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4:19:23

13부


파일:신라13부.png
1. 개요2. 목록

1. 개요

신라의 중앙통치조직.

13개로 묶어 부르긴 하지만, 실제론 4개 부(部)와 9개 부(府)로 한자가 다르다. 다만 당나라 3성 6부제와 달리 이 기관끼리 예속관계는 없었다고 한다.

각 부의 장관은 령(令)[1]이다. 예를 들어 병부의 장관은 병부령.[2] 그 밑으로는 경(卿)[3], 대사(大舍)[4], 사지(舍知), 사(史) 등의 관직이 있었다. 이 관직들은 모두 토착 명칭으로, 경덕왕 시기 한화정책으로 인해 대사는 집사성과 병부의 경우 낭중(郞中), 나머지는 주부(郞中)로, 사지는 사x(司-)[5]로, 대감(大監)[6]은 시랑(侍郞)으로 고쳤으나 대다수가 혜공왕 대에 원래대로 돌아왔다. 사지의 경우 부처에 따라 노사지(弩舍知)나 조사지(租舍知)라고도 불렸다. 사정부와 이방부에는 사지가 없고 경 밑에 좌(佐)가 있었는데, 경덕왕때 평사(評事)로 개칭했었다.

보통 한 부처의 국무위원에 상응하는 벼슬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1명이 맡는 데에 비해 특이하게도 신라에서는 대등한 장관을 여러 명 임명하는 복수장관제를 채택했다. 병부령은 3명, 승부령은 2명, 예작부령이나 사정부령은 1명인 식으로 부서마다 정해져 있었다.

2. 목록

  • 4부(部)
    • 집사부(執事部): 신라 최고의 관부로 왕의 명령을 전달하고 기밀을 관리했다. 집사부의 기관장은 시중이었다. 오늘날 대통령비서실에 해당한다.
    • 병부(兵部): 군대와 관련된 업무를 관할하는 관부. 오늘날 국방부에 해당한다.
    • 창부(倉部): 세금을 걷고 재정을 관리하는 관부. 오늘날 기획재정부에 해당한다.
      • 상사서(賞賜署): 창부에 속하였으며 공훈(功勳)을 세운 이에게 포상을 주는 업무를 담당했다. 경덕왕때 사훈감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대에 원복되었으며, 장관은 대정(大正)이었다. 밑에는 좌, 대사, 사가 있었다. 현대의 국가보훈부와 비슷.
      • 사록관(司祿館): 관리의 녹봉과 식읍에 대한 업무를 관장했다. 감(監), 주서, 사가 있었다.
    • 예부(禮部): 교육과 의례를 담당하는 관부. 오늘날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에 해당한다.
      • 대도서(大道署): 승려에 대한 교육과 수련, 계율을 담당하던 부처. 장관은 대정이며 밑에 주서(대사), 사가 있었다.
      • 국학(國學)
      • 음성서(音聲署): 음악을 관장하던 기관. 경덕왕 대에 대악감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대에 원복되었다. 장(長) 두명을 두었는데 관위는 경 급이었다. 밑에 대사와 사가 있었다.
      • 전사서(典祀署): 나라의 제사를 맡아본 하급관부. 감, 대사, 사가 있었다.
      • 사범서(司範署): 유교적 의례를 담당하는 하급기관이라는 것만 알려져 있을 뿐 정확한 기능은 불명[출처]. 대사와 사가 있었다.
  • 9부(府)
    • 조부(調府): 전국 각 지방 특산물 관리와 부역 업무를 관할하는 관부.
    • 사정부(司正府): 감찰 업무를 담당하는 관부. 오늘날 감사원에 해당한다.
    • 예작부(例作府): 건물과 도로 등 토목 업무를 담당하는 관부. 오늘날 국토교통부에 해당한다.
    • 공장부(工匠府): 수공업 관리를 담당하는 관부. 오늘날 산업통상자원부에 해당한다.
    • 이방부(理方府): ( 율령)을 담당하는 관부. 오늘날 법무부에 해당한다.
    • 위화부(位和府): 관리 인사를 담당하는 관부. 오늘날 인사혁신처에 해당한다.
    • 영객부(領客府):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관부. 원래 왜전(倭典)으로 왜국( 일본) 쪽 업무만 담당하는 기관이었다가 진평왕 때 기능이 확대되었다. 참고로 왜전은 나중에 다시 별도로 독립한다. 오늘날 외교부에 해당한다.
    • 선부(船府): 선박 관리를 담당하는 관부. 원래 병부가 맡는 업무였는데 문무왕 때 분리했다.
    • 승부(乘府): 수레 관리를 담당하는 관부.

[1] 위화부에서는 금하신(衿荷臣)이라고 불렀다 [2] 군권과 가깝다는 점에서 신라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에서 병부령은 주요 인물로 등장하는 편이다. 선덕여왕 설원, 대왕의 꿈 김진주 등. [3] 위화부에서는 상당(上堂)이라고 불렀다. [4] 제감(弟監)이라고도 불렀다. [5] 해당하는 관부의 명칭이 붙었다. 예를 들어 예부는 사례(司禮), 승부는 사목(司牧), 창부는 사창(司倉), 예작부는 사례(司例), 병부는 사병(司兵)라 하였다. [6] 경(卿)과 동일한 급의 관직이다 [출처] 한영화 ( Han Young Hwa ). "신라 예부(禮部)의 성립과 운영." 人文科學 0.76 (2020): 97-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