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5-13 18:23:50

마름모십이면체

카탈랑 다면체
Catalan Solids
마름모십이면체
(↔ 육팔면체)
마름모삼십면체
(↔ 십이이십면체)
삼방사면체
(↔ 깎은 정사면체)
삼방팔면체
(↔ 깎은 정육면체)
사방육면체
(↔ 깎은 정팔면체)
삼방이십면체
(↔ 깎은 정십이면체)
오방십이면체
(↔ 깎은 정이십면체)
육방팔면체
(↔ 깎은 육팔면체)
육방이십면체
(↔ 깎은 십이이십면체)
연꼴이십사면체
(↔ 마름모육팔면체)
연꼴육십면체
(↔ 마름모십이이십면체)
오각이십사면체
(↔ †다듬은 육팔면체)
오각육십면체
(↔ †다듬은 십이이십면체)
()안의 다면체는 해당 카탈랑 다면체의 쌍대 다면체인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는 카이랄성 다면체(거울상이 원본과 같지 않은 다면체)


1. 개요2. 마름모십이면체에 대한 정보
2.1. 다른 도형들과의 관계
3. 여담4. 현실에서의 예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hombicdodecahedron.gif
카탈랑 다면체 중 하나인 마름모십이면체의 모습.

1. 개요

마름모十二面體 / Rhombic dodecahedron(복수는 -hedra)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중 하나인 육팔면체의 쌍대 다면체이다. 면들이 모두 마름모형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마름모의 예각의 경우 한 꼭지점에 4개, 둔각의 경우 한 꼭지점에 3개씩, 예각은 예각끼리, 둔각은 둔각끼리 모인다. 면의 형태 V3.4.3.4[1]이다.

면추이 도형이므로, 이론상으로 던졌을 때 각 면이 위에 올 확률이 모두 같기 때문에 공평한 십이면 주사위로도 사용할 수 있으나, 십이면체들 중에서도 점추이, 변추이, 면추이이기까지 한 정다면체 정십이면체가 있어서 많이 쓰이지는 않는다.

2. 마름모십이면체에 대한 정보

꼭지점(vertex, 0차원) 14개
모서리(edge, 1차원) 24개
면(face, 2차원) 마름모 12개
쌍대 육팔면체
이면각 120º

한 변의 길이가 [math(a)]인 마름모 십이면체가 있을 때

마름모(면)의 긴 대각선의 길이 = [math(\displaystyle\frac{2\sqrt{6}}{3}a)][2]
마름모(면)의 짧은 대각선의 길이 = [math(\displaystyle\frac{2\sqrt{3}}{3}a)]
한 면의 넓이 = [math(\displaystyle\frac{2\sqrt{2}}{3}a^2)]

내접구의 반지름 = [math(\displaystyle\frac{\sqrt{6}}{3}a)]
모서리접구의 반지름 = [math(\displaystyle\frac{2\sqrt{2}}{3}a)]
외접구의 반지름 = [math(\displaystyle\frac{2\sqrt{3}}{3}a)]
겉넓이(surface area) = [math(8\sqrt{2}a^2)]
부피(volume) = [math(\displaystyle\frac{16\sqrt{3}}{9}a^3)]≈3.07920a^3

2.1. 다른 도형들과의 관계

  • 육팔면체와 쌍대(Dual)[3] 도형이다.
  • 마름모의 둔각 3개가 모인 꼭짓점 8개를 이으면 정육면체가 된다.
  • 마름모의 예각 4개가 모인 꼭짓점 6개를 이으면 정팔면체가 된다.
  • 위 방법으로 만든 정육면체와 정팔면체를 겹치면 서로의 모서리 중앙 부분이 완전히 겹치는 복합체(compound)가 된다.
  • 4차원 도형인 테서렉트의 한 꼭짓점을 중심으로 한 3차원 투영 모습의 겉 부분 모습이다.
  • 4차원 도형인 정이십사포체의 3차원 단면중 하나이다. 또한 마름모십이면체는 정이십사포체와 가장 가까운 3차원 도형이다.

3. 여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hombic_dodecahedra.png
마름모십이면체가 한 변에 3개가 모이면 정규 벌집이 된다.
이면각이 120도여서 그렇다. 한편 이 도형의 쌍대다포체는 정사면체와 정팔면체 2개를 한 모서리에 번갈아 끼우면서 만든 벌집이기도 하며 {4,3,4}를 alternative 식으로 응용한 벌집이 된다.[4] 그리고 4개가 한 모서리에 모일 때에는 파라콤팩트가 되며, 이 경우 이것의 쌍대는 정육면체와 정사각형 타일링을 각각 한 모서리에 2개씩 번갈아 끼워서 만든 파라콤팩트 벌집이 된다. 이 사실을 통해서 마름모십이면체의 마름모 면의 예각은 ~70.5288°, 둔각은 ~109.4712°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마름모삼십면체로는 이면각이 144도여서 한 변에 3개가 모이면 콤팩트 쌍곡이 된다. 이것의 쌍대는 정사면체와 정이십면체가 들어가며 {5,3,4}를 alternative 식으로 응용한 벌집이 된다. 그리고 이 마름모삼십면체도 5개가 별모양으로 교차해서 만나면 유클리드 벌집이 되며, 이것의 쌍대는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와 큰 별모양 십이면체를 각각 2개씩 한 모서리에 모아 서로 만든 오목 정규 벌집이며, 이포각이 180°가 된다. 이 사실을 통해서 마름모삼십면체의 마름모 면의 예각은 ~63.4349°, 둔각은 ~116.5651°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십이십이면체의 쌍대는 3개가 만나면 이것의 쌍대는 정이십면체와 큰 이십면체가 들어가며 큰 십이이십면체의 쌍대는 3개가 만나면 정사면체와 큰 이십면체가 들어가며 5개가 만난다면 정십이면체와 큰 십이면체가 들어가는 형태가 된다. 이 형식의 이용하면 이론상 만들수 없는 오목 벌집 계열들도 이론상 구해볼 순 있겠다.

또한 면의형태 V(3.6.3.6) 마름모꼴 타일링의 경우[5] 이면각이 180도여서 한 변에 3개가 모일 경우 파라콤팩트 쌍곡이 된다. 이것의 쌍대는 정사면체와 정삼각타일링이 들어가며 {6,3,4}를 alternative 식으로 응용한 벌집이 된다.

V(3.7.3.7)의 마름모꼴 쌍곡 타일링도 이 원리가 성립하며 한 변에 3개가 모일때 논콤팩트 쌍곡이 된다. 이것의 쌍대는 {7,3,4}를 alternative 식으로 응용한 벌집이 된다. 마찬가지로 V(3,n,3,n)이라 할때 한 변에 3개가 모일 경우 논콤팩트 쌍곡이 되며 이것의 쌍대는 {n,3,4}를 alternative 식으로 응용한 벌집이 된다.

한편 정육면체는 이면각이 90도이며 마름모꼴 육면체이기도 하다. 이 원리를 이용한 정다포체로는 정팔포체가 있다. 이 도형의 쌍대는 정십육포체이다. 그리고 정사각형 타일링 3개가 한 변에 모일 때에는 이면각이 180°여서 정규 벌집이며, 이것의 쌍대는 정팔면체 4개가 한 변에 만나는 형식의 파라콤팩트 벌집이다.

V(4.5.4.5)의 마름모꼴 쌍곡 타일링도 한 변에 3개가 모일 때 논콤팩트 쌍곡이 된다는 점은 같다. 이것의 쌍대는 {5,4,4}를 alternative 식으로 응용한 벌집이 된다.

역시 이것도 V(n,m,n,m)인 다면체가 한 면에 q개만큼 만난다고 할 때, 해당 벌집의 꼭짓점은 {n,q}, {m,q}인 정다면체 또는 정규 타일링 또는 쌍곡 타일링이 되므로 이것의 쌍대는 한 변에 슐레플리 기호가 {q,n}, {q,m}인 정다면체/정규 벌집/쌍곡 벌집이 한 변에 2개씩 번갈아가며 나타나는 형식의 벌집이 되어 {m,n,4}를 alternative 식으로 응용한 벌집이 된다고 알 수 있다. 특히 만들 수 없는 오목벌집한테 유용한 것.

대신 2차원 이상은 무조건 면이 합동인 것 끼리만 붙일 수 있다는 점에서 각 면이 모두 합동이 아니면 서로 면끼리 붙인 수 없는 부분이 생겨서 제약이 생기니 이 점에 주의해야 한다. 즉, 서로 다른 형태의 면끼리는 아예 붙일 수가 없다는 것이며, 특히 이는 4차원 이상에서는 해당 다포체의 꼭짓점을 깎아서 만들 때 n-1차원 도형의 꼭짓점과 꼭짓점의 면이 반드시 같기 나온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된다.

4. 현실에서의 예시


[1] 한 꼭지점에 모이는 면의 구성이 3.4.3.4인 다면체의 꼭지점을 다면체 중심과 꼭지점을 이은 직선에 수직한 면으로 정확히 잘라내었을 때 생기는 단면의 쌍대 다각형과 같다는 뜻이다. [2] 짧은 대각선의 정확히 √2배다. 따라서 마름모십이면체의 전개도는 작도할 수 있다. 마름모삼십면체도 살짝 복잡해지지만 전개도를 작도할 수 있다. [3] 어떤 다면체의 꼭지점을 면으로, 면을 꼭지점으로 대체한 다면체를 쌍대 다면체라고 한다. [4] 의외로 주변 건축물 중에도 은근 찾아볼 수 있다. [5] 내각이 60도 120도 60도 120도이며 (3,6,3,6)의 쌍대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