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0 10:25:37

패티 라벨

Patti LaBelle에서 넘어옴
패티 라벨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 2015년 빌보드 직원들이 차트 성적이나 판매량 기준이 아닌 영향력, 음악적 유산 등을 고려하여 Top 35를 선정했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마이클 잭슨 스티비 원더 스모키 로빈슨 레이 찰스 아레사 프랭클린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제임스 브라운 마빈 게이 프린스 휘트니 휴스턴 알 그린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빌 위더스 라이오넬 리치 커티스 메이필드 루서 밴드로스 R. 켈리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베이비페이스 자넷 잭슨 다이애나 로스 샤카 칸 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비욘세 패티 라벨 배리 화이트 아이작 헤이즈 도니 해서웨이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아니타 베이커 앨리샤 키스 샘 쿡 티나 터너 에리카 바두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어셔 디안젤로 맥스웰 질 스콧 에타 제임스
같이 보기: 가장 위대한 프론트맨 · 가장 위대한 록 가수 · 가장 위대한 알앤비 가수 · 가장 위대한 래퍼 }}}}}}}}}}}}

파일:images_essence.png 선정 가장 위대한 R&B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2011년 패션, 뷰티, 문화, 엔터테인먼트를 다루는 흑인 여성 중심의 월간 잡지 Essence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R&B 아티스트 Top 50' 순위를 정했다.
<rowcolor=#fff>1위 2위 3위 4위 5위
아레사 프랭클린 마이클 잭슨 스티비 원더 마빈 게이 프린스
<rowcolor=#fff>6위 7위 8위 9위 10위
휘트니 휴스턴 루서 밴드로스 커티스 메이필드 아이즐리 브라더스 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다이애나 로스 머라이어 캐리 비욘세 제임스 브라운 샘 쿡
<rowcolor=#fff>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퀸시 존스 글래디스 나이트 샤카 칸 패티 라벨 R. 켈리
<rowcolor=#fff>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라이오넬 리치 맥스웰 로린 힐 갬블 앤 허프 레이 찰스
<rowcolor=#fff>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어셔 디안젤로 디안젤로 질 스콧 알리야
<rowcolor=#fff>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팀발랜드 애쉬포드 앤 심슨 자넷 잭슨 샤데이 프랭키 비벌리 앤 메이즈
<rowcolor=#fff>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앨리샤 키스 티나 마리 도니 해서웨이 뉴 에디션 에타 제임스
<rowcolor=#fff>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아니타 베이커 에리카 바두 테디 펜더그래스 TLC 리아나
<rowcolor=#fff>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토니 브랙스턴 보이즈 투 멘 배리 화이트 베이비페이스
출처 }}}}}}}}}

{{{#!wiki style="margin:-10px -10px" <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이트.svg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4a1a1><colcolor=#fff,#000> 이름 패티 라벨
PATTI LABELLE
분야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입성날짜 1993년 3월 4일
위치 7000 Hollywood Blvd.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fff,#191919> 파일:슈퍼볼 로고.svg Super Bowl
슈퍼볼 하프타임쇼 헤드라이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XXV 이후 ]
연도는 경기일 기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 XXV
1991
XXVI
1992
XXVII
1993
XXVIII
1994
XXIX
1995
뉴 키즈 온 더 블록 글로리아 에스테판 마이클 잭슨 클린트 블랙, 타냐 터커, 트래비스 트리트, 더 저드스 패티 라벨, 토니 베넷, 아투로 산도발, 테디 펜더그래스,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스티비 원더, 애슐리 저드, 리사 하트먼 블랙, 조지아 새틀라이츠, 조 네이메스, 엘리자 우드, 찰스 대니얼스
<rowcolor=#000> XXX
1996
XXXI
1997
XXXII
1998
XXXIII
1999
XXXIV
2000
다이애나 로스 블루스 브라더스, 제임스 브라운, 지지 탑 템테이션스, 스모키 로빈슨, 마사 앤 더 밴덜러스, 퀸 라티파, 보이즈 투 멘 스티비 원더, 글로리아 에스테판 필 콜린스, 토니 브랙스톤,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에드워드 제임스 올모스
빅 배드 부두 대디
<rowcolor=#000> XXXV
2001
XXXVI
2002
XXXVII
2003
XXXVIII
2004
XXXIX
2005
에어로스미스, 엔싱크 U2 샤니아 트웨인, 노 다우트, 스팅 자넷 잭슨, 퍼프 대디, 넬리, 키드락, 저스틴 팀버레이크, 제시카 심슨 폴 매카트니
브리트니 스피어스, 메리 제이 블라이즈, 넬리
<rowcolor=#000> XL
2006
XLI
2007
XLII
2008
XLIII
2009
XLIV
2010
롤링 스톤스 프린스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브루스 스프링스틴 더 후
<rowcolor=#000> XLV
2011
XLVI
2012
XLVII
2013
XLVIII
2014
XLIX
2015
블랙 아이드 피스 마돈나 비욘세 브루노 마스 케이티 페리
어셔, 슬래쉬 LMFAO, 니키 미나즈, 엠아이에이, 시 로 그린 데스티니스 차일드 레드 핫 칠리 페퍼스 레니 크래비츠, 미시 엘리엇
<rowcolor=#000> 50
2016
LI
2017
LII
2018
LIII
2019
LIV
2020
콜드플레이 레이디 가가 저스틴 팀버레이크 마룬 5 샤키라, 제니퍼 로페즈
비욘세, 브루노 마스, 마크 론슨, 구스타보 두다멜 Travis Scott, Big Boi 배드 버니, J Balvin
<rowcolor=#000> LV
2021
LVI
2022
LVII
2023
LVIII
2024
LIX
2025
더 위켄드 닥터 드레, 스눕 독, 에미넴, 메리 제이 블라이즈, 켄드릭 라마 리아나 어셔 켄드릭 라마
50 센트, 앤더슨 팩 앨리샤 키스, 저메인 듀프리, H.E.R., will.i.am, 릴 존, 루다크리스 미정
}}}}}}}}} ||

파일:bet-awards-logo-531AA9D3AD-seeklogo.com.png 역대 평생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휘트니 휴스턴 Earth, Wind & Fire 제임스 브라운 아이즐리 브라더스 글래디스 나이트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샤카 칸 다이애나 로스 알 그린 더 오제이스 프린스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패티 라벨 Maze/Frankie Beverly 찰리 윌슨 라이오넬 리치 스모키 로빈슨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1년
새뮤얼 L. 잭슨 뉴 에디션 아니타 베이커 메리 제이 블라이즈 퀸 라티파
2022년 2023년
숀 콤즈 버스타 라임즈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999><#fff,#191919> 파일:180322_libraryofcongress_900px.jpg 파일:libraryofcongress_dark.png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2000년대 등재 노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2년 등재
엔리코 카루소, 오페라 < 팔리아치> 중 "Vesti la giubba" (1907)
오리지널 딕시랜드 재즈 밴드, "Tiger Rag" (1918)
베시 스미스, "Down Hearted Blues" (1923)
조지 거슈윈, 랩소디 인 블루 (1924)
케이트 스미스, " God Bless America" (1938년 11월 11일)
빌리 홀리데이, " Strange Fruit" (1939)
빙 크로스비, " White Christmas" (1942)
우디 거스리, "This Land is Your Land" (1944)
찰리 파커, 마일스 데이비스, 디지 길레스피 등, "Ko Ko" (1945)
레스 폴, 메리 포드, "How High the Moon" (1951)
레이 찰스, " What'd I Say" (1959)
아레사 프랭클린, " Respect" (1967)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 The Message" (1982)
2003년 등재
레드 벨리, "Goodnight, Irene" (1933)
척 베리, " Roll Over Beethoven" (1956)
오티스 레딩, "I've Been Loving You Too Long (To Stop Now)" (1965)
2004년 등재
마 레이니, "See See Rider Blues" (1924)
프레드 아스테어, 아델 아스테어, 조지 거슈윈, "Fasinating Rhythm" (1926)
지미 로저스, " Blue Yodel No.1 (T for Texas)" (1927)
글렌 밀러 오케스트라, "In the Mood" (1939)
디지 길레스피 빅 밴드, 차노 포소, "Manteca" (1947)
행크 윌리엄스, " Lovesick Blues" (1949)
머디 워터스, "I'm Your Hoochie Coochie Man" (1954)
2005년 등재
노라 베이스, " Over There" (1917)
카운트 베이시, "One O'Clock Jump" (1937)
냇 킹 콜, "Straighten Up and Fly Right" (1943)
패츠 도미노, "Blueberry Hill" (1956)
버디 홀리 & 크리켓츠, "That'll Be the Day" (1957)
제리 리 루이스, "Whole Lotta Shakin' Goin' On" (1957)
마사 앤 더 반델라스, " Dancing in the Street" (1964)
에드윈 호킨스 싱어즈, " Oh Happy Day" (1967)
질스콧 헤론,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 (1970)
2006년 등재
칼 퍼킨스, "Blue Suede Shoes" (1955)
로네츠, " Be My Baby” (1963)
샘 쿡, " A Change Is Gonna Come” (1964)
롤링 스톤즈, " (I Can't Get No) Satisfaction” (1965)
2007년 등재
로사 폰셀, 오페라 < 노르마>(빈첸조 벨리니) 중 "Casta Diva" (1928년 12월 31일, 1929년 1월 30일)
아트 테이텀, "Sweet Lorraine" (1940)
로이 오비슨, " Oh, Pretty Woman" (1964)
스모키 로빈슨 앤 더 미라클스, "The Tracks of My Tears" (1965)
2008년 등재
앤드루스 시스터즈, "Bei Mir Bist Du Schoen" (1938)
존 리 후커, "Boogie Chillen'" (1948)
에타 제임스, "At Last" (1961)
조지 존스, " He Stopped Loving Her Today" (1980)
2009년 등재
클리프 에드워즈, " When You Wish Upon a Star" (1940)
리틀 리처드, " Tutti Frutti" (1955)
하울링 울프, "Smokestack Lightning" (1956)
맥스 매튜스 등, " Daisy Bell (Bicycle Built for Two)” (1961)
로레타 린, "Coal Miner's Daughter" (1970)
R.E.M., " Radio Free Europe" (1981)
투팍 샤커, " Dear Mama" (1995)
}}}}}}}}} ||
2010년대 등재 노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10년 등재
에드워드 미커, " Take Me Out to the Ball Game" (1908)
Sons of the Pioneers, " Tumbling Tumbleweeds" (1934)
태미 와이넷, " Stand By Your Man" (1968)
알 그린, " Let's Stay Together" (1971)
2011년 등재
보 디들리, "Bo Diddley" (1955)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 Green Onions" (1962)
돌리 파튼, "Coat of Many Colors" (1971)
도나 서머, " I Feel Love" (1977)
슈거힐 갱, " Rapper's Delight" (1979)
2012년 등재
지미 데이비스, " You Are My Sunshine" (1940)
밴 클라이번,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1958년 4월 11일)
처비 체커, " The Twist" (1960)
2013년 등재
조지 W. 존슨, " The Laughing Song" (1896년경)
빙 크로스비/루디 밸리, "Brother, Can You Spare a Dime?" (1932)
엘모어 제임스, "Dust My Broom" (1951)
에벌리 브라더스, " Cathy's Clown" (1960)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Fortunate Son" (1969)
제프 버클리, " Hallelujah" (1994)
2014년 등재
블라인드 레몬 제퍼슨, "That Black Snake Moan"/"Matchbox Blues" (1928)
제리 멀리건 콰르텟, 쳇 베이커, " My Funny Valentine" (1954)
벤 E. 킹, " Stand by Me" (1961)
라이처스 브라더스, " You've Lost That Lovin' Feelin'" (1964)
2015년 등재
블라인드 윌리 맥텔, "Statesboro Blues" (1928)
줄리 런던, "Cry Me A River" (1955)
루이 암스트롱/ 바비 다린, " Mack The Knife" (1956/1959)
슈프림즈, " Where Did Our Love Go" (1964)
임프레션스, " People Get Ready" (1965)
빌리 조엘, " Piano Man" (1973)
글로리아 게이너, " I Will Survive" (1978)
2016년 등재
주디 갈란드, " Over the Rainbow" (1939)
빅 마마 손튼, " Hound Dog" (1952)
윌슨 피켓, " In the Midnight Hour" (1965)
멀 해거드, " Mama Tried" (1968)
주디 콜린스, " Amazing Grace" (1970)
돈 맥클린, " American Pie" (1971)
시스터 슬레지, " We Are Family" (1979)
2017년 등재
잉크 스파츠, "If I Didn't Care" (1939)
빌 헤일리 앤 더 코메츠, "(We're Gonna) Rock Around The Clock" (1954)
토니 베넷, "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 (1962)
템테이션스, " My Girl" (1964)
케니 로저스, "The Gambler" (1978)
Chic, " Le Freak" (1978)
케니 로긴스, " Footloose" (1984)
글로리아 에스테판 앤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Rhythm Is Gonna Get You" (1987)
2018년 등재
캡 캘러웨이, "Minnie the Moocher" (1931)
리치 발렌스, " La Bamba" (1958)
니나 시몬, "Mississippi Goddam" (1964)
닐 다이아몬드, "Sweet Caroline" (1969)
2019년 등재
글렌 캠벨, "Wichita Lineman" (1968)
빌리지 피플, " YMCA" (1978)
휘트니 휴스턴, " I Will Always Love You" (1992)
}}}}}}}}} ||
2020년대 등재 노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20년 등재
루이 암스트롱, " When the Saints Go Marching In" (1938)
패티 라벨, " Lady Marmalade" (1974)
개구리 커밋( 짐 헨슨), "Rainbow Connection" (1979)
Kool & the Gang, " Celebration" (1980)
이즈라엘 카마카위올레, " Somewhere Over the Rainbow/ What a Wonderful World" (1993)
2022년 등재
어니스트 터브, " Walking the Floor Over You" (1941)
냇 킹 콜, "The Christmas Song" (1961)
앤디 윌리엄스, " Moon River" (1962)
디즈니랜드 보이즈 콰이어, " It's a Small World" (1964)
포 탑스, " Reach Out I'll Be There" (1966)
, " Bohemian Rhapsody" (1975)
저니, " Don't Stop Believin'" (1981)
리키 마틴, " Livin' la Vida Loca" (1999)
2023년 등재
포 시즌스, " Sherry" (1962)
바비 젠트리, " Ode to Billie Joe" (1967)
존 레논, " Imagine" (1971)
레드 제플린, " Stairway to Heaven" (1971)
존 덴버, " Take Me Home, Country Roads" (1971)
지미 버핏, " Margaritaville" (1977)
아이린 카라, " Flashdance... What a Feeling" (1983)
유리드믹스, "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1983)
콘도 코지,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지상 BGM (1985)
머라이어 캐리, "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1994)
칼 세이건, " Pale Blue Dot" (1994)
대디 양키, " Gasolina" (2004)
}}}}}}}}} }}}}}}}}}

<colbgcolor=#282828><colcolor=#ffffff> 패티 라벨
Patti LaBelle
파일:스크린샷 2020-04-19 오후 9.23.03.png
본명 패트리샤 루이즈 홀트
Patricia Louise Holte
출생 1944년 5월 24일 ([age(1944-05-24)]세)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싱어송라이터, 배우
학력 버클리 음악대학 (명예 박사)
신체 165cm, 65kg
장르 R&B, 소울, 디스코, , 댄스, 가스펠, 재즈
데뷔 1960년
활동 1960년 ~ 현재
레이블 에픽 레코드
배우자 암스테드 에드워즈(1969년~2003년)
자녀 아들 주리 에드워즈(1973년생)
아들 스탠리 스토커-에드워즈[1]
아들 도드 스토커-에드워즈[2]
종교 기독교[3]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활동3. 가창력4. 다른 가수와의 관계5. 디스코그래피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가수 현대음악의 어머니, 싱어송라이터. 1970~80년대 아레사 프랭클린, 도나 서머, 샤카 칸 등과 함께 당대 미국 최고의 여성 보컬리스트로 꼽혔다. 그녀는 소울 음악의 대모라고 불리기도 한다.

2. 활동

1960년 Patti LaBelle and the Bluebelles의 리드 싱어로 데뷔를 했다. 1970년대 초반에는 그룹의 이름을 LaBelle로 바꾼 후 74년 말 Lady Marmalade를 발매해 핫 100 1위에 올렸다. 이 노래는 후에 P!nk Mya, Lil' Kim,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등이 싱글로 발표한 뒤에 핫 100에서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이후 아프리카계 미국인 그룹 중에 처음으로 Rolling Stone의 커버를 장식했다. 80년대 초중반엔 솔로 가수로써 If Only You Knew 등의 히트곡을 내놓으며 R&B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다 86년에 블루 아이드 소울 가수 마이클 맥도널드와 함께 한 On My Own이 전국적으로 인기를 끌었다.

1996년 버클리 음악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3. 가창력


영상에 나왔듯이 비록 음향장치가 안 좋았지만 음향시설이 그녀의 목소리를 따라가지 못한다. 영미권 음악 잡지 조사에서 보컬리스트 순위 1위도 찍는 아레사 프랭클린의 동시대 라이벌로 불렸을만큼 패티 라벨도 뛰어난 보컬리스트였다. 하지만 그래서인지 자존심 강한 아레사 프랭클린과는 사이가 멀어졌다고 한다.


영상 3분 40초 부분부터 보면, 3옥타브 라에 해당하는 음을 오래도 뽑아낸다. 심지어 저땐 60대 후반이었다. 더 놀라운 점은 뒷부분을 보면 마이크를 쓰지 않고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다. 크게는 안 들리지만 그 나이에 그 넓은 곳을 소리로 채운 것이다.

믹스보이스의 컨트롤에 있어서 본좌급에 속하는 가수로 알려져있다. 특히 강조되는 부분은 엄청난 흉성의 비율을 가지고 믹스해내는 고음역인데, 위의 영상에서 나오는 A5가 아이코닉한 음으로 알려져있고 그보다 더 높은 음을 자유롭게 내는 것이 주특기였다. 최전성기에는 후배와 동료 가수들과 함께한 무대에서 엄청난 고음으로 의도치 않은 충격을 선사하는 보컬이었다.

참고로, 그녀의 지지음역은 전성기 기준으로 저음: 1옥타브 파(F3) ~ 흉성: 4옥타브 도(C6) ~ 두성: 4옥타브 도#(C#6) 정도로, 저음, 흉성, 두성 모든 부분에서 평균 이상의 기량을 보여준다. 세계 전체 여가수들과 비교해도 그녀의 지지음역을 능가하거나 맞먹는 여가수는 매우 드물 정도다.

4. 다른 가수와의 관계

4.1. 머라이어 캐리와의 관계

패티 라벨은 머라이어 캐리의 대모이다. 또한 머라이어 캐리의 인간관계를 기술한 문서를 보면 머라이어 캐리가 존경하는 인물이다. 머라이어 캐리가 트리뷰트 무대를 서기도 했고 노래도 같이 불렀다. 패티는 까마득한 후배 가수들과의 듀엣 무대도 거리낌 없이 하는 편인데[4], 머라이어와도 이러한 무대들을 많이 가졌다. 머라이어가 본인의 트리뷰트에서 공연한 후 몇 년 후에, 본인이 직접 머라이어의 트리뷰트에서 Hero를 부른 적이 있다. 이러한 점들과 평소의 관계를 보면, 패티 역시 머라이어를 매우 아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담으로, 머라이어와 사적으로도 무척 가까운 관계라서 그런지, 머라이어를 쥐락펴락(?)할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라는 이미지도 있다. 그 예로, 머라이어와 한 시상식의 무대에서 같이 서있고 패티가 상 받은 소감을 말하려고 하는 순간에, 머라이어에게 트로피를 들고 있으라고 한 적이 있다. 이 때 머라이어의 반응은 표정을 살짝 찌푸리며 “팔이 아픈데…” 였는데 패티는 이를 듣고 뒤도 돌아보지 않은 채로, “팔이 아프다고? 그거 들고 서있어 봐라” 라고 말한 뒤 본인의 소감을 말하기 시작했다. 머라이어의 반응은 안쓰러운 미소를 지으며 트로피를 드는 것.. 위엄(?)이 느껴지는 부분이었다.

4.2. 아레사 프랭클린과의 관계

두 가수 다 엄청난 실력을 보유한 가수고 머라이어 캐리 휘트니 휴스턴, 신디 로퍼 마돈나,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본인들 의지에 상관없이 라이벌 관계로 묘사되었듯 이 둘도 동시대 라이벌 관계로 묘사되었다. 허나 그래서인지 아레사 프랭클린은 패티 라벨을 어느 순간부터 모르던 사람마냥 무시했다고 하며 그래서 서로의 사이는 소원해진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위에 언급된 머라이어 캐리는 아레사가 생전 제법 아낀 후배 가수기도 했다.

4.3. 다이애나 로스와의 관계

이 둘의 관계도 라이벌은 아니지만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서로가 증오하는 사이라고 생각했으나,


이 동영상을 보면 그녀는 몇십 년 동안 서로 관계가 소원해져서 연락을 안 했다고 했으나 오프라 윈프리의 레전드 볼이라고 진짜 레전드들만 모인 참석회에서 서로 번호를 교환하고 단짝 사이가 되었다고 한다. 여담으로 저 레전드 볼에 대해 얘기하자면 저기에는 티나 터너, 디온 워윅, 머라이어 캐리, 메리 제이 블라이즈, 샤카 칸, 다이애나 로스 등이 모였다. 아쉽게도 아레사 프랭클린 도나 서머, 휘트니 휴스턴 어른들의 사정으로 오지 못했다고 한다.

5. 디스코그래피

  • Patti LaBelle (1977)
  • Tasty (1978)
  • It's Alright with Me (1979)
  • Released (1980)
  • The Spirit's in It (1981)
  • I'm in Love Again (1983)
  • Patti (1985)
  • Winner in You (1986)
  • Be Yourself (1989)
  • This Christmas (1990)
  • Burnin' (1991)
  • Gems (1994)
  • Flame (1997)
  • When a Woman Loves (2000)
  • Timeless Journey (2004)
  • Classic Moments (2005)
  • The Gospel According to Patti LaBelle (2006)
  • Miss Patti's Christmas (2007)
  • Bel Hommage (2017)


[1] 입양 [2] 입양 [3] News & Notes, " 'The Gospel According to Patti LaBelle'", 「 NPR」, 2006.11.21. [4] 아리아나 그란데와도 듀엣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