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5:25:59

오승환/밈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관련 문서
}}} ||
{{{#!wiki style="color: #074ca1;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6px -2px -12px"
기본 정보 삼성그룹 | 제일기획 | 삼성스포츠 | 삼성 라이온즈 | 삼성 라이온즈 2군
주요 인물 구단주·대표이사 유정근단장 이종열감독 박진만2군 감독 정대현주장 구자욱
경기장 1군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 포항 야구장2군 경산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스프링캠프 온나손 아카마 볼파크재활 삼성 트레이닝 센터이전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주요 정보 선수단 등번호 유니폼마스코트 블레오 사건 · 사고 | 프랜차이즈 스타 | 삼성 왕조 암흑기 ( 2차)
관련 정보 삼적화 여름성 이마양 채최박 조원수박차 JOKKA 곤규엽 굴비즈 | 삼나쌩 · 삼상바 클럽 기롯삼한 라떼동맹
라이벌리 vs KIA 88고속도로 씨리즈vs 롯데 클래식 씨리즈vs 두산 싸대기 매치vs 현대 재계 라이벌 시리즈
영구 결번 10 양준혁22 이만수36 이승엽
최종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1985 2002 2005 2006 2011 2012 2013 2014
현재 시즌 삼성 라이온즈/2024년
팬덤 정보 응원가( 구단 · 선수)|디시인사이드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유튜브 LionsTV네이버 카페 사자 사랑방팬 게시판 사자후 (폐쇄)응원단장 김상헌 허니크루 치어리더 대구아재
지역 연고 경북고 대구고 상원고 포철고 경주고 강릉고 설악고 도개고 예일메디텍고
기타 이승엽 와도 자리 없다 나믿가믿 삼팬이지만 인정한다 돈 내놔라 먹튀야 못 참겠어서 왕조 선언합니다 김헌곤 유니버스 | 오승환/밈
틀 문서
역대 시즌 역대 감독 역대 주장 역대 1차지명 응원단 코칭스태프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074ca1> 파일:_21oh.png 관련 문서
오승환
Oh Seung-hwa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아마추어 시절
프로 경력
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1995~2007/화이트).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Samsung Lions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 한신 타이거스
Hanshin Tigers
2014년 · 2015년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엠블럼.svg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St. Louis Cardinals
2016년 · 2017년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토론토 블루제이스
Toronto Blue Jays
2018년
파일:콜로라도 로키스 엠블럼.svg 콜로라도 로키스
Colorado Rockies
2018년 · 2019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2006 WBC ·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 2007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2008 베이징 올림픽
2009 WBC · 2013 WBC · 2017 WBC · 2020 도쿄 올림픽
평가
플레이 스타일 통산 세이브 일지
기타
JOKKA 라인 · 돌직구 · 논란 및 사건 사고 · · 분류
파일:_signoh.png
}}}}}}}}} ||


1. 개요2. 목록
2.1. 돌부처2.2. 형이랑 내기할래?
2.2.1. 세이브 왕
2.3. 세이브에 미친 선수
2.3.1. 이건 좀 아니라고 보는데

1. 개요

야구선수 오승환과 관련된 밈을 정리한 문서이다.

2. 목록

2.1. 돌부처

파일:표정없는밀랍인형.gif

파일:UbFKeJp.jpg

오승환은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고 표정 변화가 없는 것으로 유명했다.[1] 이 부분이 돌직구와 함께 파생되어 나온 별명이 바로 돌부처.

해외 진출 후 베테랑의 연차가 된 후[2]에는 감정 표현이 점점 늘어나면서 밈도 서서히 잦아들었다.[3]

부상으로 폼이 무너진 2009년[4] 중간 계투로 나와 커리어 처음으로 만루홈런을 맞고 글러브를 패대기친 적이 있었는데,[5] 야구팬들은 오승환의 난공불락 시절과 오승환이 감정 표현을 하지 않는다는 걸 알았기에 오죽답답하면 그러겠냐는 공감을 샀다.


탁재훈에게 안타를 맞고 재현한 적도 있다.

2.2. 형이랑 내기할래?

파일:내기할래.jpg
"형이랑 내기할래?"
"형은 OO(이)가 OO한다에 걸었어"
''형이 약속이 좀 있었어''[6]
2015년 도박 사건과 관련해서 위 짤[7]과 함께 무슨 일만 있다면 내기를 걸려고 한다는 밈이다. 도박 사건 당시에는 벌금형도 선고받은 범죄행위다보니 잘 사용되지 않다가 국내 복귀 후에 조금씩 나오기 시작해 2023년 이후 절정에 달했다. 2024년 시점에선 밈이 엄청나게 확산되어 뭐만 하면 내기 or 도박으로 엮는 중증 도박중독 환자가 되어 있다.(...)


해당 밈은 판은 물론 아이돌판까지 퍼져있다(…) 상기 영상의 업로더인 프로관전러 P.S는 삼성 라이온즈의 팬이다.

메이저 리그 해설위원 김형준이 해당 밈을 중계 중에 언급하면서 양지로 꺼내버렸다.(…)

2.2.1. 세이브 왕

파일:오승환 세이브왕.jpg
한 유튜버가 넷플릭스 시리즈처럼 합성한 짤. 위 짤의 재윤이 밥은 줘요는 2024시즌 삼성으로 이적한 김재윤이 인터뷰 영상에서 매우 초췌한 모습으로 등장한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오승환이 김재윤의 마무리 자리 및 세이브는 물론 밥까지 뺏어 굶긴다는 밈이다. 이후 해당 짤에 대한 반응이 좋자 이 유튜버는 디시인사이드에서 파생된 문장밈들을 근거로 "내기왕"과 "한끼만"이라는 짤도 만들었다.

실제로 넷플릭스에 찾아본 갤러들도 있었다.

2.3. 세이브에 미친 선수

2024년에는 과거에도 있었던 세이브 조작단 밈과 합쳐져 세이브에 미친 선수라는 밈으로 재탄생했다. 처음 밈이 섞였을 때는 세이브 요건이 아슬아슬할 때 세이브가 가능한지에 대한 내기, 이를테면 9회 4점차에 등판한 투수가 주자를 몇 명 내보낼까 하는 내기 등으로 사용되다가, 점점 세이브가 가능한 상황쪽으로 기울어지더니 결국 내기와 무관하게 세이브를 올리려고 환장한 모습으로 바뀌었다.
파일:436835423532.jpg 파일:7139212620_4330602_bff44adcf912bbd40aed979397e862f7.jpg
심지어는 삼성 경기는 끝났는데 다른 타 구장 경기에 세이브가 가능한 상황이 발생하면 세이브 하러 가야 한다면서 위 짤처럼 헐레벌떡 뛰어가는 짤이 쓰이며, 심지어는 종목 상관없이 세이브라는 단어만 보면 등장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슈퍼 세이브라는 용어가 있는 축구 글에 난데없이 오승환 짤이 사용되는 식. 축구인데도 점수차가 3점 이상으로 벌어지면 세이브 기회 날아갔다고 투정하고, # 댓글은 축구에선 점수차와 상관없이 세이브가 가능하다고 받아치며, 심지어 한 경기에 세이브를 여러 개 할 수 있다며 부러워한다는 식으로 쓰인다.

이 게시글에 베댓은 레전드를 기록했다.
퍼즈퍼즈

2.3.1. 이건 좀 아니라고 보는데

파일:이건좀아니라고보는데.jpg
''○○아...이건 좀 아니라고 보는데''
''○○아...형 세이브왕 경쟁 중인데 이게 맞다고 생각해?''
"솔직히 ○○이는 우리 팀에 필요 없는 것 같아"
"마무리 투수에 대한 예의가 없어... 예의가"
"야 ○○ 집합. 이것밖에 못 해?"

역전당하거나 점수차가 벌어져 세이브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때 해당 상황을 만든 선수에게는 화를 낸다. 자주 함께 쓰이는 이 짤은 2024년 3월 28일 LG와의 경기에서 삼성이 1:18로 대패할 때 오승환이 분노한 표정으로 사실 세이브와는 별 관련이 없으나, 표정이 아주 적절해서 짤방으로 절찬리에 쓰이고 있다.

이날 배댓이 압권
형 이거에 걸면 의심받아

이 짤과 함께 위의 예시에 있는 드립을 같이 올리는 것이 주요 용례로, ○○에는 세이브 상황을 없애는 모든 삼성 라이온즈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3점차 보다 더 큰 점수를 벌리며 세이브 상황을 지우는 삼성의 타자[8][9] 또는 불을 질러대며 역전을 허용하는 불펜 투수[10]가 들어가며, 호수비로 점수차가 좁아지는 걸 막은 야수[11]의 이름도 들어간다. 또한 오승환이 3연투, 4연투 제한에 걸려 휴식을 취하는 날 세이브 상황이 생겨 다른 투수가 대신 나와 세이브를 기록할 때도 활용된다. 반대로 넉넉한 점수차에서 불펜이 실점하여 점수차를 좁히거나, 타선이 점수차를 벌릴 기회에서 삼진, 내야플라이, 병살타 등으로 기회를 놓쳤을 경우 오승환이 행복해하는 표정의 짤과 함께 "그래 그렇게 하는 거야", "하려면 할 수 있잖아", "○○아 그거다" 같은 드립이 사용된다.

심지어 이는 타팀에게도 적용되어서 다른 9개 팀의 선수들이 세이브 상황을 날리면 해당 짤을 활용해 "○○팀은 마무리 투수에 대한 예의가 없어... 예의가"라는 식으로 쓰이고 있다. 반대로 세이브 조작단 모드에 돌입하면 "○○팀은 마무리 투수에 대한 예의가 있구나"라는 식으로 쓰인다.

[1] MLB의 코리 클루버에게도 비슷한 밈이 있는데, 시점은 오승환이 더 먼저다. [2]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 입단한 후부터 감정 표현이 점점 늘어났다. [3] 과거 마운드 위에서 미소만 지어도 이슈가 되곤 했던 때와 비교하면 그야말로 격세지감이다. [4] 05시즌 99이닝, 06시즌 79이닝, 07시즌 63이닝을 소화했고 잦은 국제대회 차출과 포스트시즌 등판으로 과부하가 온 상태에서 팔꿈치에 문제가 있어 2007년부터 꾸준히 구속이 하락하던 중이었다. 08시즌에도 57이닝을 소화했다. 그 여파로 2009년과 2010년엔 전에 없는 부진을 겪게 되었고, 오승환의 안식년이라 불릴 정도의 기간으로 여겨진다. [5] 2009년 6월 21일 LG와의 더블헤더 2차전 때 3점 뒤지고 있는 7회말 1사 만루 상황에서 등판했는데, 등판하자마자 이진영에게 2타점 2루타를 맞고 권용관을 볼넷으로 출루시켜 다시 만루를 만들어주고 박용택에게 만루홈런을 얻어맞아 0이닝 3실점을 기록하고 그대로 강판됐다. 이날 경기로 당시 오승환의 평균자책점은 4점대로 올라갔고, 이후 7월 중순 어깨 인대가 찢어지는 부상을 당해 시즌을 조기 마감했다. [6] 실점을 허용하거나 주자를 많이 내보내는 등 깔끔하지 못한 세이브를 했을 때 승부조작을 한 게 아니냐는 의심(...)으로 자주 쓰인다. [7] 원본은 2020년 초 오키나와에서 인터뷰한 기사에 사용된 사진이다. [8] 이 경우는 타자가 블론세이브를 했다고 표현을 하기도 한다. [9] 삼성으로 이적후 갑자기 MVP 모드가 된 박병호가 자주 들어간다. [10] 5~6월 들어 방화범이 된 임창민 김태훈, 김재윤, 최하늘 등이 들어간다. [11] 대표적인 경우로 2024년 6월 9일 키움과의 경기에서 7회 6점차 만루에서 장타성 타구를 걷어낸 이성규가 있다. 놓쳤다면 주자 싹쓸이로 딱 3점차가 됐을 타구기 때문에 이 날 커뮤니티에는 "???: 성규야"라는 제목의 글로 도배가 될 정도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5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5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