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7 19:37:57

율리아나 여왕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b1646, #a41b54 20%, #a41b54 80%, #8b1646);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오라녀나사우 왕조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빌럼 1세 빌럼 2세 빌럼 3세 빌헬미나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율리아나 베아트릭스 빌럼알렉산더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4년 네덜란드 가톨릭방송 KRO가 네덜란드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네덜란드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핌 포르튀인 빌럼 1세 판 오라녀 빌럼 드레이스 안토니 판 레이우엔훅 에라스뮈스
6위 7위 8위 9위 10위
요한 크루이프 미힐 더라위터르 안네 프랑크 렘브란트 하르먼손 판 레인 빈센트 반 고흐
11위~10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알레타 제이콥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안니 M.G. 슈미트 율리아나 여왕 요한 루돌프 토르베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알리다 보스하르 안톤 필립스 프레디 하이네켄 하니 스하프 빌헬미나 여왕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바뤼흐 스피노자 툰 헤르만 클라우스 폰 암스베르크 요한 판 올덴바르네펠트 마르코 반 바스텐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피트 피에테르손 헤인 요프 덴 아윌 얀 리흐워터 파니 블랑커스쿤 Van Kooten en De Bie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후고 그로티우스 요한 드 위트 안토니 포커 에뒤아르트 데커르 리페비스터펠트의 베른하르트 공자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빔 코크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스허르 마르코 보르사토 에릭 하젤로프 로엘프제마 티에스토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베아트릭스 여왕 티투스 브랜즈마 코르넬리스 렐리 한스 테이우언 조셉 륀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레온티엔 반 무어셀 빌럼 요한 콜프 홋프리트 보만스 헨드릭 A. 로런츠 아벌 타스만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요프 반 덴 엔데 안드레 판 다윈 유스트 반 덴 본델 리누스 미헬스 미스 보우만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빌럼 바렌츠 페르디난드 도멜라 뉴엔하이스 뤼트 뤼버르스 얀 틴베르헌 빔 소네벨트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조크 스미트 프리츠 볼케스테인 히에로니무스 보스 조니 크라이캄프 마르하 클롬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요하네스 베르메르 딕 브루너 알베르트 프레스만 요프 주테멜크 헬라 하세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토마스 아 켐피스 윌리엄 3세 케누 시몬스도흐터 하셀라에르 요하네스 디데릭 판데르 발스 부보 오켈스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안나 마리아 반 슈 헤르만 부르하버 루드 굴리트 모니크 판더 프레이크 드 존지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안톤 피에크 바우더베인 드 그루트 윌렘 프레데릭 헤르만 피터르 옐러스 트룰스트라 알베르트 헤인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폴 드 리우 자크 P 티세 얀 볼커르스 피트 몬드리안 시몬 스테빈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하윌라우머 흐룬 판 프린스테러르 륏허르 하우어르 하리 뮐리스 아브라함 카이퍼 마르턴 트롬프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빔 칸 폴 버호벤 이자벨 드 샤리에르 람세스 샤피 아베 렌스트라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colbgcolor=#a41b54><colcolor=#fff>
네덜란드 제5대 여왕
율리아나
Juliana
파일:Prinses_Juliana_1981.jpg
출생 1909년 4월 30일
네덜란드 헤이그 노르트아인더 궁전
사망 2004년 3월 20일 (향년 94세)
네덜란드 바른 수스트데이크 궁전
재위기간 네덜란드 여왕
1948년 9월 4일 ~ 1980년 4월 30일
서명 파일:율리아나 여왕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41b54><colcolor=#fff> 가문 오라녀나사우 가문
이름 율리아나[1] 루이세 에마 마리 빌헬미나
(Juliana Louise Emma Marie Wilhelmina)
아버지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하인리히 공작
어머니 빌헬미나 여왕
배우자 리페비스터펠트의 베른하르트 공자 (1937년 결혼)
자녀 베아트릭스 여왕, 이레너, 마르흐릿, 크리스티나
종교 개신교 ( 네덜란드 개혁교회) }}}}}}}}}

1. 개요2. 생애3. 가족 관련 사건사고4. 가족관계
4.1. 조상4.2. 자녀
5. 여담

[clearfix]

1. 개요

네덜란드 제5대 국왕. 태어나기 전에 어머니가 유산을 두 번이나 하고 오빠를 사산한 적이 있어서 그런지 부모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

덴마크 알렉산드리네 왕비[2], 독일 제국 체칠리에 황태자비[3]와 친사촌간이다.

2. 생애

6살 때부터 헤이그의 노어딘데 궁전에서 3명의 또래 귀족 여자 어린이들과 함께 초등교육을 받았는데, 이는 교육자 얀 리그타르트(Jan Ligthart)의 조언에 따른 것이다. 1922년, 궁전 내 5학년 교실에서 네덜란드 헌법이 18세까지 왕위를 계승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명시했기 때문에, 율리아나의 교육은 일반적인 아이들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었다. 초등교육 과정을 5년 만에 마치고, 과외 교사들로부터 (대학 이전 수준의) 중등 교육을 받았다. 성인이 된 후에는 레이던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1937년 2살 연하의 구왕족 출신 리페의 베른하르트와 결혼하여 4명의 딸을 낳았다. 다만 베른하르트는 결혼 생활 중에 외도를 하여 사생아 딸 2명을 두었다. 독일이 침공하자 율리아나 공주 일가는 만일을 위해 영국에 있던 빌헬미나 여왕과 떨어져 캐나다로 피난했다.

1948년 9월 4일 어머니 빌헬미나에게 양위받아 네덜란드의 여왕이 되었고 1949년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승인했다. 1953년 1월 31일 북해에서 대홍수가 일어나 1,836명이 사망하는 재앙이 일어나자 사태 수습에 진력했다.

본인도 1980년 4월 30일 큰딸 베아트릭스에게 양위했는데 2004년 사망하였고 남편 베른하르트도 같은 해 12월에 사망하였다.

공교롭게도 사망 1일 후에 증손자 클라우스 왕자[4]가 태어났다.
장례식 거행 영상.

3. 가족 관련 사건사고

재위 중에 가족과 관련된 사건사고가 많았다. 먼저 막내딸 크리스티나 공주의 시력 문제[5] 때문에 베른하르트 공이 1948년 궁정에 소개한 '신앙치료사' ' 흐레이트 호프만스(Greet Hofmans)'(1894-1968)라는 여자가 있었는데 여왕의 최측근이 되어 부부 문제에 간섭하거나 평화주의 사상을 여왕에게 주입시키려고 하는 등[6] 여왕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8년 후에는 궁정이 두 파벌(여왕+호프만스 vs 베른하르트 공+자녀들)로 나뉘다시피 했다. (호프만스를 처음 소개하긴 했지만 반대로 틀어진 베른하르트 공이 흘린 듯한) 슈피겔지의 보도(1956.6.13)가 파문을 일으키고 이에 빌럼 드레이스(Willem Drees) 내각이 위원회를 결성해 호프만스를 궁정에서 추방함으로써 8년 간의 위기가 일단락된다.

그리고 1963년~ 1964년 둘째딸 이레네 공주의 부르봉-파르마 공 카를로스 우고와의 결혼 문제 때문에 홍역을 치렀고[7] 1965년에는 후계자 베아트릭스 공주의 결혼 문제[8] 때문에 또 한 번 여론이 험악해졌다가 빌럼알렉산더르가 태어나고 나서 겨우 진정되었다.

1970년대에는 남편 베른하르트 공이 록히드 사건 연루 의혹을 받기도 했다.

4. 가족관계

4.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율리아나 여왕
(Juliana)
<colbgcolor=#fff3e4,#331c00>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하인리히 공작
(Duke Henry of Mecklenburg-Schwerin)
<colbgcolor=#ffffe4,#323300>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 프리드리히 프란츠 2세
(Frederick Francis II, Grand Duke of Mecklenburg-Schwerin)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 파울 프리드리히[9]
(Paul Frederick, Grand Duke of Mecklenburg-Schwerin)
프로이센의 알렉산드리네 공주[10]
(Princess Alexandrina of Prussia)
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의 마리 공녀
(Princess Marie of Schwarzburg–Rudolstadt)
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의 아돌프 공자
(Prince Adolf of Schwarzburg–Rudolstadt)
존부르크발덴부르크의 마틸데 공녀
(Princess Matilda of Schonburg–Waldenburg)
빌헬미나 여왕
(Wilhelmina)
빌럼 3세
(William III)
빌럼 2세
(William II)
러시아의 안나 파블로브나 여대공[11]
(Grand Duchess Anna Pavlovna of Russia)
발데크피르몬트의 공녀 에마
(Emma of Waldeck und Pyrmont)
발데크피르몬트 공 게오르크 빅토어
Prince George Victor of Waldeck und Pyrmont)
나사우의 헬레네 공녀
(Princess Helena of Nassau)

4.2.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1녀 베아트릭스 여왕
(Queen Beatrix)
1938년 1월 31일 클라우스 폰 암스베르크
슬하 3남[12]
2녀 이레네 공주
(Princess Irene)
1939년 8월 5일 파르마 공작 카를로스 우고[13]
슬하 2남 2녀
3녀 마르가레트 공주
(Princess Margriet)
1943년 1월 19일 피터 반 볼렌호벤
슬하 4남
4녀 크리스티나 공주
(Princess Christina)
1947년 2월 18일 2019년 8월 16일 호르헤 페레스 이 기예르모[14]
슬하 2남 1녀

5. 여담

  • 셋째 딸 마르가레트의 출생이 파란만장했다. 율리아나는 공주 시절에 셋째를 임신했는데, 이 때가 2차 대전 중이어서 캐나다로 망명을 가야 했고 임신 중이던 아이는 캐나다에서 태어날 확률이 높았다. 문제는 당시 캐나다에 적용되던 영국 국적법(캐나다 국적법은 1947년에 도입, 그 전까지 캐나다인은 영국 국적)은 출생지주의가 원칙이었던 반면, 네덜란드는 혈통주의를 원칙으로 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캐나다에서 태어날 율리아나의 셋째 아이는 네덜란드- 영국 이중국적자가 될 예정이었는데, 네덜란드 왕위계승법은 이중국적자의 계승을 금지한다. 태어날 아이가 딸이면 이미 언니가 둘이나 있으니 문제가 되지 않지만, 아들이면 당시 아들을 우선하던 네덜란드 왕위 계승법에 의해 두 누나보다 계승 서열이 앞서는 동시에 이중국적자라서 계승권을 상실하는 복잡한 문제가 발생할 상황이었다. 이에 캐나다 의회는 '율리아나 공주가 입원한 오타와 시민병원 산부인과병동의 병실 4칸에 캐나다의 주권이 미치지 않는다'는 특별법을 가결했다. 이렇게 되면 해당 병실에 캐나다 법률이 미치지 못해 네덜란드의 속인주의가 적용되기 때문이었다. 이런 과정을 거친 뒤 1943년 1월 19일에 태어난 아이가 마르가레트 공주다. 그녀의 탄생 이후 해당 특별법은 철폐되었다. 종전 후 네덜란드는 이 때의 보답으로 오타와에 튤립 구근 10만 개를 선물했고 그 다음 해 다시 2만 개, 또 그 후로도 매년 1만 개의 튤립 구근을 계속해서 선물했다. 이후 오타와에서는 이걸 밑천 삼아서 1953년부터 튤립 축제를 열고 있다.


[1] 네덜란드어 발음은 [ˌjyliˈjaːnaː\]에 가까우나 관용적으로 율리아나로 표기한다. [2] 크리스티안 10세의 왕비, 첫째 큰아버지 프리드리히 프란츠 3세의 첫째딸이다. [3] 빌헬름 황태자의 황태자비, 알렉산드리네 왕비의 여동생이다. [4] 외손자 콘스탄테인 왕자의 장남 [5] 율리아나 여왕이 임신 중 풍진을 앓았기 때문 [6] 당시는 냉전 시대였고 네덜란드는 NATO 가맹국이었다. 왕실에서 자녀의 건강 문제로 들어온 돌팔이가 궁정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단 점에서 네덜란드판 그레고리 라스푸틴이라는 반응도 많았다. [7] 개신교 국가인 네덜란드에서 군주의 딸이 가톨릭 교도와 결혼한다는 것과 카를로스 우고가 그냥 가톨릭 교도 A가 아니라 스페인 왕위를 주장하는 카를리스타의 당시 수장인 하비에르의 장남이었다는 것이 문제였다. 결국 개종하고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면서 결혼하여 2남 2녀를 낳았지만 1981년에 이혼했다. [8] 독일 출신의 신랑감 클라우스 폰 암스베르크 나치 소년단 가입 의혹 [9] 파벨 1세의 외손자이다. [10]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3녀이다. [11] 파벨 1세의 6녀이다. [12] 빌럼알렉산더르, 요한 프리소, 콘스탄테인 [13] 1981년 이혼 [14] 1996년 이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