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와 시대 전전
오카다 내각 岡田內閣 | Okada Cabinet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934년 7월 8일 ~ 1936년 3월 9일 | ||
출범 이전 | 이후 | ||
사이토 내각 | 히로타 내각 | }}} | |
<colbgcolor=#808080> 내각총리대신 | 오카다 게이스케 / 제31대 | ||
여당 | (거국일치내각) | ||
연립여당 |
|
||
|
|||
[2] | |||
중의원 해산일 | 1936년 1월 21일 |
|
▲ 오카다 내각 출범 기념사진 |
[clearfix]
1. 개요
1934년 7월 8일, 예비역 해군 대장이자 전 해군대신 오카다 게이스케가 제31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면서 설립된 내각이다.테이진 사건(帝人事件)의 여파로 사이토 내각이 총사퇴하면서[3], 해군 출신의 중립성을 강조하고 육군을 견제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이온지, 내대신 및 중신들의 추천을 받아 천황의 내각조성대명을 받으면서 설립된 내각이다.
그러나 황도파 청년 장교단들이 일으킨 2.26 사건으로 정부 체계가 마비되고, 사태 수습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무능한 모습을 보이다가 결국 사건이 완전히 진압된 직후인 3월 9일에 내각 총사퇴했다.
2. 각료 목록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808080; border-right: 10px solid #80808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colcolor=#ffffff> 외무대신 | <colbgcolor=#ffffff,#000000> 히로타 고키 | |
내무대신 | 고토 후미오 | |
대장대신 | 후지이 사다노부 → 다카하시 고레키요 → 마치다 추지 | |
육군대신 | 하야시 센주로 → 가와시마 요시유키 | |
해군대신 | 오스미 미네오 | |
사법대신 | 오하라 나오시 | |
문부대신 | 마츠다 겐지 → 카와사키 타쿠키치 | |
농림대신 |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
상공대신 | 마치다 추지 | |
체신대신 | 도코나미 다케지로 → 오카다 게이스케 → 모치즈키 케이스케 | |
철도대신 | 우치다 노부야 | |
척무대신 | 오카다 게이스케 → 코다마 히데오 |
}}} }}}}}}}}} |
2.1. 국무대신
- 비고란에 쓰여진 것을 제외하고는 1934년 7월 8일 임명
직책 | 대수 | 성명 | 소속 | 특이 사항 | 비고 |
내각총리대신 | 제31대 | 오카다 게이스케 |
예비역
해군
대장 ( 해군병학교 6기) |
척무대신, 체신대신 겸직 | |
- | 고토 후미오 |
귀족원 무소속 (무회파) |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내무대신 겸임) |
1936년
2월 26일 겸임 1936년 2월 29일 겸임 해제 |
|
외무대신 | 제45대 | 히로타 고키 |
외무성 무소속 |
유임 | |
내무대신 | 제46대 | 고토 후미오 |
귀족원 무소속 (무회파) |
2.26 사건으로 인해 1936년 2월 26일부터 2월 29일까지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수행 | 재입각 |
대장대신 | 제31대 | 후지이 사다노부 |
대장성 무소속 |
첫 입각 1934년 11월 27일 사망 |
|
제32대 | 다카하시 고레키요 |
민간인 입헌정우회 → 무소속 |
재입각 1934년 11월 27일 임명 1936년 2월 26일 사망[4] |
||
제33대 | 마치다 추지 |
중의원 입헌정우회 |
상공대신 겸임 입헌민정당 총재 |
1936년 2월 27일 임명 | |
육군대신 | 제39대 | 하야시 센주로 |
군인 육군 대장 ( 육군대학 17기) |
대만사무국 총재 겸임 |
유임 1935년 9월 5일 면직 |
제40대 | 가와시마 요시유키 |
군인 육군 대장 ( 육군대학 20기) |
대만사무국 총재 겸임 |
첫 입각 1935년 9월 5일 임명 |
|
해군대신 | 제36대 | 오스미 미네오 |
군인 해군 대장 ( 해군병학교 24기) |
유임 | |
사법대신 | 제35대 | 오하라 나오시 |
사법성 무소속 |
첫 입각 | |
문부대신 | 제42대 | 마츠다 겐지 |
중의원 입헌민정당 |
재입각 1936년 2월 1일 사망 |
|
제43대 | 카와사키 타쿠키치 |
귀족원 입헌민정당 |
첫 입각 1936년 2월 1일 임명 |
||
농림대신 | 제9대 |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
중의원 입헌정우회 → 쇼와회 |
첫 입각 | |
상공대신 | 제11대 | 마치다 추지 |
중의원 입헌민정당 |
대장대신 겸임 입헌민정당 총재 |
재입각 |
체신대신 | 제36대 | 도코나미 다케지로 |
중의원 입헌정우회 → 무소속 |
1935년 9월 8일 사망 | |
제37대 | 오카다 게이스케 |
예비역
해군
대장 ( 해군병학교 6기) 자작 |
내각총리대신, 척무대신 겸직 |
1935년
9월 9일 겸임 1935년 9월 12일 겸직 해제 |
|
제38대 | 모치즈키 케이스케 |
중의원 입헌정우회 → 쇼와회 |
1935년 9월 12일 임명 | ||
철도대신 | 제12대 | 우치다 노부야 |
중의원 입헌정우회 → 쇼와회 |
첫 입각 | |
척무대신 | 제7대 | 오카다 게이스케 |
예비역
해군
대장 ( 해군병학교 6기) 자작 |
내각총리대신, 체신대신 겸직 | 1934년 10월 25일 겸직 해제 |
제8대 | 코다마 히데오 |
귀족원 무소속 (연구회) 백작 |
첫 입각 1934년 10월 25일 임명 |
[1]
다만 스즈키 기사부로 총재 및 정우회 지도부가 오카다 내각과 대립하는 야당 노선을 취하면서 당의 조치를 어기고 입각한 다카하시 고레키요 대장대신,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농림대신, 우치다 노부야 철도대신, 도코나미 다케지로, 모치즈키 케이스케 체신대신 이 5명을 정우회에서 제명하면서 실질적으로는 내각에 참가하지 않았다.
[2]
입헌정우회에서 제명된 야마자키 타츠노스케, 우치다 노부야, 모치즈키 케이스케 3명이(도코나미 다케지로는 3월 25일 사망, 다카하시 고레키요는 쇼와회에 참가하지 않고 무소속으로 활동했다.)
1935년
12월 23일 창당한 친군부 성향 정당으로, 아다치 겐조 전 내무대신이 이끌던 국민동맹과 원내회파(한국으로 치면 원내교섭단체에 해당)를 구성해 활동하다가,
1937년
5월 24일 대부분의 의원들이 정우회에 복당하는 형태로 해산되었다. 이후 (구) 쇼와회 출신 의원들은 나카지마 치쿠헤이가 이끄는 혁신파 계열 의원으로 활동했다.
[3]
당시 추밀원 부의장인
히라누마 기이치로가 원로
사이온지 긴모치의 정치적 영향력을 거세시키고 입헌정우회를 붕괴시키기 위해
테이진이라는 합성 섬유 회사가 내각을 비롯한 정계에 뇌물수수를 한 사건으로 조작해 검찰에 국책수사를 넣도록 압력을 넣어 공안사건으로 확대시킨 사건으로, 이 사건으로 인해 사이토 내각이 붕괴되었다.
[4]
2.26 사건 때 암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