궈즈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자에 대한 내용은
과자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ee1c25><colcolor=#fff> 면류 | 기스면 · 도삭면 · 딴딴면 · 마장면 · 뱡뱡면 · 쏸라펀 · 우육면 · 작장면 · 장수면 · 초마면 · 탕육사면 |
밥류 | 황금 볶음밥 · 차오판 | |
죽류 | 납팔죽 · 화생호 | |
탕류 | 누룽지탕 · 마라탕 · 불도장 · 훠궈 | |
만두류 | 딤섬 · 만터우 · 물만두 · 소롱포 · 춘권 · 훈툰 | |
두부류 | 건두부 · 마파두부 · 모두부 · 취두부 | |
육류 | 거지닭 · 경장육사 · 구수계 · 궁보계정 · 난자완스 · 남경 오리 요리 · 동파육 · 홍소육 · 라조기 · 백운저수 · 북경 오리 구이 · 삼투압 · 저표육 · 양꼬치 · 어향육사 · 오향장육 · 차사오( 미즈차사오) · 탕수육 · 궈바오러우 · 해삼주스 · 화퇴 · 회과육 | |
수산물 | 멘보샤 · 샤오룽샤 · 샥스핀 · 세수해 · 쏸차이위 · 처우구이위 · 취하 · 칭둔귀 · 카오위 | |
반찬 채소류 |
소채( 자차이 · 청경채볶음) · 청초육사 · 파오차이( 쏸차이) | |
음료 | 량샤 | |
주류 | 틀:중국의 술 · 틀:대만의 술 | |
간식 후식 |
내유작고 · 라탸오 · 뤼다군 · 사치마 · 삼부점 · 시미로 · 월병 · 주량원자 · 중화과자 · 탕후루 · 행인두부 · 바쓰 | |
대만 홍콩 마카오 계열 |
누가 크래커 · 대만 샌드위치 · 대만식 카스텔라 · 루로우판 · 빤켁 · 좌종당계 · 지파이 · 쩐주나이차(버블티) · 쭈빠빠오 · 타로볼 · 펑리수 · 할포 | |
기타 | 귀령고 · 꽃빵 · 루어보가오 · 부용단 · 빙( 젠빙) · 서홍시초계단 · 석자갱 · 유탸오 · 전가복 · 쭝쯔 · 차예단 · 팔보채 · 피단 | |
1. 개요
油條. 저장성 항저우 지방에서 유래한 중국식 꽈배기다. 병음표기는 yóutiáo이며, 표기법은 '유탸오'이지만, '여우탸오', '요우탸오' '요우티오' 등으로 발음되며[1] 동북3성쪽에서는 중고한어와 비슷한 '궈즈'(菓子)[2]라고 발음한다.2. 설명
남송 시대 간신 진회에 대한 증오심을 담아, 항주의 한 간식 가게에서 밀가루 빵반죽으로 진회 부부의 인형을 빚은 후에 때린 다음 다시 반죽한 것을 꼬아서 기름에 넣고 튀겨 판 것이 이 음식의 유래이다. 당시엔 문자 그대로 진회를 튀긴다고 유작회(油炸檜)라 불렀지만 서슬 퍼런 병사들의 눈을 피하기 위해 귀신을 튀겼다는 뜻으로 유작귀(油炸鬼)라 돌려 불렀고[3] 이후에는 도리어 진회가 이 별명으로 불린다. 당나라 시대의 조기 중고한어 발음으로 檜는 궈이(\[kwɑi\]), 鬼는 궤이(\[kwe̯i\])여서 비슷한 발음이었으며, 현재 발음으로 檜는 궤이(guì \[kweɪ̯⁵¹\]), 鬼는 궤이(guǐ \[kweɪ̯²¹⁴\])로 성조 하나 차이로 발음이 더욱 비슷해졌다. 단, 檜가 진회의 이름(秦檜[Qín Huì])으로 쓰일 때는 huì(후이)로 발음된다.이 음식에서 간식으로 발전한 매실과 호두와 참깨를 넣어 반죽한 뒤 튀겨 복숭아씨를 뿌려 먹는 꽈배기 모양의 단맛이 도는 빵인 톈진(天津)의 특산물 마화(麻花)도 있다.
도넛이나 꽈배기 비슷한 쫄깃한 식감을 가졌지만 단맛이 아닌 소금기 있는 주식급의 음식이다.[4] 한국의 국밥에 해당하는 즉석음식으로 중국인들, 특히 동북3성이나 양쯔강 이남의 시장 상인들은 유탸오를 그야말로 매일 아침식사로 먹는데 주로 '더우장(豆浆, dòujiāng)'이라고 하는 따뜻한 두유나 우유에 담갔다가 먹는다.[5] 이때 설탕이 듬뿍 들어간 간장에 찍어먹거나 설탕을 직접 넣기도 한다. 죽과 같이 먹거나 다른 음식[6]을 싸서 먹는다고 한다. 물론 중국인들이 모두 아침식사로 유탸오를 먹는 것은 아니고 정규직 직장인은 대체로 쌀밥이나 국수를 먹고, 시간과 돈을 더 아껴야 되는 짐꾼들은 만터우 몇개로 때우기도 하지만 유서 깊은 전통 음식이라는 점에서 중국 문화에서 유탸오가 가지는 의미는 큰 편이다.
한국에서도 의외로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중국인 이주 역사와 맞물리는 점이 재미있다. 먼저 개화기부터 정착한 전통적 화교 음식이 토착화된 경우는 대구를 중심으로 경상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유탸오라는 이름은 사라져서 찹쌀도넛이라고 한다. 중국 수교 이후 건너온 조선족, 중국인들은 주로 수도권에 정착해서 안산이나 구로동, 대림동에 가게가 있다.[7]
3. 기타
중국 KFC에서도 밥, 죽 메뉴와 함께 아침 메뉴로 판다. 2016년 배틀트립 11회, 12회 방송분에서 아이오아이의 주결경, 전소미가 상하이 여행을 다녀왔을 때 나왔다. 짠맛이 난다고 한다.문재인 전 대통령이 방중한 다음날 아침에 조식으로 베이징시 시청구에 위치한 융허셴장(永和鲜浆)이라는 식당에서 이것을 먹었다.
베트남, 라오스,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도 전해져 동남아시아에서도 비슷한 것을 먹는다. 베트남 북부에서는 꿔이(Quẩy : 鬼)라고 부른다. 아침 식사 때 퍼와 함께 먹는다. 중국계가 매우 많은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에서는 호커 센터에서 아침에 판다.
마카오를 통해 포르투갈을 거쳐 스페인에도 전해져 추로스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대구에선 전형적인 더우장과 유탸오를 파는 가게가 몇 군데 있다. 대구는 일제시대부터 1960년대까지 화교 인구가 상당했는데 그 영향으로 보인다. 경주를 비롯한 경북에도 몇 군데 있다고 한다.
경남 지역에도 비슷한 게 존재한다. 뜨거운 콩국물에 찹쌀 도넛을 잘라 띄운 후 설탕, 소금을 기호껏 넣어 먹는 것으로 전통시장 등에서 리어카 혹은 트럭 노점상으로 새벽에 잠깐 팔고 사라진다. 새벽 상인들의 아침 식사로 팔던 건데, 밤을 새운 취객들도 한그릇씩 하고 가기도 한다.
트위터의 한 이용자가 유탸오를 넣은 콩국을 부산 사람의 소울푸드로 칭하고 먹었다는 이유로 뜬금없이 중국인으로 몰려 혐오 세력의 표적이 되는 기이한 일이 일어난 적도 있었다.
[1]
한어병음 'you'의 표기에 대해 말이 좀 있는 편이다.
[2]
바이두에 검색하면 안나온다. 궈즈는 동북3성같은 지역을 빼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과자를 가리키는 단어이다.
[3]
지금도 광동 지방에서는 이 이름으로 불린다.
[4]
또한 조리법에 따라 바삭한 식감이 느껴질수도 있고 딱딱할수도있다. 바삭함과 딱딱함이 동북3성쪽 중국인들이나 조선족이 궈즈라 부르는이유로 추정된다.
[5]
너무 오래 담가두면 유탸오가 물러지기 때문에 속만 좀 촉촉해질 때까지(약 3초 정도) 살짝 담갔다가 바로 빼서 먹는편이다. 물론 물렁해진 유탸오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푹 담궜다 먹는다.
[6]
만둣국 비슷한 음식인 훈툰(小馄饨)과 같이 먹기도 한다. 죽에 넣어먹는 경우의 대표적 예시가
광둥 요리의 모듬죽 팅짜이 죽인데, 온갖 재료에 여유탸오까지 토핑으로 쓴다.
[7]
사실 유탸오라고 거창하게 이름 따로 붙일 것 없이 그냥 시중에서 파는
꽈배기를 설탕 뿌리지 않고 이런 식으로 먹으면 그게 유탸오와 다를 바 없다. 단지 미리 튀겨 낸 것들은 십중팔구 설탕 묻혀 두는 게 보통이라 낮설어 보일 뿐이다. 점포에 따라 갓 튀긴 꽈배기에 아무것도 묻히지 말고 생으로 달라고 하면 그냥 주는 곳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