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인덕원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동탄인덕원선/103정거장 문서
, '호계'를 풀어 쓴 역명을 사용하는 과천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범계역
문서
참고하십시오.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호계역 (폐역) |
||
역명 표기 | ||
동해선 |
호계 Hogye 虎溪 / ホゲ |
|
주소 | ||
울산광역시 북구 호계6길 30 ( 호계동)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
|
관리역 등급 | ||
폐역 |
||
개업일 | ||
경동선 | 1921년 10월 25일[1] | |
동해선 |
1936년 12월 1일[2] ~ 2021년 12월 28일 |
|
철도거리표 | ||
부산진 방면 ← 6.2 ㎞ |
舊
동해선 (폐역) |
효자 방면 7.2 ㎞ → |
[clearfix]
1. 개요
동해선의 폐지된 철도역, 울산광역시 북구 호계6길 30 ( 호계동) 소재.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로 은퇴 (준비)
호계역은 1922년 10월 동해남부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1936년 표준궤로 개량되었으나 1950년 공비의 내습으로 역사가 소실되어 1958년 옛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옛 역사는 40.74㎡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95.89㎡ 규모의 벽돌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로 2개의 화물홈과 2개의 야적장을 갖추고 있어 1980년대 후반까지 달천 철장의 철광석 운반을 위한 화물역이었으며 1992년부터는 일반 운수영업을 시작하기도 하였다. 오랫동안 도시와 함께 성장해온 역사로 2002년 11월 역사를 증개축하여 오늘까지 지역주민들의 삶을 함께해왔으나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 공사가 마무리됨에 따라 은퇴(를 준비)하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호계역은 1922년 10월 동해남부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1936년 표준궤로 개량되었으나 1950년 공비의 내습으로 역사가 소실되어 1958년 옛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옛 역사는 40.74㎡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95.89㎡ 규모의 벽돌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로 2개의 화물홈과 2개의 야적장을 갖추고 있어 1980년대 후반까지 달천 철장의 철광석 운반을 위한 화물역이었으며 1992년부터는 일반 운수영업을 시작하기도 하였다. 오랫동안 도시와 함께 성장해온 역사로 2002년 11월 역사를 증개축하여 오늘까지 지역주민들의 삶을 함께해왔으나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 공사가 마무리됨에 따라 은퇴(를 준비)하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호계역사 (1958년 준공) |
자신의 집에서 가까운 버스를 타고 호계역으로 가면 되기 때문에, 부산이나 대구로 갈 때는 기차가 제일 빠르고[5] 배차간격도 30~1시간 정도로 준수하기 때문에 간이역임에도 불구 이용객이 보통역 이상의 수준을 자랑하고, 포항이나 경주에서 텅텅 빈 채 들어오는 무궁화호가 호계역에서 꽉 채우고 나가거나, 부산에서 동대구로 가는 무궁화호가 물갈이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용객이 꽤 있어서 동해선 무궁화호의 필수 정차역이었으며 정차하고 있었으며 동해선 새마을호의 필수 정차역이기도 했었다.
1922년 10월 25일 경동선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36년 12월 표준궤로 개궤되었다.
1950년 무장공비의 습격으로 역사가 소실되었고 1958년 8월 8일에 지금의 역사가 준공되었다.
1977년 5월 16일부로 철도청고시 제10호에 따라서 수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2016년 울산광역시에서 호계역부터 효문역까지 동해선 폐선부지 일부를 활용한 트램을 운행하자는 방안이 논의된 적이 있었다.[6]
동해선 새마을호 폐지 후에도 호계역 승강장엔 새마을호 정차 위치 표지판이 비교적 오래 남아 있었으나, 2018년 9월에 역명판을 정비하면서 무궁화호 표지판만 남게 되었다.
2021년 11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234호에 의해 폐역이 고시되었고 2021년 12월 28일 폐지되었다.
폐지 이후 역사는 2022년 5월 11일부터 8월 1일까지 농소1동 파출소가 리모델링하면로 임시파출소 건물로 활용되었다.
2023년 초부터 옛 호계역 구내에 기후대응숲 공사가 진행되었고, 2024년 1월에 준공되었다. #
2020년에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은 울산 도시철도망 구축 계획에 따르면 울산 도시철도 3호선 호계 방향 연장을 고려하고 있다.
3. 역 주변 정보
역전에는 상가가 밀집하고 호계공설시장이 있으며 매월 1과 6이 들어간 날짜에는 길거리에 장이 열린다.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2004년 | 242명 | |
2005년 | 353명 | |
2006년 | 395명 | |
2007년 | 515명 | |
2008년 | 583명 | |
2009년 | 671명 | |
2010년 | 779명 | |
2011년 | 1,174명 | |
2012년 | 1,423명 | |
2013년 | 1,873명 | |
2014년 | 1,957명 | |
2015년 | 1,943명 | |
2016년 | 1,884명 | |
2017년 | 1,915명 | |
2018년 | 1,972명 | |
2019년 | 1,966명 | |
2020년 | 1,222명 | |
2021년 | 1,323명 | [7]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 울산광역시 북구 중 울산공항 이북 지역인 농소1~3동을 역세권으로 삼는다. 한때는 일일 이용객 수가 100명에 불과해 폐지까지 검토되었으나 2008년 농소동 일대에 대규모 택지지구가 개발되면서 이용객 수가 점차 증가했다. 기사 2015년까지 고유가 추세 때문에 이용객이 늘었다가, 2015년부터 유가하락에 의해 자차 인구가 늘면서 이용객이 이탈하였다.
- 2016년 말 호계매곡지구 입주로 인해 이용객 수가 다시 반등 추세로 돌아섰다. 송정지구 입주도 있기 때문에 이용객 수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 태화강역이 울산광역시 동쪽에 치우쳐져 있어, 울산 - 부산 수요 중 상당수가 직행좌석 버스[8]로 이탈했지만, 호계역 역세권에선 역 접근성이 괜찮기 때문에 동해선을 더 선호한다. 게다가 울산-부산간 버스 중 북구지역까지 유일하게 들어오는 1127은 농소동 시가지로 들어오지 않고 농소공영차고지에서 끊긴다.
- 울산 도심에 위치한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은 농소동 일대에서 상당히 떨어져 있으며, 시내버스로 이동하려면 40~50분 이상 걸린다. 따라서 동해선을 이용하는 것이 이용시간면에서 훨씬 더 이득이다. 게다가 도심 교통체증까지 감안한다면 더더욱.
- 동해선의 수많은 역처럼 동대구/부산행 수요로 양분되는 경향을 보이며, 경주 방면 수요도 상당수 존재한다. 동대구역 방면 KTX 환승수요도 제법 있는데, 울산역까지 5005번이 들어오긴 하나, 시간 면에서 큰 메리트가 없고 무궁화는 환승할인이 적용되기 때문에 5005는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9] 태화강역이 동쪽으로 치우쳐져 있으며, 호계쪽이 울산 도심과는 별도의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호계역 ~ 태화강역간 로컬 수요는 거의 없다.
5. 기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에 있는 과천선 범계역(범溪驛)의 공사 당시 역명이 호계역이었고 이 역과는 한자도 같았다. 역명 중복을 피하기 위해 과천선의 역은 호계의 '호(虎)'자를 를 순우리말인 범으로 풀은 '범계'로 정해졌다.
김원일의 소설 미망에서는 주인공의 고모네가 식당을 했던 곳으로 호계역전이 등장한다. 또 최종두 시인이 쓴 호계역이라는 시가 있다.
6. 둘러보기
동해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산진† -
범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동† - - - - - - - -
모량† - - - - - - -
부조† - - - - - - - - - - - - - - - - - - - - - - |
}}}}}}}}} |
[1]
최초 개업일 (
협궤로 개설)
[2]
표준궤화로 부산까지 연결된 날짜
[3]
농소, 호계, 천곡, 달천, 매곡
[4]
북동부 지방에서는
남구
삼산동에 있는
시외/
고속터미널로 가기 상당히 불편하고 멀기 때문.
[5]
농소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1127번도 저렴하면서 꽤 빠르게 갈 수 있긴 하지만, 종점이 시내에서 좀 동떨어진 노포동터미널이다. 호계역에 서는 열차는 시내 쪽인 서면에 가까운
부전역을 경유하며,
신해운대역까지 한시간이 채 걸리지 않는다.
[6]
#,
#
[7]
1월 1일부터 12월 27일까지 36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8]
1127,
1137,
2100(2300)
[9]
5005번 대수요처로 가정되었던
울산우정혁신도시에선 정작 자체 통근버스를 이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