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의 대한민국의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김제남(정치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태조 | 정종 | 태종 | |||
안천부원군 한경 | 상산부원군 강윤성 | 김천서 | 여흥부원군 민제 |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
청천부원군 심온 | 화산부원군 권전 | 여량부원군 송현수 | 파평부원군 윤번 | |||
예종 | 예종, 성종 | 성종 | ||||
청천부원군 한백륜 | 상당부원군 한명회 |
|
영원부원군 윤호 | |||
연산군 | 중종 | |||||
거창부원군 신승선 | 익창부원군 신수근 | 파원부원군 윤여필 | 파산부원군 윤지임 | |||
인종 | 명종 | 선조 | ||||
금성부원군 박용 | 청릉부원군 심강 | 반성부원군 박응순 | 연흥부원군 김제남 | |||
선조 | 광해군 | 인조 | ||||
|
|
서평부원군 한준겸 | 한원부원군 조창원 | |||
효종 | 현종 | 숙종 | ||||
신풍부원군 장유 | 청풍부원군 김우명 | 광성부원군 김만기 | 여양부원군 민유중 | |||
숙종 | 경종 | 영조 | ||||
경은부원군 김주신 | 청은부원군 심호 | 함원부원군 어유구 | 달성부원군 서종제 | |||
영조 | 정조 | 순조 | 헌종 | |||
오흥부원군 김한구 | 청원부원군 김시묵 | 영안부원군 김조순 | 영흥부원군 김조근 | |||
헌종 | 철종 | 고종 | 순종 | |||
익풍부원군 홍재룡 | 영은부원군 김문근 | 여성부원군 민치록 | 여은부원군 민태호 | |||
순종 | ||||||
해풍부원군 윤택영 | ||||||
추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목조(이안사) | 익조(이행리) | 도조(이춘) | |||
이숙(이공숙) | 최기열 | 안변부원군 박광 | ||||
환조(이자춘) | 덕종(의경세자) | 원종(정원군) | ||||
영흥백 최한기 | 서원부원군 한확 | 능안부원군 구사맹 | ||||
진종(효장세자) | 장조(사도세자) | 문조(효명세자) | ||||
풍릉부원군 조문명 | 영풍부원군 홍봉한 | 풍은부원군 조만영 | }}} | |||
조선 왕비 · 조선 추존 왕비 · 대한제국의 국구 | }}}}}}}}} |
<colbgcolor=#7e2f22><colcolor=#ffd400> | |
출생 | 1562년( 명종 17) |
사망 |
1613년
7월 18일 (향년 51세) (음력 광해군 5년 6월 1일) |
사사형 | |
묘소 |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
봉호 |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
시호 | 의민(懿愍) |
본관 | 연안 김씨 (내자시윤공파-의령 종중 13세) |
자 | 공언(恭彦) |
부모 |
부친 - 김오(金祦) 모친 - 안동 권씨 권성복(權成福, 1535 ~ ?)[1] |
형제자매 |
2남 2녀 중 차남
|
부인 | 광산부부인(光山府夫人) 광주 노씨(1557~ 1637) |
자녀 |
3남 2녀 장남 - 김내(金琜, 1576 ~ 1613) 장녀 - 청송 심씨 심정세(沈挺世)의 처 김씨(1581 ~ 1604) 차녀 - 인목왕후 차남 - 김규(金珪, 1596 ~ 1613) 3남 - 김선(金瑄, 1599 ~ 1614) |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인물. 김전의 증손이며 김안로의 종손(從孫)이고 세종의 4남인 임영대군의 외5대손이자 인목왕후의 아버지, 정명공주와 영창대군의 외할아버지이자 의친왕비의 11대조.2. 생애
1562년 아버지 김오(金祦)와 어머니 안동 권씨 권상(權常)의 딸 사이의 4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585년 식년시 진사시에 2등 3위로 입격한 뒤 # 출사하였으며 종6품 현감으로 있던 1597년 별시 문과에 병과 10위로 급제하였다. #1602년 차녀가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가 되어 연흥부원군이 되었으며 김제남은 문과에 정식 급제한 사람이라 충분히 정승판서로 오를 수 있었지만 사양한 듯 보인다. 1613년 이이첨 등에 의해 인목왕후 소생인 영창대군을 추대하려 했다는 공격을 받아 계축옥사로 사사되었다. 1616년에 인목왕후 폐모론이 일어나면서 다시 부관참시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관직이 복구되고 영의정으로 추증되어 신원복권되었다.
3. 여담
- 김제남의 자손들은 계축옥사와 인조반정이라는 난리통을 겪으면서도 용케 살아남아 대를 이어나갔지만 조선 왕실과 통혼하지 않다가[3], 세월이 흘러 11대손인 의친왕비가 의친왕과 결혼하면서 왕실과 다시 인척관계를 맺게 되었다. 하지만 의친왕비는 슬하에 친자녀는 없었고 의친왕의 수많은 서자녀들을 키우면서, 김제남의 후손들은 끝까지 조선 왕실과 악연으로 얽히게 되었다.[4]
4. 가족 관계
- 조부 : 김안도(金安道) - 정의공주의 아들인 안여달의 딸의 외손자[5]
- 조모 : 창녕 성씨(昌寧 成氏) - 성현[6](成俔)의 손녀이자 성세통의 딸
- 부 : 김오(金祦)
- 외조부 : 권상(權常, 1508~1589)
- 외조모 : 문화 류씨 - 류복룡(柳伏龍)의 딸
- 외삼촌 : 권이(權怡, 1532 ~ ?)
- 어머니 : 권성복(權成福, 1535 ~ ?)
- 외조모 : 여산 송씨 - 송송(宋松)의 딸[7]
- 이모 : 권연근(權連瑾, 1539 ~ ?)
- 부인 : 광산부부인(光山府夫人) 광주 노씨(光州 盧氏, 1557~1637) - 노기(盧垍)의 딸
- 장남 : 김내(金琜, 1576~1613)
- 며느리 : 정경순(鄭敬順, 1575~1640) - 정묵의 딸
- 장녀 : 연안 김씨(延安 金氏, 1581~1604)
- 사위 : 심정세(沈挺世, 1579~1613) - 구사맹의 외손자이자 인헌왕후의 조카, 인조의 이종 사촌형. 심의겸의 친손자이다.
- 외손자 : 심진(沈榗, 1602~1690)
- 외손녀 : 백홍일의 처
- 차녀 : 인목왕후(仁穆王后, 1584~1632)
- 사위 : 선조(宣祖, 1552~1608)
- 차남 : 김규(金珪, 1596~1613)
- 며느리 : 서미생(徐楣生, 1597~1666) - 정신옹주의 장녀
- 손자 : 김홍석(金弘錫, 1612~?)
- 3남 : 김선(金瑄, 1599~1614)ㆍ
자세히 보면 증조부와 종조부는 재상이었으며, 장남 김내는 정3품 청주목사를 지냈고[9], 둘째 사위는 조선의 국왕이었으며, 맏사위와 며느리들도 모두 조선 중후기의 당대 최고 명문가 출신이었다. 하지만 앞서 서술했다시피 계축옥사에 휘말려 가족들이 거의 멸문에 가깝게 몰살당했다가, 후손들 중 몇몇이 살아남으면서 간신히 가문의 대를 이어나갔다는 게 아이러니하다.
5. 대중매체
[1]
권상(權常)의 장녀이며
임영대군의 외고손녀.
#
[2]
누나인지 여동생인지 생년이 적혀있지 않아 알 수 없다.
#
[3]
일설에 따르면
광해군의 견제로 아버지 김제남과 형제들, 아들
영창대군까지 잃은
인목왕후가 자신의 친정에게 다시는 왕실과 혼인하지 말라고 일러두었다고 한다.
[4]
그래도 의친왕비는 남편의 혼외자들을 친자식처럼 사랑하고 아꼈다고 한다. 의친왕의 자녀들도 의친왕비를 친어머니처럼 따랐다고.
[5]
세종 →
정의공주 → 안여달 → 안씨 →송씨 → 김안도
[6]
용재총화의 저자. 정조의 후궁
의빈 성씨의 11대조
[7]
모친인 권성복의 계모.
[8]
문곡
김수항의 아버지이며 숙종의 후궁
영빈 김씨의 증조부다. 또한 영안부원군
김조순의 6대조
[9]
하지만 김제남의 장남 김내와 성균관 진사였던 차남과 삼남은 모두
계축옥사에 휘말려 일찍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