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22:15:06

전운

전운 관련 둘러보기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62a59> 파일:MBC 성우극회 로고.png MBC 성우극회
소속 성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성우
<colbgcolor=#262a59> 제1기 (1961) <colbgcolor=#ffffff,#191919> 남 김현직†, 맹관영, 이묵원, 정승현, 최응찬
김석옥, 김영옥, 나문희, 백수련, 정소희†, 최선자
제2기 (1965) 김성겸, 변희봉†, 이영달†, 전운†, 최병학, 현길, 홍성민†, 황일청
김유선, 김희숙, 유명옥†, 이수나
제3기 (1968) 김용건, 나성균, 이진성, 신충식, 한규희
김은영, 박소현, 안정현, 우문희, 정희선
제4기 (1970) 강성욱, 김기현, 박영지, 박일†, 윤지하, 이규연†, 한상혁
서영애, 송도영, 최방란, 한영숙
제5기 (1972) 김용식, 김태훈, 박태호, 전국근, 한인수, 심양홍
강미, 이명숙, 전임복, 홍승옥, 최은숙
제6기 (1974) 김명수, 이도련†, 이성, 탁재인
김성란, 김진숙, 양윤선
제7기 (1976) 권혁수, 김관식, 이인성, 이종오, 최상기
기경옥, 김순선, 김윤정, 박인숙†, 최성우
제8기 (1982) 곽대홍, 김기성, 박기량, 신성호, 장영린
박부이, 박영희, 오혜숙, 윤소라, 이미자, 이선주, 홍혜정
제9기 (1983) 김관철, 박영화, 이우신, 이윤연, 이종혁, 황윤걸
김정신, 김혜경, 이선호, 조향이
제10기 (1985) 김강산, 김동현, 김영훈, 손원일, 이승환
정미연, 황미영, 성유진
제11기 (1993) 신경택, 안장혁, 안지환, 양희문, 최원형
배주영, 우정신, 이승현, 정소영, 조예신, 주현영
제12기 (1994) 박조호, 변종필, 안종덕, 윤복성, 이진홍, 전수빈
강수진, 유은숙, 이영란, 임유진
제13기 (1996) 김영선, 김호성†, 엄태국, 이철용, 장성호, 최석필
박소라, 엄현정, 윤성혜, 정남
제14기 (1997) 김기철, 김민성, 김용준, 송준석, 이상범
김아영, 박선영, 오주연, 최수진, 한수림
제15기 (1999. 11.) 고성일, 노계현, 이상훈, 최한, 표영재
김서영, 김지영, 배정민, 이자옥, 채의진
제16기 (2002) 방성준, 이원찬, 정재헌
문남숙, 박신희, 조현정
제17기 (2004) 김두희, 류승곤, 양준건
유상우, 이민하, 한경화
CM 1기 (1973) 정명옥
김순자, 정부용, 최정양, 한순자
CM 2기 (1976) 박기량, 한대수
정숙경, 차영주, 문병례
CM 3기 (1979) 권영운, 신현식
김수희, 김춘방
CM 4기 (1983) 박홍식, 민응식, 김주형
박혜경
CM 5기 (1984)
송은주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KBS · PBC
※ 제명 및 소속을 옮기거나 은퇴 또는 사망한 성우는 취소선으로, 최고령 성우는 굵게, 최연소 성우는 밑줄로 표시함.
}}}}}}}}} ||

전운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TV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제16회
( 1980년)
제17회
( 1981년)
제18회
( 1982년)
신구
(입춘대길)
신구
( 옛날 나 어릴 적에)
전운
( 종점)
송재호
( 새댁, 탈출)
이정길
( 야상곡)
연극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제9회
( 1973년)
제10회
( 1974년)
제11회
( 1975년)
김성옥
(헨리8세와 그 여인들)
전운
( 키브츠의 처녀)
장민호
(성웅 이순신)
제22회
( 1986년)
제23회
( 1987년)
제24회
( 1988년)
전무송
( 고도를 기다리며)
전운
( 초승에서 그믐까지)
주호성
(술)
}}} ||
}}} ||
전운
田雲 | Jeon Woon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5032718153930003600-001.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본명 전덕 (田德)
출생 1938년 11월 3일
부산광역시 영도구
사망 2005년 3월 26일 (향년 66세)
본관 담양 전씨
가족 부인 박정순, 2남 1녀, 손녀 전보미[1]
학력 부산고등학교 (졸업)
서라벌예술초급대학 (연극영화과 / 학사)
데뷔 1959년 부산문화방송 공채 1기 성우

1. 개요2. 일생3. 작품 목록
3.1. TV 드라마3.2. 연극3.3. 영화3.4. 라디오 드라마3.5. 광고
4. 수상 경력5. 참고 자료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성우 출신 배우.

2. 일생

1938년 경상남도 부산부 영도에서 아버지 전인식과 어머니 이순녀 사이의 4대 독자로 태어났는데, 서당 훈장을 하던 부친이 부산에서 큰 음식점을 운영한 덕에 가족 모두가 여유롭게 살았다. 중학교 3학년 때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슬하에서 사춘기를 보내며 활달한 성격으로 친구들의 리더 노릇을 해왔다. 당시 가족들은 어려서부터 의사가 되라고 했지만, 본인은 선장을 꿈꾸었다고 한다.

부산고등학교 진학 후 학업보다 톨스토이의 <예술론>을 읽는 데 열중했고, 낭만을 지닌 친구들끼리 모여 김내성의 소설 <청춘극장>을 얘기하면서 장래에 연극/영화를 만들게 되면 이렇게 하면 좋겠다고 하며 토로하기도 했다. 졸업을 앞둘 적 한국해양대학교에 지원했다가 낙방했고 서라벌예술대학에 입학하여 2학년 때 결혼했고, 1959년 부산문화방송 개국 당시 1기 성우로 뽑혀서 연기에 입문했다. 1961년 상경 후 극단 '신무대실험극회'에 들어가 연극배우로 변신하여 최불암, 이철향 등과 함께 활약했고, 1963년 극단 '산하'의 창단 멤버로도 참여하며 연기 활동을 지속하다 1969년 MBC 개국 이후 본격적으로 탤런트로 변신하여 <대원군>, < 113 수사본부>, <남자의 계절>, <딸부잣집> 등지에서 종횡무진 활약했다. 그는 주로 재벌 총수 역을 많이 맡으면서도 할아버지 역할도 꽤 했고, 중후하면서도 자상한 사람 연기를 많이 했다. 1985년 극단 '성좌'를 창설한 후 1987년 한국방송문화원(현 MTM아카데미)[2]이 창설되자 초대 원장을 맡아 후학 양성에 매진했으며, 1989년에는 '동숭동 소극장'을 세우는 데 주도하기도 했다.

2003년 고혈압에 따른 뇌출혈로 쓰러진 이래 연기 활동을 멈추며 조용히 투병 생활을 해 왔고, 2004년에는 대장암까지 발견되어 통원치료를 하던 도중 2005년 3월 26일 아침 8시 30분, 경기도 고양시 일산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66세.

3. 작품 목록

3.1. TV 드라마

3.2. 연극

  • 산여인 (1963) - 환 역
  • 잉여인간 (1963) - 중년 신사 역
  • 청기와집 (1964) - 삼재 역
  • 말괄량이 길들이기 (1964) - 트레니오 역
  • 풍운아 나운규 (1965)
  • 천사여 고향을 보라 (1965) - 윌 역
  • 열대어 (1966) - 양병섭 역
  • 베케트 (1966)
  • 산불 (1966/1975)
  • 적과 흑 (1967)
  • 그래도 막은 오른다: 검사와 여선생 (1968)
  • 슬로언 씨를 즐겁게 하자 (1968)
  • 장미의 성 (1968)
  • 대수양 (1968)
  • 고독한 영웅 (1969)
  • 진흙 속의 고양이 (1969)
  • 대리인 (1969)
  • 우리 (1970)
  • 왕교수의 직업 (1970) - 왕 교수 역
  • 키부츠의 처녀 (1972) - 엘리아 역
  • 우리 여기있다 (1972)
  • 노비문서 (1973) - 이자헌 역
  • 부활 (1973)
  • 약산의 진달래 (1974) - 취객 역
  • 새야새야 파랑새야 (1974)
  • 살로메 (1976) - 헤롯 왕 역
  • 오판 (1977)
  • 님의 침묵 (1979) - 법관 역
  • 느릅나무 그늘의 욕망 (1985/1987/1990) - 에프라힘 캐봇 역
  • 초승에서 그믐까지 (1986)
  • 유도 (1988)
  • 한가위 밝은 달아 (1990) - 제작
  • 동지섣달 꽃본듯이 (1991)
  • 레미제라블 (1992)

3.3. 영화

  • 어둠속의 목격자 (1974)
  • 멋진 사나이들 (1974) - 단장 역
  • 나는 살아야 한다 (1976)
  • 오계 (1976) - 태조 문무왕 역
  • 고교 꺼꾸리군 장다리군 (1977) - 고바우 역
  • 나비소녀 (1978) - 선희의 아버지 역
  • 영원한 유산 (1980) - 심 회장 역
  • 마지막 밀애 (1980)
  • 땅울림 (1980) - 특별출연
  • 야성의 처녀 (1980)
  • 가슴깊게 화끈하게 (1981)
  • 이런 여자 없나요 (1981)
  • 깨소금과 옥떨메 (1982)
  • 경아의 사생활 (1983)
  • 깊고 깊은 그곳에 (1984)
  • 화평의 길[3] (1984)
  • 욕망의 거리 (1986)
  • 학창보고서 (1987)
  • 청춘시대 (1988)
  • 밀월 (1989) - 서 사장 역
  •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1989) - 교장 역
  • 코리안 커넥션 (1990) - 반장 역
  • 너에게로 또다시 (1991) - 장 의원 역
  • 가진것 없소이다 (1992)
  • 러브 스토리 (1996) - 수인의 아버지 역
  • 위험한 표정[4] (연도 미상) - 수사과장 역

3.4. 라디오 드라마

  • 인생극장: 사랑과 절망의 그늘에서 (1961, MBC) - 박 서방 역
  • 예술극장: 꼬리섬에 밀려온 물결 (1962, MBC) - 석준 역
  • 떠날때는 말없이 (1964, DBS)
  • 새남터의 북소리 (1967, MBC)
  • 복녀 돌아오다 (1970, MBC)
  • 특별수사본부 (1970~1976, DBS) - 수사반장 역
  • 여성실화극: 나혜석 (1974, MBC)
  • 이성계 (1974, TBC)
  • 소년옹고집 (1976, KBS) - 옹고집
  • 형사반장: 별을 따는 아가씨 (1977, MBC)
  • 아리랑 아라리요 (1986, MBC)

3.5. 광고

  • 대한전선 디제로 텔레비젼 (1976)
  • 한국바이엘제약 탈시드 (1980)
  • 대일화학 네오파스 (1982)
  • 동아제약 하노백 (1983~1988)
  • 현대자동차 포니엑셀/프레스토 (1986, 변희봉과 공동출연)
  • 삼립식품 삼립 중화라면 (1991)
  • 한냉 (1992)
  • 녹십초 키토산 (1998)

4. 수상 경력

  • 제7회 동아연극상 남자연기상 (1971, 왕교수의 직업)
  • 제9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남자연기상 (1973)
  • 제2회 MBC배 탤런트부문 최우수연기상 (1975, 효자문)
  • 제17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연기상 (1981, 종점)
  • 제23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남자연기상 (1987)

5. 참고 자료

6. 관련 문서



[1] 1987년 5월 5일 생이며, 2009년 영화 < 킹콩을 들다>로 본격 데뷔한 이래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2] 설립자는 배우 출신인 김민성이며, 2003년에 서울종합예술실용학교도 세웠다. [3] 당시 50세의 지금보다는 훨씬 젊은 이순재와 29살의 앳된 모습의 김해숙도 출연했다. [4] 국방부 국방홍보원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