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8 01:26:06

훈장(상훈)/대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훈장(상훈)
파일:훈장 아이콘.svg 각국의 훈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39A60><colcolor=#fff> 현존하는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해체된 국가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개별 문서로 분리된 '국가별 훈장' 이외 국가의 훈장은 훈장(상훈) 문서를 참조. }}}}}}}}}

1. 개요2. 민용 훈장
2.1. 채옥대훈장2.2. 중산훈장2.3. 중정훈장2.4. 경운훈장2.5. 경성훈장
3. 군용 훈장
3.1. 3군 공통
3.1.1. -성사훈도-3.1.2. 국광훈장3.1.3. 청천백일훈장3.1.4. 보정훈장3.1.5. 운휘훈장3.1.6. 충용훈장3.1.7. 충근훈장
3.2. 공군 전용
3.2.1. 대동훈장3.2.2. 하도훈장3.2.3. 낙서훈장3.2.4. 건원훈장3.2.5. 부흥영예훈장
3.3. 기념 훈장
3.3.1. 항전 승리 훈장3.3.2. 국민혁명군 출정 10주년 기념훈장
4. 관련 문서

1. 개요

현재 대만 섬만을 실효 지배하고 있는 중화민국의 훈장에 대해서 다룬다. 훈장이야 청나라 시절이나, 1912년 신해혁명으로 청조를 무너뜨리고 세워진 북양정부 시절에도 있었으나, 국민정부 이후 이전 시절의 훈장은 모두 폐지되었다.

대만의 훈장은 여느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민간인이 수훈하는 민간인용 훈장(文職勳章/문직 훈장)과 군인이 수훈하는 군용 훈장(軍職勳章/군직 훈장)으로 나눠져 있다.

2. 민용 훈장

2.1. 채옥대훈장

采玉大勳章
형상
파일:채옥대훈장.jpg
제정 1933년 12월 22일
상위 훈장 없음(최상위)
하위 훈장 중산훈장

공식적으로는 '채옥'이라는 이름은 중국에서 고대부터 옥을 군자의 보석으로 숭상했던 전통 및 예기(禮記)의 '군자는 옥으로 덕을 견준다(君子比德於玉焉)'는 구절과 시경(詩經)의 '군자를 생각하노니 그 온화함이 옥과 같다(言念君子,溫其如玉)'는 구절에서 그 뜻을 취했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장제스의 어머니의 이름을 붙인 거다. 중화민국 역대 총통들은 천수이볜 때까지 자동 수여했으며 우방국 국가원수에게 수여하기도 한다.

2.2. 중산훈장

中山勳章
형상
파일:중산훈장.jpg
제정 1941년 2월 12일
상위 훈장 채옥대훈장
하위 훈장 중정훈장

국부인 쑨원의 호를 붙인 훈장.

2.3. 중정훈장

中正勳章
형상
파일:중정훈장.jpg
제정 1980년 1월 11일
상위 훈장 중산훈장
하위 훈장 청운훈장

장제스의 이름이 붙은 훈장.

2.4. 경운훈장

卿雲勳章
형상
파일:청운훈장1.jpg
파일:청운훈장2.jpg
파일:청운훈장.jpg
파일:청운훈장4.jpg
파일:청운훈장5.jpg
제정 1941년 2월 12일
상위 훈장 중정훈장
하위 훈장 경성훈장

국가 공무원에게 수여하는 훈장. 위의 훈장들과는 다르게 이 훈장부터 훈등이 나눠진다.

2.5. 경성훈장

景星勳章
형상
파일:경성훈장1.jpg
파일:경성훈장2.jpg
파일:경성훈장3.jpg
파일:경성훈장4.jpg
파일:경성훈장5.jpg
제정 1941년 2월 12일
상위 훈장 중정훈장
하위 훈장 없음

고위 외국인 공무원에게 수여하는 훈장이다.

3. 군용 훈장

3.1. 3군 공통

3.1.1. -성사훈도-

醒獅勳刀
형상
파일:5-5-3-07-1.jpg
제정 1935년 11월 23일
폐지 2017년
성사훈도는 엄밀히 말하면 훈장이 아니라 예도지만 그 서훈기준이 "이미 최상급 훈장을 받은 상태이나 그 상태에서 표창을 받을 자격이 있는 장교", 즉, 망한 나라를 일으켜 세우거나, 극 소수의 병력을 지휘하여 압도적인 수의 적을 격퇴하거나, 비열한 기습을 당한 상황에서 새로운 전략으로 전세를 뒤집거나 할 정도와 동급의 넘사벽급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나 수여됐을 정도로 훈격이 높기에 여타 훈장들과 같이 기재한다.

차이잉원 정부에서 폐지되었는데, 이 이유는 말 그대로 1935년 재정이래 장제스를 포함해 단 한명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

3.1.2. 국광훈장

國光勳章
형상
파일:국광훈장.jpg
제정 1943년 10월 10일
상위 훈장 채옥대훈장
하위 훈장 청천백일훈장
수여 대상은 외침을 막고, 국가를 보위하는 특별한 전공을 가진 군인이며, 1937년 제정 이후 현재까지 5명에게만 수여되었다. 수훈자는 셀프훈장 장제스, 나중에 공산당에 붙은 푸쭤이, 중화민국 공군 초대 사령 저우지러유, 위다웨이, 허잉친이다. 이중, 허잉친이 수훈한 국광훈장은 국군 역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대만 법에서는 이 훈장의 수여 조건을 세세하게 설명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적군 전부 또는 대부분을 섬멸하고, 적 주요 거점 및 화포, 중요 보급품을 노획한 자.
2. 요충지를 굳건히 지켜 적의 뜻을 꺾어, 아군에 큰 도움을 준 자.
3. 적 요인을 사살하거나 포로로 잡은 자.
4. 적의 보급로를 끊거나, 식량과 무기를 뺏은 자 또는 그로인해 전세를 뒤집은 자.
5. 기뢰를 설치하여 적 군함을 격침하거나 큰 피해를 입혀 전투력을 상실케 한 자.
6. 적의 포위망을 뚫고 고전끝에 수송을 하여 목적을 이룬 자.
7. 적의 수비 병력이 있는 항만이나 항구 도시를 점령한 자.
8. 적 군함을 노획하거나 격침시킨 자.
9. 위험을 무릅쓰고 적을 실은 배를 침몰시킨 자.
10. 단일 임무에서 적기 5대 이상 격추, 지상에 있는 적기를 8대 이상 파괴한 자.
11. 적 항만을 봉쇄하는 임무를 완수한 자.
12. 항공 폭격 임무 수행 중 적 요새, 중요 항만, 항공모함 및 주력함과 중요 군사 설비를 명중시켜 침몰시키거나 파괴하여 적 전력에 영향을 주거나, 적 주요 수송로를 폭격하여 수송과 보급을 막아 아군의 승리에 큰 도움을 준 자.
13. 정확한 정찰로, 적 정보를 알아내어 적에게 중대한 피해를 입히고 아군의 희생을 막은 자.
14. 적기 5대 이상 또는 적 전차 8대 이상을 노획한 자.

미국 명예 훈장, 소련 전승훈장에 버금가는 엄청난 공을 세워야 받을 수 있는 훈장이다.

3.1.3. 청천백일훈장

青天白日勳章
형상
파일:청천백일훈장.jpg
제정 1929년 5월 15일
상위 훈장 국광훈장
하위 훈장 보정훈장
국광훈장 다음가는 2번째로 높은 무공훈장으로, 훈장에는 중화민국 중국 국민당의 상징인 청천백일이 들어가 있다. 수훈 조건은 외국의 침략에 대항하여 국가 안보에 탁월한 공헌을 세운 자로 가장 최근 수훈자는 헬기 추락 사고로 목숨을 잃은 선이밍 참모총장이다.

한편, 중일전쟁 당시 중국 방위에 도움을 준 조셉 스틸웰도 이 훈장을 받을 기회가 2번 있었으나 장제스와의 사이가 최악이였던지라 2번 모두 수훈을 거부했다.

3.1.4. 보정훈장

寶鼎勳章
전체 형상
파일:보정훈장1.jpg
파일:보정훈장2.jpg
파일:보정훈장3.jpg
파일:보정훈장4.jpg
파일:보정훈장5.jpg
약장
파일:Order_of_Precious_Tripod_with_Special_Grand_Cordon_ribbon.png
1등 훈장
파일:Order_of_Precious_Tripod_with_Grand_Cordon_ribbon.png
2등 훈장
파일:Order_of_Precious_Tripod_with_Red_Grand_Cordon_ribbon.png
3등 훈장
파일:Order_of_Precious_Tripod_with_Special_Cravat_ribbon.png
4등 훈장
파일:Order_of_Precious_Tripod_with_Cravat_ribbon.png
5등 훈장
파일:Order_of_Precious_Tripod_with_Special_Rosette_ribbon.png
6등 훈장
파일:Order_of_Precious_Tripod_with_Rosette_ribbon.png
7등 훈장
파일:Order_of_Precious_Tripod_with_Special_Ribbon_ribbon.png
8등 훈장
파일:Order_of_Precious_Tripod_with_Ribbon_ribbon.png
9등 훈장
제정 1929년 5월 15일
상위 훈장 청천백일훈장
하위 훈장 운휘훈장

대만에서 3번째로 높은 무공훈장으로 위의 청천백일훈장과 같은 날 제정되었다. 수훈 조건은 역시 외침을 막고 국가 안보에 큰 도움을 준 자로, 위의 훈장들과는 다르게 이 훈장부터 훈등이 나눠져 1~4등급은 장성급 장교, 3~6등급은 교관급 장교, 4~7등급은 위관급 장교, 6~9등급은 준위 사병에게 수여된다.

이름의 이 말해주듯 훈장 속에도 정이 그려져 있다.

3.1.5. 운휘훈장

雲麾勳章
전체 형상
파일:운휘훈장 1.jpg
파일:운휘훈장 2.jpg
파일:운휘훈장 3.jpg
파일:운휘훈장 4.jpg
파일:운휘훈장 5.jpg
약장
파일:Order_of_Resplendent_Banner_with_Special_Grand_Cordon_ribbon.png
1등 훈장
파일:Order_of_Resplendent_Banner_with_Grand_Cordon_ribbon.png
2등 훈장
파일:Order_of_Resplendent_Banner_with_Yellow_Grand_Cordon_ribbon.png
3등 훈장
파일:Order_of_Resplendent_Banner_with_Special_Cravat_ribbon.png
4등 훈장
파일:Order_of_Resplendent_Banner_with_Cravat_ribbon.png
5등 훈장
파일:Order_of_Resplendent_Banner_with_Special_Rosette_ribbon.png
6등 훈장
파일:Order_of_Resplendent_Banner_with_Rosette_ribbon.png
7등 훈장
파일:Order_of_Resplendent_Banner_with_Special_Ribbon_ribbon.png
8등 훈장
파일:Order_of_Resplendent_Banner_with_Ribbon_ribbon.png
9등 훈장
제정 1935년 6월 15일
상위 훈장 보정훈장
하위 훈장 충용훈장

중요한 공격을 성공하거나 내란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운 군인에게 수여되며, 역시 바로 위의 보정훈장과 마찬가지로 9등급으로 나눠진다.

3.1.6. 충용훈장

忠勇勳章
전체 형상
파일:충용훈장.jpg
제정 1944년 9월 23일
상위 훈장 운휘훈장
하위 훈장 충근훈장

중일전쟁이 한창이던 시기에 제정되었다. 서훈 기준은 외침을 막으며 용맹스럽게 싸우며, 부상당하거나 위험에 처한 상황에서도 전투를 지휘하며 승리를 거둔 군인이다.

3.1.7. 충근훈장

忠勤勳章
전체 형상
파일:5-5-3-06-large.jpg
제정 1944년 9월 23일
상위 훈장 충용훈장
하위 훈장 대동훈장

위의 충용훈장과 같은 날 제정된 훈장으로 서훈 기준은 10년 이상 복무하거나 문무를 겸비하고 국가와 국민을 위하여 끝없이 공헌한 군인이다. 3군 공통으로 수훈할 수 있는 훈장은 이 충근훈장이 마지막이며 이하의 대동훈장부터는 공군에게만 수여된다.

3.2. 공군 전용

특이하게 유독 공군에게만 수여되는 훈장이 제정되어 있다. 육군과 해군 전용 훈장은 없다는 점에서 보기 드문 사례.

3.2.1. 대동훈장

大同勳章
형상
정장
파일:大同勳章3-1.jpg
약장
파일:Order_of_Grand_Community_ribbon.png
제정 1945년 6월 14일
상위 훈장 충근훈장
하위 훈장 하도훈장

공중이나 지상에서 뛰어난 지휘를 하거나 작전을 적절하게 수행하여 공격에 성공하거나 전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 공군 고위 지휘관에게 수여되며, 과거에는 공군 창설 주역들에게 수여되었다. 정장의 형상은 십자가 위에 대만의 국화 매화가 올라간 모양이다.

3.2.2. 하도훈장

河圖勳章
형상
정장
파일:nBnauM3XxQTM3ATM0gDO5MDN0MTMzIDN4MTMwADMwAjMxAzL4gzL0YzLt92YucmbvRWdo5Cd0FmL0E2LvoDc0RHa.jpg
약장
파일:Order_of_Cosmic_Diagram_ribbon.png
제정 1945년 6월 14일
상위 훈장 대동훈장
하위 훈장 낙서훈장
위의 대동훈장이 수훈 대상이 공군 고위 지휘관으로 한정된 것에 반해 이 하도훈장부터 공군 전 장병으로 수훈 대상이 넓어졌다. 수훈 조건은 전투에서 아군에게 임무 수행을 통해 큰 승리를 안겨준 군인 또는 1800시간 이상 비행 및 600회 이상 전투 출격이다.

이름에 하도가 들어간 것처럼 훈장에도 태극 팔괘의 효시가 되는 그림인 하도가 들어가 있다.

3.2.3. 낙서훈장

洛書勳章
형상
정장
파일:nBnauM3X2YTNzIjN1AzN2IDN0MTMzMDOwITMwADMwAjMxAzLwczLwYzLt92YucmbvRWdo5Cd0FmLwE2LvoDc0RHa.jpg
약장
파일:Order_of_Book_of_Nature_ribbon.png
제정 1945년 6월 14일
상위 훈장 하도훈장
하위 훈장 건원훈장

바로 위급인 하도와 묶여 하도낙서라 불리며 역시 동양사상의 효시가 되는 그림인 낙서가 들어가 있다.
수훈 조건은 작전에 참여하여 전황을 유리하게 이끈 자 또는 1500시간 이상 비행 또는 500회 이상 전투 출격이다.

3.2.4. 건원훈장

乾元勳章
형상
정장
파일:3047807260_700d3184c7_z.jpg
약장
파일:Order_of_Sublime_Commencement_ribbon.png
제정 1945년 6월 14일
상위 훈장 낙서훈장
하위 훈장 부흥영예훈장

2단계 위의 하도훈장과 바로 위의 낙서훈장과 더불어 동양적인 냄새가 물씬 풍기는 디자인을 하고 있는 훈장으로, 작전에 참여하여 중대한 승리를 안겨준 자 또는 1200시간 이상 비행 또는 400회 이상 전투 출격을 한 사람에게 수여된다.

3.2.5. 부흥영예훈장

復興榮譽勳章
형상
정장
파일:부흥명예훈장.jpg
약장
파일:Order_of_Renaissance_and_Honour,_First_Class_ribbon.png
1등훈장
파일:Order_of_Renaissance_and_Honour,_Second_Class_ribbon.png
2등훈장
파일:Order_of_Renaissance_and_Honour,_Third_Class_ribbon.png
3등훈장
제정 1937년 12월 3일
상위 훈장 충근훈장
하위 훈장 항전승리훈장

한참 위의 운휘훈장 이후로 간만에 여러 등급으로 나눠진 훈장으로 각 등급의 수훈 조건은 1등급이 적기 9대 이상 연속 격추 또는 전투 출격 300회 이상 또는 900시간 비행이며, 2등급은 적기 6대, 전투 출격 250회 이상, 750시간 이상 비행, 3등급이 적기 3대 이상, 전투 출격 200회 이상, 600시간 이상 비행이다.

3.3. 기념 훈장

3.3.1. 항전 승리 훈장

抗戰勝利勳章
형상
정장
파일:f_12149288_1.jpg
약장
파일:Order_of_Victory_of_Resistance_against_Aggression_ribbon.png
제정 1945년 6월 14일
상위 훈장 부흥영예훈장
하위 훈장 국민혁명군출정 10주년 기념훈장

사진에서 보다시피 총통 각하의 얼굴이 대문짝만하게 들어가 있는 훈장으로 중일전쟁 중 훈공을 세운 중화민국 관민 및 전쟁 수행에 도움을 준 외국인들에게 수여되었다.

3.3.2. 국민혁명군 출정 10주년 기념훈장

國民革命軍誓師十週年紀念勳章
형상
정장
파일:74581111n76s4n9296so4454p2088r83.jpg
약장
파일:Order_in_Commemoration_of_the_Tenth_Anniversary_of_the_Oath-taking_of_the_National_Revolutionary_Army_ribbon.png
제정 1936년 7월 8일
상위 훈장 항전승리훈장
하위 훈장 육해공군기장
바로 위의 훈장과 더불어 장제스의 얼굴 그림이 새겨져 있으며, 제정일자와 훈장의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 국민혁명 10주년을 기념하여 제정되었으며, 전체적인 형상은 이 당시 중국과 활발한 군사 교류를 나누던 나치 독일 철십자 훈장의 영향을 진하게 받은 듯한 모양이다. 대만판 철십자 훈장

한편 위로 국광훈장부터 시작하여 이 국민혁명군 출정 10주년 기념훈장이 훈장으로서는 마지막이며, 아래부터는 기장(獎章/장장)이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