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34:16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아프리카아시아어족
Afroasiatic Language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0.5px;"
<colbgcolor=#8e912a> 셈어파 <colbgcolor=#8e912a><colcolor=#FFF> 동셈어군 아카드어 · 에블라어
북서셈어군 아람어( 서신아람어 · 투로요어 · 아시리아 신아람어 · 칼데아 신아람어 · 만다야어 · 시리아어 · 사마리아 아람어 ) · 가나안어( 히브리어 · 사마리아 히브리어 · 페니키아어 · 퓨니크어) · 아모리어
남서셈어군 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이집트 아랍어 · 하사니야어 · 차드 아랍어 · 수단 아랍어 · 주바 아랍어 · 중앙아시아 아랍어 · 마그레브 아랍어 ) · 몰타어
남부셈어군 사바어 · 하드라마우트어 · 라지흐어 · 소코트라어 · 메흐라어 · 하라시스어 · 그으즈어 · 암하라어 · 티그리냐어 · 티그레어
이집트어파 콥트어 · 고전 이집트어
베르베르어파 누미디아어 · 관체어 · 카빌어 · 리프어 · 실하어 · 샤위아어 · 투아레그어 · 제나가어 · 시와어 · 가다메스어 · 타마지트어
차드어파 하우사어 · 론어 · 볼어 · 바데어 · 부라어 · 투막어
쿠시어파 소말리어 · 오로모어 · 아파르어 · 베자어
오모어파 월라이타어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아프리카아시아계 민족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베르베르인 셈족 고대 이집트인 차드족 쿠시족 오모족
언어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

파일:external/www.languagesgulper.com/Afro-asiatic%20languages%20large%20map.jpg

1. 개요2. 분류

1. 개요

아프리카아시아어족(Afro-Asiatic languages) 또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중동( 북아프리카 포함)의 대부분 지역과 동아프리카의 " 아프리카의 뿔"이라고 불리는 지역(소말리아가 있는 곳), 사하라 사막지대에서 사용되는 세계적인 어족이다. 이름대로 아프리카 대륙 아시아 대륙에 걸쳐 분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마그레브 등의 북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반도를 포함하는 중동 지역[1], 동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지부티, 코모로, 그 밖에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도 사하라 사막에 인접한 지역, 그리고 몰타[2][3]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이 이 어족에 속한다.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어파가 포함된 언어류를 '함어'라 하여 이 어족을 '함셈어족' 혹은 '셈함어족'이라 부르기도 한다. 다만 요즘은 함어라는 구분이 사장되면서 잘 쓰이고 있진 않다. 일단 '함어'라는 언어들이 실제로 관련있는 언어끼리 묶인 어파도 아닐뿐더러, 더욱이 함족(Hamitic)이라는 표현 자체가 근대 서양에서 인종차별을 합리화하기 위해 쓰였다는 문제도 있다. ( 노아 항목 참조.)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하위 카테고리인 셈어파의 특징으로는 어근이 되는 자음 3개를 바탕으로 모음을 바꿔나가며 뜻을 바꿔나가는 방식으로, 자음만 보고 대충 뜻을 알아들을 수 있기 때문에 모음 표기를 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종교적으로는 유대교 이스라엘이나 이집트의 콥트교인 등 국가의 소수민족/집단 등을 제외하면 이슬람교 벨트와 겹쳐있기도 하다.

물론 이 어족에서 가장 사용 인구가 많은 언어는 뭐니뭐니 해도 아랍어다. 고대에는 아랍어 사용지는 아라비아 반도 중북부로 한정되어 있었으나, 이슬람 제국의 확장으로 인해 북아프리카, 시리아, 이라크, 남부 아라비아 반도, 일부 이란, 일부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사용지가 확장되면서 오늘날에 이르렀다. 그런 배경 때문에 아랍어 방언은 토착 언어들의 큰 영향을 받아 거의 다른 언어나 마찬가지로 되어버렸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한 언어 중에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전 이집트어 이집트 상형문자로 기록한 것이다. 이집트 상형문자가 문장을 표현하게 된 것은 기원전 2700년대(2왕조 세트페리브센의 무덤의 유물)이다.

언어학자들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화자가 지구상에 나타난 시기와 장소를 기원전 1만 6000년경, 북동아프리카 수단 에티오피아로 보고 있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확산과 관련하는 유전자로서 Y염색체 하플로 그룹 E1b1b 계통을 들 수 있다. E1b1b는 북동아프리카에서 발상되었으며, 이러한 언어 계통수, Y염색체 계통수 모두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북동아프리카 기원을 나타내고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Egyptian_races.jpg

고대 이집트의 벽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리비아인(베르베르), 누비아인(쿠시),[4] 서남아시아인(셈족), 이집트인이다.

북동캅카스어족에 속하는 체첸어에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에서 나타나는 희귀한 발음인 인두음이 있어 일부 언어학자들은 캅카스 제어들과 셈어파를 비롯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연관성에 주목하기도 한다. 이게 아주 허황된 소리는 아닌 것이, 당장 성경에 나오는 노아의 방주가 있었던 아라라트 산은 튀르키예 북동부에 있기에 캅카스 지방과 가깝다. 그 말인 즉슨, 중동계 민족이 캅카스 지방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로 아랍인 등의 중동계 민족들은 캅카스 인종을 영어식으로 읽은 코카서스 인종에 속한다.

2. 분류

이 어족의 언어들을 좀 더 세부적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1] 단, 여기서 튀르키예, 키프로스, 캅카스 지역, 이란, 아프가니스탄은 제외. 이곳의 언어들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이 아닌 전혀 다른 어족에 속한다. [2] 유럽에서 유일하게 이 어족의 언어가 공용어로 사용되는 나라이다. [3] 단, 유럽은 아니지만 스페인 영토중 일부인 세우타 멜리야에서 아랍어 화자가 일부 거주하고 있으며, 스페인의 또다른 영토인 카나리아 제도에서는 선주민인 관체족 베르베르어와 가까운 언어를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4] 다만 쿠시인은 본래 백인인데 누비아인들을 흡수하며 흑인화되었다. 이들이 세우는 나라가 쿠시 왕국. [5] 중세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일대에서 사용되던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의 종교 의례용 언어. [6] 에티오피아의 공용어. [7] 영어, 아랍어와 함께 에리트레아의 공용어 중 하나. [8] 예전에 '함어파'로 불리던 어파이다. 최근에는 인종차별적 용어로 생각되어 쓰지 않는다. [9] 베르베르인들이 사용하는 언어. [10] 투아레그족이 사용하는 언어. [11] 아랍어와 더불어서 소말리아의 공용어 중 하나다. [12] 에티오피아의 최다 사용 인구 언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