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23:30:25

박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데스티니 차일드'의 차일드에 대한 내용은 박제(데스티니 차일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용도
2.1. 연구2.2. 취미
3. 가격4. 사례5. 인터넷 용어

1. 개요

taxidermy

생명체의 주검을 방부 처리하고 생전과 같은 모습으로 만든 것. 동물의 껍질을 벗겨 속을 다른 물건으로 채운다. 가죽 안쪽 면에 방부액 처리를 한 뒤 이나 대팻밥 등의 충전재를 채워넣고 가짜 눈( 의안)[1]을 박아 만드는 게 보통이다. 요즘은 우레탄이나 스티로폼 같은 것을 쓰지만 예전에는 짚이나 솜을 채우기도 했으며 나무로 틀을 만들기도 했다. 코끼리와 같은 대형 동물 박제는 시멘트로 모양을 만든 뒤 겉에 가죽을 씌우기도 했다. 이 충전재에 방부, 방충 효과가 있는 장뇌 등의 재료를 쓰기도 한다. 참고

2. 용도

2.1. 연구

보통 장식물이나 연구용 표본으로 이용된다. 일반적인 표본이 동물학적인 연구를 위해 특징을 확인하는데 중점을 둔다면, 박제는 살아 있을 때 모습을 재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새를 예로 들면 새 '박제'는 나무 위에 날개를 펴고 두 발로 앉아 있지만 새 '표본'은 날개고 다리고 둘둘 말려 서랍 속에 쌓여 있기도 한다. 아니면 포르말린 병에 들어가 있거나.

본래 연구용이므로 예전에는 국민학교 과학실에도 조류 박제 한두 점 정도는 있었다. 대량으로 보려면 주로 자연사 박물관 같은 곳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는 자연사 박물관이 성격상 생물 관련 자료를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아무리 방부 처리를 한다 해도 결국은 썩기 쉬운 생물이기 때문에 관리를 잘 하지 않고 오래 되면 상당히 망가져 보기 흉한 모습이 되기 쉽다.(오래 두어도 얼마나 표본이 멀쩡하냐의 정도로 그 표본을 만든 박제사의 실력과 노하우를 가늠할 수 있다.) 해괴한 박제 모음

덧붙여 이런 전시관에서는 소형 어류, 파충류, 양서류 등 박제가 어려운 것은 포르말린 용액에 그냥 담가 놓기도 하는데, 시간이 지나 용액이 변색되면서 누런 용액속에 눈 뜬채 들어 있는 물고기나 개구리를 보고 질색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물론 크기가 큰 파충류나 어류는 박제가 가능하다.

2.2. 취미

박제 수집을 취미로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특히 곤충이나 파충류 등 소동물의 박제를 모으는 취미는 전세계적으로 많다. 곤충 채집으로 표본을 모으는 사람들은 서구권에도 많지만 일본에 특히 많으며[2] 우리나라에도 점점 표본 컬렉터가 많아지는 추세이다.

요즘 만드는 '대중적인' 동물 박제는 보통 로드킬 당한 동물이나 자연사한 동물 사체를 이용한다.[3] 야생을 살아가는 희귀 동물을 잡아서 박제하는 경우가 없지는 않으나, 이런 류는 일반인들이 구경하기도 힘들고, 돈 많은 수집가들이 알음알음으로 거래하기 때문에 동물보호단체 눈에 뜨일 일도 없다. 이런 문제에서 자유로운 박제로 자기가 키우던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계속 자기 옆에 두기 위해 박제해서 보존하는 경우가 있다. 외국에서는 성업하는 관습이지만 한국에서는 흔하지 않다.

3. 가격

개인적으로 구매하는 박제는 가격이 만만치 않고 그냥 장식 용도이기 때문에 일종의 사치품으로 분류된다. 곤충의 경우 완전히 보기 드문 희귀종이 아닌이상 보통 한점에 수만원 이하로 구매가 가능하지만 조류, 포유류, 파충류로 가면 최소가 십만원 수준이고[4], 중 대형견 이상으로 크기가 커지면 가격이 백만원 이상이 나간다. 인건비가 비싼 선진국은 거의 같은 동물이라도 평균적으로 가격이 국내보다 몇 배로 높은편. 서양에서 만들어진 박제를 수입해서 판매하는 경우도 있는데 사치품인 만큼 세금이 엄청나게 붙어 가격이 최소 백만원 이상으로 매우 높다.

아만다 사이프리드는 박제 동물 수집을 취미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2020년 11월 기준, 박제를 만드는 박제사는 한국에 약 60명 정도 있다고 한다. 박제 제조 과정

4. 사례

  • 특정 종의 마지막 개체가 동물원에서 자연사하면서 완전히 멸종하면 박제로 남기는 경우가 많은데 대표적으로 한국에선 국립 낙동강 생물자원관의 바바리사자[5], 큰바다쇠오리, 나그네비둘기, 뉴잉글랜드초원멧닭, 극락앵무, 까치오리, 캐롤라이나앵무, 후이아 등이 있다.
  • 세계에서 가장 장수한 '수컷' 아시아코끼리로 알려져 있는 린왕이 동물원 동물 및 코끼리 자체가 박제가 된 대표적인 사례다.
  •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생전 모습을 그리워하는 고객들을 위한 박제산업도 있다. #
  • 과거 창경궁이 유원지와 동물원으로 쓰일 때 박제만을 모아서 전시하기도 했는데, 이들도 대부분 동물원에 있다가 죽은 동물로 만든 것이었다.[6]
  • 스웨덴의 국왕이었던 프레드리크 1세는 아끼던 사자가 죽자 박제를 명령했는데, 문제는 당시 스칸디나비아 전역에 사자가 이 사자 딱 한마리밖에 없었고, 박제하려고 시체를 도로 땅 속에서 꺼냈을때 이미 심하게 부패하고 있어서 가죽과 뼈밖에 남지 않은 상태였고, 박제사는 사자를 한번도 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화가들의 그림만 보고 박제를 하게 되었고, 괴상망측한 모습의 박제가 되었다. 프레드리크 1세 항목 참조.
  • 사냥이 대중의 취미 중 하나인 유럽, 미국 등지에서는 사냥 트로피로 사냥물의 머리만 박제해서 거실이나 서재 벽에 장식용으로 걸어놓기도 한다. 서양산 매체를 보면 벽에 걸린 엘크의 머리 같은 장식용 박제를 쉽게 볼 수 있다.
  • 인체의 신비전을 박제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사전적인 의미의 박제가 아니다. 이건 정확히 이야기하면 박제라기보다는 플라스티네이션 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방부 처리된 육포같은 상태이다. 플라스티네이션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특수한 플라스틱을 조직에 침투시켜 형태와 색깔을 보존하는 방식이다.
  •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사람의 시신의 주인이나 가족 동의 없이 무단으로 자행되었다. 백인들이 흑인이나 극지방 사람들을 사람이 아닌 동물이라고 멋대로 여겨서 데려와 동물원 동물처럼 굴었고 죽은 뒤로 해부까지 해서 박제했던 일이 있다. 제국주의 시대 유럽 백인들은 흑인이나 열대 지방 사람, 극지방 사람들을 사람이 아닌 동물이라고 멋대로 여겨서[7] 데려와 동물원에 전시했고, 죽은 뒤엔 해부까지 해서 박제하거나 골격을 전시했던 일이 있다. 사키 바트만 로버트 피어리 문서 참조.[8]
  • 일부 그로테스크한 매체에서는 인간으로 박제를 만들거나 거기에 더해 수집하는 경우도 가끔 보인다. 오래된 애니쪽 관련으로는 은하철도 999의 기계남작의 인간 사냥으로 죽은 철이의 어머니를 벽걸이 박제로 만든 것 정도.[9] 영화 혹성탈출에서도 주인공의 동료 비행사의 시신이 박제되어 박물관에 전시된 장면이 나온다.[10]
  • 멕시코 라파스쿠알리타(La Pascualita)에 있는 마네킹은 1930년대 제작되었는데 인간으로 만든 박제라는 의혹이 있다. # 이는 당신이 혹하는 사이 시즌4에서도 다룬 적이 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니다'로 판명났다. 해당 마네킹의 최초 주인의 딸이 원본이라는 게 주요 골자인데, 그 주인의 조카가 한 매체에 보낸 편지를 인용하기를, 최초 주인의 딸은 초등학교에 들어가기도 사망했다고 한다.
  • 또 박제를 전문으로 하는 박제사라는 직업도 있다. 박제사가 주인공인 영화 Taxidermia도 있다. 미성년자 관람 불가 등급의 충격적인 장면이 많으니 감상할 때 주의해야 된다.
  • 대전 오월드 퓨마 탈출사건 당시 퓨마를 박제해서 국립중앙과학관에 전시하려는 논의로 인해 논란이 일어났다. 이 때문에 박제라는 행위 자체에 대한 반감이 대중에게 생길 정도였다. 후에 박제는 안 했고 소각처리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

5. 인터넷 용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제(인터넷 용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눈은 내부에 수분이 많아서 방부 처리를 해도 쪼그라들어 버리기 때문에 가짜 눈을 박는다. [2] 일본은 생물학이나 애완동물 등 오덕 외 많은 취미분야에서도 전세계적에서 으로 알아준다. 온갖 올빼미 새끼들이 애완용으로 팔리거나, 한국에엔 수입될 수 없는 수많은 장수풍뎅이가 일본 펫 샵에서 팔리고 있는 것이 좋은 예. 하지만 이 때문에 외래동물로 인한 생태계 교란 등의 부작용도 있으며, 또한 이러한 시장 규모 때문에, 다른 나라 동식물을 무단으로 들여와 팔거나 또는 품종개량해 자기네 것인 양 하는 일도 많다. [3] 동물원에서 노쇠나 병으로 폐사한 동물 사체, 혹은 (대형 육식동물의 경우)사람을 해친 적이 있어서 안락사당한 사체도 이용하기도 한다. [4] 박제사마다 부르는 가격이 다르지만 한국에서 다람쥐 정도의 크기가 대략 십만원 선이다. [5] 몇몇 동물원에 바바리사자의 후예가 남아있기도 하고, 현재는 사자의 아종이 통합되었기에 멸종 동물이 아니다. [6] 당시에 장서각으로 쓰던 2층 건물의 일부를 이용했다. 창경궁 복원 공사 후 건물 철거. 이후 박제와 표본 일부는 서울대공원으로 간 것으로 보이나, 나머지는 어디로 갔는지는 알수 없다. [7] 자기와 다른 인종, 이교도들을 다 '모양이 사람인 동물'로 생각했기 때문에 죽이거나 구경거리로 삼는데 거리낌이 없었다. 심지어 사람 고기를 먹기까지 했던 중세보다야 낫겠지만... [8] 참고로 일제강점기 시절 한국인이 외국의 박물관에 살아있는 동양인 표본으로 전시되었던 적이 있다. 당시 그걸 직접 관람한 다른 한국인이 전시된 사람과 얘기해보니, 돈 벌게 해준다고 해서 뭔지 모르고 끌려왔다고 한다. 한복 입혀서 작은 방으로 들여보내진 뒤 잠시 후 구경꾼들이 들어오는걸 보고 그제서야 자신이 구경거리가 된 걸 알았다고. # 또한 그 곳에는 한국 말고도 인간표본용으로 다른 약소국에서 끌려온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고 한다. 1889 파리 엑스포에서도 흔한 일이었다. [9] 철이를 기계인간으로 만들고 싶지 않아 철이를 데리고 도망간 철이 엄마 때문에 빡친 프로메슘이 기계백작들에게 명령을 내려 철이 엄마를 박제로 만들어 가져오게 했다. 나중에 이 기계백작은 철이한테 끔살된다. [10] 이 외에도 특별히 그로테스크 하진 않은데다 박제가 아니라 동상으로 만드는 것이지만 자신이 쓰러뜨린 격투가를 동상으로 만들어 보관하는 취미를 가진 KOF 94 당시의 루갈 번스타인도 한 예. 게임 헤비 레인의 박제사 DLC에도 인간을 박제하는 살인마가 나온다. [11] 장기를 제거하고 방부 처리한 것이니 미라라고 해도 된다. 하지만 박제 자체가 미라 제조법에서 응용된 보존 기술인 점을 감안하면 박제라 해도 무관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