 이모티콘만 사용할 수 있어 제대로 된 의견 피력이 거의 불가능했고 행사 내내 유튜브 라이브를 통한 소수 유저의 채팅만을 볼 수 있었다. 결국 피드백이나 질문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고 마무리 되었다는 점에서 평가가 좋지 않다. 피드백은 테스트 서버 관련 문의나, NOW 같은 중간 방송 때 받을 것으로 보인다.
  • 이전의 모험가 및 시그너스 기사단 리마스터와 달리 영웅 직업군은 전부가 아닌 고작 2개의 직업만 리마스터를 진행한 것에 대해 불만이 많았다. 가뜩이나 초고스펙 유저들을 제외하면 중-저스펙 유저들이 대다수인 상황에 해당 직업군을 좋아하는 유저가 아니라면 타 직업군에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43] 차라리 본서버 공개 패치를 미루더라도 영웅 직업군 전부 리마스터 하는 게 좋았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덕분에 강원기 디렉터가 진행한 모험가 및 시그너스 기사단 리마스터가 재조명 받고 있다. 비록 일정이나 스토리에서 혹평을 받을지언정 지금처럼 일부 직업만 리마스터 하는 게 아닌 모든 직업들을 일일히 리마스터 하면서[44] 가능하면 모든 직업군 유저들이 즐길 수 있도록 최대한 컨텐츠 볼륨에 주력하였다. 정작 일정 때문에 영웅 직업군 전부 리마스터 하기 힘들다면 차라리 영웅 직업군의 절반이라도 리마스터 했으면 볼륨에 대해서 크게 비판받을 일이 없었다.
  • 신규 6차 및 마스터리 코어의 부재와 밸런스 패치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이 아쉽다는 평가가 많다.[45] 나름 흥미로운 컨텐츠들을 잔뜩 발표했음에도 저평가를 받은 원인 중 하나로, 신규 컨텐츠들과 이벤트들을 설명해줄 때 유저 개개인의 전투력으로 결정되는 펀치킹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들이 꽤 있었는데, 밸런스 패치 없이 스펙에 따른 차등 보상 이벤트를 진행하면 공평성 관련으로 의문이 커지기 때문. 특히 밸패는 스펙 상관없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3번째 마스터리 코어와 이를 통한 밸런스 패치가 필요했던 직업 중 초고스펙 유저의 경우 7월에 출시되는 신규 보스 림보 트라이에 큰 차질이 생기게 된다.

    쇼케이스 내용에 대해 많은 예상이 오고가는 와중에도 어지간하면 신규 6차 액티브나 마스터리 코어를 주거나 하다못해 불합리한 구조 개선이 아닌 수치 조정 위주의 밸런스 패치라도 할 것으로 예상한 유저들이 많았던 만큼[46] 이 부분은 신규 보스 및 지역 등의 신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선발대 유저들[47]이나 신규 컨텐츠를 모두 즐기지는 못해도 어지간한 컨텐츠는 즐길 수 있는 중자본 유저들[48]과 이제 막 메이플에 입문한 유입/저자본 유저들[49]에게 공통적으로 아쉽다 평가받는 점이다. 기존에는 연례 행사마냥 대형 업데이트마다 신직업/신규 마스터리 코어(6차 출시 이전에는 신규 5차)/대규모 밸런스 패치 중 한 가지 이상은 꼬박꼬박 했음에도 이번 여름 업데이트에서는 유저들의 예상이 나쁜 쪽으로 빗나간 셈.

6.3. 복합적 평가

  • 기존에 했던 발언과 상충되는 업데이트 내용이 몇몇 있다. 기존에 카르시온 지역을 추가하며 '신규 지역은 당분간 없을 것이며, 카르시온을 도전의 영역으로 남겨놓겠다'고 발언한 바가 있지만, 290레벨 신규 지역이 1년만에 제법 빠르게 추가되었다. 다만 이는 285레벨을 달성한 인구가 1년 새 눈에 띄게 증가하여 일부 월드는 카르시온 사냥터가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보니 나올 때가 됐다는 반박도 존재한다. 또한 2024년 5월 메이플 나우에서 '마스터리 코어를 최우선으로 패치중이다'라고 발언했음에도 정작 신규 마스터리 코어 패치는 겨울로 미뤄졌다.
  • 신규 보스 출시에 대해서는 어차피 일부 선발대만 이용할 수 있다며 중저스펙 유저들은 본인과 관련 없다고 비판하는 반면, 작년 여름과 겨울에 새로운 상위 보스가 출시 되지 않았으니 고스펙들을 위해 출시할 때가 됐다는 의견도 있다. 또한 DREAMER 업데이트 때는 고스펙들을 위한 신규 상위 보스가 없다는 이유로 비판해놓고 정작 신규 보스를 출시하자 일부 선발대만 이용할 수 있다는 이유로 비판하는 것은 앞뒤가 안 맞다는 반박도 존재한다. 이는 항상 신규 보스가 출시될 때마다 있어왔던 갑론을박인데, 고스펙을 위한 신규 보스를 내면 대부분의 유저들은 참가하지 못하고 유튜브로만 봐야하는 컨텐츠 취급받고, 그렇다고 중간층 보스를 냈더니 숙제만 늘었다거나 초고스펙을 위한 컨텐츠를 안 낸다는 비판이 나오기 때문. 하지만 최근 일명 '검밑솔'의 효율이 매우 좋고 그 이상의 보스, 소위 '세칼카'를 돌 수 있는 스펙업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검밑솔론이 대두되었고 초고스펙들이 동기를 잃어가는 상황이기에, 나와야 하는 시기였음은 분명하다. 특히 림보 소개 관련 영상 연출은 크게 호평받았다.
  • 보스 코인의 획득 조건 변경에 대해서도 논란이 심각하다. 기존처럼 단순히 보스 토벌 후 코인을 받아가는 형식에서 펀치킹 점수에 따라 코인을 받아가는 형식으로 변경되었는데, 이른 바 먹자를 막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먹자를 통한 소위 쌀먹 행위를 막는 시도에 대해 비판은 거의 없으나, '펀치킹'이라는 컨텐츠가 밸런스 형평성에 맞지 않아서 해당 컨텐츠에 불리한 직업들의 불만이 터져나오게 되었다. 하필 이번 쇼케이스에서 신규 6차 스킬 출시와 직업 밸런스 조정 관련 언급이 없었던 것으로 인해 그 불만이 극대화되고 펀치킹 2000점 이상 초고스펙 유저 전용 코인샵 개설로 밸런스 논란마저 더 심화되었다.[50][51] 설상가상으로 2차 테스트 서버에서 밝혀진 바로, 펀치킹 이벤트는 이전 보스 코인샵의 보스 코인 획득 조건과는 달리 주간마다 월드당 1번이 아닌 메이플 ID당 1번이라는 제약이 있고, 펀치킹 코인도 ID 공유가 아닌 월드 공유인지라 이전 DREAMER 이벤트까지 버닝 서버에서 코인샵 물품을 약간이나마 수입할 수 있던 것과 달리 양자택일이 강요되기 때문에 명백한 너프이다. 즉, 먹자 행위를 막기 위한 방향 쪽으로 치우쳐져 있어서 생긴 한계로 보인다. 다만 본섭에서 쳐본 결과에 따르면 하루윌을 솔격할 수 있는 전투력 5000만 정도면 충분히 기존과 같은 1600코인을 얻을수 있으며, 더 높은 스팩은 오히려 코인을 더 얻을 수 있다.

7. 기타

  • 성승헌 캐스터의 발언을 통해 간접적으로 최초 공개된 2023년 여름 업데이트와 달리 이번에는 김창섭 디렉터의 발언으로 간접 최초 공개되었다. 2024년 4월 Maple Now 생방송 막바지 부분에서 "하이퍼 버닝은 여름에 나온다"며 여름 업데이트 내용 1개를 미리 공개해 버렸다.[52] 또한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쇼케이스라 성승헌 캐스터가 안 나오는 것이 아니냐라는 우려가 있었으나, 5월 쇼케이스 테스트 방송에서 김창섭 디렉터가 성승헌 캐스터와 쇼케이스를 진행할 것이라고 언급해 일단 나오는 것은 확정되었다.
  • 하이퍼 버닝 외에는 스포로 유출된 내용이 없어서 메이플 LIVE 이후의 대형 업데이트 중에는 SAVIOR 업데이트와 함께 어떤 업데이트가 진행될지 알 수 없는 업데이트에 속한다.[53][54]
  • 2024년 5월 31일, 로스트아크가 여름 쇼케이스 2024 LOA ON SUMMER의 일정을 2024년 6월 8일 오후 4시로 발표하면서 처음으로 메이플스토리와 로스트아크의 업데이트 쇼케이스가 동시에 진행되었다. 메이플스토리 쇼케이스는 공식 유튜브 채널 7만명에 중계 방송 8만명까지 포함하면 동시 시청자 수 15만 명을 달성하였으며, 동시간대 진행된 로아온은 로스트아크 유튜브 공식 채널의 라이브의 최고 시청자 수는 25만 명을 기록하였고, 중계 방송의 15만까지 포함하면 동시 시청자 수는 무려 40만 명을 달성하였다.
  • 여름 쇼케이스지만 전체적인 시각에서는 가을까지 이어지는 여름&가을 대규모 업데이트다. 이례적으로 이번 MILESTONE는 11월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 이때문인지 공식이나 언론에서는 'MILESTONE 업데이트'라는 명칭보다는 '여름 대규모 업데이트'로 표현하고 있다.[55] 어떻게 보면 6월부터 겨울 업데이트가 시작되기 전까지의 메이플스토리는 MILESTONE 시기에 있다고 봐도 될 듯 하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서술된 내용을 존치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서술된 내용을 존치한다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 메이플스토리 인벤 등 커뮤니티에서 쇼케이스 영상 및 테섭 공개 일러스트에 메이플스토리 엔젤릭버스터 리마스터 남성혐오 논란과 유사한 손 모양이 있다는 논란이 제기되었다.
    3시간 45분 12초 지점의 힐라 손가락 3시간 26분 20초 지점의 케이라 손가락
    • 하지만 메이플 외부에선 대부분 메이플 소식에 신경을 안쓰고 있다. 어느정도 관심있는 여론마저 니들 알아서 해라는 의견 내지는 어차피 사료 주면 조용해질 거면서 또 사료 얻어먹으려고 여론전 펼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 2023년 11월 손가락 논란이 일어났을 때 메벤&메갤에선 혐오를 반대한다면서 자발적 기부 릴레이까지 진행해 놓고는 정작 타 게임과 다른 성향의 유저들에게 혐오 표현을 대놓고 쓰는 추태를 부리고, 쭐어 일베발언 논란이 터졌을 때는 혐오관련 논란임에도 무지성 쉴드를 치는 글이 대거 인기글에 올라오는 등 일베 관련 논란에는 관대한 태도를 보이는 내로남불식 태도를 보였다. # # 심지어 이런 혐오 문제는 현재 진행형으로, 현 메이플스토리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 및 의견은 "리선족들은 접었으면 메이플에 관심 갖지 말고 꺼져라"로 몰아가며, 논란이 발생한지 며칠 지나지도 않았는데 "리부트 너프는 김창섭의 업적이 맞으니 리스항구들은 물타기하지 말라" 며 리부트 유저들에 대한 혐오를 드러내는 글들이 인기글에 등재되고 있다. # 이번에 제기된 남성혐오 사안에서도 마찬가지인데, 메이플 인벤은 이전부터 여성혐오 성향이 강했으며 평상시에도 메이플과 관련 없는 여성 비하 및 갈라치기 글이 자주 올라오고 이런 글이 추천을 많이 받는 커뮤니티다. 그러니 그놈이 그놈으로 보일 수밖에 없는 것.
    • 같은 메이플 유저들인 리부트 서버 유저들도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들 역시 메이플 커뮤니티 내 혐오의 피해자였던 만큼 김창섭과 넥슨의 리부트 서버 죽이기에 동참하고 갓겜충 행세하며 메이플 유저들이 쌓아온 업보가 돌아오는거니 달게 받으라는 것이다.
    • 해당 일러스트는 정식서버 반영 단계에서 수정되었다.[56]그와중에 운영진이 유저와 열심히 소통한다고 생색을 내는 공지를 적어 논란이 되고 있다. #

8. 후속 패치

8.1. 메이플스토리 2024 하반기 업데이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이플스토리 2024 하반기 업데이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2023년에는 코로나 19가 종식되어 메잘알 아레나 이후 4년만에 오프라인으로 쇼케이스를 진행했다. [2] 여담으로 2024년 5월 27일 개방된 메이플 스퀘어 맵은 테스트를 종료한 후 들어갈 수 없도록 막혔다. [3] '메이플 스퀘어'라는 쇼케이스 전용 맵에서 진행될 예정인데, 한 맵에 대량의 많은 유저들이 몰리기 때문에 튕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4] 쇼케이스맵에는 스타플래닛의 BGM이 삽입되어 쇼케이스의 즐거움을 돋보이고 있다. [5] 해당 업데이트를 기점으로 메이플스토리가 미래로 나아가는 업데이트들이 진행될 것으로 추정된다. [6] 또한 김창섭 디렉터는 업데이트 명칭이 개발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딱딱한 명칭으로 보일 수 있어서 고민했으나 이만큼 잘 나타낼 수 있는 단어가 없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IT 개발에서 '마일스톤'이라는 단어는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 있어서 '분기', '전환점' 같은 의미로 쓰이는 용어다. 프로젝트를 여러 단위의 마일스톤으로 나누고 각 마일스톤마다 세부 목표를 선정하며, 마일스톤이 끝나면 진척도나 부족했던 점 등 팀 단위 회고를 진행하기도 한다. 즉 김창섭 디렉터는 '마일스톤 업데이트'를 메이플스토리의 중대한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는 뜻이다. [7] 말이 좋아 내실 다지기지 대부분의 유저들 사이에서 메이플스토리가 내실을 다진다는 것은 사실상 재밌는 신규 컨텐츠가 전무한 상황에서 기존 컨텐츠만 리뉴얼, 재탕하고 언제 진행해도 상관이 없을 편의성 개선만 주를 이루는 날로먹기 패치를 포장하는 것으로 취급된다. 왜 이러한 인식이 있냐면 실제로 전례가 여럿 있기 때문인데, 쇼케이스에서 선보일 내용에 자신이 없는 경우 이렇게 밑밥을 까는 모습을 자주 보였다. 티저부터 유저들의 평가가 나빴는데 실제 업데이트에서 여론이 반전된 사례는 단 한 번도 없다. 또한 제작진은 많은 유저와 즐기기 위해 온라인 쇼케이스를 선택했다고 말하지만, 그간 사례만을 본다면 온라인 쇼케이스에서 공개되는 업데이트 내용이 평가가 좋았던 경우도 전혀 없다. [8] 두 보스 모두 블록버스터에 출현한 보스이며, 블록버스터 스토리를 수정한 공통점이 있기에 데미안 역시 추후에 리마스터될 가능성이 있다. [9] 실제로도 신규 보스를 원하는 여론이 상당한 만큼 이번 여름에도 신규 보스가 안 나온다면 그 파장이 대단히 클 것이다. [10] 레이나의 경우에는 본진인 그란디스 대륙의 설산 지역이 아직 출시되지 않았고, 아르테리아의 훈장 이름이 '다시 만나길 기약하며'인 것으로 보아 레이나는 향후 이 지역이 공개될 시 이곳의 보스로 등장할 확률이 더 높다고 여겨지고 있다. 다만 카르시온의 입장 레벨이 285로 너무 높아서 그보다 허들이 낮은 280 지역인 아르테리아의 보스로 출시 될 것 같다는 의견도 없지는 않다. 그 근거로 검은 마법사의 군단장 힐라가 2번 보스로 나온 것 처럼 레이나 역시 아르테리아와 설산 지역의 보스 몬스터로 2번 출시 될 수도 있지 않냐는 것이다. [11] 다르모어의 사도가 아닌 레이드 보스가 신규 보스로 나온다면, 감시자 칼로스 가디언 엔젤 슬라임처럼 정규 지역이 아닌 보스 입장 전용 지역에서 도전하게 되는 형식을 가지게 될 가능성도 있다. [12] 그동안의 최고 공백기는 약 1년 6개월이다. 유앤아이(은월) - 리부트(키네시스),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블래스터) - 노바(카데나, 일리움), 메이플 LIVE(라라) - SAVIOR(칼리). [13] 이번 쇼케이스의 이름이 M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과거 GRANDIS처럼 이번에도 M을 시작으로 MASTERIA 패치가 이루어지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존재한다. [14] 실제로 강원기 총괄 디렉터도 어웨이크 업데이트 당시 컨텐츠 소모 속도 조절이라는 해괴한 명분으로 신규 컨텐츠를 출시하지 않았던 것에 대해 엄청난 비판을 받았고, 현재도 유저들이 강원기 총괄 디렉터를 부정적으로 회자하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다. 도전의 영역이나 소모 속도 조절 등의 명분은 NEW AGE와 같이 레벨업 완화, 지역 레벨 구조 개편으로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유저들 사이에서는 개발을 게을리하는 것을 애둘러 포장하는 핑계로 취급되고 있다. [15] 유명 메이플스토리 유튜버 춘자 또한 이를 근거로 290레벨 신규 지역이 출시될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초고스펙 사이에선 신규 보스의 레벨에 따른 추가 데미지 & 신규 지역의 어센틱심볼을 노리고 미리 290을 찍는 초 고인물 유저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특히나 신규 보스가 출시될 시 최유력 후보인 림보의 경우 출현 지역 특성 상 레벨 285 혹은 290으로 출시될 것이 확실시되는데, 이럴 경우 보스 최초격파를 경쟁하는 선발대급 초고스펙 유저들의 레벨링 또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 [16] 카르시온 에필로그가 블록버스터: 블랙헤븐,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의 에필로그와 유사하게 흘러가서 스토리 컨텐츠가 추가될 수도 있다. [17] 보통 카르시온의 최고 레벨 사냥터 어센틱포스 데미지 증가 최고치인 550까지 강화한 다음 더 이상 심볼 레벨을 올리지 않는, 일명 심볼 주차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8] 이 업데이트 이후로 윈7, 8, 8.1로 메이플스토리를 플레이 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19] 가을에 진행될 업데이트까지 포괄한다. [20] 아란과 은월이 함께 리마스터된 걸 보면, 영웅 직업군은 두 직업씩 묶어서 리마스터를 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럴 경우 영웅은 2번만 추가로 리마스터를 행하면 영웅 직업군의 리마스터는 완료된다. [21] 시그너스 기사단에 이어 두 번째로 여름 업데이트에 선보인 직업 리마스터다. [22] 차원의 도서관을 배경으로 두고 있으며, 이전 DREAMER의 루시드 드림 페스타처럼 군단장을 메인 주인공으로 둔 이벤트이다. 영상에서 반 레온, 아카이럼, 윌, 스우, 오르카, 힐라가 등장한 것과 이들의 과거를 일부분을 보여준 것을 보면 이들의 과거가 상세히 밝혀질 듯하다. 쇼케이스에 따르면 검은 마법사를 만나기 이전의 군단장들이 어떤 인물이었고, 어떤 사건들을 겪었는지에 대해 보여준다고 하며, 여름 업데이트가 종료된 이후에는 이벤트에서 풀린 이야기를 다듬어서 차원의 도서관 컨텐츠로 편입할 것이라고 한다. 이를 보아 군단장들의 과거 이야기는 차원의 도서관의 8번째 챕터에 배정되거나 다른 형태로 출시될 것으로 보이는데, MILESTONE 및 하반기 업데이트 소개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가 소개되지 않아 언제 출시할지는 알 수 없다. [23] 여기까지가 MILESTONE의 주 업데이트다. 후술은 비수기 시즌에 진행된다. [24] 신규 지역인 탈라하트와 프리머시 관련 스토리가 전개될 예정이라고만 언급했다. [25] 신규 지역이 290 지역이다 보니 진입 가능 유저가 적을 것을 고려하여 진입할 수 없는 유저들도 이와 관련된 스토리를 즐길 수 있도록 계획했다고 한다. [26] 기존 유저들은 성능 너프에 컨셉 변경까지 겪어서 평가가 좋지 않지만 신규 유저들 입장에서는 사실상 2개의 새로운 캐릭터가 생긴 거나 다름이 없는데다 여전히 유입에는 문제가 없는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두 집단의 평가가 극단적으로 갈리고 있다. [27] 이런 이펙트들이 우후죽순 생겨난 원인은 아델의 출시 당시 엄청난 인기 때문인데, 삼원색에서 벗어나지 않는 수준의 구식 이펙트와 효과음을 지닌 대부분의 직업과는 차별화되는 화려한 이펙트가 당시 사기적인 당시 스펙과 맞물려 PC방 점유율 최상위권과 매출을 뽑아낸 전적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화려한 이펙트라 해도 아델의 컨셉과 잘 맞기도 하고, 디테일이 살아 있어서 호평이 있던 것이지 이미 기존 직업들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근본 컨셉은 물론 디테일도 내던지고 아델보다 필요 이상으로 과하게 화려해진 결과 시각적 피로도가 훨씬 높아지고, 괴리감도 커져 플레이에 지장이 생길 정도가 되었다는 비판이 어마어마하다. [28] 엔젤릭버스터 리마스터 당시 키캡과 아크릴 스탠드를 만든 바 있고, 이번 쇼케이스 때 이펙트 관련 스토리북을 만들었다고 언급하였다. [29] 두 직업은 기존에 6차 비중이 높았던 직업인데, 핵심 6차를 리마스터로 칼너프를 당했다. [30] 총 500억x9 에서 100억x7로 약 85%감소(4500억>700억) [31] 해외 서버에서는 이미 적용되어 있던 개선 사항이다. [32] 실제로 팡이요는 쇼케이스 전 만족할 경우 "가지고 있는 아이템 중 스타포스 24성을 시도하겠다"고, 불만족할 경우 "부캐 하나를 추가로 포기하겠다"고 선언했는데, 쇼케이스 직후 대체로 만족한다는 평을 보이며 곧바로 데몬어벤져 캐릭터가 끼고 있던 23성 거대한 공포의 24성을 도전하였다. 결과는 시도 1번만에 스트레이트로 파괴. [33] 논란이 된 이미지는 1주일 후 본섭 패치 때 곧바로 수정되었다. [34] 컷신 스킵과 캐릭터 즉시 변경은 몇몇 타 게임(ex. 마비노기 영웅전)에서 도입된 바 있다. [35] 해당 기능은 2021년에 진행했던 메이플스토리 고객간담회에서 기술적인 문제로 구현이 어렵다고 밝혔으나 2024년이 되어서야 반영이 되었다. [36] 당연히 유상 판매는 하지 않고, 이벤트 보상으로 이동했다. [37] 베타테스트 예정이다. [38] OS 호환성이나 정상플레이 여부 등은 환경이 갖추어진 후에나 진행되겠지만 테스트 환경이 주어지는 것과 검토대상에서 제외되는 것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39] 리마스터 외에 추가된 것은 신규 에픽 던전 하나 뿐이라 해도 무방하다. [40] 이는 강원기 디렉터 재임 시절과도 차이점이 있는데, 강원기 디렉터 시절에는 편의성 개선 부분의 경우 쇼케이스 등 업데이트 발표에서 제대로 설명하지 않거나 빠르게 넘어가는 스타일이었던 반면 김창섭 디렉터는 이를 시간을 들여 세세하게 모두 설명하는 편이다. 오히려 빠르게 끝날 편의성을 세세하게 설명한 결과 쇼케이스 진행이 늘어지는 등 비판을 받고 있다. [41] 리마스터 패치의 경우, 해당 직업군을 키우지 않거나 관심이 없는 유저의 경우 흥미를 가지기가 어렵다. 이러한 업데이트 설명을 맨 앞에 배치하고 설명에 지나친 시간을 할애하는 바람에 해당 직업 유저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청자들이 관심도가 떨어져 쇼케이스에 집중하기 어려웠다는 평. [42] 약 1년 전 진행된 NEW AGE 쇼케이스도 러닝타임만 놓고보면 비슷했으나 이쪽은 전반부 60분 가량을 직업군별 테마곡 콘서트로 꾸몄기에 쇼케이스 자체로만 따지면 단연 이번 쇼케이스가 압도적으로 길었다. [43] 그나마 은월은 최근까지 구조를 완전히 뜯어 고쳐야 하는 직업 중 하나로 꼽혔으며, 아란은 악명높은 게이지 시스템에 극딜 방식이 난해하다는 평을 받고 있어 리마스터가 절실했다. [44] 각각 모험가(14개), 시그너스 기사단(6개) [45] 김창섭 디렉터가 이전에 마스터리 코어 위주로 밸런스 패치를 진행할 것이라고 했는데, 이번에는 겨울패치 이전까지 마스터리 코어 추가가 없음을 공표했기 때문이다. 보통 2차 업데이트로 마스터리 코어가 들어오기 때문에 사실상 1년간 밸패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이나 다름이 없다. [46] 상반기에 스우 개편과 함께 들어온 익스트림 스우 이벤트가 현재 직업 밸런스를 정확하진 않아도 어느 정도 파악하기 위한 용도를 겸해서 나온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을 정도로 빠른 시일 내에 밸런스 패치가 나올 것을 기대하는 유저가 많았다. [47] 장착하고 있는 장비를 교체하기 거의 불가능한 상태에서 가장 유의미한 스펙업을 보장받는 수단이 바로 신규 스킬이기 때문. [48] 기존까지 플레이하던 컨텐츠를 더 수월하게 즐길 수 있으며 새로운 스킬로 인한 스펙업으로 기존까지 플레이하지 못했던 상위 단계 보스를 도전할 기회가 생긴다. [49] 새로운 스킬을 받고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색다른 경험이 될 수 있기에 게임에 더 빠져들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6차 출시 당시 전직 과정이 힘들어도 6차 스킬을 써보고 싶어서 열심히 키웠다는 얘기도 많이 나올 정도이다. [50] 2000점이후 기점으로 1점당 총 한주당 50코인 상급 비밀 기록 코인을 지급하는 방식 [51] 지금 크게 화제되고 있지는 않지만 상급 비밀 기록 코인을 위해 펀치킹 대리를 맡기는 유저가 생길 수도 있다. [52] 사실 미리 공개라 하기에 애매한 게, 버닝 이벤트는 매 방학 이벤트마다 매번 진행해왔고 유입들이 제일 많이 몰리는 방학 시즌의 특성상 버닝 이벤트가 없으면 안 된다. 더군다나 테라버닝은 주년 이벤트나 가끔 작은 이벤트만으로도 뿌리는 편이기에 방학마다 하이퍼 버닝 진행 자체는 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53] 이 부분에서는 이전엔 5월 초에 쇼케이스 티저 영상이 업로드된 반면 이번 업데이트는 그런 것을 공개하지 않았고, 5월 16일이 돼서야 간략한 소개와 티저 정도가 공개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무엇보다 NEW AGE 이전에는 6차를 예상했고, NEW AGE 이후에는 디렉터들이 직접 인터넷 방송을 방문하거나 간략하게 언급을 했기에 어느 정도 추측이 가능했다. SAVIOR 경우에는 그나마 IGNITION 때 업데이트된 오디움에서 대적자 일행이 도원경으로 가는 내용이 나와 도원경 지역이 나올 것을 미리 알 수라도 있었지만, 이번에는 그런 게 전혀 없다. [54] DESTINY 때는 가디언 엔젤 슬라임의 업데이트 소개가 끝나고 난 후, 강원기 총괄 디렉터가 2021년 하반기 개발 방향성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2021년 겨울에 모험가 리마스터를 할 것을 예고하였으며, IGNITION 때도 이전과 비슷하게 DESTINY 3차 업데이트 정보센터 후반에 강원기 총괄 디렉터가 출연하여 2022년 여름에 시그너스 기사단 리마스터 및 신규 지역 오디움이 추가될 것이라 말했다. NEW AGE의 경우 20주년 프리뷰 영상에서 성승헌 캐스터가 여름 쇼케이스에서는 게임 플레이 및 컨텐츠 변화에 대한 내용이 소개될 것이라며 예측이 가능하도록 스포를 했다. DREAMER 때도 2023년 하반기 비전 토크에서 김창섭 디렉터가 겨울에 마스터리 코어와 공용 코어가 추가되고, 몬스터 라이프를 삭제하고 이를 대체할 새로운 시스템을 업데이트할 것이라며 각각의 방법으로 차기 업데이트 내용들을 하나씩 예고했다. [55] 이는 실제로 공식적인 업데이트 명칭은 없으나 편의상 메이플 LIVE로 불리었던 2021년 여름 업데이트와 상황이 비슷하다. [56] 파일:JwSodW.png 파일:egHexq.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