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23:38:15

국민의당(1963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6년에 창당된 동명의 정당에 대한 내용은 국민의당(2016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2020년에 창당된 동명의 정당에 대한 내용은 국민의당(2020년)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보수정당


(개별 합류)

(창당)

(흡수 합당)

[[민우당|
파일:민우당글자.png
]]
(개별 합류)


[[민정당|
파일:민정당 글자.svg
]]
(개별 합류)

[[조선민주당|
조선민주당
]]
(개별 합류)
파일:국민의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국민의당
공식명칭 <colbgcolor=#fff,#1F2023>국민의당 (國民의黨)
창당 1963년 9월 5일
해산 1964년 12월 12일 ( 민주당에 흡수합당)
선행조직


[[민우당|
파일:민우당글자.png
]]


[[민정당|
파일:민정당 글자.svg
]]
의석 수
2석 / 175석
당 색
금색 (#C2C247)
1. 개요2. 상세3. 역대 대표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63년 8월 1일에 민우당, 신정당이라는 가설 정당과 민주당 출신, 민정당의 일부 의원과 무소속 정치인들이 참여하여 창당준비위원회 결성을 거쳐 9월 5일에 창당된 정당이다. 1963년 제6대 국회에선 민주당(일명 '재건민주당'), 자유민주당과 함께 삼민회(三民會)라는 공동 교섭단체를 구성하였다. 1년 후 민주당과 합당한다.

2. 상세

김병로, 허정, 이범석 등이 창당에 참여하였다.

허정 1963년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출마하였다가 후보 단일화를 명분으로 민정당 윤보선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사퇴하였다. 이어 치러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지역구에서 이상철, 한건수 등 2명만 당선되었다.
파일:6대 전국구 국민의당.jpg
제6대 총선 국민의당 전국구 선거포스터

본래 그 전신인 신정당부터가 민주당계, 자유당계 및 관료 출신인 무소속계의 3파로 구성되어 있었고, 국민의당으로 개편되면서 여기에 다시 세칭 구 족청 세력으로 알려진 민우당계와 무소속계가 참여하여 이질적인 5개 파로 구성되었다. 이 때문에 두 차례의 선거에서 패배하자 그 책임 추궁을 둘러싸고 분열상을 드러냈다.

1964년 9월 17일, 민주당과의 합당을 선언한 국민의당은 같은 해 12월 12일 통합 전당대회를 통해 합당을 결의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3. 역대 대표

파일:국민의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김병로
임시
이호
제2대
허정
}}}}}}}}}}}}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초대 김병로 1963년 9월 5일 ~ 1963년 12월 5일 정계 은퇴
임시 이호 1964년 1월 7일 ~ 1964년 1월 27일
제2대 허정 1964년 1월 13일 ~ 1964년 12월 12일 민주당에 흡수합당

4. 여담

안철수가 창당한 국민의당(2016년) 또는 국민의당(2020년)과는 다르니 유의하자.

민주당계 정당으로 분류되지만 이 당의 계파를 분석하면 민주당계뿐만 아니라 자유당계를 비롯해서 과거 자유당계 중 하나였던 이범석의 족청계 및 북한 지역의 우파정당이었던 조선민주당 출신까지 다양한 세력성분을 가지고 있었다.

5. 관련 문서

민주당계 정당
제1공화국 ~ 제4공화국
(1948 ~ 1981)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정부 수립 이전
대동청년단 서북청년회 백의사 한국민주당
대한청년단
대한국민당
민주국민당
민주당
신민당 통일당 민주당
강제 해산 (5.16 군사정변)
민정당 자유민주당 민주당 국민의당
민정당 민주당
민중당
민중당 신한당
신민당
자진 해산 (신민회)
신민당 국민당
강제 해산 (10월 유신)
신민당
신민당 민주통일당
강제 해산 (5.17 내란)
제4공화국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보수정당
}}}}}}}}}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제1공화국 ~ 제4공화국
(1948 ~ 1981)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정부수립 이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조선민족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노농당 일민구락부 대한청년단
대한국민당 통일노농당
대한국민당 원내자유당 원외자유당
자유당
노농당 자유당 헌정동지회
민족주의민주사회당
한국사회당
강제 해산 (5.16 군사정변)
한국독립당 재건당 국민의당으로 합류 정민회
민주공화당 정의당
신민당에 합당됨 유신정우회 정당 해산
강제 해산 (5.17 내란)
제4공화국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민주당계 }}}}}}}}}

파일:국회휘장(6대-7대).svg 파일:1px 투명.svg 제6대 국회
원내 구성
''' 1963.12.17. ~ 1967.6.30.'''
{{{#!wiki style="margin: 3px 0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여당
110석
야당
40석
14석
9석
2석
재적
175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종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106석
야당
52석
무소속
2석
재적
160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