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선 포스터 |
1. 알리기 위한 것
poster누군가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벽에 부착하는 종이를 말한다. 대자보와 비슷하다. 포스터는 좀 더 인포그래픽의 특성이 두드러지는 편. 주로 뮤지컬, 연극, 영화 등의 공연이나 정치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붙인다. 사람이 많이 오가는 곳에 붙인다. 광고를 위한 전단지나 찌라시도 포스터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정치를 할 때 필수품이다.
1.1. 선거 포스터
대한민국 공직선거법 상 용어로는 선거벽보라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 선거 포스터 크기는 주로 B4 용지나 A3 용지를 쓰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A3 용지를 사용한다.한국의 경우, 공직선거법에 따라 선거벽보에는 후보자의 성명, 소속 정당 및 기호가 반드시 표기되어야 한다.[1] 여기에 더해 선거구호(슬로건) 및 약력 정도가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사소해 보여도 후보를 홍보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수단이기 때문에, 많은 정당이나 후보자들이 벽보에 꽤나 공을 들인다. 특히 대선 벽보는 정당의 홍보 역량을 총집결한 것이라 봐도 지나치지 않다. 유명 디자이너들과 카피라이터 등을 섭외하여 슬로건은 물론이고 사진의 구도, 후보자의 표정 및 제스처, 세세하게는 기호나 후보자 성명의 글씨체나 크기를 어떻게 할 것인가까지도 신중하게 결정한다.
대체로 후보자 및 정당의 인지도가 높을수록 포스터는 심플해진다. 예를 들어 유명하지 않은 후보들[2]은 벽보에 온갖 수식어나 약력을 적어넣는 경우가 많다. 그래야 조금이라도 주목을 끌기 때문이다. 반면 인지도의 끝판왕이라고 할 수 있는 대선 유력 주자들의 벽보에서는 약력 없이 슬로건만 부각시키는 게 일반적이다. 어차피 그쯤 되면 저 사람이 누군지 대부분이 알고 있으므로 굳이 약력을 쓸 이유가 없는 것이다.[3]
싱가포르 인민행동당 2020년 싱가포르 총선 포스터. 리셴룽이 활짝 웃는 표정을 짓는 것이 특징이다. 기사
학교에서 전교 회장, 부회장을 선출할 때도 포스터를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큰 도화지나 납작한 스티로폼에 POP형식의 손글씨나 프린터로 알록달록하게 이름,사진, 공약을 적으며, 실제 정치인들의 선거 포스터와는 느낌이 많이 다르다. 학교 선거용 포스터 제작 업체도 있다.
1.2. 축제 포스터
여러 학교나 지역 축제시 포스터를 많이 활용한다. 특히 해산물 축제나, 매년 정기적으로 이뤄지는 축제의 경우 포스터가 매우 중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출처1.3. 영화 포스터
영화의 경우엔 포스터가 중요하다. 트레일러나 클립 등으로 홍보를 하기도 하지만 포스터의 이미지가 관객들을 끌어당기는 1차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단관 극장 시절에는 포스터에 극장명을 표기했다. 2010년대 들어서 의도적으로 복고풍 포스터를 만드는 게 유행하기도 했는데 워너 브라더스의 경우 《 인터스텔라》의 오피셜 복고풍 포스터를 만들기도 했다.
1.3.1. 초기
찰리 채플린의 《 서커스》(1928년작).
당시의 영화는 대부분이 흑백 영화였다. 하지만 포스터만큼은 컬러였다. 출연한 간판스타의 얼굴이든 영화를 압축하는 멋진 문구든 영화 안에서의 가장 멋진 장면이든, 그것을 이용하여 관객을 극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 포스터를 가장 아름답게 꾸미는 것은 이 당시부터 시작되었다.
알프레드 히치콕의 《39 계단》(1935년작).
세실 B. 드밀의 《 지상 최대의 쇼》(1952년작).
나단 유란의 《지구에서 20만 마일》(1957년작).
이후 포스터는 영화를 담은 문구 & 대문짝만한 주인공의 얼굴 & 큼지막한 제작자의 이름 & 두꺼운 영화 이름으로 정형화되어 1960년대까지 이어져 가게 된다. 위의 영화들은 각종 상을 받은 유명한 영화들이다. 그럼에도 "정보의 과다" 를 보여주는, 어떤 것이 진짜 주인공인지를 알 수 없는 모든 정보가 튀고 싶어 난리를 치는 조잡스러운 포스터를 만드는 데는 분명 수 많은 사람들의 관여와 헤비급 디자이너가 아닌 그저 그런 디자이너가 만들었다고 보여진다. 그래서 최종 단계로 들어서면 당초 생각했던 것의 정반대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허다했다. 덕분에 영화는 컬러로 진보하였지만 영화를 볼 수 있도록 설득하는 포스터는 퇴보하였다.
참고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 영화 포스터는 1932년작 임자 없는 나룻배의 포스터다.
1.3.2. 혁신
I want to make beautiful things, even if nobody cares (비록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더라도 아름다운 것을 만들고 싶다.)
- 솔 배스
- 솔 배스
당시 솔 배스라는 디자이너는 20대임에도 불구하고 할리우드에서의 본격적인 커리어를 쌓고 있었다. 그는 이전의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깔끔하고 영화의 내용을 압축한 포스터와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를 만들며 자신만의 입지를 확고히 만들었다. 물론 이런 일이 가능했던데는 기존과 다르게 스튜디오의 힘이 약해지고 감독의 권한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알프레드 히치콕이나 오토 프레밍거와 같은 감독은 영화만이 아니라 포스터에도 영향력을 끼쳤다. 그들은 정형화 되어 있던 영화 포스터의 방식을 벗어나고자 했고, 그 답이 솔 배스였다. 당시 그의 이름이였던 솔 배스는 그 이름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스타일로 대표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영화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의 선구자이자 영화를 홍보하는 모든 프로모션 인쇄물에 일관된 아이덴티티를 부여한 최초의 디자이너로 추양되고 있다. 현재까지도 그의 아이디어는 각종 영화에 사용되고 있다.
그가 만든 포스터들 중 단연 최고를 뽑자면 싸이코와 황금 손을 가진 남자를 꼽을 수 있다.
오토 프레밍거의 《 황금 손을 가진 남자》(1955년작).
알프레드 히치콕의 《 싸이코》(1960년작).
황금 손을 가진 남자는 헤로인에 빠진 남자 주인공이 마약 중독을 극복해 나가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솔 배스는 이 내용을 착안하여 헤로인을 집기 위해 뻗는 팔을 핵심 이미지로 삼아 기하학적으로 꺾인 팔을 디자인 하였다. 이는 보는 이로 하여금 강렬함을 선사하는가 하면 영화의 내용을 상징적으로 내포한다. 그가 만든 황금 손을 가진 남자의 포스터와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는 1950년대 할리우드에 대단한 센세이션을 일으켰고 당대 최고의 감독이라고 불리던 알프레드 히치콕의 러브콜을 받으며 최고의 디자이너로 승승장구하게 된다. 또한 그는 히치콕의 영화에서도 혁신적인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선보이며 다시금 그의 능력을 입증하게 된다.
이런 감독과 디자이너의 노력으로 영화 포스터는 어떤 것이 메인이 돼야 하고 어떤 것이 그것을 받쳐주는 보조 역할을 해야 하는지 더욱 명확해졌다.
자크 타티의 《 월로씨의 휴가》(1953년작).
이와 별개로 유럽은 작가주의의 영화가 성행하면서 미학적인 포스터가 주를 이루게 된다. 자크 타티는 월로씨의 휴가와 같은 포스터로 이런 작가주의 성향의 포스터의 선구자급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외에 프랑스의 디자이너들 역시 작가주의 스타일의 포스터를 만들며 이후의 포스터에 큰 영향을 주었다.
《 택시 드라이버》의 포스터.
1.3.3. 1980년대
1989년 뒤늦게 한국에서 개봉한 《택시 드라이버》의 포스터.
1.3.4. 1990년대
의도적으로 저렴한 페이퍼백 느낌을 살린 《 펄프 픽션》의 포스터.
1.3.5. 2000년대
《 올드보이》의 해외 개봉 포스터.
1.3.6. 2010년대
1.3.6.1. 한국에서
홍보 문구 속지 않는 법 |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다수의 디자인 업체들을 취재해 취합, 정리한 기사가 있는데 결국은 클라이언트(투자자)의 압박으로 인해서 이런 일들이 많다고.《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포스터는 투자자들의 이런 압박이 얼마나 포스터를 망쳐놓을 수 있는지 보여준다. 또한 한 TV 프로그램에선 실제로 지방 쪽일수록 배우의 얼굴이 크게 클로즈업되는 버전으로 포스터를 만들어 붙인다고 밝히며 일례로 브루스 윌리스가 나오는 영화의 포스터를 보여줬는데, 그나마 서울 버전은 상반신 컷인 반면 지방 버전은 아예 얼굴만 크게 나왔다.
1.3.6.2. 일본의 경우
역시 배우들의 얼굴을 실어 놓는 것으로 유명하다. 다만 한국과 달리 주조연 배우의 모습을 좋은 구도로 배치하기보다도, 일부러 배우의 얼굴만을 클로즈업한 사진 바로 밑에다 이름과 역할을 달아 놓는 고전적인 구성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게다가 영화에 등장하는 장면과 각종 선전 문구를 포스터에 전부 넣어서 굉장히 난잡해 보인다. 일례로 라라랜드의 한국판 포스터에는 한 줄의 카피와 두 주인공이 키스하는 모습만 들어가 있어 간결하지만, 일본판 포스터에는 심지어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는 장면[4]들을 도배하기도 하고, 오스카 상을 수상했다는 대문짝만한 카피를 볼드체로 전면 배치하기도 했다. 비교적 딱딱한 폰트도 한몫해 난잡한 느낌을 준다. 일본 네티즌들로부터도 색상이 지나치게 난잡하다거나 한국, 미국, 중국, 홍콩, 대만등에서 만들어진 포스터보다 훨씬 못하다면서 혹평을 받는 경우가 다반사이지만 결정권을 쥐고 있는 투자가들이나 상사들이 인터넷 따윈 없었던 아날로그 시대의 관행이나 선전문구를 넣어고 색상도 뽀샤시하게 넣어야 흥행이 된다는 식의 고정관념 때문에 개선이 되지 않는 모양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일본에 수출되는 한국드라마도 마찬가지라서 수입사측 간부들이 한국드라마는 로맨스물이 주로 흥행하니까 로맨스풍의 분위기를 내야한다는 고정관념으로 DVD 포스터를 분홍분홍하게 만드는데다가 글씨를 쓸데없이 크게 키우는 경우가 많아서 분위기 깨게 만든다는 평이다. 그나마 멜로드라마 물이라면 모를까 형사물이나 사극에서도 분홍분홍한 포스터를 내놓는 경우도 있어서 실소를 자아내는 경우도 있다.
1.3.7. 2020년대
2020년 개봉인 미나리의 포스터
2021년 개봉인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의 포스터
이렇게 포스터의 기술도 아주 많이 발전했다.
1.3.8. 기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영화포스터에는 해당 영화가 상영되는 영화관 목록이 모두 적혀있었다. 2002년 개봉한 맨 인 블랙 2 개봉 사진으로, 지금은 사라진 추억의 극장 이름들이 깨알같이 보인다. 당시 점포가 몇 개 없었던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도 적혀있다. 이 때까지만 해도 대형 멀티플렉스의 힘이 크지 않자 일반 극장의 영향력이 여전히 컸고, 또 극장에 따라 올라가는 영화가 달랐기 때문에 이렇게 전부 적어놓는 게 관행이었다.
이 후 인터넷 발달로 영화 상영 여부를 손쉽게 확인 가능해지고, 일반 극장이 몰락이 가속화되면서 2004년부터 포스터에서 극장명은 전부 빠지게 되었다. 대신 영화 홍보용 웹사이트나 네이버 영화 / 다음 영화 등 영화포털 URL이 적혀있었다.
1.4. 게임 포스터
아케이드 게임 포스터의 자세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홈케이드 문서
의
포스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영화 포스터와 동일하게 아케이드 게임은 80,90년대의 시대 배경상 가장 직접적인 1차적 홍보요소로 게임 역사 박물관에 관련 코너가 따로 설치되어 설명이 되어있을 정도로 중요시된다.[5]
극장 포스터와 여러모로 비슷한 부분이 많은데 업소용 비매품이고 소모품이라 오리지널 포스터가 수집가들 사이에서 고가로 매매되는 것도 동일하다.
1.5. 여담
주로 초등학생에게 주어지는 과제로 ' 금연 포스터' 그리기가 있는데, 2024년 7월 중순 "포스터 그리기도 귀찮다. 이젠 좀 금연해라."는 문장을 적어내 제출한 포스터가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었다. 포스터 제작자는 광주 치평초등학교 6학년 심지훈 학생이며, 2년 전 이 포스터로 금연 포스터 대회 장려상을 받았다. 위 문장의 촌철살인과 귀차니즘에 더불어, 손에 담배를 연필처럼 쥐고 연기로 그 흔적을 남기다가 담배꽁초 중간을 꺾는 묘사가 인상적이어서 그의 창의성을 칭찬하는 댓글이 많이 달렸으며, 심지어는 "이 정도면 인생 2회차 아닌가?" 하는 댓글까지 달렸다고 한다.
2. 성씨
Foster. 영미권의 성씨.2.1. 실존인물
- 노먼 포스터
- 로버트 포스터
- 스티븐 콜린즈 포스터
- 조디 포스터
- 벤 포스터 - 왓포드 FC 골키퍼
- 벤 포스터 - 미국의 배우
- 프레이저 포스터 - 토트넘 홋스퍼 FC 골키퍼
- 마커스 포스터 - 前 원주 DB 프로미 농구선수
2.2. 가상인물
- 그로우 랜서Ⅲ - 휴이 포스터
- 마블 코믹스 - 제인 포스터
- 멋진 신세계 - 헨리 포스터
- 묘약마녀 - 그레이스 포스터
- 바람과 별무리 - 줄리안 포스터
- 배틀스타 갤럭티카 - 토리 포스터
- 살육의 천사 - 아이작 포스터
- 쪽빛보다 푸르게 - 티나 포스터
- 킬링 플로어 2 - 포스터 씨, 포스터 부인
- Foster's Home for Imaginary Friends - 프랭키 포스터
[1]
의외로 후보자의 사진은 필수가 아니며, 소속 정당 또한 당명을 직접 명기하는 대신 로고 등으로 갈음할 수 있다.
[2]
군소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물론이고, 기초의회의원 같은 경우는 애초에 후보자 인지도가 낮기 때문에 거대정당이라고 크게 다르지 않다.
[3]
사실 벽보에 텍스트가 많으면 시각적으로 산만해져서 후보자를 부각시키는 데에 역효과를 낼 수 있다.
[4]
물론 맥락을 모르면 스포일러가 아니다.
[5]
요즘처럼 인터넷으로 광고하는것과 달리 80년대에는 포스터가 없으면 매장에 들어 가지 않으면 어떤 게임이 있는지 알수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