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21:32:00

헤수스 타바레스

헤수스 타바레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숀헤어 파일:미국 국기.svg 브릭스 파일:미국 국기.svg
샌더스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슨 (1) 파일:미국 국기.svg
배스 (3)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미첼 (3) 파일:미국 국기.svg
말레브 (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포조 (3)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토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타바레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젠슨 (3) (2)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 (3)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파일:미국 국기.svg
뉴선 (2) 파일:미국 국기.svg
펨버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3) 파일:캐나다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뇽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 (2)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 (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2) 파일:미국 국기.svg
블랭크 (3)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싱어 파일:미국 국기.svg
서브넥 (2)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3) 파일:미국 국기.svg
서튼 (2) 파일:미국 국기.svg
스코비 (3) 파일:미국 국기.svg
에터톤 (2) 파일:미국 국기.svg
로드리게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리마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구톰슨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드리게스 (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트 (3) (2) 파일:미국 국기.svg
콜론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페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트레비스 파일:호주 국기.svg
알렉스 (1)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 (3) (2)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앤서니 (2) 파일:미국 국기.svg
빌로우 (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어센시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홀튼 (2)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 (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험버 (2)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3) 파일:미국 국기.svg
스틴슨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지크 파일:미국 국기.svg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버나디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헥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팻딘 파일:미국 국기.svg
해즐베이커 (2)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3) 파일:미국 국기.svg
터너 파일:미국 국기.svg
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뇽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다카하시 (3) 파일:브라질 국기.svg
멩덴 파일:미국 국기.svg
터커 파일:미국 국기.svg
로니 (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 (3) 파일:미국 국기.svg
놀린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앤더슨 (2) 파일:미국 국기.svg
파노니 (3) 파일:미국 국기.svg
메디나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로우 (2) 파일:미국 국기.svg
알드레드 (4) 파일:미국 국기.svg
라우어 (3) 파일:미국 국기.svg
네일 파일:미국 국기.svg
스타우트 (4) 파일:미국 국기.svg
소크라테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네일 파일:미국 국기.svg
올러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헤수스 타바레스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0000>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엠블럼.svg DSL 자이언츠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DSL 타이거스/자이언츠 (1989)
DSL 자이언츠 (1990~1992)
1대
매티 알루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1992)
DSL 자이언츠/ 필리스/ 애스트로스 (1993)
1대
엘비오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1993)
DSL 자이언츠/ 오리올스 (1994)
1대
매티 알루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1994)
DSL 자이언츠 (1995~2020)
2대
매티 알루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1995~1996)
3대
헤수스 타바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7~2013)
4대
카를로스 발데라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14~2016)
5대
호세 몬티야
파일:미국 국기.svg
(2017~2019)
DSL 자이언츠 블랙 (2021~)
1대
호세 몬티야
파일:미국 국기.svg
(2021)
2대
후안 시리아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22~)
DSL 자이언츠 오렌지 (2021~)
1대
후안 시리아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21)
2대
드류 마르티네즈
파일:미국 국기.svg
(2022~)
}}}}}}}}} ||

플로리다 말린스 등번호 20번
그렉 브라일리
(1993)
헤수스 타바레스
(1994~1996)
대런 돌튼
(1997)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30번
스캇 해티버그
(1995)
헤수스 타바레스
(1997)
키스 미첼
(1998)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32번
바비 무뇨즈
(1998)
헤수스 타바레스
(1998)
라일 모튼
(1998)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40번
포조
(2000~2000.5.29.)
타바레스
(2000.6.11.~2001)
김인철
(2002.7.31.~2004)
}}} ||
}}} ||
파일:헤수스타바레스.jpg
헤수스 타바레스
Jesús Tavárez
본명 헤수스 라파엘 타바레스 알칸타라스
Jesús Rafael Tavárez Alcántaras
출생 1971년 3월 26일 ([age(1971-03-26)]세)
산토도밍고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산토도밍고 고등학교
신체 183cm, 77kg
포지션 외야수
투타 우투양타
프로 입단 1989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 SEA)
소속팀 플로리다 말린스 (1994~1996)
보스턴 레드삭스 (1997)
볼티모어 오리올스 (1998)
해태 타이거즈 (2000~2001)

1. 개요2. 선수 경력3. 여담4. 연도별 성적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해태 타이거즈에서 활동한 외국인 선수.

2. 선수 경력

1994년 플로리다 말린스에서 메이저리그에 데뷔했다. 주로 중견수 백업을 보았고, 1997년 보스턴 레드삭스으로 이적, 1998년 볼티모어 오리올스로 이적하면서 메이저와 마이너를 오갔다. 그러다 1999년에는 멕시코리그로 가서 활동하기도 했다.

그러던 중 2000년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게 된다. 당시 대체용병으로 들어온 데다가[1] 용병 타자 유형으로 선호했던 거포 스타일도 아니여서 해태는 연봉 6만 5천달러+옵션이라는 헐값에 계약하고는 별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잔여 74경기 동안 .334 31도루(도루 2위)[2]라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게 된다. 그 해 장성호와 타바레스를 제외하고는 믿을 타자가 전혀 없었던 해태는 일찌감치 재계약 방침을 세우고 재계약을 맺었다. 2001 시즌 전 강력한 도루왕 후보로 오르기도 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올릴 것이 기대되었지만 발바닥 부상을 시작으로 허리, 허벅지 등의 잦은 부상으로 부진하게 되었다. 결국 6월까지 .237 10도루의 저조한 성적을 올린 채 중도에 퇴출되고 만다.[3]

그리고 공교롭게도 이후로 타이거즈의 외국인 타자 잔혹사가 시작되었다. 타바레스 이후로 여러 타자들이 타이거즈를 거쳤지만 제대로 자리잡지 못했고, 2008년 윌슨 발데스 이후로는 외국인 용병 제한이 3명으로 확대되기 전까지 아예 타자 용병을 뽑지 않았다. 타바레스 이후로 2시즌 이상 뛴 KIA 용병 타자는 브렛 필 로저 버나디나, 프레스턴 터커, 소크라테스 브리토 뿐이다.

3. 여담

2000년 7월 16일 김수경의 노히트노런을 9회 1사에 기습번트 안타로 깬 적이 있다.[4]

마구마구 초창기 때 MLB 카드가 나오기 전에는 좌익수 본좌였으며,[5] 한때 최고가를 달리기도 했다. 현재도 해올덱에서 첫 손가락 꼽는 좌익수 카드였었다.[6] 다만 성명권으로 인해 이름은 '헤수스.T'로 나온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성적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94 FLA 17 39 .179 7 0 0 0 4 4 1 1 .179 .200
1995 63 190 .289 55 6 2 2 13 31 7 18 .374 .346
1996 98 114 .219 25 3 0 0 6 14 5 7 .246 .264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97 BOS 42 69 .174 12 3 1 0 9 12 0 4 .246 .216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98 BAL 8 11 .182 2 0 0 1 1 2 0 2 .455 .308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2000 해태 74 305 .334 102 15 2 3 44 39 31 33 .426 .376
2001 46 177 .237 42 6 1 1 14 24 10 18 .299 .308
MLB 통산
(5시즌)
228 423 .239 101 12 3 3 33 63 13 32 .303 .290
KBO 통산
(2시즌)
120 482 .299 144 21 3 4 58 63 41 40 .380 .351

5. 관련 문서


[1] 그 해 해태는 외국인 타자를 여섯 번이나 교체했다. [2] 이 해 도루왕 정수근은 129경기 57도루를 기록했다. 그 당시에는 타바레스가 풀타임을 뛰었다면 도루왕을 차지했을 것이라는 의견도 많았고, 그렇게 2001 시즌을 기대했다. [3] 퇴출되기 한 달 전에 비밀 각서를 썼는데, 그 각서의 내용이 앞으로 한 달간 성적 향상이 없을 경우 나머지 연봉(5만 4천달러)을 지불하지 않는다.였다. 그리고 한 달 지나자 바로 퇴출. 루이스 안두하와 함께 당시 해태의 극악한 용병 대우를 보여주는 사례. [4] 해태는 공교롭게도 사상 최초로 5월 18일에 광주광역시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전에서 송진우에게 노히트 노런을 당했기 때문에 만약 김수경에게 노히트 노런을 당했다면 사상 최초로 한 해에 두 번이나 노히트 노런을 당하는 수모를 당할 뻔했다. [5] 그러다가 크로포드시리즈, 06소리아노, 05베이 등이 나오면서 가치가 내려갔다. [6] 무려 퀵스로잉이 1잠재다!! 현재는 마구마구가 기본 적으로 2레전드 8레어를 주면서 베이직 카드 선수로 밀려 게임은 완전히 망테크를 타면서 선수 능력치들이 막장이다, 참고로 나날히 업데이트가 되어버리면서 거래창에서 최저상한인 15만거니에도 바로 구입이 가능하다 최고 상한은 22만~25만거니. 다만, 업그레이드 유형은 컨택트/수비력이다. 마구마구 도감이 생성되고 나서는 다시금 비싸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