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6 00:35:22

트레이시 샌더스

트레이시 샌더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숀헤어 파일:미국 국기.svg 브릭스 파일:미국 국기.svg
샌더스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슨 (1) 파일:미국 국기.svg
배스 (3)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미첼 (3) 파일:미국 국기.svg
말레브 (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포조 (3)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토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젠슨 (3) (2)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 (3)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파일:미국 국기.svg
뉴선 (2) 파일:미국 국기.svg
펨버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3) 파일:캐나다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뇽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 (2)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 (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2) 파일:미국 국기.svg
블랭크 (3)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 파일:미국 국기.svg
서브넥 (2)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3) 파일:미국 국기.svg
서튼 (2) 파일:미국 국기.svg
스코비 (3) 파일:미국 국기.svg
에터톤 (2) 파일:미국 국기.svg
로드리게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리마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구톰슨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드리게스 (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트 (3) (2) 파일:미국 국기.svg
콜론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트레비스 파일:호주 국기.svg
알렉스 (1)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 (3) (2)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 (2) 파일:미국 국기.svg
빌로우 (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어센시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홀튼 (2)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 (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험버 (2)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3) 파일:미국 국기.svg
스틴슨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지크 파일:미국 국기.svg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해즐베이커 (2)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3) 파일:미국 국기.svg
터너 파일:미국 국기.svg
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뇽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다카하시 (3) 파일:브라질 국기.svg
멩덴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로니 (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 (3) 파일:미국 국기.svg
놀린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앤더슨 (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 (3) 파일:미국 국기.svg
메디나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로우 (2) 파일:미국 국기.svg
알드레드 (4) 파일:미국 국기.svg
라우어 (3) 파일:미국 국기.svg
네일 파일:미국 국기.svg
스타우트 (4)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트레이시 샌더스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43번
김형성
(1997~1998)
샌더스
(1999)
배스
(2000)
}}} ||
}}} ||
파일:attachment/haitai-3.jpg
트레이시 샌더스
Tracy Sanders
본명 트레이시 제롬 샌더스
Tracy Jerome Sanders
출생 1969년 7월 26일 ([age(1969-07-26)]세)
노스캐롤라이나 주 개스토니아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라임스톤 대학
신체 185cm, 95kg
포지션 1루수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1990년 드래프트 58라운드 (전체 1384번, CLE)
소속팀 해태 타이거즈 (1999)

1. 개요2. 선수 경력3. KBO 리그 애덤 던4. 여담
4.1. 연도별 성적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해태 타이거즈에서 활동한 외국인 선수. 타이거즈 역사상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자다.(40홈런).[1]

2. 선수 경력


메이저리그 경력은 없고 마이너리그 Rk, A+, AA, AAA에서 10년간 뛰다가 1999년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로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게 된다. 시범 경기에서부터 2개의 홈런포를 가동하며 한껏 화력을 과시했고, 시즌 초반 이승엽이 두각을 드러내기 전까지 이병규[2]와 홈런왕 경쟁을 했다. 그러나 이승엽이 5월부터 본격적으로 다른 타자들보다 압도적 기세로 홈런을 몰아치기 시작하며 추월을 허용하고, 결국 40홈런으로 그 해 홈런 3위를 기록하였다. 이 해 해태는 팀 홈런 210개[3]를 쳤는데, 이는 양준혁(32홈런), 홍현우(34홈런), 장성호(24홈런), 스토니 브릭스(23홈런)[4]과 함께 그의 도움이 매우 컸다 할 수 있겠다. 또한 만루홈런만 3개를 날리며 역대 외국인선수 한시즌 최다 만루홈런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 타자들을 따져도 한시즌 4개의 만루홈런을 기록한 선수는 1999년의 박재홍, 2009년의 김상현, 2015년의 강민호 세명 뿐이다. 의외로 만루의 사나이가 없다.

그러나 이듬해 해태는 재계약을 하지 않았는데, 그가 터무니없이 많은 돈을 요구했다는 설이 있다. 해태는 2000년 이대진, 최상덕, 성영재가 꽤 준수하게 활약한 마운드에 비해, 장성호 헤수스 타바레스 이외에는 믿을만한 타자가 없을 정도로 타선이 폭망하여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외국인 타자 교체만 6번 한 것을 생각하면[5][6] 그와 재계약하지 못한 것을 김응용 감독은 아쉬워했을 것이다.[7] 물론 해태의 특유의 언플이 작용했을 것이다.

여기까지만 보면 그저 한 해 뛰어난 성적 올리고 본국으로 돌아간 외국인 선수 같아 보이지만, 샌더스가 가지는 의미는 따로 있었다.

3. KBO 리그 애덤 던

1999년 그의 성적은 101안타 40홈런 105볼넷 133피삼진 94타점 타출장 슬래시라인 0.247/.408/.575 OPS .983. 스탯만 봐도 알겠지만 샌더스는 그 당시는 물론이고 현재도 KBO에서는 보기 힘든 애덤 던 유형의 OPS 히터였다. 비록 133개의 피삼진은 해당 시즌 피삼진 1위이자 역대 단일시즌 최다삼진 신기록이었지만[8], 무려 105개의 볼넷을 골라내 시즌 볼넷 2위를 기록했고[9], 덕분에 0.247라는 낮은 타율에도 불구하고 4할이 넘는 우수한 출루율을 기록했다. 여기에 40홈런만 봐도 받쳐주는 우수한 장타력까지, 스탯을 홈런/볼넷/삼진으로 3등분한 선수였다. OPS도 0.983으로 이 해 타율 0.328에 30-30, OPS 0.940을 기록한 제이 데이비스보다 더 높았다. 심지어 wRC+는 김동주(144), 타이론 우즈(146)와 비슷한 145를 기록했다![10] 여러모로 KBO 리그의 애덤 던이라는 표현이 참으로 적절한 선수. 심지어 샌더스는 압도적인 파워를 바탕으로 구장을 가리지 않고 홈런을 뻥뻥 때려냈다. 그 드넓은 잠실에서만 9홈런을 쳤으며 덕분에 이 시즌 해태는 잠실 19경기에서 23홈런을 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보이는 타율만이 다가 아니었던 선수다.

그렇지만 당시 시기는 국내 야구는 고사하고 MLB에서조차 세이버메트릭스를 비롯한 질적 평가가 잘 활용되지 않던 시기였기 때문에[11] 샌더스를 단지 타율이 낮다는 이유만으로 그저그런 공갈포 타자로 평가절하했다. 당장 세이버 스탯이라고 하기도 뭐한 OPS가 KBO 홈페이지에 처음 올라온게 2010년이니... 때문에 한국의 야구인들은 샌더스의 진가를 알지 못한 채 성적에 의구심을 가졌고, 이는 표면적으로는 금액 차이로 협상이 결렬되었다고 하는 재협상의 결렬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클래식 성적이 좋은 2년 후의 루이스 데 로스 산토스를 보면 .310 26홈런 107타점의 그럴듯한 성적을 냈음에도 정작 ops는 샌더스에게 1할 이상 뒤졌다.[12]

그리고 이런 유형의 선수에 대한 저평가는 이후에도 오랫동안 이어져, 2007년 홈런왕 심정수는 wRC+ 153.8에 WAR 5.15를 찍고도 .258이라는 낮은 타율로 인해 저평가를 받았고, 제이미 로맥은 KBO 첫 시즌 .242/.344/.554의 슬래시라인과 102경기 31홈런이라는 파워를 선보이고도 재계약에 대한 의견이 분분했다.[13] 과거에도 이런 유형의 OPS 히터는 포지션의 특수성이나 우월한 수비력같은 다른 툴이 아니면 주전으로 자리잡기 힘들었고[14], 때문에 백업 요원을 전전하거나 아니면 컨택을 개선해서 아예 완전체 슬러거로 대성하던가 했기 때문에 보기 힘들었으며, 현 시대에도 MLB에 비해 선수풀이 작은 KBO에서는 확실히 보기 어려운 스타일이다. 이런 유형의 선수가 등장하면 웬만해서는 컨택에 손을 대서 완벽한 슬러거로 성장시키려는 육성 기조가 팀 입장에서는 더 낫기도 하고.

야만없이라지만 샌더스의 타율이 0.280~0.290까지 올라가서 재계약을 했다면 타이거즈판 타이론 우즈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당장 1999년 샌더스의 성적부터가 우즈와 거의 비슷한 wRC+였으니. 특히나 샌더스같은 타자가 타율을 0.280까지 끌어올린다면 IsoP가 3할을 넘는 샌더스의 성적을 감안할 때 홈런 역시 더 늘어났을 가능성이 높다.[15][16] 멀리 안가고 2017년 OPS 히터의 모습을 보이다가 2018년 타율을 3할대로 끌어올리자 그대로 리그를 폭격해버린 제이미 로맥의 사례도 있고. 특히나 2017년의 로맥과 1999년의 샌더스는 둘 다 BABIP가 리그 평균에 비해 크게 낮다는 공통점도 있었다. 더구나 샌더스는 구장을 가리는 타자가 아니었다. 당장 홈/원정 홈런 비율이 20대 20으로 동일했다.[17]

일본프로야구 오사카 긴테츠 버팔로즈 최고의 외국인 타자였던 랄프 브라이언트와 아주 유사하다. 둘다 우투좌타의 거포이자 모 아니면 도 식의 호쾌한 스윙. 낮은 타율에 엄청난 홈런수와 삼진수. 그러나 타율에 비해서 사사구도 잘 얻어내서 출루율과 OPS와 WAR 수치가 높아 현대 야구에서 재평가 받을만한 타자라는점이 공통점이다.

4. 여담

KBO에서 단 5명뿐인 한 시즌 40홈런 좌타자이다. 다른 네 명은 이승엽과 2015년 40-40을 기록한 에릭 테임즈, 그리고 2018년 40홈런 고지를 정복한 김재환 한유섬이다. 여기에 최초로 40홈런을 넘긴 외국인 좌타자이기도 하다. 30홈런으로 줄여도 김기태- 이승엽- 양준혁에 이어 KBO 리그 4번째로 좌타자 30홈런을 달성하였다.

같이 40홈런을 친 찰스 스미스랑 쌍으로 묶인다. 1위 이승엽 2위 로마이어에 이어 공동 3위이기 때문에, 하지만 스미스에 비해 날렵한 몸매와 굉장한 출루율 덕에 이쪽이 평가가 더 좋다.

트라이아웃 당시 브릭스와 같이 한국음식을 잘 먹을 수 있다고 어필했는데 성적이 오르자 태세 전환을 하여 통역에게 스테이크를 사달라고 했다 한다.

4.1. 연도별 성적

역대 성적
<rowcolor=#fff> 연도 레벨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볼넷 사구 삼진 장타율 출루율
1990 Rk/A+ 킨스턴/ 버링턴 61 210 .305 64 15 4 10 43 44 40 2 42 .557 .419
1991 A+ 킨스턴 118 421 .266 112 20 8 18 63 80 83 6 96 .480 .393
1992 AA 캔턴 아크론 114 381 .266 92 11 3 21 87 66 77 6 113 .451 .371
1993 AA 캔턴 아크론/ 위치타 119 402 .286 115 19 6 18 67 64 65 5 97 .498 .388
1994 AA 빙햄턴 101 275 .240 66 20 4 8 37 44 60 4 88 .429 .376
1995 AA/AAA 빙햄턴/ 노포크 74 185 .239 34 9 0 6 22 27 39 4 45 .430 .416
1996 AA/Independent 털사/트리 시티 88 291 .237 69 16 0 16 44 56 62 7 87 .465 .381
1997 AA 캐롤라이나 116 376 .271 102 23 1 21 78 77 74 6 88 .498 .388
1998 AA 캐롤라이나 113 342 .234 80 18 2 22 70 69 97 7 86 .491 .404
2000 A+/AA/AAA/MEX 린치버크/ 알투나/ 네슈빌/유카탄 86 272 .235 64 16 0 15 45 46 47 52 97 .409 .365
Milb 통산
(11시즌)
990 3155 .253 798 167 28 155 556 573 644 99 839 .530 .398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사구 삼진 출루율 장타율 OPS
1999 해태 125 .247 101 14 0 40 94 86 3 105 7 133 .408 .575 .983
KBO 통산
(1시즌)
125 .247 101 14 0 40 94 86 3 105 7 133 .408 .575 .983

5. 관련 문서


[1] 10년 후인 2009년 김상현이 도전했지만 깨지 못했다.(36홈런) [2] 물론 1999 시즌이 타고투저이기도 했고, 이병규는 이 해 잠실구장을 쓰면서 30-30을 달성하는 등 장타력이 있었다. [3] 그 당시 팀 홈런 역대 1위, 2021년 현재 역대 4위. [4] 당시 그의 타격 기록은 상당히 극과 극이었다. 383타석에서, 16사사구에 85삼진을 기록하면서 타율은 .283 홈런은 23개... [5] 에디 피어슨, 호세 말레브, 아르키메데스 포조, 제이슨 배스, 케이스 미첼, 헤수스 타바레스. 그나마 타바레스가 타율 0.334에 도루 2위(31개)를 기록했다. 경기당 도루 수는 그해 도루왕이었던 정수근보다도 많았다. [6] 당시까지만 해도 외국인 선수 교체한도 규정이 없어 성적이 신통치 않으면 방출하고 새로운 선수를 영입하는 게 무제한으로 가능했다. 실제로 2001년 한화 이글스도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외국인 투수를 5번이나 교체해댔고, 결국 2002년부터 외국인 선수 교체 제한규정이 생기게 되었다. [7] 안그래도 덩치 큰 왼손잡이를 선호하는 김응용 감독 특성상 더욱 아쉬워 했을수밖에... [8] 1년 후 톰 퀸란이 173삼진을 당하며 기록을 40개 차이로 경신했다. [9] 1위는 모두들 알다시피 이승엽 [10] 리그 10위이다. [11] 이 당시 빌리 빈 단장의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유일하게 세이버를 선구적으로 활용하던 팀이었다. [12] 이종범 장성호의 출루율이 좋았고 김종국도 나쁘지 않은 출루율을 기록해서 타점을 많이 기록했다. [13] 다만 이 둘은 저평가를 받게 된 다른 이유가 존재하기도 한다. 심정수 현대 시절 보여준 파괴력이 원체 대단했다보니 그 성적에 못미치는, 특히 타율이 크게 하락한 2007년의 성적은 팬들 눈에는 성에 차지 않았으며 그가 삼성으로 FA 이적할 때 받은 금액이자 당대 역대 최고금액 기록을 10년 정도 유지했던 4년 60억을 받은 것을 생각하면 아쉬운 성적이었다. 게다가 계약 기간 4년 중 가장 잘했다 볼 수 있는 2007년 앞뒤로 1년씩 총 2년을 날려먹은 걸 생각하면 더 아쉬움이 큰 기록. 로맥은 저 슬래시라인을 타고투저가 강하던 2017년에 기록해서 wRC+는 117.3으로 생각보다는 낮았다. 하지만 2007년 심정수의 성적은 심한 투고타저 속에서 이룬 결과물이라 저 성적으로도 리그 OPS 7위에 랭크될 정도였고, 로맥은 BABIP가 .263으로 리그 평균이었던 .327에 비해서 6푼이나 낮았기 때문에 컨택의 약점 외에도 운이 없었던 부분도 분명히 있었으며 무엇보다 첫해 대체 외국인으로 들어와 남들보다 한두달 정도 늦은 5월부터 시작해서 저정도 성적을 낸 것은 고무적인 기록이다. 실제로 BABIP가 올라간 2018년의 로맥은 리그를 씹어먹었다. [14] 박경완이 좋은 사례다. 어느정도 주전으로 자리매김 한 이후 부진했던 한 두 시즌 정도를 제외하면 매 시즌 110~120이 넘는 wRC+를 포수를 보면서 꾸준히 기록할 정도로 타격 생산성이 뛰어났지만, 오히려 포수였기 때문에 낮은 타율로 저평가받기 좋은 스타일임에도 불구하고 당대 한국야구에서 꾸준히 주전으로 나설 수 있었다. 물론 박경완 본인의 수비력이 KBO 역대 포수들 중에서도 원탑으로 불릴 정도였던 점도 한 몫 했다. [15] 샌더스의 1999년 스탯에서 타수를 그대로 두고 타율만 0.280으로 끌어올리면 안타는 총 114개로 13개를 더 치게 되는데, 안타 대비 홈런 비율이 그대로면 약 5.1홈런이 추가되니 최종적으로는 45홈런 정도가 예측된다. 참고로 같은 해 한화를 우승으로 이끌고 한화 역사상 최고의 임팩트를 보여준 외국인 타자로 평가받는 댄 로마이어가 0.292-45홈런-109타점을 기록했다. [16] 다만 당시 모기업 부도로 주축 선수, 유망주 할 것 없이 선수를 팔아 먹고 살아야할 정도로 구단이 휘청거리던 시기였음을 감안하면 저정도 성적을 낸 외국인 타자를 재계약하기엔 현실적으로 어려웠을 것이다. [17] 97년의 이종범은 홈/원정 홈런 갯수가 17대 13, 99년의 양준혁은 홈/원정 홈런 갯수가 19대 13으로 홈에서 이득을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