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일 한자 | ||||||
月 월요일 |
火 화요일 |
水 수요일 |
木 목요일 |
金 금요일 |
土 토요일 |
日 일요일 |
火 불 화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火,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중학교
|
8급
|
||||||
-
|
|||||||
일본어 음독
|
カ
|
||||||
일본어 훈독
|
ひ, (ほ)
|
||||||
-
|
|||||||
표준 중국어
|
huǒ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획순
|
[clearfix]
1. 개요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한자 중 하나이다. 불을 의미한다.아주 기초적인 한자라서, 아마 한자 배우기를 시작한다면 水(물 수)자와 함께 이것을 가장 먼저 배울 것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불 |
음 | 화 | |
중국어 | 표준어 | huǒ |
광동어 | fo2 | |
객가어 | fó | |
민북어 | hǒ | |
민동어 | huō[文] / huōi[白] | |
민남어 | hóⁿ[文] / hé[白1], hóe[白2] | |
오어 | hu (T2) | |
일본어 | 음독 | カ |
훈독 | ひ, ほ | |
베트남어 | hỏa |
상형자로써, 불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 대략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현대의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火의 표준 자형은 중국어 한자와 한국·일본어 한자가 약간 다른데, 중국어 한자는 왼쪽의 점이 ㇔모양으로 되어있는 반면, 한국과 일본의 한자는 반대 방향으로 수평으로 대칭시킨 모양으로 되어있다.
2.1.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 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 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연화발(灬)의 필순
火의 부수로는 불화변[6]과 불화부 발인 연화발(灬)이 있다. 또한 불화부는 강희자전에서 86번째 부수로 분류되어있다.
불을 의미하는 한자답게, 불의 속성 혹은 그 자체와 관련된 한자에 부수로 자주 등장한다. 예를 들어 더울 열( 熱), 재 회( 灰), 숯 탄( 炭), 등잔 등( 燈), 터질 폭( 爆), 탈 연( 燃), 빛날 경( 炅), 불사를 소( 燒), 불꽃 염( 炎/ 焰), 구울 포( 炮), 탈 초( 焦), 달굴 련( 煉) 등등 상당수의 불 관련 한자들이 불화부를 갖고 있다. 火를 부수로 가지지만 불이라는 뜻의 한자가 아닌 然(그러할 연) 역시 제사에 쓰이는 개고기를 불에 굽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이후 然에 火를 하나 더해 만들어진 한자가 燃(탈 연)이다. 다만 無(없을 무), 烏(까마귀 오), 熊(곰 웅), 燕(제비 연)은 火 부수이지만 불과는 관련이 없다.[7]
3. 용례
3.1. 단어
- 화(火)
- 거화( 擧火)
- 내화물( 耐火 物)
- 도화선( 導火 線)
- 방화( 放火/ 防火) - 음은 같지만 정 반대의 의미다. 放을 쓰는 방화는 불을 지르는 것, 防은 불을 막는 것. 방출과 방어를 생각하면 편하다.
- 배화교( 拜火 敎)
- 봉화( 烽火)
- 분화구( 噴火 口)
- 소화( 消火)
- 성화( 聖火/ 成火)
- 열화( 熱火)
- 울화( 鬱火)
- 진화( 鎭火)
- 탄화( 炭火)
- 화기(火 氣/火 器)
- 하화( 下火)
- 화력(火 力)
- 화산(火 山)
- 화상(火 傷)
- 화성(火 星)
- 화성(火 成)
- 화약(火 藥)
- 화염(火 焰)
- 화요일(火 曜 日)
- 화장(火 葬)
- 화재(火 災)
- 화전(火 田)
- 화차(火 車)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김잉읍화( 金 仍 邑火)
- 시라누이( 不 知火)
- 시라누이 이스즈( 不 知火 五 十 鈴)
- 시라누이 겐마( 不 知火ゲンマ)
- 시라누이 한소데( 不 知火 半 袖)
- 시라누이 한텐( 不 知火 半 纏)
- 시라누이 하카마( 不 知火 袴)
- 시라누이 겐안( 不 知火 幻 庵)
- 시라누이 아케노( 不 知火 明 乃)
- 시라누이 마이( 不 知火 舞)
- 시라누이 나나미( 不 知火 七 海)
- 시라누이 카즈키( 不 知火 一 樹)
- 츠츠미 카이나( 筒 美 火 伊 那)
- 카가미(火 神)
- 휴마 게키(火 麻 激)
- 히노(火 野)
- 히무라(火 村)
- 히야마(火 山)
- 햣카( 百火)
3.4. 지명
- 봉화산역( 烽火 山 驛)
- 아화역( 阿火 驛)
- 화왕산(火 旺 山)
-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계화면( 界火 面)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만경읍 화포리(火 浦 里)
-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화태리(火 太 里)
- 경상북도 경주시 서면 아화리( 阿火 里)
-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毛火 里)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사화동( 沙火 洞)
- 경상남도 의령군 낙서면 전화리( 全火 里)
-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사면 인화리( 寅火 里)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 屈火 里)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炣(불 가)
- 𤐩[⿰火蓋](불 개)
- 煚(불 경)
- 焀(불 곡)
- 𤒦[⿰火斂](불 렴)
- 炩(불 령)
- 㶯(불 류)
- 㷵(불 묵)
- 炋(불 배)
- 烷(불 완)
- 㶩(불 침)
- 𠓵[⿱入⿻大𠈌](불 필)
- 㶰(불 함)
- 焝(불 혼)
- 𤆴[⿱𠫓火](불 황)
- 㷄(불 회/관)
- 烜(마를 훤, 불 훼)
- 燬(불 훼)
- 爔(불 희)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여담
같은 한자를 네 개까지 합쳐서 다른 한자를 만들 수 있는 한자 중 하나이다.[9]火, 炎, 焱, 燚
火를 '불 화 자(字)'라고 부르는 데에서, 브래지어를 우회적으로 가리키기 위해 '브라자'의 발음을 비틀어 '불화자'라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