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
1951 김용식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김용배 육군준장 |
1951 박노규 육군준장 |
1951 김백일 육군중장 |
1951 김홍일 육군중장 |
1951 함준호 육군중장 |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
1951 최용남 해병소장 |
1951 김성은 해병중장 |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
1952 이형근 육군대장 |
1951 권동찬 육군준장 |
1952 김종오 육군중장 |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
1953 장덕창 공군중장 |
1953 최용덕 공군중장 |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
1953 김교수 육군대위 |
1953 김한준 육군대위 |
1953 김용배 육군대장 |
1953 민기식 육군대장 |
1953 임충식 육군대장 |
1953 한신 육군대장 |
1953 김점곤 육군소장 |
1953 이성가 육군소장 |
1953 이용문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
1953 김동빈 육군중장 |
1953 김종갑 육군중장 |
1953 백인엽 육군중장 |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
1953 유재흥 육군중장 |
1953 최영희 육군중장 |
1953 함병선 육군중장 |
1953 최치환 총경 |
1954 김만술 육군대위 |
1954 허봉익 육군대위 |
1954 김경진 육군중령 |
1954 김웅수 육군소장 |
1954 송석하 육군소장 |
1954 엄홍섭 육군소장 |
1954 임선하 육군소장 |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
1954 김옥상 육군일병 |
1954 조재미 육군준장 |
1954 안낙규 육군중사 |
1954 박병권 육군중장 |
1954 이응준 육군중장 |
1954 이준식 육군중장 |
1954 장도영 육군중장 |
1954 최석 육군중장 |
1954 최창언 육군중장 |
1954 박옥규 해군중장 |
1954 김석범 해병중장 |
1955 김창룡 육군소장 |
1955 정긍모 해군중장 |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
1960 미군무명용사 -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
1961 국군무명용사 - |
1964 박정희 대통령 |
1966 이종세 육군상사 |
1966 강재구 육군소령 |
1966 이인호 해병소령 |
1967 송서규 육군대령 |
1967 채명신 육군중장 |
1967 지덕칠 해군중사 |
1967 정경진 해병대위 |
1967 신원배 해병소위 |
1968 최규식 경무관 |
1968 이익수 육군준장 |
1968 최범섭 육군중령 |
1970 이세호 육군중장 |
1972 이무표 육군대위 |
1972 임동춘 육군대위 |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
1980 육군대장 |
2002 장철부 육군중령 |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
2011 조달진 육군소위 |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명수 李明守 |
|
출생 | 1927년 7월 28일 |
일제강점기 강원도 양양군 | |
사망 | 2015년 1월 5일 |
군사 경력 | |
복무 | 병 |
1946년 ~ 1950년 | |
하사관 | |
1950년 ~ 1954년 | |
장교 | |
1954년 ~ 1963년 | |
최종 계급 | 중위 |
참전 | 6.25 전쟁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사병 계급[1] 최초로 태극무공훈장을 수훈받은 군인으로 2016년 7월 이달의 6.25 전쟁영웅으로 선정되었다.2. 생애
1927년 6월 19일 강원도 양양에서 태어났다. 중학 과정을 독학으로 마치고 자원하여 1946년 10월 군에 입대하였다. 그는 사병으로 입대하여 제8연대 3대대 9중대에 배치되었으며 6·25전쟁이 일어나기 불과 몇 달 전 제대하였다.이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일등상사로 임용되어 국가의 재소집 응하여 제3사단 22연대 3대대 12중대 2소대장 대리로 복무하였다.
한창 국군 파죽지세로 밀리던 와중 이명수 일등상사는 1950년 북한군의 경북 포항 진격을 막기 위한 작전에 긴급 투입됐다. 저지 임무를 부여받은 국군 제3사단은 포항 북쪽의 영덕과 강구 중간지점의 요충지인 181고지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였으나, 북한군 전차로 인해 임무는 번번이 실패로 돌아갔다.
이에 7월 28일 이명수 일등상사를 중심으로 12명의 특공대가 선발되어, 단지 몇 발의 수류탄과 소총을 가지고, 야밤에 맨몸으로 기습, 전차 위로 올라가 안으로 수류탄을 투척해 고지를 점령한 3대의 전차를 폭파시키는 전과를 올렸다. 목숨을 건 이명수 일등상사 외 12명의 특공대원들의 활약으로 북한군의 포항 진격에 차질을 주었고, 2주일 이상 포항 진출이 지연됨으로써 유엔군의 낙동강 방어선 형성에 큰 기여를 하였다.
1951년 7월 26일 이명수 일등상사는 사병으로서는 건군 이래 최초로 군인 최고의 영예인 태극무공훈장을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수여받았다. 이후 1954년 장교를 지원해 육군소위로 제6군단 수송중대장 등을 지냈으며, 1963년 전상의 후유증으로 육군 중위로 전역하였다.
이후 육군 제3사단은 그를 부대혼 정신의 상징적 인물로 추앙하고 있으며, 2013년 일대기를 담은 자서전 '인민군 전차를 딛고 선 영원한 일등상사'라는 책도 출간되었다. 2015년 1월 5일 노환으로 별세하여 중위 이하의 계급 최초 육군장으로서 장례가 치루어졌다. #
[1]
1946∼1962년까지 병(이등병·일등병)과 하사관(하사·이등중사·일등상사·특무상사) 계급을 통칭해 사병이라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