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12 21:30:36

올림픽 농구

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하계올림픽 종목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올림픽 농구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농구 픽토그램_원형.svg
2020 도쿄 올림픽 픽토그램
시범 종목 채택 1904년
정식 종목 채택 1936년 (남자)
1976년 (여자)
참가 자격 IOC에 등록된 국가 중 개최국
예선을 통과한 11개국
최근 우승팀 미국 (남자 / 2020)
미국 (여자 / 2020)
최다 우승팀 미국 (남자 / 16회)
미국 (여자 / 8회)

1. 개요2. 역사3. 한국의 올림픽 농구 도전사4. 역대 대회 결과
4.1. 남자4.2. 여자
5. 메달 순위
5.1. 남자5.2. 여자

[clearfix]

1. 개요

올림픽의 종목 중 농구 종목에 관해 정리한 문서.

2. 역사

올림픽 농구가 주목을 받게 된건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 미국이 NBA 선수들로 선발한 일명 드림팀을 구성하면서 부터다. 미국의 이런 결정은 NBA가 세계화를 추진하면서 이뤄진 성과로 결과적으로 NBA의 세계화는 성공했으며 미국을 벗어나 세계적인 인기와 더불어 전세계 다양한 국가의 선수들이 NBA에서 뛰는 결과를 낳게 했다.

FIBA에서 FIBA 농구 월드컵의 대회 권위를 높이기 위해 2020 도쿄 올림픽부터 올림픽 축구처럼 나이 제한을 추진하려 했으나 IOC의 반대에 부딪히고 있다.[1] NBA에서도 자국 선수 보호 때문에 나이 제한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FIBA 농구 월드컵의 개최년도가 18회 대회부터 올림픽 바로 전년도에 개최되기 때문에 국제대회를 연달아 치러야 하는 국가들의 입장, 특히 일정이 빡빡한 NBA 선수들에게는 힘들어질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농구 월드컵과 올림픽이 연달아 개최하면서 축구 월드컵을 피해 개최년도를 옮긴 농구 월드컵이 오히려 올림픽에게 피해를 받고 있다. 다른 나라들은 문제없지만 NBA에서 뛰는 미국 선수들이 농구 월드컵보다 올림픽을 중요시하면서 당장 2019년에 중국에서 열릴 2019 FIBA 농구 월드컵 중국에 참가하는 미국 대표팀 선수 구성이 전 대회에 비해 무게감이 많이 떨어졌다.

2020 도쿄 올림픽부터는 3X3 농구 종목이 추가되었다.

3. 한국의 올림픽 농구 도전사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은 1948 런던 올림픽에서 8강을 갔으나 1956 멜버른 올림픽, 1964 도쿄 올림픽,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 1988 서울 올림픽, 1996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모두 조별 탈락을 겪었다. 설상가상으로 2024 파리 올림픽에서는 실격을 당해 당분간 한국 남자 농구 대표팀을 올림픽에서 보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대한민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첫 출전과 동시에 은메달을 땄으나 1988 서울 올림픽, 1996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조별 탈락, 2000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4위를 했고, 2004 아테네 올림픽, 2008 베이징 올림픽, 2020 도쿄 올림픽에서는 조별 탈락을 겪었다.

4. 역대 대회 결과

4.1. 남자

팀 성적
대회 개최도시 금메달 결과 은메달 동메달 결과 4위
1936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베를린 미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19–8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26–12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194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헬싱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4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
1948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 미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65–21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52–47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1952 파일:핀란드 국기.svg 헬싱키 미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36–25 파일:소련 국기.svg 소비에트 연방 우루과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68–5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1956 파일:호주 국기.svg 멜버른 미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89–55 파일:소련 국기.svg 소비에트 연방 우루과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71–6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6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마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라운드 로빈 파일:소련 국기.svg 소비에트 연방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라운드 로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964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73–59 파일:소련 국기.svg 소비에트 연방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76–60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1968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65–50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소비에트 연방 파일:소련 국기.svg 70–53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1972 파일:독일 국기.svg 뮌헨 소비에트 연방 파일:소련 국기.svg 51–5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쿠바 파일:쿠바 국기.svg 66–6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976 파일:캐나다 국기.svg 몬트리올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95–74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소비에트 연방 파일:소련 국기.svg 100–72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980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유고슬라비아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86–7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소비에트 연방 파일:소련 국기.svg 117–94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984 파일:미국 국기.svg 로스앤젤레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96–65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88–82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98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소비에트 연방 파일:소련 국기.svg 76–63
(연장)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78–49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92 파일:스페인 국기.svg 바르셀로나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117–85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82–78 파일:오륜기.svg 연합
1996 파일:미국 국기.svg 애틀랜타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95–6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80–74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000 파일:호주 국기.svg 시드니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85–75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89–71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004 파일:그리스 국기.svg 아테네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84–6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104–96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2008 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118–107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87–75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2012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107–100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81–7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016 파일:브라질 국기.svg 리우데자네이루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96–66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89–88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020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87 - 8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107-93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2024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 -
2028 파일:미국 국기.svg 로스앤젤레스 - -

개인 기록
대회 득점왕 평균득점 대회 MVP[2]
1988 파일:브라질 국기.svg 오스카 슈미트 42.3
1992 파일:브라질 국기.svg 오스카 슈미트 24.8
1996 파일:브라질 국기.svg 오스카 슈미트 27.4
2000 파일:호주 국기.svg 앤드류 게이즈 19.9
2004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우 가솔 22.4
2008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우 가솔 19.6
2012 파일:호주 국기.svg 패티 밀스 21.2
2016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25.3
2020 파일:호주 국기.svg 패티 밀스 26.8 파일:미국 국기.svg 케빈 듀란트
2024
2028

4.2. 여자

5. 메달 순위

5.1. 남자

5.2. 여자


[1] 사실 FIBA 내부에서도 나이 제한에 대해서 굉장히 회의적인데, 왜냐면 축구와 달리 농구는 팀보다는 개인 기량이 더 중요한 스포츠인데다 만에 하나 나이 제한을 했다가는 미국 농구 국가대표팀을 이길 팀이 없을 가능성이 크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사실은 FIBA 자체가 IOC와 맞짱 뜰 정도로 막강한 권력을 가진 FIFA와 달리 여긴 IOC한테 꽤나 의존적이라서 감히 IOC의 심기를 건드리지 못하는 것이다. [2] 도쿄 올림픽부터 IOC가 아닌 FIBA에서 자체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