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4:15:03

조선민주당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북 지역의 조선민주당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조선사회민주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종교· 보수정당
(창당) 조선민주당
(북한)



(북한)

[[조선민주당|
조선민주당
]]
(월남)

[[조선민주당|
조선민주당
]]
(월남)

[[조선민주당|
조선민주당
]]
(해산)


[[국민의당(1963년)|]]
(개별 합류)[1]

[[서북청년회|
서북청년회
]]
(개별 합류)

1. 개요2. 역사3. 관련 문서4. 둘러보기

1. 개요

조선민주당(朝鮮民主黨)은 1945년 11월 3일에 창당하여 민족주의 기독교 민주주의를 지향했으며, 1961년 5.16 군사정변 때 해산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2. 역사

1945년 11월 당수는 조만식, 부당수는 이윤영으로 하여 북한 평양에서 결성되었다. 소련 점령하의 북한의 민족주의자들이 분단이 장기간 지속되리라고 예상하지 못한 상태에서 소련군정의 허락을 받아 '조선민주당'이라는 이름으로 창당했다. '기독교자유당', 한경직 목사의 '기독교사회민주당' 등 민족주의자들의 다른 정당 창당 시도는 소련군정의 허락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좌절되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는 북한 내 민족주의자들, 민주주의자들을 대변하는 유일한 정당이 되었다. 사회경제적으로 보았을 땐 당원 기반은 주로 북한내의 개신교인, 중농, 소상공인이었다. 이 시기 조선민주당은 북한 지역의 우익세력들을 대표하는 정당이었으며 정강은 남한의 한국민주당보다도 더 보수적이었다.

창당 3개월만에 50만 당원을 확보하였으며 당 기관지로는 주간 신문 《조선민보》를 발행했다. 북에 남은 조만식 세력의 《조선민보》는 6.25전쟁 중에 북한군의 후퇴 중 정치범 학살 과정에서 조만식이 죽음을 맞이하고 그에 따라 민족주의 세력의 완전한 와해 직후 한국전쟁이 끝나며 폐간되었다.

조선민주당의 첫 당수로 선출된 조만식은 막 소련군이 진주했을 때만 해도 소련군정에 협조하려고 나름 노력했다. 창당대회 때 창당을 허락해준 소련군정에 감사인사를 하면서 소련군정이 아니었다면 조선민주당은 나타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신탁통치에 강경하게 반대하는 등 소련군정의 입맛에 맞지 않는 언행을 계속하자 창당 후 얼마 지나지 않아서 당수인 조만식은 신탁통치에 반대한다는 구실로 연금 당했고, 김일성 일파인 최용건이 조만식을 몰아내고 당권을 장악했다. 또한 그가 당권을 장악하면서 당 자체가 와해되어있어 이미 조선민주당은 당으로서의 의미를 잃은 상태였다. 하지만 조만식의 연금에도 불구하고 조선민주당은 이 때까지는 완전히 자율성을 잃지는 않았고 지역 조직이 남아 있었으며 일반 당원들은 한국 전쟁 때 반공활동을 하기도 했고 8월 종파사건 때 김일성 반대파 쪽과 연계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 때 이후로 김일성 반대파 세력은 대부분 당내에서 축출당하면서 사실상 자율적인 활동이 불가능해졌고 조선민주당은 1981년에는 당명까지 조선사회민주당으로 바꾸는 등 조선로동당의 위성정당으로 전락한다.

한편 조만식 연금 후 부당수 이윤영을 포함한 많은 당내 우파 당원들이 소련군정과 북한 정권에 협조를 거부하고 월남하여 서울에서 같은 이름의 당을 창당했다. 이에 따라 조선민주당은 남북으로 갈렸다. 당이 남북으로 갈라진 것도 모자라 남한의 조선민주당도 분열하였는데, 조선민주당 조직부장이었던 선우기성 서북청년회를 창설한 뒤 대동청년단에 합류한 것이다.

이후 명백을 잇던 조선민주당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조선민주당 부당수였으며 남한 내의 당수가 된 이윤영만이 서울특별시 종로구 선거구에서 당선되며 1석을 얻어 원내에 진입하였다. 그 이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참패하였다. 조선민주당은 조만식의 월남을 추진하고 북에서 월남한 정치인들을 지원하기도 하였으나, 정치적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고, 1961년 5.16 군사정변 때까지 존재했으나 남한 정계에서 큰 영향을 끼치진 못했다.

이윤영은 1952년 8월 조선민주당 소속으로 제3대 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1956년 5월 다시 제4대 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58년 5월 조선민주당 당수에 선임되었으나 1960년 4.19 혁명 이후 정계에서 은퇴하여 목회와 강연활동을 했고,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군정연장반대투쟁위원회 위원장, 국민의당 최고위원을 맡았다.

현재 북한에서는 조선사회민주당이 조선민주당의 명맥을 잇고 있으나, 상술했듯 최용건이 조선민주당의 당권을 장악한 이후 조선민주당은 조선로동당에 완전히 종속되었기 때문에 본래 정당과는 완전히 다른 정당이 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3. 관련 문서

4. 둘러보기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 정당
대한제국 ~ 미군정
(1897 ~ 194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공산정당 조선의 붕당
황국협회 독립협회
신민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의열단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한국독립당 대한인국민회
한국혁명당 한국독립당 대한인동지회 흥사단
신한독립당 신간회
민족혁명당 한국국민당 흥업구락부 수양동우회
경성 콤그룹 조선건국동맹 조선민족혁명당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전국평의회 건국준비위원회 조선독립동맹 한국독립당 독립촉성중앙협의회 조선민족당
조선공산당 조선인민당 남조선신민당 한국민주당 <colbgcolor=#f00000> 조선민주당
독립노농당 남조선로동당 대동청년단 조선민족청년단 청년조선총동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서북청년회
남조선로동당 사회노동당
근로인민당
진보정당 조선로동당 (남로당파) 진보정당 조선로동당 (연안파) 보수정당 / 민주당계 / 진보정당 }}}}}}}}}}}}}}}

대한민국의 종교정당
광복 ~ 현재
(1945 ~ 현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개신교 계열 불교 정당
조선민주당 중앙불교위원회
정당해산 정당해산
한국기민당
정당해산
기독성민당
정당해산 천도교 정당
안민당
자유민족당
바른나라정치연합 국태민안호국당 정당등록취소
정당등록취소 통일교 정당
한국기독당 천주평화통일가정당
정당등록취소 정당등록취소
극우 교회 중도우파 교회
기독민주복지당
사랑실천당 기독민주복지당 정당등록취소
기독사랑실천당 평화통일가정당
정당등록취소
기독자유민주당 기독사랑실천당 소형교회
기독자유민주당 한국기독당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
정당등록취소 하늘궁 정당
기독자유당 기독민주당 <colbgcolor=#4b3293> 진리대한당 그린불교연합당 개혁친허연대 (창준위)
기독당
자유통일당
대한당 불교연합당 공화당으로 합당
기독자유통일당 정당등록취소 미래자영업당으로 합당 국가혁명당
기독당 정당등록취소 국가혁명배당금당
국민혁명당 국가혁명당
자유통일당 가가호호공명선거대한당으로 변경
기독대한당
* 위성정당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제1공화국 ~ 제4공화국
(1948 ~ 1981)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정부수립 이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조선민족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노농당 일민구락부 대한청년단
대한국민당 통일노농당
대한국민당 원내자유당 원외자유당
자유당
노농당 자유당 헌정동지회
민족주의민주사회당
한국사회당
강제 해산 (5.16 군사정변)
한국독립당 재건당 국민의당으로 합류 정민회
민주공화당 정의당
신민당에 합당됨 유신정우회 정당 해산
강제 해산 (5.17 내란)
제4공화국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민주당계 }}}}}}}}}



[1] 이윤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