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0:42:10

갖신

흑혜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한복의 종류{{{#!wiki style="margin-top: 7px; padding-top: 5px; border-top: solid 1px; border-color: #683235; color:#683235; min-height: calc(1.5em +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남녀공용
상의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 적삼 · 마고자
하의 바지
겉옷 반비 · 배자 · 장옷
신발 목화 · 꽃신 · 갖신 · 짚신 · 미투리 · 나막신
기타 무복 · 버선 · 상복
남성용
평복 상의 사규삼
하의 잠방이
겉옷 · 백저포 · 도포 · 두루마기 · 창의 · 대창의 · 학창의 · 소창의 · 심의 · 중치막 · 쾌자 · 답호
예복 및 관복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융복 구군복 · 철릭
모자 갈모 · 감투 · ( 흑립 · 주립 · 백립 · 초립 · 전립) · 금관 · 망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삿갓 · 원유관 · 이엄 · 익선관 · 정자관 · 조우관 · 탕건 · 패랭이 · 휘항
전통장식 동곳 · 흉배
여성용
평복 하의 치마
겉옷 쓰개치마 · 머리처네
속옷 가슴가리개
예복 상의 당의 · 견마기
하의 스란치마 · 대란치마
겉옷 노의 · 원삼 · 활옷
모자 틀:전통여성모자
전통장식 가체 · 노리개 · 떨잠 · 비녀 }}}}}}}}}}}}
파일:갖신.jpg
천안박물관에서 소장중인 조선시대 흑혜

1. 개요2. 종류
2.1. 화(靴)2.2. 혜(鞋)
3. 관련문서

[clearfix]

1. 개요

가죽으로 만든 한국의 전통 신발. 어원은 +이다.

2. 종류

종류는 크게 화(靴)와 혜(鞋)로 나뉘는데, 화는 신목이 긴 신발을 의미하고, 혜는 신목이 없는 신발을 의미한다.

2.1. 화(靴)

주로 검은색 가죽으로 만든 흑피화(黑皮靴)와 흰색 가죽으로 만든 백피화(白皮靴)가 사용되었는데, 흑피화는 시복[1] 차림에, 백피화는 상복 차림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화는 말을 타는 데 편리했기 때문에, 양반층을 중심으로 사용되었다.
  • 목화(木靴)
  • 수화자(水靴子): 무관이 융복[2]이나 군복 차림에 주로 신던 신발. 무관이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오염에 강하고 활동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2.2. 혜(鞋)

검은색 가죽으로 만든 것은 흑혜(黑鞋), 흰색 가죽으로 만든 것은 백혜(白鞋)라고 한다.
  • 운혜(雲鞋)
  • 녹피혜(鹿皮鞋): 사슴 가죽으로 만든 혜, 사슴 가죽은 방수가 잘되는 재질이라 진창에서도 신을 수 있도록 밑창에 징을 박기도 했다.
  • 분투혜(分套鞋): 화 위에 신는 덧신으로, 주로 방한용이나 오염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여담으로 짚신 미투리도 신목이 없기 때문에 혜에 포함된다.

3. 관련문서



[1] 임금을 뵐 때나 공무를 볼 때 관원들이 입던 옷. [2] 철릭 주립으로 된 옛 군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