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14:35

켈트어파

인도유럽어족
Indo-European Language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인도유럽조어
켄툼제어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북게르만어군
동게르만어군
켈트이탈리아어파 켈트어파 도서켈트어군 게일어군
브리튼어군
대륙켈트어군
이탈리아어파 라틴팔리스크어군 로망스어군
오스크움브리아어군
헬라어파
아나톨리아어파
루비아어군
토하라어파
사템제어 발트슬라브어파 발트어파 서발트어군
동발트어군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
남슬라브어군
동슬라브어군
알바니아어파
아르메니아어파
트라키아어파
다키아어파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
누리스탄어군
인도아리아어군
* † 표시는 사멸된 어파 혹은 어군 }}}}}}}}}

파일:Banniel_Keltia.svg
켈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민족
<colbgcolor=#b4d0bf,#1d2d26> 도서 켈트족 <colbgcolor=#b4d0bf,#1d2d26> 게일인 아일랜드인 | 하이랜드 스코틀랜드인 | 맨인
브리튼인 웨일스인 | 콘월인 | 브르타뉴인 | 컴브리아인 † | 픽트족 †(논란)
대륙 켈트족 † 갈리아인 | 갈라티아인 | 켈트이베리아인 | 갈라이키아인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 파일:맨 섬 기.svg 맨섬 | 파일:attachment/콘월/cornwall-flag.png 콘월 | 파일:브르타뉴 깃발.svg 브르타뉴
언어 및 문화
언어 켈트어파
신화 켈트 신화
문화 켈트족의 축제 | 드루이드
사상 범켈트주의( 켈트 연맹) }}}}}}}}}


1. 개요2. 분류와 특징
2.1. 도서 켈트어군 기층설
3. 사용 지역4. 문법5. 문자

1. 개요

인도유럽어족에 속한 언어의 일파. 켄툼 제어에 속해 있다.

2. 분류와 특징


원래는 대륙 켈트어군(Continental Celtic)과 도서 켈트어군(Insular Celtic)이 있었지만 오늘날 살아남은 켈트어는 모두 '도서 켈트어군'에 속하며, 게일어군 브리튼어군으로 세분된다. 켈트어파 중 대륙 켈트어군에 속한 언어들은 갈리아어를 포함해서 전부 소멸되었다. 화자 수는 웨일스에서 사용되는 브리튼어군 웨일스어가 가장 많다. 아일랜드에서는 게일어군 아일랜드어를 국어로 삼고 학교에서 가르치지만 일상적으로 쓰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탈리아어파가 켈트어파와 강한 친연성을 보인다는 주장도 제기되었고 주류 학계에서는 이를 기정사실로 여기고 있다. 최신 연구결과에서는 토하라어[2]와의 친연성이 있음도 지적하고 있다. 켈트어파에 속한 언어들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차이점이 매우 많다 보니 각 언어간에 대화가 통하지 않는다.

대륙 켈트어군에 속한 언어들은 도서 켈트어군에 속한 언어들과 달리 일찍 소멸되었지만 이들이 남긴 영향은 존재해서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독일어에는 일부 켈트어 계통의 어휘가 남아 있다. 특히 프랑스어에 켈트어의 영향이 꽤나 진하게 남아 있는 편으로 프랑스어에서 켈트어 유래의 어휘는 대부분 갈리아어에서 유래했으며 프랑스 특유의 숫자 세는 법도 갈리아어의 흔적이다.

발음에서는 브르타뉴어를 제외한 켈트어파의 언어들은 영어의 영향을 받아 거센소리에 가까운 발음을 내게 바뀌었고 브르타뉴어는 원형을 더 유지해 된소리에 가까운 발음을 낸다.

2.1. 도서 켈트어군 기층설

도서 켈트어군에 기층설이 있다. 링크 스톤헨지 체다 인간[3]의 유골을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켈트족의 도래 이전에도 브리튼 제도에 사람이 살았던 것은 분명하므로 이들 선주민들의 언어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오래 전부터 이루어져 왔다. 일단은 브리튼 제도 선주민들의 언어는 고유럽 제어에 속하는 이베리아어 원시 바스크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지만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계열 언어라는 설도 제기되었다.

다음은 기층언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어휘 목록이다.

3. 사용 지역

파일:Celtic_expansion_in_Europe.png
  • 할슈타트 문화
  • 켈트족의 최대 강역
  • (논쟁)
  • 현재 켈트어 사용자가 남아있는 지역 ||
파일:Zrb6HOzgOANrg8CUNmYqJEtVTOlJLAS4pq317hYgQ5o.png
현대 켈트어파 화자 분포

켈트어파에 속한 언어들은 주로 켈트족들이 다수인 웨일스,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북아일랜드, 브르타뉴, 콘월, 맨섬에 화자들이 있다. 스코틀랜드 내에선 로우랜드에선 안 쓰이고 하이랜드 지역과 헤브리디스 제도 스코틀랜드 게일어 화자가 존재한다. 아일랜드에서는 주로 서쪽의 게일타흐트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북아일랜드에서는 아일랜드어가 소수언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켈트어파에 속한 지역과 국가들은 켈트 연맹을 결성했다.

아일랜드에선 아일랜드어 영어와 함께 공용어이기 때문에 아일랜드 정부에선 아일랜드어를 필수적으로 가르치고 있고 교육과정에서 의무적으로 가르친다. 스코틀랜드에선 헤브리디스 제도 등 일부 지역에서 영어와 함께 스코틀랜드 게일어가 병기되고 있고 웨일스에서는 웨일스 정부에서 웨일스어의 사용을 늘리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북아일랜드에서는 아일랜드어가 아일랜드인들이 사는 지역을 중심으로 쓰인다.

그러나 유럽의 다른 언어에 비해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의 수가 적은 편이다. 가장 널리 쓰이는 웨일스어는 46만명을 좀 넘는 인구가 매일 쓰고, 아일랜드라는 독립 국가가 지원하는 아일랜드어도 2만명 가량만 매일 쓴다.

맨어 콘월어는 소멸되었다가 언어학자들이 부활시켰고 언어학자들의 노력으로 맨어 콘월어 모국어로 쓰는 화자들이 생겨났다.

4. 문법

원시 켈트어에서 명사는 라틴어 등과 다르게 단수/복수가 아니라 단수/양수/복수 체계였다. 여기서 양수(兩數)란 '두 개인 것'을 가리키는 말. 즉 켈트어에서는 하나짜리인 것과 두 개짜리인 것, 세 개 이상인 것을 구분한다는 소리로, 이와 같은 특징은 산스크리트어 고전 그리스어[5]에서도 동일하다. 그러나 현대까지 살아남은 켈트어에서는 양수가 사라졌고 몇몇 단어에서 흔적처럼 양수가 남았을 뿐이다.

현대까지 살아남은 켈트어들은 어순도 VSO형으로 한국인에게 익숙한 영어나 프랑스어나 독일어 등 대부분 유럽 언어들의 SVO형 어순과 차이가 있다.

5. 문자

고대에는 에트루리아 문자와 그리스 문자, 페니키아 문자로 표기하였고 로마의 팽창 이후에는 라틴 문자를 받아들였다. 이후 대륙에는 켈트어는 전멸하고 오검 문자를 쓰는 도서 켈트어군만 살아남았다.

아일랜드어는 철자 개혁을 하지 않아 옛 맞춤법을 그대로 쓰기 때문에[6] 영어와 비슷하거나 더 심할 정도로 철자와 발음의 관계가 괴악하다.[7] 다만 웨일스어는 20세기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맞춤법이 개혁되어 대체로 쓰인 대로 읽을 수 있다.


[1] 켈트어파 내지는 켈트어파와 이탈리아어파의 공통 조어라는 설이 있다. [2] 오늘날의 동튀르키스탄 지역의 선주민들인 토하라인의 언어로, 9세기 경에 토하라인이 위구르족에게 동화되면서 소멸했다. [3] 2018년에 영국 잉글랜드의 체다 지방에서 발견된 1만 년 전의 인간 남성의 유골인데 분석 결과에 의하면 피부색은 검은색에 가까웠으나 눈동자는 벽안이었고 이목구비 전반이 현대 코카소이드와 거의 같았다. [4] 찌르레기과에 속하는 [5] 그리스어는 이미 코이네 시대에 양수가 사라졌다. [6] 약간의 철자 변화는 있었다. 근세까지 ḃ나 b와 같이 표기하던 부드러운소리되기(Lenition)은 현재 bh와 같이 표기한다. [7] 전반적으로 태국어의 현재 상황과 유사하다. 한국어로 치면 글자는 여전히 '불휘', '됴심'으로 적으면서 실제 읽을 때만 '뿌리', '조심'으로 읽는 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8 ( 이전 역사)
문서의 r64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