應 응할 응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心, 1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7획
|
||||
중학교
|
|||||||
応
|
|||||||
일본어 음독
|
オウ
|
||||||
일본어 훈독
|
こた-える, いら-える,
こた-える, まさ-に |
||||||
应
|
|||||||
표준 중국어
|
yīng, yì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應은 '응할 응'이라는 한자로, '응(應)하다', ' 대응(對應)하다', ' 반응(反應)하다'와 순우리말로는 '따르다' 등을 뜻한다.2. 상세
소리를 나타내는 䧹과 뜻을 나타내는 心이 합한 형성자. 䧹는 '매 응', '응할 응'이 다 되는데, 자원이 불명확해서 매와 연관하는 해석이 있고, 응하다와 연관하는 해석도 있다. 䧹은 갑골문에서는 새 위에 어떤 모양이 있는 형태인데, 이후 금문에서 새는 새 추(隹)자로 잘 옮겨졌지만 그 위의 모양은 厂, 广, 广+人 등 파행적으로 변해갔다. 가장 복잡하게 변한 것은 𤸰(疒+人+隹). 설문해자에서 이 가장 복잡한 자형을 채택했지만 다행히도 현재 표준은 그보다는 좀 더 간략한 형태가 됐다.이 글자는 중국에서 다음자(多音字)로 '마땅히 ~해야 한다(should)', '응당(應當)'의 뜻일 때는 평성으로, '반응하다'(to react), '대답하다"(to reply)의 뜻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한 중 일에서 쓰는 한자의 모양이 각각 應, 应, 応으로 모두 다르다.
간체자 应은 應의 초서체에서 유래하였다. 亻와 隹가 각각 선 1개와 2개로 줄어들고, 心이 一로 줄어든 것.
3. 용례
3.1. 단어
- 반응( 反應)
- 감응반응( 感應 反應)
- 거부반응( 拒 否 反應)
- 무반응( 無 反應)
- 양성반응( 陽 性 反應)
- 역반응( 逆 反應)
- 음성반응( 陰 性 反應)
- 재결합반응( 再 結 合 反應)
- 탈수반응( 脫 水 反應)
- 화학반응( 化 學 反應)
- 감응( 感應)
- 대응( 大應)
- 대응( 對應)
- 보응( 報應)
- 부응( 副應)
- 불응( 不應)
- 상응( 相應)
- 순응( 順應)
- 고도순응( 高 度 順應)
- 기후순응( 氣 候 順應)
- 명순응( 明 順應)
- 색순응( 色 順應)
- 순응력( 順應 力)
- 순응성( 順應 性)
- 순응장( 順應 章)
- 순응하천( 順應 河 川)
- 암순응( 暗 順應)
- 응급(應 急)
- 응급수단(應 急 手 段)
- 응급수술(應 急 手 術)
- 응급실(應 急 室)
- 응급조치(應 急 措 置)
- 응급책(應 急 策)
- 응급처치(應 急 處 治)
- 응급치료(應 急 治 療)
- 응급환자(應 急 患 者)
- 응답(應 答)
- 응당(應 當)
- 응대(應 對/應 待)
- 응력(應 力)
- 응모(應 募)
- 응보(應 報)
- 응분(應 分)
- 응수(應 手/應 囚/應 需/應 酬)
- 응시(應 試) 이 경우는 시험을 본다는 뜻이다. 뚫어져라 매섭게 쳐다본다는 뜻의 응시는 鷹 視로 쓴다.
- 응용(應 用)
- 응원(應 援)
- 응접(應 接)
- 적응( 適應)
- 조응( 照應)
- 향응( 響應/ 饗應)
- 호응( 呼應)
이외에도 '반응'이 들어가는 한자어는 셀 수 없이 많다.
3.2. 고사성어/ 숙어
- 감응납수( 感應 納 受)
- 감응도교( 感應 道 交)
- 동성상응( 同 聲 相應)
- 사방향응( 四 方 響應)
- 산명곡응( 山 鳴 谷應)
- 삼밀상응( 三 密 相應)
- 소소응감( 昭 昭應 感)
- 수기응변( 隨 機應 變)
- 수미상응( 首 尾 相應)
- 수시순응( 隨 時 順應)
- 수시응변( 隨 時應 變)
- 순천응인( 順 天應 人)
- 연쇄반응( 連 鎖 反應)[1]
- 응구첩대(應 口 輒 對)
- 응기입단(應 機 立 斷)
- 응대여류(應 對 如 流)
- 응문지동(應 門 之 童)
- 응물무적(應 物 無 迹)
- 응시이출(應 時 而 出)
- 응유진유(應 有 盡 有)
- 응접무가(應 接 無 暇)
- 응접불가(應 接 不 暇)
- 응천순인(應 天 順 人)
- 응하지수(應 下 之 數)
- 응행격식(應 行 格 式)
- 인과응보( 因 果應 報)(=因果報應(인과보응))
- 임기응변( 臨 機應 變) 줄여서 '應變(응변)'이라고도 한다.
- 좌수우응( 左 酬 右應)
- 표리상응( 表 裏 相應)
- 함개상응( 函 蓋 相應)
3.3. 인명
- 이하응( 李 昰應) - 흥선대원군. 고종의 생부
- 권응수( 權應 銖)
- 김응민( 金應 民)
- 김응용( 金應 龍)
- 김응우( 金膺 禹)
- 남응하( 南應 夏)
- 마니응개( 亇 尼應 介)
- 방응모( 方應 謨)
- 서재응( 徐 在應)
- 유응룡( 劉應 龍)
- 유응부( 兪應 孚)
- 이응( 李應)
- 이응경( 李應 敬)
- 이최응( 李 最應)
- 이응노( 李應 魯)
- 잉창치(應 昌 期) - 대만의 바둑 애호가이자 재벌. 1988년에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를 창설하였다.
- 조응천( 趙應 天)
- 조중응( 趙 重應)
- 최응찬( 崔應 璨): 성우
- 허잉친( 何應 欽)
- 가쓰시카 오이( 葛 飾 応 為)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일본어에서 応의 음독은 본디 おう이지만, 反応(반응)의 발음은 はんおう가 아니라 はんのう이며, 感応(감응)의 발음은 かんおう뿐 아니라 かんのう도 된다.또한, '응하다'는 일본어로 応する가 아니라 応じる이다. 따라서 '응했다'는 応した가 아니라 応じた가 되는 식이다.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𩦵[⿸䧹馬](영양 령)
- 𧸛[⿸䧹貝](옳지않을 안)
- 膺/ 𩪠[⿸䧹骨](가슴 응)
- 噟(대답할 응)
- 鷹(매 응)
- 𥊹[⿸䧹目](응시할 응)[2]
- 譍(응할 응)
- 𡢦[⿸䧹女]
- 𢋗[⿸䧹火]
- 𢋩[⿸䧹瓦]
- 𭚑[⿸䧹高]
- 𲀌[⿸䧹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