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0 20:19:21

갤럭시 Z 시리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성전자의 타이젠 스마트폰에 대한 내용은 삼성 Z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삼성전자의 무선 청소기에 대한 내용은 삼성 BESPOKE 제트 삼성 제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ablealign=center><tablewidth=700px><tablebordercolor=#000,#5f5f5f><tablebgcolor=#000><height=96>
파일:1px 투명.svg 파일:삼성 갤럭시 가로형 로고_화이트.svg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갤럭시 Z 로고_화이트.svg 파일:갤럭시 S 로고_화이트.svg
파일:갤럭시 A 로고_화이트.svg 파일:갤M.png
파일:samsung_galaxy_F_logo.png 파일:갤럭시 XCover 로고_화이트.svg
파일:GalaxyFolderLogo.png
통신사 전용 시리즈
파일:GalaxyWideLogo.png 파일:갤럭시 퀀텀 로고.png
파일:갤럭시 점프 로고.png 파일:갤럭시 버디 로고.png
단종된 시리즈 목록
스마트폰 · · 워치 · 버즈 · · · · 스마트태그
}}}}}}}}}}}} ||

파일:1px 투명.svg 파일:갤럭시 Z 로고_화이트.svg 파일:1px 투명.svg
삼성 갤럭시 Z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fffff> <rowcolor=#ffffff> Z Fold Z Flip
2019 Fold
2020 Z Fold2 Z Flip | Z Flip 5G
2021 Z Fold3 Z Flip3
2022 Z Fold4 Z Flip4
갤럭시 S · 갤럭시 A · 갤럭시 M · 갤럭시 F · 갤럭시 XCover · 전체 라인업
}}}}}}}}}}}} ||
파일:030_kv_galaxy_zfold4_zflip4_spen_main_1p_Samsung.jpg
<rowcolor=#ffffff> 왼쪽부터 갤럭시 Z 플립4, 갤럭시 Z 폴드4

1. 개요2. 상세
2.1. 개발중2.2. 삼성 갤럭시 언팩2.3. 역대 슬로건
3. 제품 목록4. 비판 및 논란
4.1. 디스플레이 내구성 이슈
5. 기타

1. 개요

폰의 미래를 새롭게
삼성전자 공식 사이트
삼성전자 구글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스마트 기기의 브랜드인 갤럭시 시리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중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술을 적용한 브랜드이다.

가로로 접히는 갤럭시 Z 폴드 시리즈와 세로로 접히는 갤럭시 Z 플립 시리즈로 구분된다. 적용된 기술의 특성상 삼성전자 스마트폰 라인업 중 제일 가격대가 높은 하이엔드 라인업이다.[1]

2. 상세

2019년에 공개한 갤럭시 폴드를 시작으로, 삼성전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술을 적용한 폴더블 스마트폰을 공개하고 있다.

초기 갤럭시 폴드 시절 폴드의 특성상 화면 파손이 쉽고 수급이 어려운 편이기 때문에 삼성디지털프라자에서 전용 진열대에서 진열하여 판매하고 있다가, 2020년에 갤럭시 Z 플립이 출시된 후 다른 바형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일반 판매 진열대에서 자유롭게 체험할 수 있게 바뀌었다. 그래도 갤럭시 Z 시리즈를 위한 디자인이 된 진열대에서 판매하며 모든 갤럭시 Z 시리즈에 화면 파손을 우려하여 기본 필름을 반드시 부착해놓는다. 또한 체험할 수 있는 갤럭시 Z 시리즈의 수량이 두 시리즈를 합쳐 겨우 3대에서 많아야 6대에 불과하다. 갤럭시 S 시리즈가 최소 6대를 전시하는 것과는 대조적.

삼성전자는 갤럭시 Z 시리즈의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프리스탑 힌지를 활용한 앱 연속성, Flex Mode 등 여러 특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갤럭시 Z 시리즈만의 특별 혜택으로 갤럭시 Z 프리미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Z 시리즈 전용 24시간 상담 서비스와 1년간 화면 파손 수리 할인 보증 서비스가 포함되어있다.

지역별로 AP가 이원화되어있는 다른 삼성 갤럭시들과는 다르게 AP가 지역 관계 없이 전부 퀄컴 스냅드래곤으로 고정되어 있다. 최근 몇 년간 삼성 엑시노스의 성능 논란도 있었고 물류적인 관점에서 보면 판매량도 적기 때문에 파편화를 최대한 막고자 자사 AP 대신 퀄컴으로 통일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2월, 갤럭시 Z 플립을 공개하면서 갤럭시 폴드를 갤럭시 Z 시리즈로 편입할 것임이 확인되었고, 실제로 갤럭시 Z 폴드2가 출시되며 확정되었다.

폴더블 구조 특성상 방수방진이 적용되지 않았으나 2021년 출시한 3세대 모델들을 기점으로 생활방수가 적용되고 S펜도 지원될 가능성이 보였고 # 결국 UDC 기술과 함께 갤럭시 Z 폴드3 등에 탑재되기 시작했다. 또한 전세대에 출시되었던 폴더블 스마트폰들에 비해 출고가를 20%이상 인하하는 데에 성공하여 폼팩터 대중화에 한층 더 가까워졌다. 기존 시리즈들은 대중화 되기에는 방수 문제 등의 하자와, 그런 하자가 있음에도 비싼 가격이 붙어서 문제가 되었다. 당시 분위기상 기존 시리즈들은 일종의 얼리어답터나 쓰는, 실험적인 느낌이 드는 시리즈였다. 그러다 이 시기부터 몇 가지 하자들을 개선하고 기존의 플래그십과 비슷한 가격에 판매하기 시작함으로서, 일반 대중들도 충분히 고려해볼만한 물건이 되었다.

2.1. 개발중

2020년 말, 갤럭시 Z 롤이라는 롤러블 스마트폰을 발표한다는 루머가 있었다.[2] 실제 이재용 삼성회장이 공개된 적이 없는 휴대전화를 들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 이후 2021년 5월 Z 롤의 상표권이 등록되었다. #

한편 디스플레이 홍보영상에서 롤러블 스마트폰을 비롯해 앞뒤로 2번 접는 스마트폰, 폴더블 태블릿 등의 출시 가능성을 내비쳤고 # 직후 아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이 안으로 2번 접고 펜이 내장된 스마트폰, 폴더블 태블릿의 시제품을 공개했다. #

2.2. 삼성 갤럭시 언팩

삼성 갤럭시 언팩에서 정기적으로 공개하는 갤럭시는 다음과 같다.

2.3. 역대 슬로건

3. 제품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삼성 갤럭시/제품 목록 문서
1.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비판 및 논란

해당 문단은 Z시리즈 전체에 대한 비판이므로, 특정 시리즈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해당 기종 문서의 논란 및 문제점 문단에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4.1. 디스플레이 내구성 이슈

현시점 갤럭시 Z 시리즈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디스플레이가 접히고 펼쳐질때 간혹가다 힌지 근처 디스플레이의 일부가 깨져서 죽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자주 발생하는데, 온도가 낮아지면서 덩달아 디스플레이의 유연성까지 감소하게 되어 생기는 문제로 보인다.

삼성전자서비스 측에서는 원칙적으로 무상 처리해주지만, 간혹가다 힌지나 주변부에 파손이 발생했다는 이유로 유상 처리하는 경우가 많기에 사실상 삼성 케어 플러스의 가입이 반강제로 요구되고 있다.

5. 기타

  • 종전의 바형 갤럭시 제품들이 제품 후면에 삼성전자 로고가 있던 것과 달리 Z 시리즈는 경첩에 삼성 로고가 삽입된다. 첫 모델인 갤럭시 폴드의 경우 경첩 상단에 로고가 새겨졌으며 갤럭시 Z 플립과 그 이후에 출시되는 모든 Z 시리즈 제품은 경첩 중앙에 로고가 들어간다. 일본에 출시된 모델들은 일본에 출시된 타 삼성 기기들과 같이 삼성 로고 대신 갤럭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로고가 들어간다.
  • 폴드 시리즈의 경우, 미래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Z 폴드2가 미래2, Z 폴드3이 미래3으로 불리기도 한다.
  • 플립 시리즈의 경우 피처폰 디자인을 계승하면서도 힙한 명품 및 컨템포러리 패션 업체에 의뢰한 디자인을 적용하여 MZ세대에게 복고풍 감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반면에 Z 플립4 이전 모델의 플립 시리즈를 사용한 젊은층 중에서는 내구성과 배터리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며 플립 시리즈를 예쁜 쓰레기라고 혹평하는 사람들도 있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브랜드에 악재가 생겼는데, 알파벳 Z가 러시아의 침공을 지지하는 문양이 되어 나치의 하켄크로이츠와 같이 터부시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유럽 국가에서 Z라는 단어를 빼고 갤럭시 폴드3, 갤럭시 플립3라는 명칭으로 판매한다. #
    이로 인해 2022년 출시된 갤럭시 Z 시리즈의 패키징은 기존 모델들과는 달리 Z 알파벳을 강조하지 않는 방향성으로 변경되었으며[3], 우크라이나 등 일부 국가에서는 Z시리즈 브랜딩을 제거해서 갤럭시 Z 폴드3은 갤럭시 폴드3으로, 갤럭시 Z 플립3은 갤럭시 플립3으로 이름이 변경되기도 했다. 이는 4세대 기기에도 적용되었다.

[1] 다만 기기의 특성 덕에 가격대가 높은 것이지, 스펙까지 최상급은 아니다. 스펙상으로는 여전히 노트 라인업이 최상위 스펙을 가지고있지만 이마저도 이젠 S 시리즈로 통합되어 현재는 사실상 S 시리즈, 그중에서도 울트라 라인업이 최상위 하이엔드 스펙을 가진 플래그십 제품을 맡고 있다. [2] Z 롤이라는 이름일 수도 있다는 말이 있으나 어감 자체가 욕설과 비슷해서 지켜봐야한다. Z의 발음은 미국한정으로 /지/이며 그 외 지역에서는 영국식으로 /젵/으로 발음된다. 이후 실제로 Z Roll로 상표가 등록되었다. 이전에도 전작 기종의 네이밍을 따라가면 어감이 이상해져서 시리즈명을 떼낸 갤럭시 줌 2의 사례가 있었다. 또한 유럽 시장에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의해 Z를 빼고 폴드, 플립으로 판매한 사례가 있기에 네이밍을 변경할 수도 있게 되었다. [3] 플립4의 패키징, 폴드4의 패키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