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자키 토모야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1]
|
|
2005 | 2010 |
2006, 2007 NPB 퍼시픽리그 골든글러브(포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포수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타나카 요시오 한신군 |
도이가키 타케시 오사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아라카와 쇼지 쇼치쿠 |
노구치 아키라 나고야 |
히로타 쥰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히로타 쥰 요미우리 |
후지오 시게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도이 키요시 요미우리 |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야에가시 유키오 야쿠르트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무라타 신이치 요미우리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타니시게 모토노부 요코하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이시하라 요시유키 히로시마 |
아이자와 츠바사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오오시로 타쿠미 요미우리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오오시로 타쿠미 요미우리 |
야마모토 유다이 DeNA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도이가키 타케시 마이니치 |
마츠이 아츠시 난카이 |
찰리 루이즈 마이니치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찰리 루이즈 마이니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오카무라 코지 한큐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무라카미 키미야스 롯데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카토 토시오 닛폰햄 |
나카자와 신지 한큐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나카자와 신지 한큐 |
카가와 노부유키 난카이 |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야마시타 카즈히코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타무라 후지오 닛폰햄 |
요시나가 코이치로 다이에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나카지마 사토시 오릭스 |
요시나가 코이치로 다이에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죠지마 켄지 소프트뱅크 |
사토자키 토모야 롯데 |
호소카와 토오루 세이부 |
타노우에 히데노리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호소카와 토오루 소프트뱅크 |
츠루오카 신야 닛폰햄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이토 히카루 오릭스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스미타니 긴지로 세이부 |
타무라 타츠히로 롯데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오릭스 |
사토 토시야 롯데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
2001년 프레시 올스타전 MVP[2] | |
2006년 올스타전 우수선수상[3] | |
2010년 올스타전 베스트 타자상[4] |
치바 롯데 마린즈 역대 주장 | ||||
훌리오 프랑코 (1998)[5] |
→ |
사토자키 토모야 (2007~2009)''' |
→ |
니시오카 츠요시 (2010) |
|
|
사토자키 토모야 里崎智也 | Tomoya Satozaki |
|
출생 | 1976년 5월 20일([age(1976-05-20)]세) |
도쿠시마현 나루토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나루토시립 나루토공업고등학교 테이쿄대학 |
포지션 | 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입단 | 1998년 드래프트 2순위 (역지명, 롯데) |
소속팀 | 치바 롯데 마린즈 (1999~2014) |
등장곡 | 보아 - be the one[6] |
응원가 |
코요태 - 만남(2000 ~ 2009)[7] → 응원단 자작곡(2010 ~ 2014)[8] |
링크 | 유튜브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전직 프로야구 선수, 현 야구해설자, 치바 롯데 마린즈 특별고문, 탤런트, 유튜버.후쿠우라 카즈야, 오오무라 사부로, 니시오카 츠요시, 이마에 토시아키, 와타나베 슌스케 등과 함께 2000년대 중후반 치바 롯데의 중흥기를 이끈 프랜차이즈 포수. 수비력과 공격력 모두를 갖춰 아베 신노스케나 조지마 겐지 리그 정상급 포수로 활약했던 선수다. 2006년 WBC에서는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주전포수를 맡았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국가대표팀에도 승선했다.
2. 선수 경력
대학 시절에는 타격이 강하다는 이유로 주로 지명타자로 출전하다가 4학년 때에야 주전포수를 꿰찼다. 선배 중에 주전포수 자원이 있어서 밀린 듯. 하지만 대학 리그에서 베스트나인에 3번이나 들고, 4경기 연속 홈런을 치는 등 대학리그를 폭격하며 공수를 겸비한 거포형 포수로 꼽혔고 2라운드라는 상위라운드에서 롯데에 뽑혔다.입단 첫 해에는 손목 골절 때문에 2군에서만 있었으나 두번째 해부터 슬슬 1군에 올라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확고한 주전포수로 시미즈 마사우미[9]와 하시모토 타스쿠[10]가 있었기 때문에 한두 경기에 땜빵으로 나오는 것에 그쳤다.
사토자키가 빛을 보기 시작한 것은 2003년으로 시즌의 절반 정도 출장하면서 8홈런에 3할 1푼 9리로 맹활약하고 바로 주전포수로 낙점되었다. 그러나 2004년에는 부상 때문에 시즌을 날려먹어 60경기 정도밖에 나오지 못하고 주전포수도 하시모토 타스쿠에게 빼앗겼다. 2005년 시즌에는 부상에서 나아서 돌아왔지만 바비 발렌타인이 워낙 플래툰 성애자인지라 좌타 포수인 하시모토 타스쿠와 공동 주전으로 나와야 했다. 아무튼 이 해에 규정타석 미달이지만 3할 타율에 10홈런을 치며 리그 최고의 포수 중 한 명으로 떠올랐고, 일본시리즈에서도 4경기에 개근하며 일본시리즈 우승으로 팀을 이끌었다.[11] 참고로 이 시즌에 도루저지 1위를 기록했다.
2005 시즌 이후 열린 WBC에서는 부동의 원탑 아베 신노스케의 부상으로 인해 주전포수로 나와서 여기서도 일본 국대를 이끌며 한국 국대를 제치고 우승하는데 큰 공헌을 했다. 22타수 9안타 (타율 .409) 1홈런 5타점으로 대회 베스트 팀에 뽑힐 정도의 활약. 거기다가 2006년 플래툰 라이벌 하시모토 타스쿠의 부상으로 인해 확고한 주전포수로 앉아 규정타석 100안타에 17홈런 56타점, OPS 8할을 기록하는 등 공격형 포수로 대활약을 한다.[12] 거기다가 도루저지 4할을 기록하면서 수비력 역시 최상급이었다. 그리고 퍼시픽리그 골든글러브와 베스트나인 동시 수상.
2007 시즌부터 주장을 맡았고, 이 시즌에 홈런과 장타율은 좀 떨어졌지만 개인 최다인 129안타를 치고 14홈런 75타점 OPS 7할 5푼을 넘기는 등 좋은 활약을 했다. 2년 연속 골글과 베스트나인 수상.
2008년에는 부상으로 인해 시즌의 1/3을 날려먹고 주전포수도 하시모토 타스쿠에게 빼앗겼다. 이때 하시모토가 규정타석 미만이지만 3할에 11홈런을 기록하는 등 좋은 활약을 보였지만 사토자키가 뒤늦게 복귀해서 90경기동안 15홈런을 치는 무력시위 끝에 2009년 시즌부터 하시모토를 밀어내고 다시 주전자리에 오른다. 사토자키가 커리어 동안 20홈런 시즌이 1번도 없는게 공격형 포수로써 아쉬운 점인데 이 시즌에 부상만 없었으면 20~25홈런정도 노려볼 수 있는 홈런 페이스였다.
2009년에는 다시 주전포수를 꿰차고 도루저지 1위를 기록했다. 2010년에는 또 부상 때문에 마토바 나오키가 포수로 자주 나오면서 반 시즌정도밖에 나오지 못했다. 하지만 이 시즌에도 어찌어찌 10홈런을 치면서 규정타석 미달이긴 했어도 OPS 8할을 찍고 일본시리즈 전 경기에 선발포수로 나와 한 경기를 제외하고 완주하는 무시무시한 모습을 보였다.[13]
2011년부터 다시 주전포수 자리를 꿰찼지만 공인구가 바뀌면서 확실히 중장거리포였던 이전과는 다르게 똑딱질 위주의 플레이를 하게 되었다.결국 2013년부터 부상과 노쇠화로 인해서 백업포수로 전락했고, 2014년 시즌 중 은퇴를 선언하여 은퇴 선언 약 2주 후인 9월 말에 1번 지명타자로 선발출장하는 은퇴경기를 치렀다. 이때 사토자키는 2번~9번 타순에서 홈런을 친 적이 있었기 때문에 은퇴 경기에서 홈런을 치면 일본프로야구 포수 사상 최초로 전 타순 홈런을 기록할 수 있었지만 아쉽게도 2타수 2삼진을 기록한 후 대타 알프레도 데스파이네로 교체되어 기록 달성은 하지 못했다.
여담으로 2012년에 통산 100호 홈런을 날렸는데, 치바 롯데 마린즈의 프랜차이즈 포수[14] 중 통산 100호 홈런을 기록한 선수는 사토자키가 최초라고 한다.
3. 은퇴 이후
야구 해설가로 활동하면서 TV 방송에도 고정출연하는 등 탤런트 생활도 시작했다. 또한 야구 칼럼도 쓰고 있다.유튜브 채널을 열고 활발한 유튜브 활동을 이어나가는 중. 현 시점 구독자가 약 49만명에 이르며 이는 은퇴 선수들의 유튜브 중 2위에 해당하는 구독자 수이다.[15] https://www.youtube.com/channel/UCFCtAX45lgHcf4s0vAgAxww 24년 1월 기준으로는 선출 유튜브들 중 3번째로 많은 71만 8천명의 구독자 수를 보유중이다.[16]
일본에서는 말솜씨와 예능감이 좋아 유희관과 비슷한 취급을 받고 있다.
2024년 들어 요시이 마사토 감독을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있는데, 코칭스태프를 하지 않겠다는 본인 방침과 엮여서 요시이의 지지자들로부터 “코치를 해 본 적도 없는 놈이 안전한 곳에서 팬들 듣기 좋은 말만 해 댄다.”는 비난을 받고 있기도 하다.
4. 플레이 스타일
공격과 수비를 겸비했던 올라운더형 포수로, 양쪽 모두에서 출중한 능력을 보여줬다.타격은 우선 컨택은 조금 떨어졌고 선구안은 평범했으나 그래도 .250~.270 정도의 주전포수로썬 준수한 성적이었고, 힘이 좋고 극단적인 어퍼스윙을 하는 스타일이라서 투수친화구장인 치바 마린 스타디움에서 플래툰으로 출전기회를 제약받는 와중에도 15개 전후의 홈런을 기대할 수 있었다. 다만 아쉽게도 홈런 20개를 친 해는 없었는데 타자친화구장을 홈으로 썼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선수. 종합해보면 준수한 중장거리포 수준의 타격을 보여주었으며 포수로써는 더할나위 없이 좋은 타격을 가진 공격형 포수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같은 시기에 포수로써는 최고의 공격력을 가졌다고 평가받은 아베 신노스케와 죠지마 켄지가 있어서 공격에선 이 둘에 가려질 수밖에 없었다.
수비는 몸쪽으로 집요하게 찔러넣는 포수 리드를 좋아했다. 그리고 포구 및 송구동작이 빠르고 어깨가 강해서 당대 최고를 다투는 도루저지율을 자랑할 수 있었고, 블로킹도 리그 최상급이었기 때문에 포일이 정말 없었다. 53경기당 1포일 수준이었는데, 2위인 요미우리 V9 시대의 주전 포수 모리 마사아키가 43경기당 1포일 수준으로 통산 2위란 점을 감안하면 블로킹 실력은 역대 포수들을 통틀어서 군계일학 수준이었다. 그 덕분에 동시기에 활약하며 퍼시픽리그 1위를 다투는 수비력에 컨택은 떨어지지만 파워가 좋은 세이부 라이온즈의 주전 포수 호소카와 토오루와의 국가대표 자리 경쟁에서 매번 이겼다.[17]
5. 기타
- 2010년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하자 사상 최다의 하극상을 보여주겠다고 선언하였고 그것은 현실이 되었다.
- 2012년 간호사와 결혼하여 2014년에 쌍둥이 아들을 낳았다.
- 은퇴식에서 노래를 불렀다. 들을지 말지는 알아서 결정하자.
- 비흡연자다. 본인 유튜브에서 2군 대우를 얘기랄 때 2군 캠프는 1인실을 안 주고 여러명을 한 방에 넣는다는 얘기를 하면서 밝혔다. 가장 맘에 안 드는 룸메이트가 어떤 사람이냐고 질문받았을 때 흡연자가 제일 싫었다고 대답했다.
- 은퇴 후 유튜브에서 가장 좋아하는 구장 3개와 싫어하는 구장 3개를 얘기할 때[18] 평생 홈이었던 마린 스타디움을 좋아하는 구장 3위로 꼽았다. 이유는 수비가 12개의 1군 메인 홈구장 중에서 제일 까다로웠다고 한다. 대중들에게 유명한 거센 바닷바람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데이 게임 때는 백스크린 뒤에 해가 떠서 햇빛 때문에 잘 보이지도 않는 것도 악조건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1, 2위를 주기엔 다른 구장들이 더 좋았던 기억이 많아서라고 했다. [19][20]
- 선수 시절 일본인 동료들과 어울리지 않으려고 했던 외국인 선수로 프랭크 볼릭과 함께 김태균을 꼽았다. 따지고 보면 김태균이 먼저 말 안 하고 다가가지 않은 것이 크다.
- 2군에서 담금질을 하던 시절, 예능프로그램에서 후루타 아츠야, 타니시게 모토노부가 도루저지 메카니즘 등 포수 관련 정보를 알려준 적이 있는데, 이를 비디오로 녹화하여 연습에 반영 후 연습을 거친 끝에 도루저지 기술이 향상되었다고 한다.
[1]
사실 2010년의 경우는 말이 우승반지지 일본시리즈 우승을 엔트리에서 겪었다는 기록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치바 롯데 마린즈는 2010년애 공식적인 우승반지를 만들지는 않았기 때문. 다만 2005년에는 만들었다.
[2]
프레시 올스타전이란 2군 올스타전을 말한다. 한국으로 치면 퓨처스리그 올스타전. MVP는 당연히 한국으로 치면 미스터올스타.
[3]
일본프로야구 올스타전은 2008년까지 최우수 선수상 1명+우수 선수상 4명을 뽑았다.
[4]
일본프로야구 올스타전은 2009년부터 우수 선수상을 폐지하고 베스트 타자상과 베스트 투수상을 그 자리에 끼워넣었다. 즉 과거의 우수 선수상이랑 똑같다.
[5]
롯데는 1998년 이후로 주장 제도를 폐지했다. 그러다가 사토자키가 주장을 맡으면서 부활.
[6]
마지막 해 등장곡. 사실 등장곡을 몇 번 바꿨다. 2014년 기준 한국 가수의 노래를 등장곡으로 쓰던 치바 롯데 마린즈 선수는 사토자키 외에도
빅뱅의 Fantastic baby를 쓴
이구치 타다히토,
소녀시대의 Gee를 등장곡으로 쓴
G.G.사토,
카라의 GO GO サマー!를 등장곡으로 쓴 헤이우치 히사오까지 총 4명이다.
[7]
가사는 없었다. 사실 당시 롯데의 응원가는 대부분 가사 없이 노래를 틀고 중간중간에 かっ飛ばせ(날려버려) ○○○를 넣는 식이었다.
[8]
歓声の渦巻いて 大きく放り込め 歌え! 踊れ! 打ちまくれ! いざ行け里崎(함성이 소용돌이친다 크게 던져 넣어라 노래해라! 춤춰라! 마구 쳐내라! 자 가자 사토자키)
[9]
사토자키보다 2년 선배였다. 풀타임 주전포수로 뛰고도 2할이 될락말락한 절망적인 타격을 보유한 수비형 포수였던데다가 하필 우타자여서 플래툰으로 돌릴 수도 없었기 때문에 사토자키가 주전을 먹은 이후 급속도로 전력외로 전락하여
주니치 드래곤즈로 트레이드되었다. 문제는 주니치에서도 전력 외로 분류되어 커리어 하이 시즌이 27경기 출장일 정도로 부진한 나날을 보냈다. 거기서 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트레이드됐으나 여기서도 그의 자리는 없었다. 결국 소프트뱅크에서 은퇴를 선언. 신인 시절에는 주전포수였는데 마지막 3년간은 3년 동안 6경기 나올 정도로 용두사미의 선수생활을 했다. 참고로 사토자키는 본인 유튜브에서 이 선수에 대해서 말하길 자기가 1군에서 나오기 전까지 주전포수를 하고 있었던 선수였고, BB등급 선수라고 했다. 그래도 하시모토는 등급 얘기도 안하고 그냥 하시모토 타스쿠 포수 하고 넘어간 걸 보면 그거보단 나은 평가인데 사실 사토자키 유튜브 보면 본인과
오오무라 사부로를 SS로 해 놓고, 통산 200세이브를 넘기고 메이저리그까지 밟았던 코바야시 마사히데는 S로 평가했으니 그냥 재미로만 생각하는 게 좋다.
[10]
사토자키와 동갑이었지만 고졸이라 프로에 빨리 데뷔했다. 하시모토는 좌타거포 스타일의 공격형 포수였기 때문에 그래도 주전포수는 못 됐지만 플래툰으로 꾸준히 출장하는데는 성공하였으며 사토자키가 부상으로 많이 못 나온 2008년에는 주전포수를 맡기도 했다. 하지만 2009년 시즌 이후 확실히 주전포수가 되고 싶다는 이유로 FA를 선언하여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로 이적하였으나 이적 후에 노쇠화로 더 기회를 못받고 계약기간이 끝나자마자 방출당했다. 커리어를 보면 확실히 사토자키의 그늘에 가려져서 실력에 비해 빛을 못 본 선수. 뒤늦게 포수 뎁스가 약한 요코하마로 간 후에는 부상과 노쇠화 때문에 은퇴했다.
[11]
선발 포수 2경기, 지명타자 1경기, 교체 포수 1경기. 나머지 두 경기는 전부 하시모토가 선발포수로 나왔다.
[12]
아베랑 비교하면 초라해보이는 스탯인데 애초에 투고타저에 수비를 중시하는 일본에서는 저런 포수 몇 명 없다. 투수구장인 마린 스타디움을 홈으로 쓴 것을 생각하면 더 고평가받을 수 있다.
[13]
잘 보면 은근히 부상으로 시즌을 날려먹는 경우가 종종 있는 편이다. 2004년, 2008년, 2010년 모두 부상으로 풀타임 풀전에 실패했다. 2005년도 플래툰 출전이라 사실상 2010년까지 풀타임 포수로 뛴 건 2006년, 2007년, 2009년 정도인 셈.
[14]
그러니까 다른 팀에서 뛴 적 없는 포수.
[15]
본래는 가장 구독자가 많은 채널이었지만
키요하라 카즈히로가 무시무시한 기세로 50만을 먼저 뚫어버리면서 2위로 내려앉은것.
[16]
사토자키의 위에는
후루타 아츠야(73만 3천),
우에하라 코지(77만 8천) 밖에 없다.
[17]
다만 호소카와는 전성기 시절에도 .240대조차 넘긴 적이 없었을 만큼 컨택이 심각하게 안 좋아서 당연히 똑같은 조건이어도 타격이 더 좋은 사토자키에게 밀릴 수밖에 없었다.
[18]
참고로 편하고 불편하고를 다룬 것이 아닌 순수하게 구장에 대한 기억이 좋고 안 좋고만 기준으로 삼았다고 한다. 편하고 불편하고를 기준으로 삼으면 무조건 돔구장이 최고라고 밝혔다. 다만 저것은 좋아하는 구장 한정이고, 싫어하는 구장 3개는 시설이 열악하다거나 하는 이유로 꼽기는 했다.
[19]
참고로 2위는 2년 연속 만루홈런을 쳤던
메이지진구 구장, 1위는
후쿠오카 PayPay 돔.
[20]
싫어하는 구장으로는 라커룸이 더럽고 여러 다른 시설을 한 방에 몰아넣어서 공간이 비좁은 등의 문제를 가졌던
히로시마 시민구장을 3위로, 흙이 푹신푹신하고 천연잔디도 길어서 수비가 어려운데다가 덕아웃과 라커룸이 멀리 떨어져있는
홋토못토 필드 고베를 2위로, 백네트가 홈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폭투가 나오면 2베이스 이상 내주기 쉬워서 포수였던 사토자기에게 애로사항이 컸던
삿포로 돔을 1위로 뽑았다.2, 3위는 결국 라커룸 문제가 컸다. 실제로 사토자키는 저 두 구장에선 라커룸을 이용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 와중에 라커룸이 좋은 구장 물어보니까 원정 구장은 거기서 거기라고 홈이 제일 좋다고 한 건 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