量 헤아릴 량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里,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リョウ
|
||||||
일본어 훈독
|
はか-る
|
||||||
-
|
|||||||
표준 중국어
|
liáng, lià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量은 '헤아릴 량'이라는 한자로, ' 양(量, quantity)', '헤아리다', '추측하다', '재다', '수량' 등을 뜻한다.2. 상세
갑골문에서는 보이지 않고 금문부터 자형이 나타나는 데, 태양을 뜻하는 日과 사람 밑에 짐보따리가 있는 重(人 + 東)으로 표현되어있다. 태양 아래서 '(무언가를) 재다', '측정하다'라는 뜻을 가진다. 태양 대신 田이 있는 것도 있어, '(수확물이나 양식을) 재다'가 본래 뜻이고 糧(양식 량)의 본자라고 풀이하는 학자들도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曏(접대 향, 성씨 상)가 소리를, 重가 뜻을 나타내는 형성자라고 풀이했다. 후에 旦(아침 단)과 里(마을 리)의 모양으로 변형되었다.이 글자는 중국어에서 다음자(多音字)로서 동사 '재다', '측정하다'의 뜻일 때는 평성으로,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 '측정', '치수' ( < 측정된 것)의 뜻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유니코드에는 U+91C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日一田土(AMWG)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 양(量): 수를 세거나 잴 수 있는 정도
- 가량( 假量)
- 감량( 減量)
- 계량( 計量)
- 다량( 多量)
- 대량( 大量)
- 도량( 度量)
- 무량( 無量)
- 물량( 物量)
- 분량( 分量)
- 설량( 雪量)
- 수량( 水量)
- 수량( 數量)
- 양산(量 産)
- 양자(量 子)
- 역량( 力量)
- 열량( 熱量)
- 용량( 容量)
- 우량( 雨量)
- 유량( 流量)
- 원자량( 原 子量)
- 재량( 裁量)
- 법규재량( 法 規 裁量)
- 재량권( 裁量 權)
- 재량변호( 裁量 辯 護)
- 재량보석( 裁量 保 釋)
- 재량주문( 裁量 注 文)
- 재량처분( 裁量 處 分)
- 재량 휴업일( 裁量 休 業 日)
- 편의재량( 便 宜 裁量)
- 전량( 全量)
- 정량( 定量)
- 질량( 質量)
- 관성질량( 慣 性 質量)
- 임계질량( 臨 界 質量)
- 전자질량( 電 子 質量)
- 정지질량( 靜 止 質量)
- 질량분석기( 質量 分 析 器)
- 질량비( 質量 比)
- 질량수( 質量 數)
- 질량중심( 質量 中 心)
- 핵질량( 核 質量)
- 총량( 總量)
- 추정량( 推 定量)
- 측량( 測量)
- 함량( 含量)
3.2. 고사성어/ 숙어
- 기욕난량( 器 欲 難量)
- 감개무량( 感 慨 無量)
- 거재두량( 車 載 斗量)
- 경세도량( 經 世 度量)
- 계불입량( 計 不 入量)
- 다문다독다상량( 多 聞 多 讀 多 想量)
- 무량대복( 無量 大 福)
- 무량무변( 無量 無 邊)
- 무량상수( 無量 上 壽)
- 무량세계( 無量 世 界)
- 무량청정토( 無量 淸 淨 土)
- 부자양력( 不 自量 力)
- 분전승량( 分 錢 升量)
- 비량( 非量)
- 비무량심( 悲 無量 心)
- 사량침주( 捨量 沈 舟)
- 사무량심( 四 無量 心)
- 양체재의(量 體 裁 衣)
- 유주무량( 有 酒 無量)
- 이승양석( 以 升量 石)
- 자무량심( 慈 無量 心)
- 자유재량( 自 由 裁量)
- 적재정량( 積 載 定量)
- 작량감경( 酌量 減 輕)
- 천사만량( 千 思 萬量)
- 희무량심( 喜 無量 心)
3.3. 인명
3.4. 지명
4. 유의자
5. 상대자
- 質(바탕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