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4:26:41

통신회사/MVNO 통신사 목록/대한민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통신회사/MVNO 통신사 목록

1. 개관
1.1. 업황1.2. 주요업체
1.2.1. 초창기 MVNO1.2.2. 사업자단체1.2.3. 이동통신사 자회사1.2.4. 금융기관
1.3. 유통망
1.3.1. 이동통신사1.3.2. 알뜰폰 허브1.3.3. 우체국 알뜰폰
2. 복수망 사업자
2.1. SKT, kt, LGU+ 망
2.1.1. LG헬로비전(헬로모바일) ⓔ 【LGU+ 자회사】2.1.2. 프리텔레콤&인스코비(프리티) ⓔ 🏤 〔통합 브랜드〕2.1.3. 한국케이블텔레콤(티플러스) ⓔ 🏤 【부분 MVNO】2.1.4. 아이즈비전(아이즈모바일) ⓔ 🏤2.1.5. 큰사람커넥트(이야기모바일) ⓔ 🏤2.1.6. 유니컴즈(Mobing) ⓔ 🏤2.1.7. 스마텔(SMT) ⓔ2.1.8. 토스모바일(토스모바일) ⓔ2.1.9. KB국민은행(KB리브모바일) ⓔ 【은행】2.1.10. 스테이지파이브(핀다이렉트) ⓔ2.1.11. 에스원(에스원 안심모바일) ⓔ
2.2. SKT, LGU+ 망
2.2.1. 조이텔(JOYTEL)
2.3. kt, LGU+ 망
2.3.1. 세종텔레콤(스노우맨) ⓔ 🏤2.3.2. 에넥스텔레콤(A모바일)2.3.3. ACN코리아(플래시모바일) 2.3.4. 위너스텔(WELL) ⓔ2.3.5. 한국피엠오(밸류컴)2.3.6. 코드모바일(이지모바일) ⓔ2.3.7. 와이엘랜드(여유모바일)2.3.8. 앤알커뮤니케이션(앤텔레콤)2.3.9. 에이프러스(아시아모바일)2.3.10. 니즈텔레콤(니즈모바일)2.3.11. 에르엘(에르엘모바일)2.3.12. 한패스인터내셔널(한패스모바일)2.3.13. 친구아이앤씨(친구모바일)
3. 단일망 사업자
3.1. SKT 망
3.1.1. SK텔링크(SK세븐모바일) ⓔ 【SKT 자회사】
3.2. kt 망
3.2.1. kt엠모바일(kt M 모바일) ⓔ 【kt 자회사】3.2.2. kt스카이라이프(스카이라이프) ⓔ 【kt 자회사】3.2.3. 드림라인(드림라인 모바일)3.2.4. 미니게이트(쉐이크모바일)3.2.5. 고고팩토리(고고모바일)3.2.6. 씨엔커뮤니케이션(WMVNO)3.2.7. 더피엔엘(퍼스트 모바일)3.2.8. 더원플랫폼(아이플러스유)3.2.9. 한국이텔레콤(한국E텔레콤)3.2.10. 장성모바일(펭유) 🅒3.2.11. 아이디스파워텔(파워톡) 〔TRS〕
3.3. LGU+ 망
3.3.1. 미디어로그(U+유모바일) ⓔ 【LGU+ 자회사】3.3.2. KG모빌리언스(KG모바일)3.3.3. KCTV제주방송(KCTV모바일)3.3.4. 코나아이(모나) ⓔ3.3.5. 씨케이커뮤스트리(슈가모바일)3.3.6. 인스코리아(인스모바일)3.3.7. 와이드모바일(도시락모바일)3.3.8. 마블프로듀스(마블링) ⓔ3.3.9. 레그원(온국민폰)3.3.10. 영진텔레콤(엔티온)3.3.11. 찬스모바일(찬스모바일)3.3.12. 핀샷(코인샷 모바일)3.3.13. 글로벌머니익스프레스(GME모바일)3.3.14. 보스그룹(화인통신) 🅒3.3.15. 사람과연결(사람과연결)
4. 사물지능통신(IoT) 사업자
4.1. 한국정보통신4.2. 오케이포스4.3. 롯데정보통신4.4. 파인디지털4.5. 이동의즐거움4.6. kt텔레캅4.7. KDDI코리아4.8. 현대자동차그룹
5. 사업종료
5.1. 케이디링크(에코모바일)5.2. 홈플러스(플러스 모바일)5.3. 이마트(이마트 알뜰폰)5.4. 포인트파크(포인트플러스모바일)5.5. 서경방송(서경모바일)5.6. 오파스넷(오파스모바일)5.7. 엠티티텔레콤(메리큐)5.8. 원텔레콤5.9. 엔페이넷5.10. 제이씨티(모바일 아시아)5.11. SL리테일(셀모바일)5.12. 휴엘컴퍼니

☞[ ⓔ eSIM 가능 | 🏤 우체국 알뜰폰 | 🅒 재한 중국인 대상 ]

1. 개관

1.1. 업황

본연의 MVNO는 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로서 이동통신사업자( MNO)가 구축한 기간망을 임차하여 고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국내 실정은 이동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자체를 도매대가로 제공받아 단순 소매하는 '이동통신 재판매' 업태로 되어 있다. 문언상 이동통신사의 "망"을 "임차"한다고 하지만 실제는 통신망이 아니라 고객관리·과금 등의 "전산"을 빌려쓴다.
그나마 몇몇 대형 업체는 자체 요금제나 결합 상품 등을 기획하여 독립적 판매의 면모를 갖추고 자체 전산을 사용하지만, 그밖의 대다수는 브랜드만 다르게 붙인 단순 할인 판매에 그쳐 사실상 이동통신 3사의 위탁판매 수준에 머무르는 실정이다.

'완전 MVNO'는 아직까지 국내에 없으나 2024년 7월 제4이동통신사가 무산되고 그 대안으로 다시 언급되고 있다. 실상 스테이지엑스가 제시한 타사 망을 로밍하여 제공하는 구축 방식은 망 사업자라기 보다는 '완전 MVNO'에 가깝고, 스테이지엑스를 주도했던 스테이지파이브도 제4이동통신사 추진을 포기하고 '완전 MVNO'를 추진한다 한다.

'부분 MVNO'는 2024년 현재까지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이 국내 유일하다.
이것도 본래는 자체 설비로 고유한 부가서비스 등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지만 KCT도 실상은 가입자 위치인식 장비만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KCT는 초창기 MVNO로서 처음부터 '완전 MVNO'를 목표로 개시했으며, 실제 광주방송, 울산방송, 남인천방송, 금강방송, 서경방송 등 유선방송사업자에게 알뜰폰 서비스를 재제공하였고, 2020년 7월에는 이동통신 3사에 앞서 국내 최초로 eSIM을 제공하는 등 '부분 MVNO'로서 위상은 갖추고 있는 셈이다.
세종텔레콤 역시 초창기 사업자로서 개시할 당시 '완전 MVNO'를 목표로 표방하였고 현재도 그 의향을 재차 표명하고 있느나 실제 추진 행보는 아직까지 보이지 못하고 있다.

헬로모바일은 애초에 부분·완전 MVNO를 지향하지 않고 단말기 단독 유통이나 결합 상품 등 서비스 차별화를 추구하였는데, 사업 초기 성장기가 지난 2017년 후반기 무렵에 이동통신망 재임대 사업(MVNE)을 타진하였으나 제도 미비와 이후 LG유플러스 자회사로 편입되며 유야무야 된 것으로 보인다.

여타 이동통신 3사 자회사들도 굳이 설비 투자까지 하여 모회사와 경쟁할 이유가 없고 오히려 이동통신 재판매로써 모회사 매출에 기여하는 것이 사업 목적에 부합한다.

국민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의 알뜰폰 사업은 어디까지나 은행업 '부수업무'로 제약되는 것이므로 재판매 이상으로 본격적인 통신업은 현행 금산분리 체제에 따른 한계가 있다.

그밖에 대다수 사업자들은 중소 심지어 영세엄체이므로 자체 설비를 구축·운용하기는 어렵다. 현실적으로 대다수 업체는 기초적인 과금·고객관리 조차도 이동통신사업자가 구축·제공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실정이다.

이처럼 국내 알뜰폰은 실상 NVNO가 아닌 이동전화 재판매에 머무르지만, 대신에 그로 인하여 통신망 자체는 이동통신 3사와 완벽히 같고 이동통신 가입과 요금 납부만 타사에 하는 것이다. 국내 알뜰폰은 도입시부터 이동통신사업자의 소매 요금에서 31 ~ 44%를 할인한 도매대가로 제공하는 체계로서 제도 자체가 재판매로 설계되어 있다.

현행 「전기통신사업법」에 정한 '도매제공의무'에 따른 MVNO는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이 2010년 10월 별정 4호 사업자로 등록하고 SK텔레콤과 계약하여 2011년 7월 선불제, 11월 후불제 서비스를 제공한 것이 시초이며, 법제화 이전에는 2010년 8월 별정 2호 사업자로서 프리텔레콤과 에버그린모바일이 kt 회선을 단기·소량 이용 목적의 선불제 서비스로 제공한 것이 국내 MVNO의 효시이다.
이보다 앞서 1997년 KT가 별정사업자로 등록하고 7월 자회사 KTF PCS를 공급하면서 국내 무선 재판매가 개시되었고 이어 다른 별정 2호 사업자들이 이동전화 재판매 사업을 시작하면서 초창기 MVNO로 이어졌다.

2024년 7월말 현재 휴대전화 회선 점유율은 ( SKT 41%, kt 24%, LGU+ 19%, MVNO 16% ) 순인데, 4세데 LTE 망에서는 ( MVNO 40%, SKT 29%, LGU+ 16%, kt 15% ) 순이고 5세대 NR 망에서는 ( SKT 48%, kt 29%, LGU+ 22%, MVNO 1% ) 순이다.

국내 MVNO는 식별번호 010으로써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알뜰폰 사업자와 식별번호 012로써 사물통신(M2M) 전용으로 하는 사업자로 대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20년말 기준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알뜰폰 사업자는 46사이고 사물통신 사업자는 18사였으며, 회선 비율은 알뜰폰 사업자 79%, 사물통신 사업자 21%였다.
2024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통신서비스 가입현황〉 통계는 { 휴대전화, 가입자 기반 단말장치, 사물지능통신(IoT) }으로 분류된다.

2024년 현재까지 알뜰폰 사업자는 대개 이동통신 단순 재판매에 머무르며, 사물통신 사업자는 B2B로서 신용카드 결제 등을 위한 VAN, 텔레매틱스를 제공하는 완성차, 원격 검침이나 보안·관제 역무, 그밖의 서비스 구축을 위한 사설·구내 무선통신망 등에 활용한다.

1.2. 주요업체

1.2.1. 초창기 MVNO

  • 2010년 8월 kt의 MVNO 상용화로 개시한 현재 사업자
    • { 프리텔레콤, 코드모바일 }
  • 2010년 9월 별정 4호 MVNO가 법제화되며 개시한 현재 사업자
    • SKT { 한국케이블텔레콤, 아이즈비전 }
    • kt { 에넥스텔레콤, 프리텔레콤, 세종텔레콤 }
  • 2012년 '한국MVNO협회' 창립회원 6개사였던 현재 사업자
    • { 한국케이블텔레콤(티플러스), 세종텔레콤(스노우맨), LG헬로비전(헬로모바일) }

1.2.2. 사업자단체

2011년 12월 7일 사단법인 한국MVNO협회(KMVNO)가 6개 회원사로 창립되고 이후 회원사 확대를 거쳐 2013년 8월 '중소통신사업자협회'와 통합하여 16개 회원사가 발족한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가 설립되었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KMVNO)에 2024년 현재 20사가 입회하여 있다.
  • 임원 10사
    • 회장 1사

      • { 세종텔레콤(스노우맨) }
    • 부회장 2사

      • { LG헬로비전(헬로모바일), 프리텔레콤(프리티) }
    • 이사 6사

      • { 아이즈비전(아이즈모바일), 유니컴즈(모빙), 큰사람커넥트(이야기모바일), 한국케이블텔레콤(티플러스), SK텔링크(SK 7모바일), 스마텔(SMT) }
    • 감사 1사

      • { 토스모바일(토스모바일) }
  • 일반회원 10사

    • { ACN코리아(플래시모바일), kT M 모바일(kT M 모바일), 미디어로그(U+유모바일), 에넥스텔레콤(A모바일), 위너스텔(WELL), 인스코비(프리티), 국민은행(KB리브모바일), 스테이지파이브(핀다이렉트), 한국피엠오(밸류컴), 조이텔(JOYTEL) }

1.2.3. 이동통신사 자회사

2024년 현재 이동통신 3사의 자회사 5사가 알뜰폰 가입회선 절반 가까이를 점유한다.
  • SKT : { SK 7모바일 }
  • kt : { kt M 모바일, 스카이라이프 }
  • LG U+ : { U+유모바일, 헬로모바일 }
여기서 kt M 모바일은 알뜰폰 서비스 전문 회사로 설립되었으며, 다른 회사들은 여타 통신 관련 본업에서 추후 모회사의 알뜰폰을 담당하게 되었다. 헬로모바일은 유일하게 타사 회선도 취급하여 3사 망을 모두 제공하는데 이는 원래 CJ 계열이었다가 나중에 LG유플러스에 인수된 까닭이다.

1.2.4. 금융기관

2023년 4월 알뜰폰 사업이 은행업 부수업무로서 정식 인가되면서 은행이 공식적으로 알뜰폰 사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국민은행 KB리브모바일이 2023년 4월 국내 최초로 인가되었고, 이후 우리은행은 2024년 6월 10일 LG유플러스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알뜰폰 사업에 착수하고 9월에는 연내 출시를 목표로 '우리 WON 모바일' 브랜드를 확정하였다.

한편 토스모바일은 단지 토스의 계열사이며, 인터넷전문은행 토스뱅크의 사업이거나 자회사가 아니므로 금융업 부대사업이 아니다.

1.3. 유통망

기본적인 유통망은 알뜰폰 사업자의 사이트나 모바일 앱을 통한 직판이며 유심은 편의점이나 오픈마켓을 통해 판매하기도 한다. 일부 사업자는 대리점도 존재하고 휴대전화 판매점에서 같이 취급하기도 한다.

인지도 있는 대형 업체들은 굳이 별도 유통망 구축이 필요하지 않고 오프라인도 기존 자사 유통망을 활용한다. 다단계판매업체는 그 자체로서 유통망이므로 당연히 다른 유통망이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중소업체의 경우에 대리점·판매점을 널리 구축한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알뜰폰 자체 보다 대리점·판매점 유치를 통한 본사 이익을 도모하기 때문이고 실제로 몇몇 업체는 결국 법적 분쟁을 일으키고 사라졌다.
그밖에 아예 엉세업체의 경우는 별도의 유통망은 없다.

현실적으로 인지도나 접근성이 확연히 떨어지는 알뜰폰 보급을 위하여 이동통신사와 공공기관을 통한 공식적인 유통 창구가 마련되어 있다.

1.3.1. 이동통신사

이동통신사 3사는 각기 자사망 알뜰폰을 선별 안내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 국내 알뜰폰은 대개 이동통신사의 재판메 형태이므로 본사의 판매점 지원 차원인 격이다.

SKT는 단지 자사망 알뜰폰 사업자 안내인데 비하여, kt와 LGU+는 해당 사이트에서 상품 비교·가입도 가능하다.

1.3.2. 알뜰폰 허브

알뜰폰 허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가 주관하여 알뜰폰 사업자와 공동운영하며 2024년 현재 17개 사업자가 참여하고 있다. 사업자의 모든 상품이 제시되는 것은 아니며 타사와 비교할 수 있다.
  • SKT, kt, LGU+ 망

    • { 세종텔레콤(스노우맨), 스마텔(SMT), 국민은행(KB리브모바일), 큰사람커넥트(이야기모바일), 한국케이블텔레콤(티플러스), 아이즈비전(아이즈모바일), 유니컴즈(모빙) }
  • SKT, kt 망

    • { 프리텔레콤(프리티) }
  • kt, LGU+ 망

    • { 위너스텔(WELL), 코드모바일(이지모바일), 에넥스텔레콤(A모바일) }
  • SKT 망

    • { SK텔링크(SK 7모바일) }
  • kt 망

    • { kt스카이라이프(스카이라이프 모바일), kT엠모바일(kT M 모바일) }
  • LGU+ 망

    • { LG헬로비전(헬로모바일), 미디어로그(U+유모바일), 인스코비(프리티) }

1.3.3. 우체국 알뜰폰

우체국 알뜰폰 위탁판매 계약업체는 2024년 현재 6개사이다. 사업자의 모든 상품이 제시되지는 않고 우체국과 계약된 상품만 제시되는데 방문 없이 온라인 가입도 가능하다.
  • { 티플러스, 스노우맨, 아이즈모바일, 이야기모바일, 모빙, 프리티 }

2. 복수망 사업자

SKT, kt, LGU+ 망 가운데 2개 또는 3개를 이용하는 사업자이다.
대개 고객센터 전화번호가 망별로 따로 구축되어 있으며, 사업자내 망간 변경도 번호이동에 준하여 처리된다.

2개 망을 사용하는 사업자는 대부분 { kt, LGU+ } 복수망이다.
이렇게 된 까닭은 초기 MVNO가 kt 회선 재판매로써 시작되었고 이후 SK텔레콤의 도매제공의무화로써 MVNO가 법제화된 역사적 배경 때문이다. 2024년 현재도 SK텔레콤이 이동통신 시장지배적 사업자로서 도매제공의무사업자이며, kt와 LG유플러스는 아니다. 이에 따라 SKT망 이용은 도매제공의무제도에 의한 것이고, kt와 LGU+ 망은 업체간 자율적 계약인데 현실적으로는 SKT 도매대가를 기준으로 삼는다 한다.

알뜰폰 프리티는 자회사 프리텔레콤이 { SKT, kt } 복수망 사업자이고 모회사 인스코비가 LGU+ 망 사업자로서 통합 브랜드로써 3개망을 모두 제공한다.

2.1. SKT, kt, LGU+ 망

이동통신 3사 망을 모두 제공하는 사업자이며, 대개 규모가 크거나 업력이 긴 장수업체들이 이에 속한다.

2.1.1. LG헬로비전(헬로모바일) ⓔ 【LGU+ 자회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헬로모바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헬로모바일 로고.svg
헬로모바일 헬로모바일 다이렉트
LG헬로비전 ☎1855-1000

LG유플러스 자회사 LG헬로비전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CJ 계열 'CJ헬로비전'로 출범하여 'CJ헬로'로 변경하고 2019년 12월 LG유플러스에 인수되며 LG헬로비전이 되었다.
알뜰폰 사업은 CJ헬로비전 시절인 2011년 10월 kt와 MVNO 사업 협정을 맺으며 시작했다.

알뜰폰 사업은 모회사 LG U+ 망에 국한하지 않고 SKT, kt 망까지 모두 취급하면서 심지어 kt 망 가입자에게는 LG U+ 망 가입자와 마찬가지로 결합할인까지 제공하며 블랙베리의 한국 출시를 담당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어 굳이 LG유플러스 자회사 위상에 머무르지 않고 독자적인 통신사로 행보하는 격이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부회장사이다.

2.1.2. 프리텔레콤&인스코비(프리티) ⓔ 🏤 〔통합 브랜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리텔레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프리텔레콤 로고.png
프리티 ☎1661-2207

자회사 (주)프리텔레콤과 모회사 (주)인스코비의 알뜰폰 통합 브랜드이다.
과거에는 kt 망 freeC와 LUG+ 망 freeT 브랜드로 나뉘어 있었으나, 2015년 2월 프리텔레콤이 SKT 망 알뜰폰을 출시하며 업계 최초로 3사 망 모두 서비스하게 되면서 5월 지금의 프리티 브랜드로 통합하였다.

우체국 알뜰폰에는 LGU+ 망 사업자로서 인스코비가 입점하였다.

프리텔레콤은 초창기 MVNO 가운데 하나이고 SKT, kt 복수망 사업자이며 프리티 통신판매를 담당한다.
(주)프리텔레콤은 2009년 12월 설립되어 2010년 8월 kt의 첫번째 알뜰폰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초대 회장사이며 2024년 현재 부회장사이다.

인스코비는 KOSPI 상장회사이며 LGU+ 망 사업자이며 프리티 B2B 공급을 담당한다.
(주)스페이스네트는 1999년 12월 설립되어 2001년 LG텔레콤 선불제 재판매를 시작하고 2012년 LGU+ 알뜰폰 서비스를 개시하였으며, 2016년 8월 인스코비에 흡수합병되었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일반회원사이다.

2.1.3. 한국케이블텔레콤(티플러스) ⓔ 🏤 【부분 MVNO】

파일:티플러스.png
티플러스 모바일 ☎1877-9114

태광그룹 계열사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이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초창기 MVNO 가운데 하나로서 2024년 현재까지 국내 유일한 '부분 MVNO'이며 , 이에 걸맞게 eSIM을 무선통신 3사 보다 앞서 국내 최초로 도입하였다.

초창기에는 KCT가 tplus 브랜드를 운영하면서 모회사 티브로드[1]가 위탁판매하면서 케이디링크에도 재판매하는 식이었다.

사업 구조는 복잡하지만 홈페이지에서 요금제, 부가서비스, 번호 변경이 가능하다.
하지만 홈페이지 오류가 많고 부가서비스 변경은 커녕 해지마저 요청시 단순 실패 메시지[2]만 뜨고 안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몇몇 부가서비스는 본인 인증 과정에서 아직도 실행파일 형태의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가능하다.

2020년 경까지 안드로이드용 고객센터 앱이 SKT망 가입자만 지원하고 LG U+망과 KT망 가입자는 로그인조차 되지 않았지만 2021년부터는 새로운 안드로이드용 고객센터 앱을 내놓아 문제가 해결되었다.

2022년 10월 현재에도 타사의 경우 셀프 개통이 활성화되어 있으나, 티플러스의 경우 셀프 개통으로 가입이 불가능한 요금제도 꽤 있으며, 온라인 신청을 통한 고객센터 개통의 경우에도, 수 일~1주일 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고, 해피콜 한번 없이 뜬금없이 기존 전화가 끊어져버리고 개통 되는 등 개통 프로세스와 시스템에 문제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3]

타사와 달리 주말과 공휴일에 다른 통신사로 번호이동이 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KCT·세종텔레콤]

홈페이지 리뉴얼 후 리뉴얼 기념 요금제로 요금제 변경시 SKT망 이용 고객은 KCT SKT에서 KCT SKT로 번호이동 신청을 통해 가입 가능하며 번호이동 이후 VoLTE와 로밍, SKT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게 변경되었다.

추가로 tplus SKT망의 eSIM 변경·교체시 홈페이지 리뉴얼 이전 가입자는 작업이 불가하여 타통신사 혹은 해지해야 사용이 가능하다.(고객센터 답변)
(T전화 어플 사용 가능)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이사사이다.

2.1.4. 아이즈비전(아이즈모바일) ⓔ 🏤

아이즈모바일

부산의 부일이동통신이 전신인 아이즈비전이 제공하는 알뜰폰이다. 초창기 MVNO 가운데 하나이며 코스닥 상장회사이다.

기본료 4,900원에 30분 통화 + 30MB, 8,500원으로 100분 통화 + 100MB + 와이파이를 제공하고 있어서 스마트폰 소량 이용에 추천할 만하다. 추가 요금은 음성은 싼데 (1.5원) 데이터는 비싸다 (50원/MB)

루리웹에서 바이럴 마케팅을 한 적이 있다(아카이브)는 정황이 있다. 세븐모바일도 같이 언급되었는데, 둘 중 어느 쪽이 한 바이럴 마케팅인지는 불명.

과거에는 웹사이트에서 유심 요금제 신청 시 신청 상황 조회나 취소가 불가능했다. 2023년 6월 기준으로 신청서 확인 및 취소가 가능하게 바뀌었다. 다만 사이트의 고객센터 1:1 문의의 경우 비회원은 불가.

홈페이지의 경우 아주 기본적인 기능인 자동 로그인조차 지원하지 않을 정도로 조악하다. 2022년 10월 홈페이지 개편으로 U+, KT는 실시간 잔여량을 보여주며, SKT는 하루 단위로 잔여량을 보여준다.

자체 앱을 운영하지 않고 있는 회사이므로 모든 업무는 PC웹 또는 전화로 업무를 봐야 한다. 2023년 4~5월경부터 SKT 0원, LG U+1천원 미만 요금제 마케팅을 서서히 시작하다가 2023년 6월 LG U+망 0원 요금제로 본격적으로 마케팅을 시작하고 있다. 다만, 일부 유심 불량 및 개통 지연 사례가 드문드문 발생하고 있다. 공지사항에서도 언급하는 점이고 사용자 게시판(모해 게시판)에서도 민원 및 불만을 제기하는 글이 많아지는 중.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이사사이다.

2.1.5. 큰사람커넥트(이야기모바일) ⓔ 🏤

이야기모바일

큰사람커넥트의 알뜰폰 브랜드.
큰사람 이야기라는 키워드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유명한 PC통신 프로그램을 만든 곳이다.
알뜰폰 사업에 앞서 제공한 언터넷전화 VoIP 서비스를 바탕으로 알뜰폰 가입자에게 무료 국제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용번호 1670-9115에 연결하여 미국, 중국, 캐나다, 홍콩, 싱가포르 등 21개국 유무선 무료 국제전화를 이용할 수 있다.

우체국 알뜰폰에는 2014년 10월에 입점하였는데 초기에는 약세였으나 16년 중반부터 무서운 접수율을 기록하였다.
알뜰10(1,000원) 요금제부터 사용이 가능하고[5] 선후불제 모두 무서류 개통되며, 모바일 앱을 통해 잔여량 조회 등이 가능하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이사사이다.

2.1.6. 유니컴즈(Mobing) ⓔ 🏤

모빙(Mobing) ☎1899-3633

기본료 5,500원으로 50분 통화, 8,500원으로 100분 통화 + 100 MB 데이터 제공으로 기본료는 좀 높지만 초과요금이 통화 1.6원, 데이터 20원/MB으로 싼 편이라 스마트폰용으로 쓸만하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접속이 안 된다. 접속 시도 시 "엣지로 열기"로 강제 리다이렉트.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이사사이다.

2.1.7. 스마텔(SMT)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마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스마텔 알뜰폰 로고.svg
스마텔 ☎1566-0212

1998년 별정통신사업자 등록으로 국제전화 서비스를 개시하였고, 2013년 알뜰폰 MVNO 서비스 추가 개시를 시작으로 확장세라 한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이사사이다.

2.1.8. 토스모바일(토스모바일)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스모바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토스모바일 ☎1600-7019

본래 2009년 10월 21일 법인 설립된 (주)머천드코리아였다가 2022년 10월 4일 비바리퍼블리카에 인수되어 토스모바일(주)로 변경되었다. 머천드코리아 당시에는 '마이월드'라는 브랜드였으며, 토스모바일로 된 다음에는 선불요금제로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감사사이다.

2.1.9. KB국민은행(KB리브모바일) ⓔ 【은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리브모바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B 리브모바일.png
KB리브모바일 ☎1522-9999

KB국민은행이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023년 4월 12일 금융위원회로부터 은행업 부수업무로서 정식 인가되었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일반회원사이다.

2.1.10. 스테이지파이브(핀다이렉트)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핀다이렉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PINDIRECT.png 파일:PINDIRECT(화이트).png
핀다이렉트 ☎1688-0447

스테이지파이브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019년 8월 상호를 핀플레이에서 스테이지파이브로 변경하였다.

2017년 12월 카카오키즈의 지분 매입과 2018년 7월 카카오인베스트먼트의 출자로 카카오 계열사였으나 2023년 12월 계열 분리되었고, 2024년 7월 31일 선정취소된 제4이동통신사 스테이지엑스를 주도한 이력이 있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일반회원사이다.

2.1.11. 에스원(에스원 안심모바일)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스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에스원 안심모바일 ☎1599-7114

보안업체 에스원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서비스.

에스원 안심서비스의 일환이다.

2.2. SKT, LGU+ 망

2.2.1. 조이텔(JOYTEL)

조이텔
글로벌 관광 시장을 대상으로 통신과 관광 상품을 결합하여 약 60여개국의 현지 이동통신 파트너사를 통해 각국 현지의 무제한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관광 MVNO이다.

태평로 파출소 맞은 편에 소재한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일반회원사이다.

2.3. kt, LGU+ 망

도메제공의무사업자 SK텔레콤과 계약하지 않은 업체들이며, 무선 재판매 별정사업자로 시작하여 업력이 긴 전문업체들이 속해있다.

2.3.1. 세종텔레콤(스노우맨) ⓔ 🏤

파일:스노우맨_로고.png
스노우맨 ☎1688-9300

세종텔레콤이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과거 (주)세종[6]의 산하 세종텔레콤의 자회사였던 온세텔레콤이 운영했으나, 현재는 세종텔레콤이 운영중이다. 온세텔레콤이 운영했던 모 포인트 리워드 앱을 이용했던 사람은 가끔 팝업으로 온세텔레콤 광고가 떴다.

타 통신사와 다르게 주말과 공휴일에 다른 통신사로 번호이동이 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KCT·세종텔레콤]

2021년 4월부터 LGU+ 망을 추가하였는데 , 헬로모바일의 경우처럼 LGU+ 전산 대응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입만 우선 실시하여 홈페이지를 통한 사용량 조회 등이 2021년 5월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회장사이다.

2.3.2. 에넥스텔레콤(A모바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넥스텔레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A모바일 ☎1588-1635

에넥스텔레콤이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004년 1월 별정 2호 사업자로 등록하여 3월 KTF 재판매를 개시하고 2011년 1월 별정 4호 사업자로 등록하였다.
KT망으로 시작하여 2018년 1월 LG유플러스와 알뜰폰 계약을 체결하여 2018년 1월 17일부터 서비스를 개시하었다. 다만 LGU+ 망은 2023년 9월 20일부터 전산 개편으로 셀프 개통 및 사용량 조회와 같은 업무 진행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일반회원사이다.

2.3.3. ACN코리아(플래시모바일)

플래시모바일 ☎1688-9800

ACN코리아(유)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세계 최대 직접판매 통신회사를 표방하는 미국계 ACN의 한국 법인으로서 다단계판매업체이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일반회원사이다.

2.3.4. 위너스텔(WELL) ⓔ

WELL

주식회사 위너스텔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이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일반회원사이다.

2.3.5. 한국피엠오(밸류컴)

파일:밸류컴_로고.svg
밸류컴 ☎1688-3016

한국피엠오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이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일반회원사이다.

2.3.6. 코드모바일(이지모바일)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드모바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지모바일 ☎1588-6220

코드모바일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초창기 MVNO 가운데 하나이며 한때 중소 알뜰폰 업체의 대표격이었다.

1999년 7월 (주)필코코리아로 설립되어 2003년 12월 (주)인일네트웍스로 변경
2004년 3월 무선재판매 별정사업자로 등록하고 4월 KTF 무선재판매 계약 체결
2007년 8월 (주)에버그린모바일로 변경
2010년 8월 kt 이동통신 재판매를 개시하고 2011년 5월 별정 4호 사업자 등록
2014년 10월 (주)이지모바일로 변경
2017년 6월 LG유플러스 알뜰폰 계약 체결
2019년 1월 (주)코드모바일로 변경

알뜰폰 외에도 군장병 스마트폰 대여 서비스와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선불제 SIM카드 사업을 한다.

2024년 7월 16일 ~ 2024년 11월 17일까지 내부 사정으로 인한 신규 가입 중단을 공지하였다.

2.3.7. 와이엘랜드(여유모바일)

파일:여유모바일_로고.png
여유모바일

요금제는 모두 무약정 USIM 요금제이며, 사이트 회원가입을 하면 '도넛 할인'이라는 추가 할인이 2015년 12월까지 제공되었다. 요금제로는 음성무한 요금제로서 28.9(21,450원) 부터 58.9(42,900원, 11GB 소진후 매일 2GB 추가제공 이후 최대 3Mbps 속도 무제한 제공)이 있고 LTE 요금제로서 42(21,000원) 부터 100(50,000원) 까지 있다.

2023년 2월 26일, 외부 해킹으로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음을 3월 7일 확인하여 공지했다. 기사

2.3.8. 앤알커뮤니케이션(앤텔레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앤텔레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앤텔레콤

과거 15년간 KT의 별정사업자로 선불 서비스를 영위해 오던 방문판매법상 다단계판매사업자 앤알커뮤니케이션(NRC)의 알뜰폰 브랜드.
#직접판매공제조합에 가입되어 있으므로 다단계 판매 피해를 받았을 경우 보상받을 수 있다.

2013년 12월 KT와 MVNO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고 앤텔레콤 브랜드가 출범하였으며, 자동리필, 예약리필 등 선불 쪽에선 사업을 오래 해왔다. 최저 3천원 요금제부터 시작.
2021년부터 LG U+ 망도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2.3.9. 에이프러스(아시아모바일)

파일:아시아모바일_로고.png
아시아모바일

주식회사 에이프러스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3.10. 니즈텔레콤(니즈모바일)

니즈모바일 ☎1688-5566

주식회사 니즈텔레콤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3.11. 에르엘(에르엘모바일)

파일:에르엘모바일_로고.png
에르엘모바일

주식회사 에르엘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3.12. 한패스인터내셔널(한패스모바일)

파일:한패스모바일_로고.png
한패스모바일

주식회사 한패스인터내셔널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3.13. 친구아이앤씨(친구모바일)

파일:친구모바일_로고.png
친구모바일

(주)친구아이앤씨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외국인 전문 통신 회사를 표방한다.

3. 단일망 사업자

{ SKT, kt, LGU+ } 가운데 하나만을 이용하는 사업자들로서 상대적으로 영세업체들이 많다.
이동통신 3사의 자회사들은 그 툭수관계로 말미암아 대개 모회사 단일망이지만, LG헬로비전( 헬로모바일)만은 본래 CJ 계열이었던 까닭에 지금도 3사 망을 모두 제공하고 있다.

3.1. SKT 망

  • 선불 사용자의 경우 2015년 10월까지는 KT처럼 MB당 차감이 아닌 데이터 쿠폰 구매 후 용량이 별도로 차감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2015년 10월 말 MB당 차감 방식으로 개선되었다.
  • KT 임대 사업자들과는 달리 해외폰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 SKT망 일부 아이폰 계열 VoLTE 사용이 불가능하다.
    • SKT에서 알뜰폰 망에 대해 외산폰은 신경을 안 쓰는 모양이었다가, 2017년 12월 13일부터 SKT 계열 아이폰 7, 8, X에서도 사용가능하다.

3.1.1. SK텔링크(SK세븐모바일) ⓔ 【SKT 자회사】

||<table bordercolor=#EA002C><table align=center><width=50%><bgcolor=#ffffff> 파일:SK세븐모바일 로고(2017-2022).svg ||<width=50%><bgcolor=#ffffff> 파일:SK세븐모바일 로고.svg ||
2017 ~ 2022 2022 ~ 현재

SK세븐모바일 ☎1599-0999

SK텔레콤 자회사이다.

2013년 상반기 SK텔레콤 영업정지 기간에 갑자기 휴대폰 결합요금제에 보조금을 지급해서 경쟁사로부터 SK텔레콤에게 지원 받은게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다. 2013년 6월 27일부터 세븐일레븐에서 SK 7Mobile 선불요금제에 가입된 휴대폰의 요금 충전이 가능하다. 자동로밍을 지원한다고 한다. 현재 홈쇼핑 등에서 sk란 휴대폰 + 노트북이나 티비로 끼워파는 게 바로 이 회사다. 스팸 전화로 "SK에서 우수고객 어쩌고... 기변해준다고 텔레마케팅 전화가 오는데, 99%는 SK텔링크이니 낚이기 대단히 쉽다. SK텔레콤인 줄 알고 기기변경 피해를 봤다는 사람이 한둘이 아닌 모양이다. 이름 가지고 교묘히 낚시질을 시전 중이다.[8]

SK텔레콤의 자회사답지 않게 2016년 2월 17일 기준 홈페이지에서 조회만 가능할 뿐, 요금제 변경이나 부가서비스 변경은커녕, 청구지 주소조차 변경할 수 없었고, 변경하려면 고객센터에 전화해야 했다.[9] 다만 현재는 전부 가능하다.

수신자의 휴대폰 전원이 꺼져 있거나, 통화 중 또는 통화할 수 없는 지역에 있을 경우 걸려온 전화번호를 수신자가 통화가 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때 SMS로 알려주는 서비스인 콜키퍼 서비스가 월 550원으로 따로 가입해야 한다. MVNO 통신사에 따라 무료인 경우도 있고, 유료인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면 좋다.

SK세븐모바일 선불폰과 이야기알뜰폰 선불폰으로 #0000 형식의 라디오 문자번호에 문자 전송을 시도해 보았으나 '메시지를 보내지 못했습니다.'를 내뱉으며 전송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KT와 KT망을 쓰는 선불폰은 잘 보내진다. SK에서 라디오 문자번호로의 문자 전송을 막아둔 듯.

루리웹에서 바이럴마케팅을 한 적이 있다는 정황이 있다. 아이즈모바일도 같이 언급되었는데, 둘 중 어느 쪽이 한 바이럴 마케팅인지는 불명.

과거엔 자급제 폰에서 모바일 티머니가 안 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현재는 사용 가능하다.

이전까지 크게 공격적인 마케팅을 하지 않았지만 타사의 자극을 받았는지 2021년 하반기에 7GB+3Mbps / 500분 / 500건 요금제를 평생할인 16,900원에 내놓는 등 본격적으로 알뜰폰 경쟁에 가세하기 시작했다. 많은 사은품은 덤. 하지만 2021년 12월 24일 요금제 할인 프로모션을 하고 얼마 되지 않아 요금제 대부분을 조금씩 인상하였다. 그러나 기존 신청 고객의 경우 계속 인상 이전 금액으로 사용 가능.

2021년 12월부터의 요금제 인상으로 인해 2022년 5월 기준으로 많은 요금제들의 요금이 큰 폭으로 인상되어 다른 알뜰폰 회사들보다 가성비가 더 떨어졌다. 예로 2021년 12월 24일 이전 16,900원이었던 7GB+1Mbps 요금제가 23,100원으로 5개월 동안 무려 6,200원이나 인상[10]되었으나, 어느 시점부터 7GB+1Mbps 요금제의 가격이 다시 16,900원으로 돌아왔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이사사이다.

3.2. kt 망

2022년 6월 30일 서비스를 시작한 마이 알뜰폰에서 kt 망을 이용하는 모든 알뜰폰 회선 조회·관리가 가능하다.

현재 iPhone 단말기들은 kt 망을 사용하는 사업자를 통하여 eSIM 개통시 콜드랍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3.2.1. kt엠모바일(kt M 모바일) ⓔ 【kt 자회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T M모바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able bordercolor=#000000><table align=center><width=50%><bgcolor=#ffffff> 파일:kt M모바일 로고(2015-2017).svg ||<width=50%><bgcolor=#ffffff> 파일:kt M모바일 로고.svg ||
2015 ~ 2017 2018 ~ 현재

kt M 모바일 ☎1899-5000

kt 자회사 kt엠모바일이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원래는 2014년 7월 ktis에서 출시하였다가 4월에 kt엠모바일이 설립되어 같은 해 6월 알뜰폰 사업이 이관되었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일반회원사이다.

3.2.2. kt스카이라이프(스카이라이프) ⓔ 【kt 자회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T스카이라이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T스카이라이프 로고.svg 파일:KT스카이라이프 흰색 로고.svg

스카이라이프 모바일 스카이라이프 모바일 다이렉트 ☎1588-3002

kt 자회사 kt스카이라이프가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정체된 성장세를 타개할 목적으로 2020년 10월 30일에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요금제는 몇몇 제휴 요금제를 제외하고 kt엠모바일과 거의 같다.

스카이라이프가 알뜰폰을 출시하면서 kt 산하에도 LG유플러스와 마찬가지로 알뜰폰 자회사가 두곳이 되었는데, 2023년 5월에 10월 예정으로 kt엠모바일을 흡수합병한다는 설이 나왔다. 그러나 이후 2024년 현재까지 무소식이다.

3.2.3. 드림라인(드림라인 모바일)

드림라인 모바일 ☎1877-0010

기간통신사업자 드림라인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3.2.4. 미니게이트(쉐이크모바일)

쉐이크모바일 ☎1588-7376

주식회사 미니게이트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3.2.5. 고고팩토리(고고모바일)

파일:고고모바일_로고.png
고고모바일 ☎1670-9098

(주)고고팩토리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3.2.6. 씨엔커뮤니케이션(WMVNO)

WMVNO

(주)씨엔커뮤니케이션이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003년 등록한 다단계판매업체이다.

3.2.7. 더피엔엘(퍼스트 모바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더피엔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퍼스트 모바일_로고.svg
퍼스트 모바일 ☎1833-2115

주식회사 더피엔엘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이다.

운영사 더피엔엘이 사랑제일교회 전광훈 목사와 특수관계이고 알뜰폰 사업 자체도 종교색이 짙어 논란이 있다.

3.2.8. 더원플랫폼(아이플러스유)

더원플랫폼 ☎1599-0596

주식회사 더원플랫폼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016년 5월 kt망 재판매 사업자로서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3.2.9. 한국이텔레콤(한국E텔레콤)

한국E텔레콤

주식회사 한국이텔레콤이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세종대학교 인공지능융합연구소 협약기관으로서 실버 세대를 위한 맞춤형 통신 서비스와 건강 지킴이 상품을 결합한 '건강사랑 요금제' 등을 비롯한 '건강폰 서비스' 제공을 위한 MVNO사업을 표방하며 2024년 6월 20일부터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3.2.10. 장성모바일(펭유) 🅒

장성모바일한국 ☎1899-6086

长城移动·韩国 장성모바일한국 유한회사가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로 재한 중국인과 중국인 여행객을 대상으로 한다.
2014년 중국 민영 통신사업자 닥터펑통신미디어그룹주식회사의 완전자회사로 설립된 중국계 기업이다.
长城移动韩国有限公司. Great Wall Mobile Korea Inc.

3.2.11. 아이디스파워텔(파워톡) 〔TRS〕

파일:IDIS 파워텔.jpg
아이디스파워텔
{ KT }망

TRS 무전통신 겸용 이동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콜택시, 마을버스 등에 쓰이는 TRS 무전통신 운영업체이며 LTE 망에서 TRS 방식 통신을 구현한다.
본래 KT의 자회사 KT파워텔(주)였다가 2021년 아이디스그룹에 인수되면서 상호를 변경하였다.

3.3. LGU+ 망

2020년 9월 1일 이후 LGU+ 망 알뜰폰 가입자는 U+ 인터넷 가족결합이 가능하다. 다만 U+유모바일과 헬로모바일은 결합대상에서 제외다.

3.3.1. 미디어로그(U+유모바일) ⓔ 【LGU+ 자회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U+유모바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U+유모바일 로고.svg
U+유모바일 ☎1644-5353

LG유플러스의 자회사 미디어로그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LG헬로비전과 비하여 보다 더 자회사 역할에 충실한 모양새이다.

(사)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일반회원사이다.

3.3.2. KG모빌리언스(KG모바일)

파일:KG모바일 로고.svg
KG모바일 ☎1644-9388

KG모빌리언스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3.3.3. KCTV제주방송(KCTV모바일)

KCTV모바일 ☎1877-7030

제주특별자치도 종합유선방송 사업자 KCTV제주방송이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016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우체국 알뜰폰 사업자로 선정되어 우체국에 입점하였다.
2024년 현재 LGU+ 망만 가능하나 2023년 5월 12일 개정된 SKT 약관 및 요금표가 존재한다.

3.3.4. 코나아이(모나) ⓔ

파일:모나_로고.svg
MONA ☎1811-6825

코나아이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3.3.5. 씨케이커뮤스트리(슈가모바일)

파일:슈가모바일_로고.png
슈가모바일 ☎1566-1246

국제전화 서비스 사업 위주에서 알뜰폰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였다.

3.3.6. 인스코리아(인스모바일)

파일:인스모바일_로고.png
인스모바일
뽐뿌에서 선불 유심 프로모션을 위주로 사업하던 회사. 2021년 사업 영역을 알뜰폰으로 확장하였다.
하루 트래픽 제한이 있어 늦은 오후에는 해당 통신사 홈페이지에 접속이 불가능할 수 있다.

3.3.7. 와이드모바일(도시락모바일)

도시락모바일

와이파이도시락을 운영하는 와이드모바일에서 출시한 알뜰폰 브랜드이다.

3.3.8. 마블프로듀스(마블링) ⓔ

파일:마블링알뜰폰_로고.png
마블링 ☎1833-3454

(주)마블프로듀스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오프라인 매장이 있었으나 2024년 9월 30일 운영을 종료하였다.

3.3.9. 레그원(온국민폰)

파일:온국민폰.png
온국민폰 ☎1544-8669

주식회사 레그원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3.3.10. 영진텔레콤(엔티온)

엔티온

영진텔레콤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개통은 모바일만 가능하다.

3.3.11. 찬스모바일(찬스모바일)

찬스모바일

주식회사 찬스모바일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3.3.12. 핀샷(코인샷 모바일)

코인샷 모바일

(주)핀샷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3.3.13. 글로벌머니익스프레스(GME모바일)

파일:GME모바일_로고.svg
GME모바일

주식회사 글로벌머니익스프레스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3.3.14. 보스그룹(화인통신) 🅒

파일:화인통신-로고.png
화인통신 ☎1811-2380

2017년 8월 재한 중국인 대상으로 하여 설립된 (주)보스그룹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華人通信.
중화권 유학생 위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2022년 상반기 기준 전국 30여개 매장과 3~40만명의 고객이 있으며, 중국과 연락을 많이 하는 특성상 통화 보다는 문자·데이터를 강화한 요금제 등 특화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한다.

3.3.15. 사람과연결(사람과연결)

사람과연결

(주)사람과연결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022년 7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하여 주로 기업 대상으로 사업을 전개하다가 이후 개인 대상으로 서비스 확대룰 시도하였는데, 2023년 3월 롯데카드와 제휴, 5월 유진투자증권 제휴 이벤트 이후 운영이 불명하다.
현재 제시되는 요금제는 유진 행복 요금제만 남아 있으며 , 개인정보처리방침은 6월 14일자, 약관은 10월 26일자로 에르엘의 것으로 대체되어 있다.

4. 사물지능통신(IoT) 사업자

사물통신(M2M) 또는 사물지능통신(IoT) 서비스를 위하여 NVMO을 구축한 사업자이다.

4.1. 한국정보통신

EasyAir
신용카드 무선결제기 서비스

1986년 5월 설립된 금융 VAN사로 SK텔레콤의 데이터망만 임차하여 "EasyAir"라는 서비스명으로 신용카드 단말기 및 POS 장비에 연결 가능한 무선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2016년 9월 MVNO사 통신 전용 단말 최초로 LTE 통신망을 사용한 단말도 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출시된 모델은 LAN 포트로 매장의 노트북, 카드결제기, POS 단말에 모두 연결이 가능하다. 무선이라 인테리어에 유리한 등의 장점을 내세우며 월정액 5천원에 서비스하고 있다. [11]

4.2. 오케이포스

신용카드 무선결제기

4.3. 롯데정보통신

태블릿 키오스크, 영업·법인용 스마트단말기, 호텔 객실 관리용 단말기 등

4.4. 파인디지털

{ kt }망
차랑용 내비게이션

2017년 2월 LTE 통신 모듈을 장착한 '파인드라이브 T'를 출시하고 kt와 MVNO 협약을 체결하였다.

4.5. 이동의즐거움

교통카드 단말기

4.6. kt텔레캅

지능형 영상관제 등 보안 서비스

4.7. KDDI코리아

{ LG U+ }망
무인택배함, 모니터링 및 원격관제 서비스

4.8. 현대자동차그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자동차그룹/텔레매틱스 서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네시스 커넥티드 서비스, 블루링크, Kia Connect

자사 차량의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MVNO이다.
서비스 명칭은 차량 브랜드마다 다르지만 기능 및 연결되는 고객센터와 서버는 동일하고 통신사는 차종별로 상이하다.

5. 사업종료

현재는 알뜰폰 사업을 종료한 과거 사업자들이다.
정상적으로 사업을 진행하다가 이후 여건상 중단한 업체도 있지만, 다분히 사기적 행태가 농후한 업체도 있다.

5.1. 케이디링크(에코모바일)

2012년경 SKT 망으로 사업 시작. 특이하게 티플러스쪽 전산을 사용했는지 티플러스 쪽에서 전산이 조회되기도 했다. 사례 당시에는 KT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회선이 KT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가능하는 등 전반적으로 전산 분리가 깔끔하지는 않았던 시기지만, 망 소유주가 아닌 전산망 소유주쪽으로 조회되는 케이스는 에코모바일이 유일했다.

뽐뿌를 중심으로 기본료 면제 프로모션을 대대적으로 펼쳐 저렴한 가격이라는 입소문이 났고, 2013년에는 한국소비자원이 선정한 가장 저렴한 알뜰폰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기사 하지만 이 때문에 사업성이 높지 않았는지 2015년 7월 사업이 종료되었고, 기존 이용자들은 티플러스로 이관되었다.

5.2. 홈플러스(플러스 모바일)

2013년 03월 KT 망으로 사업을 개시하였고 조선비즈, 이후 2014년 7월 U+망으로 사업을 확장하였다. 연합뉴스 하지만 2015년 6월부터 신규 가입이 중단되었고, 이후 2017년 11월 30일부로 완전히 철수했다. 뉴스웨이

사업 당시에는 비츠모와 협력하여 자체적인 폴더폰을 발매하는 등 나름 야심차게 사업을 진행하였으나, 당시에는 알뜰폰 시장의 선호도가 높지 않았던데다 테스코에서 사모펀드로의 매각까지 얽혀있어 결국 철수를 결정한 듯 하다.

테스코 소유의 흔적으로, 플러스 모바일의 로고는 영국 테스코 테스코 모바일의 로고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직접적인 알뜰폰 사업은 철수한 상황이며 현재 운영되는 홈플러스 요금제는 자체 알뜰폰이 아닌 U+유모바일과 제휴한 요금제이다.

5.3. 이마트(이마트 알뜰폰)

SKT 망으로 시작하여 이후 LG U+ 망으로 확장하였다. 특이하게 이마트나 이마트몰에서 특정 물품을 구매하면 요금을 할인해 준다는 특징이 있다. 일종의 광고 수익이라고 보면 된다.

2018년 4월 1일부로 신규가입 접수를 중단하였으며 2021년 01월 31일 부로 완전히 철수했다. 기존 이용자는 3월 31일까지 아이즈비전으로 변경 동의하거나 직접 번호이동해야 한다.

직접적인 알뜰폰 사업은 철수했다. 현재 운영되는 이마트24 요금제는 이마트 알뜰폰이 아니라 이마트와 mvno 회사인 프리티 U+망이 제휴하여 연계 판매하는 것이다.

5.4. 포인트파크(포인트플러스모바일)

포인트플러스모바일

2022년 9월 카드 포인트 등으로 요금을 납부하는 알뜰폰으로 서비서를 개시하였다.

2024년 현재는 운영이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기존 도메인은 한국E텔레콤의 개통관리 서비스로 연결된다.

5.5. 서경방송(서경모바일)

서경모바일 ☎1661-7112

경상남도 서부 지역의 종합유선방송 사업자로 2014년 3월에 사업 시작, 2016년부터 우체국 알뜰폰 사업자로 신규 선정되어 우체국에 입점하였다.

2023년부터 신규가입을 중단하고 2023년 12월 31일자로 서비스 종료하였으나, 이후 해지 및 타사이동 업무를 위하여 고객센터 운영을 연장하였다.

5.6. 오파스넷(오파스모바일)

오파스모바일

코스닥 상장사 오파스넷이 운영하는 알뜰폰 브랜드.
2024년 12월 20일자로 사업를 종료한다.

5.7. 엠티티텔레콤(메리큐)

( 메리큐 ☎1544-3688 )

(주)엠티티텔레콤이 운영했던 알뜰폰 브랜드.
2015년 ThanQ 멤버십 포인트를 출시하였다

2019년 11월 18일자 폐업된 것으로 확인되며, 뒤늦게 2023년 7월 변경등록 미이행과 연간 매출 현황 미제출에 따른 시정명령을 미이행 사유로 MVNO 등록도 말소되었다.

5.8. 원텔레콤

원텔레콤 ☎1661-7797

주식회사 원텔레콤은 2024년 현재도 계속사업자로 확인되나 실제 영업활동은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5.9. 엔페이넷

( ☎070-7686-2777 )

(주)엔페이넷은 2018년 11월 상호 및 대표자를 변경하고 12월 별정통신 2호 사업자로 등록하였다.
2024년 6월 15일 폐업된 것으로 확인된다.

니즈텔레콤으로 영업양도한 것으로 보인다.

5.10. 제이씨티(모바일 아시아)

( ☎1666-5852 )

2015년 8월 출시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출시된 알뜰폰 브랜드.

주식회사 제이씨티(JCT)는 2024년 현재도 계속사업자로 확인되지만, 당시 알뜰폰 사업과의 관계는 불명하다.

5.11. SL리테일(셀모바일)

최종적으로 제4이동통신 회사로 성장하는 것이 목표라 내세우면서 2020년 전국적으로 투자모집 형태로 대리점을 개설하는 방식으로 전개하다가 이후 투자사기, 임금체불 등의 수백건 법적 분쟁을 일으켰다.

2024년 현재 휴업 상태로 확인된다.

5.12. 휴엘컴퍼니

☎(041)563-7776, ( ☎070-8251-3410 )

2024년 4월 (주)시월기획에 알뜰폰 사업 양도.

셀모바일 브랜드에서 SL리테일과 특수관계로 보인다.


[1] 케이블 TV 사업자. 현재는 SK브로드밴드에 합병 [2] 부가서비스 변경에 실패했습니다. 고객센터에 문의하세요. [3] 번호이동 개통 신청을 하면 몇 일 동안 언제 끊어질지 불안해 하면 지내야 한다. [KCT·세종텔레콤] 해당 통신사를 제외한 모든 사업자는 일요일과 신정, 설날, 추석 당일만 번호이동이 되지 않는다. [5] 단, 어느 통신사나 마찬가지로 무료 혜택 범위 내에서 사용했을 때 저렴하지 초과하면 거기서 거기. [6] 예전 명칭은 세종캐피탈. 박연차 게이트의 발단이 된 회사다.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세종증권도 보유했었다. [KCT·세종텔레콤] [8] 실제 2015년 8월에 관련 건으로 방송통신위원회에 4억 8천만 원의 과징금을 냈다. [9] 단순히 SKT에서 다른 MVNO에 가입자를 뺏기지 않기 위해서 내세운 업체가 아닌지 의심스럽다. [10] 이는 시기 상 매우 특이한 행보인데, SK망이 임대료가 비싸긴 해도 많은 알뜰폰 통신사에서, 하물며 SK망을 주로 사용하는 통신사들조차 5월 가정의 달을 기념해 프로모션 할인을 자주, 많이 열고 있는데 비해 되려 세븐모바일에선 인상을 하고 있으니.. [11] 보통 신용카드 단말기는 유선전화망 또는 유선인터넷망을 이용한다. 전화선으로 결제하면 건당 통신사용료가 발생하며 무선통신 모뎀을 통해 이용시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