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5 18:49:46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롤드컵 2018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324><tablebgcolor=#000324>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대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0a42, #0264fb, #010a42)"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fff> 1회 2회 3회 4회 5회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2011
스웨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12
미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13
미국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14
대만 · 싱가포르 · 대한민국
[[유럽|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
2015
유럽
<rowcolor=#fff> 6회 7회 8회 9회 10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16
미국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2017
중국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18
대한민국
[[유럽|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
2019
유럽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2020
중국
<rowcolor=#fff>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
2021
아이슬란드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22
멕시코 · 미국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3
대한민국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
2024
유럽
[[|
파일:중국 국기.svg
]]
2025
중국
}}}}}}}}}}}}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
Samsung Galaxy 파일:logo-ig.png
Invictus Gaming
FunPlus Phoenix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결승 MVP
박재혁
(SSG Ruler)
가오전닝
(IG Ning)
가오톈량
(FPX Tian)
파일:a-quick-guide-to-league-of-legends-esports-schedule.jpg
파일:1654258876177.png
<colcolor=white> Make Them Remember You | 기억되리라
파일:Worlds 2018.png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colbgcolor=#2f5cad><colcolor=white> 대회 기간 2018년 10월 1일 ~ 11월 3일
주최 라이엇 게임즈
주관
개최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조 추첨식 2018년 9월 23일[1]
참가팀 24팀
패치 버전 8.19
경기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장 플레이-인 스테이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울 LoL PARK
그룹 스테이지/8강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부산 BEXCO 오디토리움
4강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광주 여자대학교 유니버시아드 체육관
결승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인천 문학경기장 주경기장
}}}}}}}}} ||
중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중계 플랫폼 TV
OGN, SPOTV GAMES
온라인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SOOP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중계진 캐스터
전용준, 성승헌
해설자
이현우, 김동준, 고인규, 강승현
분석데스크
하광석, 한왕호[2]
통역 및 인터뷰어
박지선[3]
}}}}}}}}} ||
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플레이-인
스테이지
그룹
10월 1일 ~ 10월 4일
녹아웃
10월 6일 ~ 10월 7일
그룹
스테이지
1라운드
10월 10일 ~ 10월 13일
2라운드
10월 14일 ~ 10월 17일
녹아웃
스테이지
8강
10월 20일 ~ 10월 21일
4강
10월 27일 ~ 10월 28일
결승
11월 3일
}}}}}}}}} ||
결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우승 Invictus Gaming
준우승 Fnatic
결승 MVP 가오전닝(IG Ning)
}}}}}}}}} ||
1. 개요2. 대표 선발전3. 참가팀4. 일정5. 대회 진행
5.1. 진행 방식
6. 결과 및 총평7. 글로벌 파트너8. 공식 영상9. 기념 스킨
9.1. 챔피언십 카직스(Championship Kha'Zix)9.2. Invictus Gaming 스킨
10. 파워 랭킹
10.1. 라이엇 선정 TOP 20 플레이어10.2. ESPN 선정 라인별 TOP 5 플레이어
11. 여담
11.1. 라이엇 코리아의 운영11.2. 메타에 대한 평가11.3. 번외: 제6회 다데상11.4. 결승전 진행 문제
1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18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Moments and Memories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3일까지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제8회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 대표 선발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선발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참가팀

  • 그룹 스테이지 진출팀: LCK 3팀[4] + 나머지 5대 리그의 1·2시드팀 + VCS 종합 포인트 1등팀[5]
  • 플레이-인 스테이지 진출팀: LCK를 제외한 나머지 5대 리그의 3시드팀 + 5대 리그와 VCS를 제외한 나머지 리그의 종합 포인트 1등팀

지난 2년 간 5대 리그 중 최하위의 성적을 거뒀으며 MSI에서 4강에 들지 못한 LCS NA는 2팀 모두 2번 풀에 배정되고, 기타 리그 중 2018 MSI에서 가장 높은 성적을 거둔 VCS는 서머 우승팀이 그룹 스테이지 2번 풀로 직행한다. LPL이 올해의 MSI와 리프트 라이벌즈를 전부 석권했지만, 지난 대회의 우승 리그인 LCK의 3팀이 아직까지는 작년과 동일하게 모두 그룹 스테이지로 직행하게 된다.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진출팀
<rowcolor=black> 그룹 스테이지 풀 1
<rowcolor=black> 그룹 스테이지 풀 2
파일:LCK white.png LCK
파일:logo-kt.png 파일:logo-afs.png 파일:logo-geng.png
kt Rolster Afreeca Freecs Gen.G Esports
파일:LPL_White.png LPL 파일:LMS White.png LMS 파일:LCS Europe_logo_white.png LCS EU
파일:logo-rng.png 파일:logo-fw.png 파일:logo-fnc.png
Royal Never
Give Up
Flash Wolves Fnatic
파일:logo-ig.png 파일:logo-mad.png 파일:logo-vit.png
Invictus Gaming MAD Team Team Vitality
파일:NA_LCS_white.png LCS NA 파일:VCS_white.png VCS
파일:logo-tl.png 파일:logo-100.png 파일:logo-pvb.png
Team Liquid 100 Thieves Phong Vũ Buffalo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플레이-인 스테이지 진출팀
<rowcolor=black> 플레이-인 스테이지 풀 1
파일:LPL_White.png LPL 파일:LMS White.png LMS 파일:LCS Europe_logo_white.png LCS EU 파일:NA_LCS_white.png LCS NA
파일:logo-edg.png 파일:logo-grex.png 파일:logo-g2.png 파일:logo-c9.png
Edward Gaming G-Rex G2 Esports Cloud9
<rowcolor=black> 플레이-인 스테이지 풀 2
파일:TCL oldlogo white.png TCL 파일:LCL_white.png LCL 파일:CBLOL_white.png CBLOL 파일:lln-logo-white.png LLN
파일:logo-sm.png 파일:logo-gam.png 파일:logo-kabum.png 파일:logo-ie.png
Bahçeşehir
SuperMassive
Gambit Esports KaBuM! e-Sports Infinity eSports
<rowcolor=black> 플레이-인 스테이지 풀 3
파일:OPL_white.png OPL 파일:SEATourSummer2018white.png SEA 파일:CLS_lol-logo-white.png CLS 파일:LJL_white.png LJL
파일:logo-dw.png 파일:logo-ag.png 파일:logo-kaos.png 파일:logo-det.png
Dire Wolves Ascension
Gaming
Kaos Latin
Gamers
DetonatioN
FocusMe
  • 5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참가팀 중 최다 출전팀
  • 5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참가팀 중 최다 연속 출전팀
    • LCK - Gen.G Esports(3년 연속 출전)[11]
    • LPL - Edward Gaming(5년 연속 출전)
    • LMS - Flash Wolves(4년 연속 출전)
    • LCS NA - Cloud9(6년 연속 출전)
    • LCS EU - G2 Esports(3년 연속 출전)
  • 5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첫 출전팀

3.1. 로스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로스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일정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f5cad>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경기 일정
}}}
플레이-인 그룹 (10/1~10/4)
녹아웃 (10/6~10/7)
그룹
(10/10~10/17)
A조 B조 C조 D조
녹아웃 8강 (10/20~10/21)
4강 (10/27~10/28)
결승 (11/3)
결산

5. 대회 진행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Worlds
패치 버전 8.19
글로벌 밴 없음
{{{#!folding [ 플레이-인 스테이지 펼치기 · 접기 ] <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align=center>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표
<rowcolor=#fff> 순위 비고
1 EDG 3 1 1일차 전승
2 INF 2 2 1일차 전패, 2일차 전승
3 DW 1 3 2일차 전패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B조 순위표
<rowcolor=#fff> 순위 비고
1 G2 4 1 2일차 전승, TB
2 SUP 3 2 1일차 전승, TB
3 ASC 0 4 전패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C조 순위표
<rowcolor=#fff> 순위 비고
1 C9 4 0 전승
2 DFM 2 3 2일차 전패, TB
3 KBM 1 4 1일차 전패, TB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D조 순위표
<rowcolor=#fff> 순위 비고
1 GRX 4 0 전승
2 GMB 2 2
3 KLG 0 4 전패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 대진표
<rowcolor=#fff>
경기
조 1위
결과
조 2위
10/7 파일:logo-c9.png C9 3 2 GMB 파일:logo-gam.png
파일:logo-edg.png EDG 3 0 DFM 파일:logo-det.png
10/8 파일:logo-g2.png G2 3 1 INF 파일:logo-ie.png
파일:logo-grex.png GRX 3 1 SUP 파일:logo-sm.png
파랑색: 그룹 스테이지 진출 }}}
}}} ||
{{{#!folding [ 그룹 스테이지 결과 펼치기 · 접기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표
<rowcolor=#fff> 순위 비고
1 AFs 4 2 2R 전승
2 G2 4 3 TB
3 FW 3 4 TB
4 PVB 2 4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B조 순위표
<rowcolor=#fff> 순위 비고
1 RNG 5 2 1R 전승, TB
2 C9 4 3 2R 전승, TB
3 VIT 3 3
4 GEN 1 5 2R 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C조 순위표
<rowcolor=#fff> 순위 비고
1 KT 5 1 1R 전승
2 EDG 4 2
3 TL 3 3
4 MAD 0 6 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D조 순위표
<rowcolor=#fff> 순위 비고
1 FNC 6 1 2R 전승, TB
2 IG 5 2 1R 전승, TB
3 100 2 4
4 GRX 0 6 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녹아웃 스테이지 대진표
{{{#!wiki style="margin: -10px -5px"
KT
C조 1위
파일:logo-kt.png
2
IG
D조 2위
파일:logo-ig.png
3 }}} {{{#!wiki style="margin: -10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logo-ig.png
3
파일:logo-g2.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결승 (11/3)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logo-ig.png
3
파일:logo-fnc.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RNG
B조 1위
파일:logo-rng.png
2
G2
A조 2위
파일:logo-g2.png
3 }}}
{{{#!wiki style="margin: -10px -5px"
AFS
A조 1위
파일:logo-afs.png
0
C9
B조 2위
파일:logo-c9.png
3 }}} {{{#!wiki style="margin: -10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logo-c9.png
0
파일:logo-fnc.png
3 }}}
{{{#!wiki style="margin: -10px -5px"
FNC
D조 1위
파일:logo-fnc.png
3
EDG
C조 2위
파일:logo-edg.png
1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월드 챔피언십 우승

5.1. 진행 방식

진행 방식 안내

6. 결과 및 총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결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글로벌 파트너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파일:Acer 로고.svg 파일:predator_800x800ar.png
마스터카드 에이서 프레데터
파일:로지텍 로고.svg
로지텍

8. 공식 영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공식 영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기념 스킨

9.1. 챔피언십 카직스(Championship Kha'Zix)

파일:khazix_Championship.jpg
가격 1350RP(한정판) 동영상 #
한국에서 개최된 2018 월드 챔피언십 기념 스킨.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스킨. 챔피언십 스킨이니 만큼 훌륭한 퀄리티와 일러스트를 자랑한다. 팀 별로 크로마도 출시되었다.

9.2. Invictus Gaming 스킨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2018 시즌[12]
파일:2019_iG.jpg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heShy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Duke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Ni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Rookie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JackeyLove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Baolan
피오라 이렐리아 카밀 르블랑 카이사 라칸

10. 파워 랭킹

10.1. 라이엇 선정 TOP 20 플레이어

월드 챔피언십은 전 세계 최고의 리그 오브 레전드 선수들이 모이는 정점입니다. 그들이 일 년간 기울인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는 무대죠. 100명이 넘는 선수들이 소환사의 컵을 들어 올리기 위해 자웅을 겨루게 됩니다. 지역 최고들만 모였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은 관중 속의 또 다른 얼굴로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이 중 일부만이 날아오를 수 있겠죠. 이미 이름을 널리 알린 선수들도 있고, 이전 대회에서 우승하며 살아 있는 전설로 기억되고 있는 선수들도 있습니다. 2018 월드 챔피언십 무대를 빛낼 20명의 선수들을 소개합니다.

최고의 선수 20인 명단은 “Jatt” 조슈아 리스맨, “Deficio” 마틴 린지 그리고 “PapaSmithy” 크리스 스미스에 의해 선정되었습니다. 이번 명단은 선수들의 현재 기량, 2018 시즌 및 이전 월드 챔피언십에서의 성적 그리고 올해 월드 챔피언십에서 기대되는 활약 등을 고려했습니다.
한국 공식 홈페이지 최고의 선수 20인 소개글
순위 이름 아이디 소속 팀 포지션 최종 성적
1 젠쯔하오 Uzi 파일:logo-rng.png 파일:Bot_icon.png
BOT
8강
2 송의진 Rookie 파일:logo-ig.png 파일:Mid_icon.png
MID
우승
3 고동빈 Score 파일:logo-kt.png 파일:Jungle_icon.png
JGL
8강
4 김기인 Kiin 파일:logo-afs.png 파일:Top_icon.png
TOP
8강
5 박재혁 Ruler 파일:logo-geng.png 파일:Bot_icon.png
BOT
그룹 스테이지 4위
6 송경호 Smeb 파일:logo-kt.png 파일:Top_icon.png
TOP
8강
7 후숴제 SwordArt 파일:logo-fw.png 파일:Support_icon.png
SPT
그룹 스테이지 3위
8 스썬밍 Ming 파일:logo-rng.png 파일:Support_icon.png
SPT
8강
9 라스무스 뷘터 Caps 파일:logo-fnc.png 파일:Mid_icon.png
MID
준우승
10 이성진 CuVee 파일:logo-geng.png 파일:Top_icon.png
TOP
그룹 스테이지 4위
11 홍하오쉬안 Karsa 파일:logo-rng.png 파일:Jungle_icon.png
JGL
8강
12 김혁규 Deft 파일:logo-kt.png 파일:Bot_icon.png
BOT
8강
13 조세형 Mata 파일:logo-kt.png 파일:Support_icon.png
SPT
8강
14 강승록 TheShy 파일:logo-ig.png 파일:Top_icon.png
TOP
우승
15 황이탕 Maple 파일:logo-fw.png 파일:Mid_icon.png
MID
그룹 스테이지 3위
16 이서행 Kuro 파일:logo-afs.png 파일:Mid_icon.png
MID
8강
17 리위안하오 Xiaohu 파일:logo-rng.png 파일:Mid_icon.png
MID
8강
18 이예찬 Scout 파일:logo-edg.png 파일:Mid_icon.png
MID
8강
19 손우현 Ucal 파일:logo-kt.png 파일:Mid_icon.png
MID
8강
20 이량 펭 Doublelift 파일:logo-tl.png 파일:Bot_icon.png
BOT
그룹 스테이지 3위
10월 9일, 그룹 스테이지가 시작하기 전날에 월즈 TOP 20 플레이어가 공개되었다.

전년도에 이어 이번에도 한국인 선수는 총 20명 중 12명이 선정되었지만, LCK 선수들은 9명만이 선정되었다. 유일하게 KT 주전 선수들은 모두 선정되었다.[13] 또한, 최초로 LCK 선수(한국인)가 1위에 선정되지 못했다.[14]

2015 월즈에 이어 순위 선정 방식에 많은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소드아트가 서포터 순위 1등인 점이나 룰러가 5등인 점, 유칼이 미드 7명 중 7등인 점, 우승 미드 샤오후의 저평가와 루키의 고평가, 국제 대회 경력이 없는 더샤이가 고평가된데 비해 경험 많은 메이플은 저평가하는 등 순위 선정 방식에 일관성이 없다는 평. 커리어와 현재 폼, 할당제 등을 다 섞다보니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8강이 끝나니 Rookie, Caps, TheShy 만 살아남았다. 8강에서 TOP 20 중 3명이 살아남은 것은 정말 희귀한 경우.

10.2. ESPN 선정 라인별 TOP 5 플레이어

9월 25일, ESPN에서 자체적으로 라인별 TOP 5 순위를 정리하여 공개하였다.
  • TOP
순위 이름 아이디 소속 팀
1 송경호 Smeb kt Rolster
2 김기인 Kiin Afreeca Freecs
3 강승록 TheShy Invictus Gaming
4 김찬호 Ssumday 100 Thieves
5 옌쥔쩌 Letme Royal Never Give Up
탑솔러의 나라 한국답게 1위부터 4위까지 모조리 한국인이 차지하였다. 기인은 월즈 첫 출전이기 때문에 2위로 밀려났다는 것이 중론이지만 정규시즌 1라운드와 결승전에서 불안한 모습을 보였던 스멥이 1위인 것도 ESPN다운 점 중 하나.
  • JGL
순위 이름 아이디 소속 팀
1 고동빈 Score kt Rolster
2 홍하오쉬안 Karsa Royal Never Give Up
3 이다윤 Spirit Afreeca Freecs
4 제이크 푸체로 Xmithie Team Liquid
5 가오전닝 Ning Invictus Gaming
스코어가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스피릿이 3위를 기록한 점이 눈에 띈다. 기복은 여전하지만 캐리력 하나만큼은 뛰어난 점을 높게 본 듯하나 비슷한 스타일인 Mlxg와 하루는 순위에 기록되지 않았다. 또한 작년 월챔의 주인공인 앰비션 역시 부진으로 인해 이름을 올리지 못 하였다.
  • MID
순위 이름 아이디 소속 팀
1 송의진 Rookie Invictus Gaming
2 이서행 Kuro Afreeca Freecs
3 손우현 Ucal kt Rolster
4 리위안하오 Xiaohu Royal Never Give Up
5 라스무스 뷘터 Caps Fnatic
팀을 이끈 루키가 1위를 차지했고 쿠로가 유칼보다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유칼이 경험이 적은 점을 반영한 듯하다. 우승 후보 RNG의 미드 샤오후가 4위를 기록한 점도 눈에 띈다.
  • BOT
순위 이름 아이디 소속 팀
1 젠쯔하오 Uzi Royal Never Give Up
2 김혁규 Deft kt Rolster
3 박재혁 Ruler Gen.G Esports
4 위원보 Jackeylove Invictus Gaming
5 피터 펭 Doublelift Team Liquid
1위는 당연히 올 한해 모든 대회를 석권한 우지의 차지가 되었고 그런 우지를 2년 전에 LPL에서 압도한 적이 있는 데프트가 2위를 달성했다. 3위는 작년 월즈 결승 MVP 룰러.
  • SPT
순위 이름 아이디 소속 팀
1 후숴제 SwordArt Flash Wolves
2 조세형 Mata kt Rolster
3 스썬밍 Ming Royal Never Give Up
4 조용인 CoreJJ Gen.G Esports
5 톈예 Meiko Edward Gaming
가장 많은 소리가 나오고 있는 포지션으로 소드아트가 1위를 차지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마지막에 와서 역시 ESPN은 재미로 보는 것 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한국인 선수는 25명 중 13명으로 절반이 넘게 선정되었고, LCK에서 뛰는 선수는 각 라인별로 2명씩 10명이 선정되었다. 또한 KT 선수들과 RNG 선수들은 주전이 모두 선정되었다.

11. 여담

  • 2014 월즈 이후 4년 만에 한국에서 재개최된다. 특히 지난번 대회에서 분산 개최를 했던 것과는 달리 이번엔 전 경기가 한국에서 열린다. 단독 개최를 반기는 의견이 대다수지만 이전 대회에서의 미흡한 운영과 시설을 극복할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 이번 월즈부터 대한민국 중계는 라이엇 코리아의 자체 제작으로 운영된다.[15] 중계진 운용은 2019 스프링부터 기용할 멤버들을 시험 운용하는 성격이 강하며, 전용준/성승헌 더블 캐스터에 김동준/이현우/강승현/고인규 4인 해설과 분석 데스크 하광석이라는 초호화 구성이다. 덧붙여 서머 결승전 당시 아프리카TV 중계방에서 서수길 대표이사가 SBS 지상파에서 송출할 수 있다고 언급했는데, 정확한 이야기는 월즈 그룹 스테이지 진행 시점까지도 나오지 않고 있다.
  • LPL의 RNG는 올해 데마시아컵, 스프링, 서머, Mid-Season Invitational, 리프트 라이벌즈를 모두 제패했다.[16]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은 가장 중요한 대회인 월즈 우승을 통해 진정한 의미의 그랜드 슬램에 도전한다. 지금까지 그 어떤 팀도 이루어내지 못했던 이 위대한 기록을 달성하고 15 SKT를 뛰어넘은 역대 최고의 팀으로 남게 될 수 있을지에 귀축이 주목 되었으나...
  • 이번 시즌 들어 국제 무대 결승전에서 LPL에 번번히 발목잡히며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던 LCK 입장에서는 이번 월즈가 마지막으로 남은 설욕의 기회일 것이다. 이미 많은 국제 대회 우승을 LPL에 내준 LCK의 자존심은 많이 무너진 상태이고, 그동안의 대회와는 다르게 LCK는 이제 세계 최강 LPL에 도전하는 도전자의 입장에 처하게 되었다.[17] 그리고 LCK는 멸망했다.
  • LCK의 KT는 리프트 라이벌즈에서 전승을 거두고도 다른 팀들의 부진으로 인해 준우승에 만족해야만 했다. 그러나 리프트 라이벌즈 전승의 기세를 리그에서의 선전으로 이어가는데 성공하였고 LCK의 1시드 자격으로서 월즈에 진출하게 되었다. 사실상 LCK의 유일한 희망으로 여겨졌으나... LPL 킬러라는 별명이 무색하게 8강에서 IG에게 탈락했다.
  • 2015 시즌 이후 우승 스킨의 원거리 딜러 포지션은 전부 전 시즌이 끝난 후 출시된 챔피언이 차지하고 있는데[18] 마침 2018 시즌에 출시된 카이사 역시 우수하면서도 독특한 성능으로 사랑받고 있어 이 전통을 이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그룹 스테이지부터 8강까지 원딜 중 1갓으로 우뚝 섰기 때문에 전통이 실현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결국 TheShy 피오라, Duke 이렐리아, Ning 카밀, Rookie 르블랑, Jackeylove 카이사, Baolan 라칸을 우승 스킨의 주인공으로 각각 선택하면서 이번에도 이 전통이 지켜졌다!
  • 이번 월즈부터 선수의 우승 스킨 제작 조건이 추가되었다. 1)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적어도 2회 참여, 2) 그룹 스테이지에서 적어도 2회 참여, 3. 토너먼트 스테이지에서 적어도 1회 참여. 셋 다 만족할 필요는 없고, 1~3 중 하나만 만족하면 스킨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2017 시즌처럼 우승팀 서브의 경기 수가 그룹 스테이지 한경기뿐이라면 스킨 제작이 되지 않는다.
  • 아시안 게임으로 인해 리그 오브 레전드 아시아권 리그의 서머 포스트시즌 일정이 예년과 비교했을 때 많이 늦어졌다.[19] 하지만 월즈의 개막일은 작년보다 일주일 정도 미뤄진 정도로, 아시아권 리그는 서머 포스트시즌 이후 월즈 선발전이 바로 바쁘게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작년 월즈 개막일은 9/23, 결승전은 11/4였던 것에 비해 올해 월즈 개막일은 10/1, 결승전은 11/3으로 월즈 기간 자체도 작년보다 일주일 정도 짧은데, 작년과 비교했을 때 플레이-인 스테이지 2라운드와 그룹 스테이지 사이의 휴식기가 짧고(작년 5일→올해 2일) 그룹 스테이지가 4일/4일 나눠져서 1, 2주차로 나눠지고 사이에 휴식기(3일)가 있었던 것과 달리 올해는 휴식기 없이 8일동안 쭉 달리는 일정으로 짜여졌다. 또한, 하루에 한 매치씩 4일간 치러졌던 8강전이 하루 두 매치씩 2일간 치르는 것으로 일정이 당겨졌다.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부터 그룹 스테이지로 올라오는 팀들은 작년보다 더 체력 조절에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번 월즈에서 2019 시즌 LCK 경기장이 될 종로 롤 파크가 공개된다. 플레이-인 스테이지가 진행될 예정. 출처
  • 이번 월즈부터 등록 가능한 서브 선수가 2명으로 늘어난다는 루머가 돌고 있다. 이게 사실이리면 정글 미드 로테이션을 돌리는 LCK의 젠지와 북미의 C9이 이득을 볼 듯. 하지만 조 추첨식에서 6인 체제로 간다고 언급되었다.
  • 북미에서 이번 시즌 위태로운 모습을 보인 월즈 마지막 개근팀 TSM이 결국 최종 선발전 결승에서 C9에게 0-3으로 패배하며 더 이상 월즈 개근팀은 없게 되었다. 다만 월즈 최장 연속 출전 기록은 여전히 TSM의 기록이다.
  • 레딧에서 팀 파워 랭킹 순위를 투표했는데, 1등은 LPL의 RNG이고 2, 3, 4등은 LCK의 KT, 젠지, 아프리카 순, 5등과 9등이 LPL의 IG와 EDG로, RNG ≥ KT >> LCK 팀 > RNG를 제외한 LPL 팀이라는 평이 많다. 이유는 월즈 시즌만 되면 기세 좋던 LPL 팀들은 늘 삐끗하고(IG, EDG), LCK 팀들은 잘해지기 때문이라고 하며, 젠지가 3등인 이유는 역시 그간 월즈 커리어가 크고, 아프리카가 4등인 이유는 지금 고평가되고 있는 KT와 젠지를 상대로 동시에 이번 시즌 상대 전적에서 앞서는 유일한 팀이기 때문이라는 말이 있다. 참고
  • 사전 예상과는 달리 실제 결과는 충격. RNG - KT - 젠지 - 아프리카 상위 4팀이 8강 - 8강 - 그룹 스테이지 - 8강이라는 믿을 수 없는 결과가 나왔으며, 배당률이 10이 넘어가는 C9와 G2가 4강에 가는 대변이 나왔다.
  • 결승전 티켓 판매 당일, 판매창이 열린 후 8초 만에 인터파크에서 매진되었다는 소식이 네이버의 한 에디터에 의해 전해졌다. 군대에서 휴가 나오는 날에 보러 가려 그랬으나, 로딩 되는 중에 다른 사람들이 다 사가서 못 샀다고 한다. 해당 글. 문제는 태반이 암표상이다. 8강부터 암표상이 흐르다 못해서 아주 철철 흘러넘친다. 프로그램을 써가면서 아예 1열을 통째로 구입해서 파는 놈들도 있을 정도다. 거기에다가 가장 큰 문제는 라이엇이 통제할 생각이 없다는 것이다. 실물 티켓은 배송비를 따로 받으면서 공지에다가도 웬만하면 온라인 티켓을 하라고 하면서 정작 현장에서 입장용 팔찌로 교환할 때는 본인 확인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LCK의 시스템을 흉내만 내도 암표상을 다 막을 순 없어도 어느 정도는 막을 수 있다는 것과 라이엇이 앞으로는 LCK를 운영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앞으로 시스템이 퇴보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20]
  • 플레이-인 스테이지 종료 후 10월 8일 선수 징계가 공개되었다. 한국 랭크 게임에서 부정적인 언행을 보인 16명으로 5개 지역 8팀의 선수 및 코칭 스태프이다. 다행히도 출전 정지 등 월즈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었다. 12명에겐 경고, 4명에겐 벌금이 부과되었는데, 벌금을 받은 선수는 Gambit Esports의 다닐 레슈트니코프(Diamondprox) 선수, Invictus Gaming의 강승록(TheShy) 선수, Afreeca Freecs의 최연성 감독, Royal Never Give Up의 Uzi 선수이다. 각 1,000달러, 1,000달러, 1,500달러, 2,000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 젠지와 KT가 각각 그룹 스테이지와 8강에서 탈락하면서 2015 시즌부터 이어진 LCK 결승 내전 기록이 깨졌다. 또한 아프리카마저 8강에서 탈락하면서 시즌 1 이래 최초로 4강 진출 명단에 한국 팀이 없는 대회이자, 시즌 2 이래 최초로 결승 진출 명단에 한국팀이 없는 대회가 되었다.
  • 유독 이번 대회에서 코치진이 멍청한 밴픽으로 경기를 날려먹는 일이 많았다. 젠지의 나미 픽, G2의 2연속 제이스 풀고 아트록스 픽, FW와 아프리카의 야난 딩거 풀기, LCK 팀들의 우르곳 카이사 무상복지, KT의 캐리력 전무한 미드 픽 뽑기(특히 미드 우르곳), 신드라 르블랑 상대로 우르곳 뽑기, 크라운 미드 이렐, 탑 아트록스 보고 쉔 보내기, LCK 팀들의 이니시에이터 안 뽑고 무작정 드러눕는 조합 뽑기 등이 대표적. 덕분에 C9의 래퍼드와 쏭과 빠른별, IG의 김정수, 프나틱의 딜런 팔코, 참된 마인드까지 보여준 바이탈리티의 야마토캐논 등 몇몇 탁월한 밴픽을 보여준 코치들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극도로 까이고 있다. 일반 유저들도 척 봐도 알겠는 카운터 픽, 상성, 조합 시너지 등을 싸그리 무시하고 개판인 밴픽을 계속해서 게임 시작 전부터 승부의 추를 기울게 하기 때문. 특히 난전 메타에서 가장 중요한 이니시에이터와 능동적인 미드 탑 픽밴을 계속해서 외면하다가 망신을 당한 LCK 코치들에 대해서 이런 비판이 더욱 심하다. 아예 밴픽 저따위로 할 거면 선수들이 하는 게 더 낫겠다, 내가 랭겜 돌려도 저렇게는 밴픽 안 하겠다, 돈 아깝게 코치는 왜 있는 거냐는 비아냥도 나올 지경. 안 그래도 인식에 비해 대우가 좋지 못한 직업인데, 인식마저 내핵을 뚫고 있다.
  • 2018 월즈 LCK 대표 3팀(젠지, 아프리카, KT)은 광탈 이후 이어진 2019 스프링에서는 하위권으로 굴러떨어져 7, 8, 9위를 차지하는 참극을 빚어냈다. 특히 KT는 전 시즌 우승팀이 승강전 직행이라는 여태까지 한 번도 5대 리그에서 나온 적 없는 대기록을 세우고 말았다.

11.1. 라이엇 코리아의 운영

이번 월즈부터 라이엇에서 자체 제작을 하게 되었는데 상태가 영 좋지가 않다.

월즈 개막 당일까지는 공식 홈페이지 최신화가 전혀 안 돼 있었다. 월즈에 관련된 정보는 공지사항에 올라온 글 하나뿐이다.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작년 2017년 월즈 정보만 있다. 일본, 북미, 브라질 등 다른 사이트를 들어가면 ESPORTS 탭을 누르면 현재 경기 상황이나 일정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만 유일하게 라이엇 코리아만 이런 상태이다. 롤 클라이언트로 접속하면 정보가 뜨긴 한다. 중계 방송도 라이엇 게임즈 공식 중계에 비해 화질도 떨어지고, 영어 클라이언트로 인게임 화면이 송출되며, 한국어 중계는 경기 직전에 중계를 시작해서 시작 전 사전 데이터에 대한 해설이 없어 시청자 입장에선 여러모로 불편하다. 누구를 위한 롤드컵인가 10월 2일부터 2018 시즌 정보로 업데이트 되었으나 VOD는 영어, 터키, 브라질 스트리밍만 존재한다.

10월 2일자 일정인 플레이-인 스테이지 1R 2회차의 경기 시작 후 트위치를 통한 송출 과정에서 화질이 720p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는 현상이 지속되어 트위치 공식 중계 채널을 통해 월즈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의 불만이 일어났다. 설상가상으로 타 국가 트위치 채널은 1080p 으로 지원하면서 한국쪽 채널만 720p 이상으로 적용되지 않는단 사실이 알려지면서 채팅창은 격한 항의 잔치로 도배되었다. 그나마 첫 경기였던 EDG vs INF가 끝난 직후 방송 재부팅을 통해 1080p 화질로 재송출되며 반발이 수그러들기는 했으나 상술한 문제와 겹쳐 한국에서 하는 대회를 한국 매체를 통해 보는데 한국인이 가장 불편하게 시청을 해야 한다는 미묘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이후 그룹 스테이지를 거치면서 점점 방송의 질이 나아지고 있다. 일단 앞에서 언급한 화질 문제는 본 방송과 같은 화질로 송출되고 있다. 또한 그동안 부족했던 경기 외 컨텐츠 문제도 중간중간 경기 하이라이트나 인터뷰를 추가했고 8강부터는 빛돌이 진행하는 분석 데스크 또한 운영할 예정이어서 점점 풍성해질 예정이다. 무엇보다 경기 진행이 매우 빠르고 매끄러운 건 팬들의 찬사를 받고 있다. 딜레이 없는 경기 진행과 항상 국제 대회에서 문제되는 퍼즈 문제도 선수들의 개인 사정을 제외하곤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다. 물론 여전히 음향이 겹친다거나 인터뷰 과정에서 방송 사고가 난다던지 화면 전환이 잘못돼서 캐스터의 사담이 방송에 들어간다던지 하는 방송의 기초적인 문제들은 여전히 발생하고 있어 더욱 개선이 필요하다는 평이다.

그러나 기어이 결승전에서 발운영의 문제점이 터졌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

11.2. 메타에 대한 평가

2018 시즌 들어 라이엇 게임즈는 메타의 방향이 적극적인 교전과 초반 스노우볼링 위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패치를 진행했는데[21][22] 그 결과물이 2018 월즈에서 터져 나오게 됐다. 그리고 그 수혜를 톡톡히 본 지역은 메타가 운영 위주던 시절에도 교전을 좋아했으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던 LPL과 유럽이었다. 이들 중 LPL이야 꾸준히 최강 LCK를 위협하던 강력한 2인자였던데다가 월즈 전부터 심상치 않은 기세였으니 그렇다고 쳐도, 부족한 자금력 때문에 핵심 선수들 상당수가 북미와 LCK로 유출됐던 유럽의 선전은 정말 의외였다.

또한 메타에 대한 여론도 역대 시즌에 비해 최고로 재미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금까지의 월즈는 모든 시즌 공통으로 주도권을 쥔 쪽이 와드 밭을 깔고 싸움을 피하면서 바론, 드래곤 나올때까지 오브젝트 컨트롤 반복 후 한타 한 번으로 게임을 굳히거나 끝내는 소위 운영 의존 메타가 판을 쳐 관객 입장에서 경기가 길고 지루하다는 불만이 많았다. 하지만 서머부터 시작된 적극적인 교전으로 이득을 보는 메타가 월즈에서 완전히 자리잡은 결과 모든 경기에서 치열한 라인전, 소규모 교전, 한타 빈도가 대폭 증가했으며 평균 경기 시간도 크게 줄어들면서 매 경기마다 긴장감과 화끈함, 재미를 다 가져가게 되었다. 다만 OP 챔피언은 이전 시즌에 비해 굉장히 많이 나왔다.[23][24]

아직은 더 지켜봐야겠지만, Gen.G Esports의 그룹 스테이지 광탈, kt Rolster, Royal Never Give Up의 8강 석패 등의 결과만으로 특정 리그의 몰락이라기 말하기 어렵다. 오히려 진정한 전세계 리그의 상향 평준화 시대가 도래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면 때문에 '운영'을 잘하는 LCK는 불리하고 타 지역은 '한타'를 잘해서 유리한 메타였다 라고 할 수도 있지만, 정확하게 본다면 'LCK 선수들의 기량이 타 지역에 비해 떨어졌다.' 라고 보는 게 정확하다. 흔히 말하는 운영은 '인원 배치를 통해서 라인, 오브젝트를 유리하게 이끌어감. → 골드 및 템의 우위.' 라고 요약할 수 있는데, 이러한 운영도 기량이 더 뛰어나야 할 수 있는 것이다. 예시로 스플릿 푸쉬 운영을 할 때 1명이 푸쉬 한다면 필연적으로 4:5 상황이 나오는데 당연히 기량이 더 좋은 팀이어야지 4:5를 버티며 운영을 할 수 있는 것이다. LCK 팀들이 패배한 건 이런 기량이 딸리는 상황에서의 운영 시도가 잘 굴러갈 리가 만무했고, 해외팀들의 노림수에 쉽게 약점을 내줬기 때문이다.

그러면 '운영'이란 요소는 이전만큼 중요하지 않은가? 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것도 아니다. LCK가 잘못한 것은 불리한 상황에서 운영하고 유리한 상황에서 한타를 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반대로 해외 팀들은 불리한 상황이면 뒤엎기 위해 적극적으로 달려들었고, 유리한 상황을 굳히기 위해서 운영적인 측면 또한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대회 중 클템 해설의 "상대가 달려들 생각조차 못하고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 스플릿 푸쉬 운영을 하는 거죠!" 라는 말로 요약이 가능하다. 즉 이기기 위해 한타를 했던 타 지역과, 지지 않으려고 한타를 피했던 LCK가 비교되던 대회였다.

다만 소위 S급 아웃복서나 가자미류 선수들이 완전히 몰락한 것과 더불어 4강부터 불리한 팀이 후반을 도모하는 운영이 불가능할 정도로 스노우볼링이 굴러가는 모습에 정립된 상남자 메타는 단조로운 모습이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런 비판의 골자는 결승전 이후 강해졌는데, 초반 교전 승리 = 주도권 획득 = 승리 라는 1차원적 공식에 개인 기량 이외에 어떤 전략적 변수도 작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역전이 불가능한 메타라는 점이 게임 양상을 획일화 한다. 극단적으로 말해 라인전 솔킬 한번 나면 해당 라인에서는 절대로 주도권을 얻을 수가 없고, 글골 2천 차이만 나도 게임 승패가 정해지는 메타란 이야기다. 물론, 선수 개개인의 기량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기량과는 별개로 선수들의 플레이 스타일을 무조건적으로 초반 라인전에만 투자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게임 양상이 원사이드 해진다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11.3. 번외: 제6회 다데상

비공식 제6회 다데상 수상자: RNG Uzi

다데상 항목 참조.

11.4. 결승전 진행 문제

이럴거면 진짜 집에서 편하게 치킨 뜯으면서 봤지.. 푸드트럭 줄도 오질나게 길어서 뭐 사먹을엄두조차 안 났고...2시간 걸려서 인천 왔는데 쫄딱 굶고 3대떡 경기 잘보고 갑니다.14년엔 스킨 줬다는 얘기도 있는데, 이번엔 그런거 1도 없고.티모팔찌 하나 받아가네요ㅎㅎ
들어가기 전에 부스나 볼거리 진짜 하나도 없었고 이벤트는 sns인증해서 우주애쉬스킨 주는게 끝인데 내 인생 그렇게 긴 줄은 2014롤드컵 골드석 입장줄 이후로 처음봄ㅋㅋㅋ 서볼까 하다가 라이엇직원이 지금서도 못받을 수 있다길래 걍 포기함.직관안하고 집에서 뜨시게 본 님들이 승리자임
이번 월즈 후기 中
자리가 없어진 걸 알리지도 않고 티켓 등급도 하향하고 대충 얼버무리려고 하질 않나 팬과 직원이 싸우질 않나 다이아몬드석과 골드석은 내부 라이엇 스토어 출입을 금지시키지를 않나 대놓고 차별 행위를 일삼았다. 아주 일처리가 끝내주는 수준이다. 이런 식으로 할거면 차라리 개최를 하지 말라는 반응이다.

4년만에 한국에서 다시 개최한 월즈이지만 나아진건 별로 없었고 문제점은 여전히 엄청나게 많았다. 유일하게 나아진 것은 2014 시즌 상암 때에 비하여 경기장 입장 대기열이 확연히 줄어들었다는 것인데 문제는 월즈 결승전 직관 보상인 우주 여왕 애쉬 스킨을 받는 대기열이 상암때 그 지옥같던 입장 대기열과 별반 다를 바가 없었다는 것이다. 오히려 더 협소한 공간에 로지텍 행사와 라이엇 스토어 대기열이 섞여서 일대에 오랜 시간 혼란을 불러오고 말았다. 이 스킨 보상은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직관 유저들에게 당연스레 지급한 선물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가장 높은 무대인 결승전에서 이걸 받기 위해 1시간 이상을 대기해야 했고 많은 관람객들이 스킨 보상을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경기장 내부에도 라이엇 스토어가 있다고 경기장 외부 라이엇 스토어에서 팻말 공지를 하였는데[25]이 내부 라이엇 스토어가 플레티넘 입장 지역에 있었다. 그런데 스태프들이 다이아석, 골드석 유저의 입장을 차단해서 이용할 수 없었던 병크가 일어났고 결국 결승전 시작 이후 부랴부랴 기념품을 사기 위한 손님들이 몰려 뒤늦게 외부 라이엇 스토어에 엄청난 병목 현상이 일어났다. 내돈주고 기념품조차 마음대로 살 수 없었던 것이다.

경기장 입구와 출루 경로 또한 문제가 많았는데 혼란을 막기 위한의도였는지 경기장 외부로 빠져나가는 지역을 일방통행으로 지정하여 나갈때 왼쪽 방향으로 나가면 돌아서 다시 들어오지 못하게 철저히 막았고 반대쪽까지 돌아가서 몸수색과 팔찌 확인 하는 곳에서부터 들어오게 하였다. 문제는 경기장 양 끝 외부에 다이아 좌석 A와 B의 입구를 배치해놓아서 이 사람들은 잠깐이라도 퇴장을 했을 경우 다시 반바퀴를 빙 돌아서 입장팔찌 확인하고 몸수색도 다시 받은 뒤에야 복귀할 수 있었다. 또한 이벤트나 라이엇 스토어 이용을 위해 경기장 외부로 빠져나온 이들도 마찬가지였다. 이조치가 그래도 혼란을 줄였다면 그나마 낫겠지만 오히려 무슨 상황인지 몰라서 관중들이 스태프에게 따지는등 전혀 혼란이 줄어들지 않았고 불편하기만 하였다.[26]

스탭과 보안 요원들의 수준도 과거에 비해 더 나빠지면 나빠졌지 전혀 개선되지 않았는데 최선을 다하고 노력하는 스탭들도 꽤 많았지만 곳곳에서 관객들에게 고압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막나가는 이들도 있었다. 차라리 스탭이 아무것도 모르면 가만히 있거나 다른 윗사람에게 물어봐서 알려주기라도 하지 뭔가를 문의하는 관객을 윽박지르는가 하면 관객과 싸우는 이들도 있었다.

거기에 일부 다이아석은 화면이 제대로 보이지 않아 고개를 심하게 꺾거나 들어서 봐야했고 소리도 제대로 들리지 않았다. 이뿐만이 아니라 결승전 이벤트 및 보상도 부족했다는 평가가 많고[27] 이매진 드래곤스가 개폐막 모두 라이브 공연을 하였던 2014 시즌에 비해 식전, 식후 행사도 모두 퇴보했다.

이 외에도 경기장 내에 편의점과 식당이 거의 없어서 끼니를 떼우기 힘들었고[28] 이를 위해 푸드 트럭을 양 끝에 배치하였는데 이마저도 너무 비싸 욕을 많이 먹었다. 덤으로 입장할 때 소지품 검사를 하는 곳에서, 어느 곳은 음료 반입이 금지라하고 어느 곳은 그냥 통과시키기까지 했다. 오죽하면 라이엇 코리아는 이런거 잘 운영할 능력 없으니 한국에서 월즈 개최하지 말라는 얘기가 나올 정도.

12.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tablebgcolor=#0fe3f9>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 LoL e스포츠
국제 대회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파일:퍼스트 스탠드 로고 임시.png 파일:퍼스트 스탠드 로고 임시 다크.png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화이트.svg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svg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퍼스트 스탠드 토너먼트 미드시즌 인비테이셔널 월드 챔피언십
2025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기타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 지역 리그
}}}}}}}}} ||


[1] 상세 정보는 링크 참고. [2] 4강 1일차 대타 배준식 [3] 스포티비 게임즈 통역 및 롤챔스 해적방송 진행자. 이번 월즈에서는 통역 및 인터뷰에 더해 해설진들에게 제공되는 해외팀 자료의 번역까지 1인 3역을 맡는다. [4]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지난 시즌 우승 지역이자 각종 국제 대회를 휩쓸었기에 어드밴티지를 얻었다. [5] 5대 리그를 제외한 나머지 리그 중 MSI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낸 리그. [6] 시즌 3, 2014, 2016 ~ 2018 시즌. [7] 2014 ~ 2018 시즌. [8] 2015 ~ 2018 시즌. [9] 시즌 3 ~ 2018 시즌. [10] 시즌 1, 3 ~ 2015, 2017, 2018 시즌. [11] 출전하지 못한 SK telecom T1과 타이 기록. [12] 이전까지는 로그인 화면 비율에 맞춘 가로형 단체 일러스트를 사용했으나, 이 쪽은 브로마이드 규격에 맞춘 세로형 단체 일러스트를 사용했다. 덧붙여 자야와 라칸이 각각 단독 스킨을 가지지 않게 할 것이라던 기존의 공약이 철회되었고, 구단주인 왕쓰총의 특별 와드 스킨이 1시즌만에 제작되면서 '3회 우승시 게임 내 콘텐츠 후보 등재 가능'이라는 기존의 공약이 철회되었다. 다만 IG 와드 스킨이 아닌 챔피언십 와드 스킨의 명칭으로 제작. FPX 스킨부터는 다시 와드 스킨이 안 나오게 되었다. [13] RNG는 렛미만이 선정되지 못했다. [14] 14 다데, 15 페이커, 16 스멥, 17 페이커 [15] 다만, OGN에 송출은 그대로 한다. [16] RNG 멤버가 주가 되어 이뤄낸 아시안 게임 우승도 빼놓을 수 없는 성과이다. [17] 사실 2015 월즈 역시 이와 비슷했었는데 MSI에서 EDG의 우승으로 LPL의 우세가 점쳐졌었다. 다만 이번 시즌은 MSI와 더불어 리프트 라이벌즈, 그리고 아시안 게임까지 총 3개의 국제 대회에서 LPL에게 패했기 때문에 이번엔 진짜 입장이 뒤바뀐 셈. [18] 2015 시즌 SKT T1 칼리스타(프리시즌 패치와 함께 출시), 2016 시즌 SKT T1 진, 2017 시즌 삼성 갤럭시 자야. [19] LCK는 정규시즌을 아주 바쁘게 달려온 덕분에 결승전만 많이 늦어지는 수준이지만, LPL은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11주차)가 9/2에 치러지는 일정이다. 월즈 조 추첨식은 일반적으로 개막 1~2주 전에 해왔던 것을 생각해보면 LPL은 9/2 이후 약 3주동안 플레이오프와 월즈 선발전이 완벽히 종료되어야 하는 지옥의 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다. LCK에서는 플레이오프 2라운드가 끝난 타이밍에 LPL에서는 정규시즌 10주차 일정조차 치르지 못하게 되는 셈이다. LMS도 8/17에 정규시즌이 종료되는 일정이다. [20] 오지엔은 암표상 때문에 관객석이 텅텅 빈 사태를 경험해보았기 때문에 더 잘 잡으려고 하는 편이다. [21] 대표적으로 아트록스, 이렐리아, 아칼리, 조이 등 공격적인 라인전 챔피언들의 등장과 바텀에서의 비 원딜 메타, 협곡의 전령 패치, 바위게와 대포 미니언 보상 강화, 현상금 시스템 개편을 통한 초반 교전의 중요성 증가, 초록 강타 삭제 조치로 지나친 시야 + 운영 싸움 방지, 오른, 카밀, 라칸, 클레드, 갈리오, 카이사 등의 등장과 사이온, 녹턴의 버프 등 장거리 강제 이니시 챔피언들의 급부상과, 장로 드래곤과 바론 패치로 지나치게 드러눕는 수성 운영 방지 등등. 이런 패치를 하게 된 계기는 2018 시즌 초 전설이 된 '그 경기' 이후 창궐한 존버 메타가 원인이라고 볼 수 있는데, 결과적으로 의도치 않게 이것이 LCK에겐 독이 된 것. 특히 앞서 언급한 장거리 강제 이니시 및 호응 챔들은 교전을 강제할 뿐 아니라 LCK의 전통적인 스플릿 운영에 대한 강력한 파훼법을 제공하였다. 원래 2017 시즌까지도 LPL 팀이나 유럽 팀이 LCK 팀을 상대로 소규모 교전이나 초반 한타로 초반 리드를 가져가는 경우가 제법 많았는데, 그런 경우 LCK 팀이 수성과 오브젝트 싸움 등 운영 노하우로 스노우볼링을 막고 해외 팀들은 거기에 말려서 게임을 못 끝내고 후반까지 끌려가서 던지는 경우가 많았다. 즉, 2015 시즌부터 이미 LPL과 유럽 선수들이 피지컬이나 싸움 실력은 제법 어느 정도 따라왔던 것. 그런데 이젠 다양한 교전 강제 수단이 생김으로써 초반 스노우볼링이 더 쉬워지고 중후반 운영으로 역전하기가 더 어려워진 것이다. 2018 월즈 때 역대 최단 경기 시간 기록들이 여럿 나왔는데 그런 현상들도 이런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LCK 팀이 미드에서 수성하면서 날개 펼쳐서 사이드에서 스플릿 푸시하려고 할 때 LPL 팀이 미드에다가 오른 궁 깔거나 사이온 궁 냅다 박으면, LCK 본대가 (머리수가 적으니 당연히) 속수무책으로 찢기거나 최소 점멸 쓰면서 후퇴하고 미드 타워 밀리기 일쑤였다. 마침 OP였던 카이사나 갈리오, 라이즈 등 장거리에서 호응이 되는 챔피언들은 금상첨화였고. 2018 MSI, 리프트 라이벌즈, 아시안 게임, 그리고 월즈까지 LCK 팀이 LPL 팀에게 패배한 경기가 총 19번이었는데, 그 중 라칸에게 7경기, 오른에게 4경기, 사이온에게 4경기, 카밀에겐 3경기 당했다. [22] 참고로 이런 식으로 운영보단 교전을 유도하는 패치는 2019 시즌에도 계속되고 있다. 현상금은 더욱 불어나도록 개편되었고 초반 포탑 방패 패치, 텔레포트 취소 불가 패치 등. [23] 올해 월즈 기준 OP로 평가받은 챔피언은 카이사, 우르곳, 아트록스, 르블랑. 특히 르블랑은 루키 선수가 카운터가 없는 슈퍼 OP라고 평가한 것에 걸맞게 본격적으로 기용된 8강부터 승률 100%를 찍었다. [24] 이전 시즌 월즈의 OP 챔피언은 2015 시즌 갱플랭크/모데카이저, 2016 시즌 니달리/신드라, 2017 시즌 칼리스타가 대표적이다. [25] 이때문에 경기장 입장 전 외부 스토어는 비교적 한적했다. [26] 실제로 한 다이아몬드석 관객은 일방통행 통로를 착각하고 외부 스토어 이용을 위해 반대로 거슬러 가려다가 보안 스탭에게 제지를 당했는데 이 스탭이 반말을 하고 욕을 해서 서로 싸우고 협박을 하는 황당한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27] 2014 시즌땐 소환사 망토와 밴드,각종 간식거리와 무엇보다도 당시 절대 구할 수 없던 챔피언십 리븐을 포함한 3개의 챔피언십 스킨을 전원 지급했는데 이번에는 혼잡해서 대부분 받을 수 없었던 우주여왕 애쉬스킨 외에 사실상 지급한 것이 전혀 없었다. [28] 상암때도 이는 마찬가지였으나 이번 문학때에 비해 훨씬 사정이 나았다. 상암 내부엔 편의점도 두어개 있었고 근처에 외부 식당도 있었기 때문, 또한 상암때는 라이엇이 직접 혹시나 배를 주렸을 관중을 위해 입장할때 간식거리와 마실 것을 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번엔 물 한병조차 지급된 것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