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21:37:24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지상작전사령부
, 지상작전사령관
,
,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지상작전사령부 창설 이전인 제1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에 대한 내용은 제1야전군사령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제3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에 대한 내용은 제3야전군사령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865> 파일:중장 계급장.svg 대한민국 국군
현직 중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해병대사령관
김계환
국군방첩사령관
여인형
육군참모차장 해군참모차장 공군참모차장
고현석 강동길 손석락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군사지원본부장 전략기획본부장 정보본부장
이승오 황선우 원천희
해군작전사령관 공군작전사령관
최성혁 김형수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전략사령관 국방대학교 총장
진영승 임기훈
육군사관학교장 해군사관학교장 공군사관학교장
정형균 소장 이수열 소장 공승배 소장
육군교육사령관 해군교육사령관 공군교육사령관
정진팔 김성학 소장 최춘송 소장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 육군군수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육군특수전사령관
김규하 손대권 이진우 곽종근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김호복 김권 소장 권대원
수도군단장 제1군단장 제2군단장
박정택 주성운 박후성
제3군단장 제5군단장 제7기동군단장
서진하 김성민 박재열
합동참모차장
김봉수
※ 둘러보기: 현직 대장 | 사단장 | 함대사령관 | 공군기능사령관 | 전단장 | 비행단장 | 주임원사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조종설
2대
이창효
3대
이진성
4대
최진규
직무대리
권영호
5대
강신철
직무대리
심진선
6대
이두희
직무대리
정덕성
7대
김규하
8대
김호복
※ 초대~현재: 중장
(직무대리는 소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地上作戰司令部 副司令官
Deputy Commander of Ground Operations Command
파일:제 37대 7기동군단장 중장 김호복.jpg
현직 <colbgcolor=#ffffff,#1f2023> 중장 김호복
취임일 2024년 4월
임관 육군3사관학교 27기

1. 개요2. 상세3. 역대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4. 관련문서
작전사령부령
제1조(설치와 임무) ① 지상작전부대의 지휘 및 작전 수행을 위하여 육군에 지상작전사령부 및 육군 제2작전사령부(이하 “각 사령부”라 한다)를 두며, 각 사령부는 그 관할구역의 작전ㆍ훈련 및 군 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제2조(사령관 등의 임명) ① 각 사령부 사령관· 부사령관 참모장을 둔다.
② 각 사령부의 사령관·부사령관 및 참모장은 육군의 장성급(將星級)장교로 보한다.
[clearfix]

1. 개요

지상작전사령부 부지휘관으로 보통 중장이 보임되며,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보직과 마찬가지로 소장이 직무대리 형식으로 보임되는 경우가 있다.

2. 상세

초대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은 마지막 제3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이자 초대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1]을 지낸 조종설 중장이 임명되었다.

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은 진급이 막힌 한직[2]으로 역대 부사령관 중에서 진급자는 손에 꼽을 정도이다. 예전 제1야전군사령부, 제3야전군사령부는 참모장이 소장이기 때문에 부사령관에 소장이 보임되는 일이 있었으나 통합 지상작전사령부는 참모장의 계급이 중장인 만큼 부사령관도 중장으로 보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3] 주로 군단장 시절에 사고가 터졌거나 직능, 연령정년, 정치적 사유 등을 이유로 더 이상의 진급을 막기 위한 경우에 간다.[4]

한직인 만큼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처럼 중장 진급이 좌절된 고참 소장을 직무대리 형식으로 보임하는 일도 종종 있다. 야전군 부사령관은 엄연한 중장 보직이지만 권영호, 심진선, 정덕성의 경우처럼 부사령관 직무대리 형태로 중장 진급이 막힌 말년 소장의 보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잦아[5], 대부분 중장이 보직되는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과 계급이 역전되는 일이 간혹 생기고 있다. 중장급 보직 중에서는 사실상 가장 쓸모없는 자리[6] 이기 때문에 전역 대기[7] 혹은 징계성 발령[8]이 아니면 중장을 보임시킬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갈 보직이 없는 중장들의 임시 대기 보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예시로 문재인 정부 국방비서관 보직에 있던 강신철 중장은 정권 교체 후 부사령관직에서 1달간 대기하다 합참 작전본부장이 됐고, 이두희/김규하 중장은 군단장 보직을 마치고 반 년간 부사령관직에서 대기하다 미사일사령관이 됐다. 현 김호복 부사령관도 군단장 보직을 마치고 2024년 상반기 군 인사에서 보직을 받아 대기중이며 하반기에 다른 보직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2024년 9월에는 지상작전사령관 손식이 지병으로 부재중일 때 합동참모차장이 지상작전부사령관 대신 대리하였다.[9]

3. 역대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865> 파일:중장 계급장.svg 대한민국 국군
현직 중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해병대사령관
김계환
국군방첩사령관
여인형
육군참모차장 해군참모차장 공군참모차장
고현석 강동길 손석락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군사지원본부장 전략기획본부장 정보본부장
이승오 황선우 원천희
해군작전사령관 공군작전사령관
최성혁 김형수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전략사령관 국방대학교 총장
진영승 임기훈
육군사관학교장 해군사관학교장 공군사관학교장
정형균 소장 이수열 소장 공승배 소장
육군교육사령관 해군교육사령관 공군교육사령관
정진팔 김성학 소장 최춘송 소장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 육군군수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육군특수전사령관
김규하 손대권 이진우 곽종근 }}}
{{{#!wiki style="margin:-30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김호복 김권 소장 권대원
수도군단장 제1군단장 제2군단장
박정택 주성운 박후성
제3군단장 제5군단장 제7기동군단장
서진하 김성민 박재열
합동참모차장
김봉수
※ 둘러보기: 현직 대장 | 사단장 | 함대사령관 | 공군기능사령관 | 전단장 | 비행단장 | 주임원사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조종설
2대
이창효
3대
이진성
4대
최진규
직무대리
권영호
5대
강신철
직무대리
심진선
6대
이두희
직무대리
정덕성
7대
김규하
8대
김호복
※ 초대~현재: 중장
(직무대리는 소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볼드체 대장 진급이 된 부사령관.
||<-6><#006633><:> 역대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조종설 예) 중장 육사 41기 육군특수전사령관 [10]
2대 이창효 예) 중장 3사 19기 수도군단장, 제8군단 [11][12]
3대 이진성 예) 중장 3사 22기 제8군단 [13][14]
4대 최진규 예) 중장 학사 9기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15]
직무대리 권영호 예) 중장 육사 45기 육군사관학교장 [16]
5대 강신철 대장 육사 46기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17]
직무대리 심진선 예) 소장 육사 46기 수도군단 부군단장 [18]
6대 이두희 예) 중장 육사 46기 미사일전략사령관 [19]
직무대리 정덕성 소장 학군 29기 육군부사관학교 [20]
7대 김규하 중장 육사 47기 미사일전략사령관 [21]
8대 김호복 중장 3사 27기 7군단장

4. 관련문서



[1] 지상작전사령부가 공식으로 생기기 이전 지상작전단을 비롯한 직할부대들이 창설되었는데, 그 직할부대들의 상관이 지작사 참모장인 만큼 조종설 부사령관에게 일시적으로 겸직하게 한 것이다. [2] 간혹 대장 진급하는 사람이 나오긴 하나 흔치 않다. 5.16 군사정변 박정희 2군사령부 부사령관, 제3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이던 박종진, 제1야전군사령관 신현돈이 음주 대민 마찰로 보직해임으로 대장 진급에 성공한 제1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이던 장준규, 임시직으로 지작사부사령관을 맡은 강신철 등이 있다. [3] 임명할 육군 중장이 없으면 공석으로 두거나 가끔 육군 소장을 직무대리 형식으로 보임시키기도 한다. [4] 조종설 부사령관은 알자회 이력 때문에 3군 부사령관을 맡다가 이어진 경우이며, 이진성 부사령관은 8군단장 시절의 삼척항 목선 귀순 사건 때문에 좌천, 최진규 부사령관은 참모장을 맡았으나 기수문제와 연령정년에 걸려 부사령관으로 가서 전역했다. [5] 다만 권영호 장군의 경우 예외적으로 해당 보직 수행후 국가안보실 국가위기관리센터장을 맡다가 본인의 동기는 대장, 2기수 후배가 중장에 오른 상태에서 이례적인 중장 4차 진급에 성공하긴 했다. [6] 나머지 중장 보직은 해병대사령관, 국군방첩사령관, 육참차장, 해참차장, 공참차장, 합참 본부장 3인, 해군작전사령관, 공군작전사령관, 육군사관학교장, 해군사관학교장, 공군사관학교장, 육군교육사령관, 해군교육사령관, 공군교육사령관, 육군미사일사령관, 육군군수사령관, 특수전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지작사 예하 군단장 6인이다. 지작사 부사령관보다 중요하지 않은 직위는 하나도 없다. [7] 이창효, 최진규가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창효는 이진성의 부사령관 발령으로 원래 이진성의 보직이었던 제8군단장으로 취임하여 군단장을 2회 역임하게 된다. [8] 조종설, 이진성이 이에 해당한다. [9] 다만 이는 현재 합참차장 보직을 육군 대장인 강호필 장군이 맡고 있기 때문에 이뤄진 조치로 보인다. 더군다나 강 차장은 합참 작전본부장도 역임했던 작전통 장군이기 때문에, 군에서는 오물 풍선 등 도발이 극심한 현 상황의 엄중함을 감안하였다고 설명했다. 손식의 부재사유가 건강 문제여서 보직이동 등으로 인한 일시적인 부재가 아닌 이유도 있었다. 이후 2024년 10월 4일 강 차장이 손식 사령관의 후임 지상작전사령관에 취임하였다. [10] 2019.01.01~2019.05 [11] 2019.05~2019.07 [12] 이진성 중장 삼척항 목선 귀순 사건으로 보직을 맞교환하였다. 군단장을 2번이나 역임한 흔치않은 사례이다. [13] 2019.07~2021.12 [14] 이창효 중장 삼척항 목선 귀순 사건으로 보직을 맞교환하였다. [15] 2021.12~2022.02 [16] 2022.02~2022.05. 정권 교체 이후 대통령실 위기관리센터장으로 근무하다 2022년 11월 이례적으로 중장 4차 진급에 성공했다. [17] 2022.05 ~ 2022.06. 정권이 교체되며 임기훈을 국방비서관으로 임명하며 후속 중장 이하 인사에서 작전본부장으로 영전하기 전까지 부사령관으로 있었다. 대장 진급 후 받은 보직도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인지라 부사령관을 두 번 맡게 되었다. [18] 2022.06 ~ 2022.12. [19] 2022.12. ~ 2023.04. 2차 보직으로 4개월 간 부사령관으로 전보된 후 이정웅이 전역하며 공석이 된 미사일전략사령관으로 이동하였다. [20] 2023.04. ~ 2023.11. [21] 2023.11. ~ 202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