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17:26:42

오리엔트 타이 항공

오리엔트 타이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요 항공사
Major Carrier
파일:타이항공 로고.svg 파일:방콕항공.png
타이항공 방콕 항공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e2f34>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
파일:nok-air.png 파일:타이 라이온 에어.png 파일:에어아시아 엑스 로고.png 파일:1000011572.png 파일:에어아시아 로고.svg
녹에어 <nopad> 타이 라이온 에어 <nopad> 타이 에어아시아 엑스 <nopad> 타이 비엣젯항공 <nopad> 타이 에어아시아
||<width=33.3%>
운항 준비중인 항공사
Startup Airline
||<width=33.3%>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 ||
파일:리얼리 쿨 항공 로고.png 파일:KMile로고.png
리얼리 쿨 항공 K-Mile Air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e2f34>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
<nopad> 오리엔트 타이 항공 <nopad> 타이 스마일 항공
<nopad> 타이 이스타젯 <nopad> 시암 에어 <nopad> 원투고 항공
}}}}}}}}} ||
오리엔트 타이 항공
Orient Thai Airlines
파일:오리엔트 타이 항공 로고(수정).png
<colcolor=#fff><colbgcolor=#2f3291> 국가
[[태국|]][[틀:국기|]][[틀:국기|]]
설립년도 1995년 8월
운영 중단 2018년 7월
파산 2021년 1월 5일
허브 공항 수완나품 국제공항
돈므앙 국제공항
푸껫 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수 14
취항지 수 4
부호 항공사 호출 부호 (Orient Thai Airlines)
IATA (OX) ICAO (OEA)
슬로건 Do it by heart
링크 홈페이지(폐쇄)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378693.jpg
보잉 747-400[1]
파일:Orient thai airlines B767.png
보잉 767
파일:Orient thai airlines B737.png
보잉 737

1. 개요2. 운영 특징
2.1. 짬뽕 도색
2.1.1. 예시들
2.2. 보유 기종2.3. 퇴역 기종
3. 기타

[clearfix]

1. 개요

Orient Thai Airlines
โอเรียนท์ ไทย แอร์ไลน์

1995년부터 2021년까지 존속한 태국 방콕에 본사를 둔 저비용 항공사. 주로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운항했으며, 허브 공항은 수완나품 국제공항 돈므앙 국제공항, 푸켓 국제공항이 있었다. 주 취항지는 태국 방콕과, 홍콩, 인천이었으며, 자사 항공사로 원투고 항공이 있었다.

항공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역두문자어 오타라고 불렸다.

2. 운영 특징

이 회사는 전현직 조종사나 승무원, 지상직, 공항 직원 등. 항공 종사자들과 항공 동호인들에게 막장으로 손 꼽혔던 전설적인 회사다. 퍼스트 클래스와 비지니스 클래스 없이 오직 이코노미 클래스만으로 운영했으며, 심지어 747의 2층 덱까지 이코노미 클래스 좌석을 채워넣은 결과 정원이 542명인 보잉 747-200승객+승무원 총 582명을 태우고 운항한 적까지 있었다.[2]

거기다 중고 비행기 위주로 운영했고, 정비도 부실했기 때문에 툭하면 기체결함으로 인한 지연출발 또는 회항이 다발하여, 뉴스 기사에서 종종 방콕발 인천행 항공기 기체 문제로 몇 시간 지연되어 승객들이 항의했다는 이야기를 볼 수 있었다. 한때는 엔진에 불이 붙어 이륙 30분 만에 회항한 적도 있으며, 2007년 9월 12일에 자회사였던 원투고 항공 269편 돈므앙 국제공항에서 이륙하여 푸켓 국제공항에서 착륙 중 활주로를 벗어나는 사고를 내 130명의 탑승객 중 90명의 사망자를 낸 적도 있다.[3] 그리고 한국 장사에서 부채가 늘자 보잉 747 1대가 한국 법원에 압류당해 본토로 돌아가지 못하고 인천국제공항에 몇 달간 세워진 적도 있으며, 심지어 2004년 9월 19일에는 도쿄에서 보잉 747 전세기가 330m 높이의 도쿄 타워를 고도 210m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빗나가는 일까지 발생했다.[4]

그래도 다행인 것은 폐업할 때까지 인명사고가 단 한 건도 없다. 이 항공사의 가장 큰 사고(?)가 탈세 혐의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5]

2010년에는 수호이 수퍼제트 100을 12대 주문했으며, 2011년까지 보잉 747-400으로 인천에 취항했고, 2015년에는 무안-방콕 전세기를 띄운 적도 있었다. 2018년 기준으로 국제선 노선으로는 홍콩이 유일하며, 돈므앙을 중심으로 하는 국내선에 주력했고, 겨울철마다 전세기를 인천에 띄웠다.

2018년 7월에 태국 항공당국으로부터 운항 금지 처분을 받았다. 이유는 유류비, 공항이용료 등의 비용을 지불하지 않았고 채무가 과도하게 많아서 갑작스럽게 운행이 중단될 위험이 컸기 때문. 결국 2018년 10월 9일에 파산 보호 신청까지 하고 구조조정 절차에 들어간 끝에 재무상태가 계속 악화되어 2021년 1월 5일에 파산을 선고받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1. 짬뽕 도색

이 회사가 유명한 또다른 이유는 일부러 중고 항공기의 이전 소속 항공사의 도색을 전부 지우지 않고 자기 회사 로고만 써서 그대로 운영한 일명 짬뽕 도색이 있는데 누가 보면 다른 항공사로 오인하기 쉽다. 이런 일이 가능한 것은 이 회사가 다른 항공 회사에서 중고 비행기를 수입해서 쓰기 때문인데 비행기를 들여오면서 도색을 바꾸지 않고 기존 도색에 자기 회사 이름만 얹어서 운행했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상한 비행기가 아니고 선진국의 다른 항공사에서도 쓰던 비행기니 믿을 만 하다" 이런 걸 보여줌으로써 승객들을 안심 시키려 했던 모양인데 오히려 이런 처사는 기령이 늙어 버린 중고 여객기라는 사실만 부추겨 안심은커녕 불안만 가져다주는 역효과만 나게 할 뿐이다. 이런 성의 없는 도색 개조 비행기들은 나사 하나 빠진 듯한 느낌을 주거나, 본래 항공사를 아는 사람들에게 웃음거리나 되고 있다.

또한 처음 보는 사람들은 "얼마나 돈이 없으면 도색할 돈도 없을까..." 하고 아연실색하기도 한다. 어쩌면 '우리가 이렇게 돈이 없으니 많이 이용해달라'는 마케팅일지도? 그런데 거지 마케팅이라고 해도 ATR 72이나 보잉 737, A320 중고 기체 같은 걸 쓰면 모를까, 저런 대형 기체를 사들인다는 것에서 이미 마케팅의 효과가 없다. 대체 의도가 무엇이엇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이런 짬뽕기들은 국제선 노선에 굴렸고 태국 국내선은 비교적 평이하게 갖추었다고 한다. 또한 정부 등의 규제만 지킨다면 비행기 도장이야 아무렇게 해도 상관 없는 게 사실이니 신경을 쓰지도 않았던 모양. 하여튼 과거 아시아나항공 B767-38E(HL7264)이 작은 사고가 난 후 잠시 도색 개조를 하여 로고를 가린 사례도 있었으니까. 여하튼 파산 전까지는 전부 다 자기네 회사 도색으로 개조해서 운행 중이었다.

다만 오리엔트 타이 항공 입장에서는 짬뽕 도색으로 욕을 먹는 게 다소 억울할 수밖에 없는 게, 항공기를 임대할 때 기존 도색을 그대로 둔 채 로고만 임대한 항공사 로고로 바꿔 쓰는 행위는 다른 항공사들에서도 의외로 흔한 일이다. 아마 국내에 짬뽕 도색이 처음 알려진 게 오리엔트 타이 항공이라 '짬뽕 도색 = 오리엔트 타이 항공'이라는 이미지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2.1.1. 예시들

  • 유나이티드 항공에서 굴리던 1978년산 보잉 747-200(747-238[6]B) 재활용. 꼬리 날개 로고와 측면 글씨에 덧칠 후 대충 항공사 글씨만 넣었다. 두 번째 사진은 꼬리에 로고라도 넣었다만 아무리 봐도 어색하다.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818163.jpg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437533.jpg
  • KLM에서 굴리던 747(747-306) 재활용. 두 번째 사진에서는 KLM 747과 마크 지운 747들이 같이 있는데, 아마 인수해 가는 과정인 듯하다. 허나 차이가 꼬리 로고와 측면 글씨만 없다 뿐이다. 이런 어설픈 도색 개조는 어딘가 나사 하나 빠진 듯한 느낌을 주게 된다.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505559.jpg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500879.jpg
  • 대한항공에서 굴리던 보잉 747-300[7] 재활용. 두 번째 사진을 보면 하늘색으로 다시 덧바른 자국이 있는데, 이는 측면 로고에 덧바른 자국이다. 게다가 비바람에 낡은 동체 색과 새로 덧바른 부분의 색이 이질감이 심해서 보는 이들을 아연실색하게 만들었다.[8][9] 이 비행기는 2005년부터 오리엔트 타이에 중고로 넘어갔으며, 2006년 경에 잠시 가루다 인도네시아에 1년 간 임차되었다가, 2016년에 운항을 마치고 태국의 우본 랏차타니 대학에 엔진이 떼어진 상태로 보존되었다.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986341.jpg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019873.jpg

2.2. 보유 기종

운항 중단 당시 기준.
기종 대수
B737 300 4기
400 2기
B747 400 3기
B767 300 5기

2.3. 퇴역 기종

기종 대수 이전 운영 항공사
B737 300 2기 중국남방항공
컨티넨탈 항공
B747 100 2기 일본항공
100BSR/SUD 2기
200B 8기 유나이티드 항공
일본항공
200SF 1기 일본항공
200SCD 1기
300 6기 대한항공
일본항공
300M 1기 KLM
400 1기 가루다 인도네시아
400M 1기 사우디아 항공
B767 300ER 3기 아에로플로트
중국동방항공
MD-80 81 2기 일본항공
82 2기 중국남방항공

3. 기타


[1] 사진 속에서 이 기체는 원래 중국국제항공 소속이었으며, 2014년에 HS-STK라는 테일넘버로 인수될 예정이었으나, 결국엔 인수가 불발되며. 2015년에 스크랩당했다. [2] 사실 메이저급 항공사인 일본항공도 국내선용 보잉 747에 이와 비슷한 방식을 택했는데, 그 일례로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당시에도 총 524명이 탑승해 있었다. [3] 이 사고로 원투고는 해체된 뒤, 오리엔트 타이로 합병당했다. [4] 불행 중 다행으로 이 747에 탄 승객은 단 1명도 없었고, 당연히 이 비행 당시 조종사는 정직되었다고 한다. [5] 물론 전술한 원투고 항공 269편 사고에서는 사망자가 발생했지만, 그것도 자회사가 낸 것이며 합병 전이었다. [6] 보잉사 고객 코드(BCC, Boeing Customer Code) 중 38번은 콴타스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기체 역시 1978년부터 콴타스에서 VH-EBP라는 테일 넘버로 운항하다가 1991년에 유나이티드 항공에서 중고로 도입해 N165UA라는 테일 넘버로 운용하였다. 참고로 유나이티드 항공의 원래 보잉사 고객 코드는 22번. [7] HL7469, 747-3B5. 형제기인 HL7468은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로 파괴되었다. [8] 대한항공에서 보잉 747-300은 이 녀석을 포함해 3대를 운항했었는데, 어느새인가 모두 747-400으로 바뀌었다. [9] 뿐만 아니라 영상을 보면 항공기 뿐만 아니라 화물 컨테이너도 ANA CARGO, 대한항공 마크를 지우지 않고 그대로 재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 [10] 실제로 611편과 복편에서 마지막으로 비행한 뒤 이 곳에 인도될 예정이었다. 만약에 인도된 후 공중분해 사고가 발생했다면 그대로 오리엔트 타이 항공은 파산할수도 있었던 상황이다. [11] 테일넘버는 HS-UTD로, 원래에는 1975년 6월에 JA8128이라는 테일넘버로 일본항공에 인도되어 2003년까지 28년간 일본항공과 일본항공의 자회사들에서 굴렸던 기체였는데, 2003년 8월에 오리엔트 타이 항공에 인도되어 2008년 9월에 퇴역했고, 2021년에 스크랩당했다. [12] 테일넘버는 HS-MDJ로 2022년 태국 중부 쁘라쭈압키리칸 주의 고속도로에 스크랩 당한 모습이 포착 되었다.파일:md8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