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와 시대 전전
하야시 내각 林内閣 | Hayashi Cabinet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937년 2월 2일 ~ 1937년 6월 4일 | ||
출범 이전 | 이후 | ||
히로타 내각 | 제1차 고노에 내각 | }}} | |
<colbgcolor=#808080> 내각총리대신 | 하야시 센주로 / 제33대 | ||
여당 | |||
연립여당 | |||
중의원 해산일 |
1937년
3월 31일 (먹튀 해산) |
|
▲ 하야시 내각 출범 기념사진 |
[clearfix]
1. 개요
1937년 2월 2일, 前 육군대신, 군사 참의관, 예비역 육군 대장인 하야시 센주로가 제33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면서 설립된 내각이다.원래 하야시가 아닌 우가키 가즈시게 전 조선 총독이 히로히토 천황의 조각대명을 받았는데, 우가키가 덴노 일가와 원로들에게 휘둘릴 것이라 여긴 군부 소장파의 반대 + 정당·의회와 협조해 우가키 군축을 주도한 우가키를 증오한 군부의 결사반대로 육군대신을 구하지 못하게[1] 방해했고, 이에 우가키가 조선군 사령관 고이소 구니아키를 육군대신으로 초빙하는 등 계속 저항했으나, 군부가 협박으로 우가키가 조각을 포기하면서, 하야시가 대신 조각대명을 받으면서 설립되었다.
이 내각은 소수의 각료가 다수의 국무대신직을 각료가 겸임하는 방식으로 운영했기에 "2인 3각 내각(二人三脚内閣)"이라고 불렸으며, 군부의 일원으로 민주주의 제도를 부정하고 일당 독재를 주장하는 고노에 후미마로의 사상에 동조해 정무차관, 참여관의 임용을 취소하여 입헌정우회, 입헌민정당 양당은 내각에 참가하지 않았다.
그러다 1937년 3월 31일에 먹튀 해산으로 친군파 세력을 규합해 총선을 치뤘으나 오히려 여당인 쇼와회, 국민동맹이 선거에서 참패하고, 이에 의회 재해산을 추진하려다 역으로 내각불신임결의안이 통과되면서 결국 6월 4일에 내각 총사퇴했다.
2. 각료 목록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808080; border-right: 10px solid #80808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colcolor=#ffffff> 외무대신 | <colbgcolor=#ffffff,#000000> 하야시 센주로 → 사토 나오타케 | |
내무대신 | 카와라다 카키치 | |
대장대신 | 유우키 토요타로 | |
척무대신 | ||
육군대신 | 나카무라 코타로 → 스기야마 하지메 | |
해군대신 | 요나이 미쓰마사 | |
사법대신 | 시오노 스에히코 | |
문부대신 | 하야시 센주로 | |
농림대신 |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
체신대신 |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코다마 하데오 | |
상공대신 | 고도 타쿠오 | |
철도대신 |
}}} }}}}}}}}} |
2.1. 국무대신
- 비고란에 쓰여진 것을 제외하고는 1937년 2월 2일 임명
직책 | 대수 | 성명 | 소속 | 특이 사항 | 비고 |
내각총리대신 | 제33대 | 하야시 센주로 |
퇴역
육군
대장 ( 육군대학 17기) 무소속 |
외무대신, 문부대신 겸임 | |
외무대신 | 제47대 | 하야시 센주로 |
퇴역
육군
대장 ( 육군대학 17기) |
내각총리대신, 문부대신 겸임 | 1937년 3월 3일 면직 |
제48대 | 사토 나오타케 |
외무성 무소속 |
첫 입각 1937년 3월 3일 임명 |
||
내무대신 | 제48대 | 카와라다 카키치 |
내무성 무소속 |
첫 입각 | |
대장대신 | 제36대 | 유우키 토요타로 |
민간인[2] →
귀족원 무소속 (무회파) |
척무대신 겸임 | 첫 입각 |
육군대신 | 제25대 | 나카무라 코타로 |
군인 육군 대장 ( 육군대학 21기) |
대만사무국 총재 겸임 |
첫 입각 1937년 2월 9일 면직[사임] |
제26대 | 스기야마 하지메 |
군인 육군 대장 ( 육군대학 22기) |
대만사무국 총재 겸임 |
첫 입각 1937년 2월 9일 임명 |
|
해군대신 | 제19대 | 요나이 미쓰마사 |
군인 해군 중장 → 해군 대장[4] ( 해군병학교 29기) |
첫 입각 | |
사법대신 | 제38대 | 시오노 스에히코 |
사법성 무소속 |
첫 입각 | |
문부대신 | 제46대 | 하야시 센주로 |
퇴역
육군
대장 ( 육군대학 17기) 무소속 |
내각총리대신, 외무대신 겸임 | |
농림대신 | 제10대 |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중의원 쇼와회 |
체신대신 겸임 | 재입각 |
상공대신 | 제14대 | 고도 타쿠오 |
민간인 →
귀족원[5] 무소속 (무회파) 퇴역 해군 중장 |
철도대신 겸임 | 첫 입각 |
체신대신 | 제40대 |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중의원 쇼와회 |
농림대신 겸임 |
재입각 1937년 2월 10일 겸임 해제 |
제41대 | 코다마 히데오 |
귀족원 무소속 (연구회) 백작 |
1937년 2월 10일 임명 | ||
철도대신 | 14대 | 고도 타쿠오 |
민간인 →
귀족원 무소속 (무회파) 퇴역 해군 중장 |
상공대신 겸임 | 첫 입각 |
척무대신 | 제10대 | 유우키 토요타로 |
민간인 →
귀족원 무소속 (무회파) |
대장대신 겸임 | 첫 입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