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음이의어·다의어에 대한 내용은 성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省중국, 대만과 베트남에서의 제1급 행정구역. 대한민국의 도(道)에 해당한다.
2. 국가별
2.1. 중국/ 대만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ee1c25> |
베이징시 京 ·
톈진시 津 ·
허베이성 冀 ·
산시성 晋 ·
내몽골 자치구 蒙
|
|
랴오닝성 辽 ·
지린성 吉 ·
헤이룽장성 黑
|
|||
화둥 지구
|
상하이시 沪
申 ·
장쑤성 苏 ·
저장성 浙 ·
안후이성 皖 ·
푸젠성 闽 ·
장시성 赣 ·
산둥성 鲁 ·
타이완성 台
|
||
중난 지구
|
허난성 豫 ·
후베이성 鄂 ·
후난성 湘 ·
광둥성 粤 ·
광시 좡족 자치구 桂 ·
하이난성 琼 ·
홍콩 특별행정구 港 ·
마카오 특별행정구 澳
|
||
시난 지구
|
충칭시 渝 ·
쓰촨성 川
蜀 ·
구이저우성 黔
贵 ·
윈난성 滇
云 ·
티베트 자치구 藏
|
||
시베이 지구
|
산시성 陕
秦 ·
간쑤성 甘
陇 ·
칭하이성 青 ·
닝샤 후이족 자치구 宁 ·
신장 위구르 자치구 新
|
||
{{{#ffff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ffff00; font-size: 0.7em; color: #ffff00" | |||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 |
대만 행정구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직할시 | ||||||
타이베이시 |
신베이시 |
가오슝시 |
|||||
타이중시 |
타이난시 |
타오위안시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타이완성 및 하위행정구역 | |||
타이완성 |
|||||||
신주시 |
자이시 |
지룽시 |
난터우현 |
||||
먀오리현 |
신주현 |
윈린현 |
이란현 |
||||
자이현 |
장화현 |
타이둥현 |
펑후현 |
||||
핑둥현 |
화롄현 |
||||||
푸젠성 및 하위행정구역 | |||||||
푸젠성 |
|||||||
롄장현 |
진먼현 |
||||||
현재 대만이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행정구역만 기재 기타 명목상 영토에 대해서는 대만/영유권 주장 지역 문서 참조 |
}}}}}}}}} |
중국의 각 성을 노래로 담은 동영상
중국의 성 제도는 금나라 때의 행상서성, 본격적으로는 원나라 때 등처행중서성(等處行中書省), 줄여서 행중서성(行中書省), 행성(行省)을 두면서 시작되었다. 여기서 행(行)은 임시라는 뜻으로, 정식궁궐 외의 궁궐을 행궁(行宮)이라고 하는 것이나 승하한 왕에게 묘호, 시호를 붙이기 전까지 대행왕(大行王)이라고 하는 것과 같은 뜻이다. 원래 성이란 중앙정부의 최고상급부서를 말하는 것으로, 당나라와 송나라 그리고 고려 시대 있었던 3성 6부제의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생각하면 된다. 이 행성을, 몽골 제국이 정복왕조로 중국을 점령한 뒤 전국에다가 중서성(상서성)의 파출기구이자 총독부, 도호부 같은 군정 및 민정기관으로 뿌린(...) 것이다. 한국사에서 여말선초 고려에 입성책동으로 명목적으로 설치된 원의 정동행성이 바로 이 성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원나라가 축출되고 명나라가 세워진 뒤에도 몽골의 잔재인 '최상급 행정구역 단위로서의 성'은 남아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다만 명나라 때에 '성()' 단위를 사용하지 않았다가 청나라 때에 다시 쓰이기 시작했다. 청나라 초기에 18개 성이던 것이 말기에 들어서 청말 1884년 신강성, 1885년 대만성[1], 1907년 동삼성을 설치하고 중화민국 시기 내몽골을 분할하여 3개 성(몽3성)을 설치하며 사천성에서 티베트인 지역을 분할하여 2개 성(장2성), 만주에 동북 3성을 더 세분화하여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50년대에 행정구역 개편이 이뤄져 동북지방의 면적이 작은 성을 최종적으로 청말의 3개로 통폐합하고 내몽골 지역의 몽삼성을 내몽골 자치구, 시캉성은 도로 쓰촨성, 일부는 티베트 자치구에 통합시켰으며 신장성은 신장위구르자치구로, 닝샤성은 닝샤 후이족 자치구로, 광시성은 광시 좡족 자치구로 변경되었다. 현대 중국의 행정구역 개편은 만주나 내몽골처럼 전통적으로 한족 왕조의 영토가 아니었던 곳이나 소수민족이 많이 살던 곳 위주로 단행했으며, 옛 명나라 영역 아래에 있었던 성들은 대체로 그대로 존속되었지만 중국의 소수민족들이 주로 거주하던 지역은 도로 재통합되어 자치구를 설치하는 등, 세부적인 경계조정이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의 실효 통치 성은 22개가 되었다. 명목상으로는 중화민국이 거의 대부분을 통치하는 타이완 성까지 합쳐 23개이다.[2] 현재 중국의 성에 대해서는 중국/행정구역 문서로.
반면 국부천대 이후의 중화민국, 그리고 현재의 대만은 타이완성 하나에 푸젠성 극히 일부만을 실효 지배하고 있지만[3], 명목상으로는 중국 대륙에 설정된 성을 그대로 남겨두고 있다. 하지만 1998년부로 대만에서는 타이완성과 푸젠성 정부의 기능을 간소화하여 대부분의 기능을 중앙정부나 각 성할시, 현정부로 이관하였고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타이완성 정부, 푸젠성 정부까지 해산하면서 대만에서 성은 이름만 남은 기관이 되었다.[4]
중국 성의 명칭은 간쑤성, 장쑤성이나 안후이성, 푸젠성처럼 중요한 두 도시 이름을 하나씩 따서 지은 것도 있고, 대부분은 자연적 경계선을 기준으로 동서남북으로 구분한 것이 많다. 예를 들면 황허 남북을 기준으로 허난성과 허베이성, 둥팅호 남북 기준으로 한 후베이성과 후난성, 장강 동서를 기준으로 한 장시성, 타이항 산맥 동서 기준으로 한 산둥성과 산시성.
성 정부 소재지는 한국에서는 대개 성도(省都)라는 단어로 표현하지만, 중국어로는 각 성의 수부(首府, 정부 소재지)를 성회(省會, shěnghuì)라고 부른다.
성( 城)과 혼동하는 사람이 제법 많이 있다. 다만 한국 한자음으로만 동일하며 중국 한자음으로는 다르다.
2.2. 베트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지리 구분 |
성급행정구 (
직할시 5 ,
성 58)
|
서북부 Tây Bắc Bộ 西北部 |
||
동북부 Đông Bắc Bộ 東北部 |
||
홍강 삼각주 Đồng bằng sông Hồng 垌平瀧紅 |
||
북중부 Bắc Trung Bộ 北中部 |
||
남중부 Nam Trung Bộ 南中部 |
||
서부고원 Tây Nguyên 西原 |
||
동남부 Đông Nam Bộ 東南部 |
||
메콩강 삼각주 Đồng bằng sông Cửu Long 垌平瀧九龍 |
}}}}}}}}} |
베트남의 성은 응우옌 왕조 때로부터 설치된 제1급 행정구역으로써 현 베트남 전국은 58개 성과 5개 중앙직할시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이 가장 넓은 응에안(Nghệ An) 성은 16,490㎢, 가장 좁은 박닌(Bắc Ninh) 성은 불과 823㎢이다.
3. 관련글
- 군현제
- 주현제
- 주(행정구역)
- 도(행정구역)
- 부(행정구역)
- 목(행정구역)
- 군(행정구역)
- 현(행정구역)
- 총독(중국)
- 순무(관직)
- 도독
- 성장
- 중서성( 상서성)
- 3성 6부제
- 입성책동
- 정동행성
원나라의 행정구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앙 | |||
중서성 | ||||
행중서성 | ||||
영북등처행중서성 | 요양등처행중서성 | 섬서등처행중서성 | 사천등처행중서성 | |
감숙등처행중서성 | 운남제로행중서성 | 강절등처행중서성 | 강서등처행중서성 | |
하남강북등처행중서성 | 호광등처행중서성 | |||
특수 행성 | ||||
정동등처행중서성 | 교지행성 | 형호점성행중서성 | 면중행성 |
[1]
청일전쟁으로
일본 제국에 할양 형식으로 뺏긴다.
[2]
'대부분'인 이유는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 열도)가 중국에서는
타이완 성의 일부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3]
저장성 역시 극히 일부의 다천 군도를 실효 지배하고 있었으나
중공군의 공격을 이기지 못하고 1955년 철수하였다.
[4]
성 정부가 헌법에 명시된 헌법기관이라 완전히 없애려면 개헌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완전히 없애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