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11:02:22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립고등교육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지역명 대학 교육대학
수도권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강원권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파일:춘천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춘천교육대학교
충청권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파일:공주교육대학교 교표.svg 공주교육대학교 · 파일:청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청주교육대학교
경상권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파일:진주교육대학교 UI.svg 진주교육대학교
전라권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전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전주교육대학교
제주권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
분류 명칭
원격대학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전문대학 파일:한국농수산대학교 UI.svg 한국농수산대학교
각종학교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원대학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파일: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파일:한국학중앙연구원 엠블럼.svg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과학기술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GIST_emblem.svg 광주과학기술원 · 파일:DGIST_emblem.svg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사관학교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 공군사관학교 ·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 파일:해군사관학교 마크.svg 해군사관학교 · 국방첨단과학기술사관학교 (2026년 개교 예정)
그 외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 파일:경찰대학 엠블럼.svg 경찰대학 · 파일: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파일: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 ||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회원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 경기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강원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대전 · 충남 · 충북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부산 · 경남 · 경북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전남 · 전북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

1. 개요2. 회원교3. 탄생배경4. 특징
4.1. 특수시설4.2. 대학 현황4.3. 의전서열
5. 평가6. 기타
6.1. 국립대학 통합
7. 관련 문서

1. 개요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國家中心國公立大學校總長協議會)는 대한민국 18개의 국·공립 종합대학이 가입한 협의체이다.

2020년까지는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였기 때문에 인터넷상에서는 줄임말로 '지중국'이라고 불렸다. 거점국립대학교를 제외한 후발 종합대학 승격 국·공립대의 협력과 교류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총회 등을 통해 국·공립대학 현안에 대해 의논한다.

단, 인천대학교만 어떤 총장협의체에도 가입하지 않았고 지거국과 국중국 모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원래 사립대학이었다가 사학비리로 인천광역시가 사들여 공립대학으로 전환되었다가 2013년에서야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된 케이스이기 때문이다.

2. 회원교

3. 탄생배경

고등교육법 제10조(학교협의체) ① 대학·산업대학·교육대학·전문대학 및 원격대학 등은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각 학교의 대표자로 구성하는 협의체(協議體)를 운영할 수 있다.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와 마찬가지로 고등교육법 제10조에 근거하여 설립된 단체 중 하나이며, 중앙정부의 교육정책에 관련해 주요 현안사항에 대한 논의와 대응방안 등을 모색하기 위해 2000년 6월에 만들어졌다.

모체는 강릉원주대, 공주대, 군산대, 목포대, 부경대, 순천대, 안동대, 창원대, 한국해양대 등으로 구성된 전국 ‘9개 지역 국립대학교 총장협의회’이다. 그 후 2007년, 안동대에서 개최된 회의에서 ‘지역중심 국립대학교 총장협의회`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금오공대, 목포해양대, 한국교원대, 한국체대가 추가로 가입하였고, 총 13개 대학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

이후 산업대학이다가 일반 국립대로 바뀐 경남과기대, 서울과기대, 한경대, 한국교통대,[1] 한밭대가 추가로 가입하였고, 마지막으로 2012년에 일반대학일 경우 공립대학도 가입할 수 있도록 회칙을 변경하면서, 당해 3월에 유일한 공립 종합대학인 서울시립대까지 더해져 총 19개 대학으로 구성되게된다.

2020년말 협의회 명칭을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로 개칭하였다.

2021년 3월 1일, 경남과기대 경상국립대학교로 흡수통합되면서 협의체에서 자연스럽게 빠지게 되었다. 이것으로 인하여 현재는 18개교로 구성되어 유지 중에 있다.

4. 특징

4.1. 특수시설

4.2. 대학 현황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회원교 목록
교명 캠퍼스 설립 4년제 승격 종합대학 승격[2]
국립대학 17개교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 1946 강릉사범학교 1979 강릉대학 1991 강릉대학교
원주캠퍼스
문막캠퍼스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1948 공주사범대학 1954 공주사범대학 1991 공주대학교
옥룡캠퍼스
예산캠퍼스
천안캠퍼스
국립군산대학교 미룡캠퍼스 1947 군산사범학교 1979 군산대학 1991 군산대학교
새만금캠퍼스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양호동캠퍼스 1979 금오공과대학 1993 금오공과대학교[3]
신평동캠퍼스
국립목포대학교 도림캠퍼스 1946 목포사범학교 1979 목포대학 1991 목포대학교
목포캠퍼스
남악캠퍼스
대불캠퍼스
에너지밸리캠퍼스
국립목포해양대학교 (본교) 1950 목포수산산성고등학교 1993 목포해양대학 1994 목포해양대학교[4]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1941 부산고등수산학교 1946 부산수산대학 1990 부산수산대학교[통합]
용당캠퍼스 1923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 1983 부산개방대학 1993 부산공업대학교[통합]
국립순천대학교 (본교) 1935 순천농업학교 1982 순천대학 1991 순천대학교
국립안동대학교 (본교) 1947 안동사범학교 1979 안동대학 1991 안동대학교
국립창원대학교 (본교) 1969 마산교육대학 1979 마산대학 1991 창원대학교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충주캠퍼스 1965 충주공업초급대학 1993년 충주산업대학교[7]
증평캠퍼스
의왕캠퍼스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본교) 1945 진해고등상선학교 1956 국립해양대학 1991 한국해양대학교
국립한밭대학교 유성덕명캠퍼스 1927 홍성공업전수학교 1984 대전개방대학 1993 대전산업대학교[8]
대덕캠퍼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본교) 1910 공립어의동실업보습학교 1982 경기공업개방대학 1993년 서울산업대학교[9]
한경국립대학교 안성캠퍼스 1939 안성농업학교 1993 안성산업대학교[10]
평택캠퍼스 2002 한국재활복지대학 2023 한경국립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본교) 1984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본교) 1976 한국체육대학 1999 한국체육대학교[11]
공립대학 1개교
서울시립대학교 (본교) 1918 경성농업학교 1956 서울농업대학 1987 서울시립대학교

4.3. 의전서열

  •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 총장들은 대부분 공무원으로서 임명이 국무회의 심의사항이며 장관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다. 이 점은 공립대인 서울시립대 총장도 마찬가지로 의전서열상으로는 서울특별시장을 제외한 광역자치단체장(시도지사)들보다 더 높다.[12] 다만 이전부터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의전상으로만 장관급 대우를 받는것일 뿐 권한이나 영향력이 실제 장관급 공무원들과 동급인 것은 아니다.
  • 거점국립대학교보다 한 단계 아래 정도의 모임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명백하게 잘못된 인식이다. 고등교육법 제10조에서 규정하는 협의회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와 '한국전문대학교교육협의회' 두 곳 뿐이다. 따라서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와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를 포함한 서울총장포럼,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총장협의회, 전국교원양성대학교총장협의회, 전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한국가톨릭계대학총장협의회, 한국대학스포츠총장협의회 등은 모두 법적 근거가 없는 대학간 교류를 위한 곳으로 상하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5. 평가

5.1. 재정지원제한대학(2011년)

강릉원주대학교, 군산대학교를 비롯하여 5개 국립대가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발표되었다.[13]
강원대·충북대 등 국립대 5곳 구조개혁 대상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강릉원주대학교, 군산대학교

5.2. 대학구조개혁평가(2015년)

등급 대학
A등급 (최우수) 군산대학교, 순천대학교
B등급 (우수) 경남과학기술대학교(통폐합)[14], 금오공과대학교, 목포대학교, 부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경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한밭대학교
C등급 (보통) 강릉원주대학교, 공주대학교, 안동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15]
D+등급 (미흡 1단계) -
D-등급 (미흡 2단계) -
E등급 (매우미흡) -
별도조치
목포해양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5.3. 대학기본역량진단(2018년)

등급 대학
자율개선대학 (우수) 강릉원주대학교, 공주대학교, 군산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목포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부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안동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한밭대학교
역량강화대학 (보통) 경남과학기술대학교(통폐합)(130명), 순천대학교(179명), 한국해양대학교(155명), 한경대학교(139명)
재정지원제한대학 유형 1 (미흡 1단계) -
재정지원제한대학 유형 2 (미흡 2단계) -
진단제외 한국체육대학교(63명)

6. 기타

6.1. 국립대학 통합

중소도시와 농어촌의 인구 유출 방지, 균형발전을 위해 국립대학들을 통합하는 안이다.

이 경우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등 특수대학 성격이 있는 대학들은 특성화 캠퍼스로 통합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특정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이 목적이고 실제 운영도 해당 분야에만 국한되어 하는 만큼, 별도로 둘 수도 있다.

하지만 이미 균형발전을 위해 국립대를 통합하려는 시도는 예전에도 있었지만 실패했다.

7. 관련 문서


[1] 구 충주대 [2] 1992년 전까지는 3개이상의 단과대학 대학원을 둔 곳을 법률적으로 종합대학이라 정의하였으나, 1991년 12월 31일 이런 형식적 구분에 따른 교육제도운영상의 불합리한 점을 개선한다는 취지로 교육법을 개정하면서, 단과대학과 종합대학의 구분이 사라졌다. 따라서 1992년부터 본 구분은 무의미하나 규모면에서 비약적으로 성장했음을 의미하므로 서술해두었다. [3] 단순 교명변경에 가깝다. [4] 단순 교명 변경에 가깝고, 현재의 단과대학 체제 형성은 2011년에 이루어졌다. [통합] 1996년 부산수산대와 부산공업대의 통합으로 현재의 부경대학교가 되었다. [통합] 1996년 부산수산대와 부산공업대의 통합으로 현재의 부경대학교가 되었다. [7] 일반대학 개편은 2010년, 현재의 한국교통대로 교명변경은 2012년에 이루어졌다. [8] 현재의 한밭대로 교명변경은 2001년, 일반대학 개편은 2012년에 이루어졌다. [9] 현재의 서울과기대로 교명변경은 2010년, 일반대학 개편은 2012년에 이루어졌다. [10] 한경대로 교명변경은 1999년, 일반대학 개편은 2012년에 이루어졌다. [11] 단순 교명변경에 가깝다. [12] 서울특별시장을 제외한 다른 광역자치단체장들은 차관급 대우를 받는다. 서울특별시장은 장관급이니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 총장들은 서울시장과 동급의 대우를 받는다고 볼 수 있다. [13] 열거되지 않은 대학 중 강원대학교, 충북대학교 거점국립대학교이고, 부산교육대학교도 있다. [14] 2017년에 허위보고서 작성이 드러났다. [15] 2015년 시행된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하위권 후보로 선정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이에 모집학부를 기존 52개에서 29개로 줄이고 정원을 기존의 80% 수준으로 감축하는 'U-29 프로젝트'를 발표하여 최종 평가에서 C등급에 선정되어 하위권을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