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11:28:40

유니콘 기업

유니콘기업에서 넘어옴

세계 기업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민국
대기업 준대기업
일본 미국 중국
대기업 대기업 중앙 관리 기업
독일 영국 프랑스
대기업 대기업 대기업
전 세계
다국적 기업
공기업 사회적 기업 스타트업 비상장 기업 유니콘 기업 블랙 기업 /
화이트 기업
}}}}}}}}}

1. 개요2. 기업가치3. 역사4. CBINSIGHTS 기준 순위5. 대한민국
5.1. 주요 엑싯 기업5.2. 여담

1. 개요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1] 비상장 스타트업을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카길 코크 인더스트리 등 유서가 깊은 비상장기업은 집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스타트업이 상장 전에 기업 가치 1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하는 것은 상상 속에서나 존재하는 유니콘과 같이 희귀하다는 의미로 2013년 벤처 투자자 에일린 리가 처음 사용했다. 기업가치가 100억 달러 이상의 스타트업은 데카콘(decacorn)[2][3] 이라 부르며, 기업가치가 1천억 달러 이상[4]인 스타트업은 헥토콘(hectorcorn)이라 부른다.
이외에도 보편적이지는 않지만, 차차 쓰이고 있는 용어로, 10억 달러 미만의 스타트업을 뜻하는 미니콘(mincorn), 가까운 미래에 유니콘이 될 가능성이 높은 스타트업을 뜻하는 순이콘(soonicorn)이 있다.

페이스북, 우버, 에어비앤비 등의 기업이 대표적인 유니콘 기업 출신 상장기업들이다.

2. 기업가치

스타트업의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식적인 문서에 쓰이는 기업 가치는 투자자로부터 실제로 투자를 유치했을 때 인정받은 가치를 기준으로 정해진다. 한두 푼도 아니고, 수십~수천억 원을 투자하는 데 투자자들이 누구보다 치밀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기업 가치 평가는 시장의 잠재 규모와 시장 점유율, 매출 증가율, 기술 혁신성으로 인한 높은 부가가치, 경영진의 비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행된다.

만성 적자 상태인데다 매출도 기업 가치의 10% 수준도 안되는 스타트업들이 상당수이다. 기업 가치는 매출과 수익만으로 정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매출과 수익이 안정적으로 발생하는 기업이라면 창업자 지분을 희석시키면서까지 외부 투자를 받으며 자본을 조달할 이유가 덜할 것이다.

3. 역사

iPhone의 등장 이후 모바일 시장이 급격하게 팽창한 덕분에 유니콘 기업들이 우후죽순 등장하기 시작하며, 본 의미도 퇴색되기 시작했다.

2022년 각국 중앙은행에서 과한 유동성으로 인해 발생한 고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대폭 인상하자 경기 둔화가 찾아오고 벤처 캐피털 자금이 묶이면서 기업가치가 대체로 크게 하락했다. 대표적으로 헥토콘 기업이었던 3위 SHEIN과 4위 스트라이프는 각각 34%, 42% 하락한 금액에 신규 자금을 조달 받았다. 이는 모바일 시대가 도래한 이후 10여년만에 맞은 첫 번째 위기였다.

2023년 들어서는 ChatGPT NVIDIA로 대표되는 언어모델, 생성형 인공지능, 인공지능 칩 인공지능 시장의 본격적인 발전과 더불어 물가가 진정되면서 긴축이 마무리되어 업계의 반등이 시작되었다.

4. CBINSIGHTS 기준 순위

<colbgcolor=#5e045d> 순위 기업명 기업가치
(USD)
비고
<colcolor=#fff> 1 파일:중국 국기.svg 바이트댄스 2,250억
2 파일:미국 국기.svg 스페이스X 2,100억
3 파일:미국 국기.svg OpenAI 1,570억
4 파일:중국 국기.svg SHEIN 660억 [5]
5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라이프 650억
7 파일:영국 국기.svg 레볼루트 580억
6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터브릭스 430억
7 파일:영국 국기.svg 체크아웃닷컴 400억
8 파일:미국 국기.svg 파나틱스 310억
9 파일:호주 국기.svg 캔바 254억
10 파일:미국 국기.svg Chime 250억
11 파일:미국 국기.svg 에픽게임즈 225억
12 파일:중국 국기.svg 샤오홍슈 200억
13 파일:미국 국기.svg Miro 175억
14 파일:미국 국기.svg Anthropic 161억
15 파일:중국 국기.svg 위안푸다오 155억
16 파일:중국 국기.svg DJI 150억
16 파일:미국 국기.svg 디스코드 150억
16 파일:미국 국기.svg 고퍼프 150억
16 파일:중국 국기.svg 위안치선린 150억
16 파일:미국 국기.svg 리플 150억
21 파일:미국 국기.svg 플레이드 135억
22 파일:미국 국기.svg 오픈씨 133억
23 파일:독일 국기.svg 셀로니스 130억
23 파일:미국 국기.svg Grammarly 130억
25 파일:미국 국기.svg 디보티드 헬스 129억
26 파일:미국 국기.svg Faire 126억
27 파일:미국 국기.svg Brex 123억
28 파일:미국 국기.svg JUUL 120억
28 파일:중국 국기.svg 비트메인 120억
28 파일:미국 국기.svg GoodLeaps 120억
28 파일:중국 국기.svg XingSheng Selected 120억
28 파일:미국 국기.svg Deel 120억
33 파일:미국 국기.svg 에어테이블 117억
34 파일:인도 국기.svg 바이주스 115억
<rowcolor=#fff> 전체 1,232곳 3조 8,410억
2024년 4월 기준 #

5. 대한민국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FFF><colcolor=#000,#FFF>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유니콘 기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옐로모바일 로고.svg 파일:위메프 로고.svg 파일:야놀자 로고.svg
파일:토스(금융) 로고.svg 파일:토스(금융) 로고 화이트.svg 파일:무신사 로고.svg 파일:무신사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이프로젠 로고.svg
파일:컬리 로고.svg 파일:티몬 로고.svg 파일:티몬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두나무 로고.svg
파일:리디주식회사 로고.svg 파일:당근(플랫폼) 로고.svg 파일:빗썸 로고.svg
파일:오늘의집 로고.svg 파일:오늘의집 로고 화이트.svg 파일:직방 로고.svg 파일:여기어때 로고.svg
파일:APR 로고.svg 파일:APR 로고 화이트.svg 파일:Tridge_로고.svg 파일:IGAW_logotype_rgb_color.png
L&P코스메틱 GP클럽 A사(기업명 비공개)
기준: 중소벤처기업부 발표 2022 국내 유니콘 기업 및 2023년 언론 보도 현황
}}}}}}}}} ||



2022년 2월,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국내 유니콘기업은 총 18개다. 추가적으로 과거 유니콘 기업이었으나 상장 등의 이유로 현재는 유니콘 기업에서 제외된 9개의 기업도 같이 발표하여, 중소벤처기업부 공식 인증 역대 국내 유니콘 기업은 27개사로 확인되었다.

이 중 CB Insights에서 인정하는 유니콘 기업은 14개사로, 비바리퍼블리카($74억)·옐로모바일($40억)·컬리($33억)·위메프($23.4억)·무신사($22억)·직방($15.5억)·버킷플레이스($14.0억)·리디($13.3억)·지피클럽($13.2억)·엘앤피코스메틱($11.9억)·쏘카($10.7억)·에이프로젠($10.4억)·두나무·야놀자(이상 $10억)가 해당한다. 비공개 A사, 투자사에서 구체적으로 기업가치를 밝히지 않은 빗썸코리아·티몬에 더하여 당근마켓까지 총 4개사가 제외되었다.

데이터플랫폼 기업인 아이지에이웍스는 중기부 유니콘 명단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CB Insights 명단에는 포함되었다. 아이지에이웍스를 포함한 CB Insights 국내 유니콘 기업은 총 15개다.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은 2023년 현재 중기부 유니콘 명단이나 CB Insights를 통한 리스트에 등재되어있지는 않으나, 기업가치 1조원으로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유니콘 기업으로 올라섰다. 최근엔 스타트업 기업 DB가 집대성된 혁신의 숲에 유니콘 기업으로 등재됐다.
중소벤처기업부 발표 2022 국내 유니콘 기업
기업명 대표 브랜드 최근 기업가치 CB Insights 등재 시기 2021년 매출액
두나무 업비트, 증권플러스 7.2조 원 $10억 2021.07. 3조 7,046억 원
여기어때컴퍼니 여기어때 1.2조 원 $10억 2022.10. 2,049억 원
야놀자 야놀자 6.8조 원 $10억 2019.06. 3,748억 원
비바리퍼블리카 토스, 타다 $74억(8.2조 원) $74억 2018.12. 7,808억 원
옐로모바일 피키캐스트, 쿠차 $40억(4.8조 원) $40억 2014.11. 2,508억 원[6]
컬리 마켓컬리 1.9조 원 $33억 2021.07. 1조 5,614억 원
당근마켓 당근 $24.7억(3조 원) - 2021.08. 257억 원
빗썸코리아 빗썸 0.8조 - 2022.02. 1조 99억 원
무신사[7] 무신사 $18.9억(2.27조 원) $22억 2019.11. 4,667억 원
L&P코스메틱 메디힐 $14.8억(1.78조 원) $11.9억 2016.01. 2,642억 원
버킷플레이스 오늘의집 $14.0억(1.8조 원) $14.0억 2022.05. 1,176억 원
GP클럽 JM 솔루션 $13.2억(1.58조 원) $13.2억 2018.10. 5,355억 원
리디 리디, 만타(Manta) $12.3억(1.6조 원) $13.3억 2022.01. 2,038억 원
에이프로젠 GS071 $10.4억(1.25조 원) $10.4억 2019.05. 263억 원
직방 직방 $9.0억(1.1조 원) $15.5억 2021.06. 559억 원
A사[8] 불명(도·소매업) 불명 - 불명 불명

5.1. 주요 엑싯 기업

기업명 대표 브랜드 최근 기업가치[9] 등재 시기 제외 시기 2021년 매출액
쿠팡 쿠팡 $304억(40.9조 원) 2014.05. 2021.03.11.[뉴욕거래소] 20조 8,813억 원
크래프톤[11] 배틀그라운드, 비트윈[12] $92.3억(12.4조 원) 2017.10. 2021.08.10.[유가증권시장] 1조 8,863억 원
하이브[14] 위버스 $56.7억(7.6조 원) 2019.06. 2020.10.15.[유가증권시장] 1조 2,559억 원
넷마블[16] 모두의마블, 세븐나이츠 $41.9억(5.6조 원) 2011.11.17.[17] 2017.05.12.[유가증권시장] 2조 5,069억 원
펄어비스 검은사막 $27.3억(3.7조 원) 2015.12. 2017.09.14.[코스닥] 4,038억 원
카카오게임즈 오딘: 발할라 라이징 $31.4억(4.2조 원) 2018.05. 2020.09.10.[코스닥] 1조 125억 원
우아한형제들 배달의민족 $40억(4.75조 원)[21] 2014.12. 2020.12.28.[22] 2조 88억 원
쏘카 쏘카 $6.4억(8,607억 원) 2020.10. 2022.08.22.[유가증권시장] 2,890억 원
더블유게임즈 더블유카지노 $5.5억(7,387억 원) 2015.06. 2015.11.04.[코스닥][25] 6,241억 원
잇츠한불 잇츠스킨 $2.5억(3,421억 원) 2015.10. 2015.12.28.[유가증권시장] 1,402억 원

이 중 CB Insights에서 인정했던 유니콘 기업은 우아한형제들·CJ게임즈·쿠팡·크래프톤·쏘카이다.

넷마블과 카카오게임즈는 대기업에서 분사한 기업이기 때문에 유니콘 기업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시각이 존재한다. 실제로 그동안 국내 언론 등에서는 국내 1호 유니콘 기업을 쿠팡으로, 2호를 옐로모바일로 칭해왔으나, 중기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넷마블(舊 CJ게임즈)이 1호 유니콘 기업이 되어야 한다.[27] 다만, 이는 CB Insights의 자료를 참고로 하여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5.2. 여담

국내 1세대 유니콘 기업인 옐로모바일은 실적부진으로 인하여 기업 가치가 많이 하락했고, 현재는 유니콘 기업에서 제외되기도 한다. 실제로 2019년 2월 문재인 대통령 초청 하에 청와대에서 열린 '혁신벤처기업인 간담회'에서 당시 기준 6개의 유니콘 기업 대표 중 유일하게 초청받지 못했다. DART에 공시된 연결재무제표에 따르면 옐로모바일의 매출은 2017년 5,106억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18년 4,699억, 2019년 2,508억으로 급감하였다. 또한 2015~2019 5년간 매출액은 1조 9878억 원이었으나, 총포괄손익은 4,682억 원 적자를 기록하였다.[28]

브랜드 젠틀몬스터로 유명한 아이아이컴바인드는 구주 투자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1조 2000억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으나 아이아이컴바인드측과 투자사가 CB insights에 자료를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함에 따라 유니콘 기업 선정에서 누락되면서 중소벤처기업부의 유니콘 기업 발표에서도 빠지고 있다. #

2021년 두나무의 매출액은 3조 7,046억 원, 영업이익은 3조 2,714억 원으로, 88.3%라는 믿기 힘든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빗썸코리아 역시 매출액은 1조 99억 원, 영업이익은 7,821억 원으로, 업비트보다는 낮지만 77.4%라는 비현실적인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에이프로젠은 바이오시밀러를 만드는 제약 회사로, GS071은 에이프로젠이 만드는 바이오시밀러 제품 중 하나이다.

쿠팡은 뉴욕거래소 상장 당일에 장중 시가총액이 130조 원 이상까지 기록하였으나, 이후 주가가 꾸준히 하락하며 2022년 6월 27일 기준 약 29조 원까지 가치가 내려온 상황이다.-론스타의 복수다 이놈들아-

트릿지(Tridge)는 한국에 위치한 글로벌 농축수산물 거래 플랫폼으로서 최근 시리즈D 투자를 유치하면서 국내 농식품 분야 스타트업 중 최초로 유니콘에 등극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

국내 1위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사(MSP) 메가존클라우드가 2022년 4월 15일 5,000억 원 이상 규모의 시리즈C 투자를 유치하며 기업가치를 2조 원 이상 인정받았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

한국의 뷰티테크 기업인 APR은 뷰티 디바이스 사업의 급성장과 함께, 2023년 3월 14일 7,000억원 프리IPO # 성공에 이어, 6월에는 CJ온스타일로부터 기업가치 1조 밸류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 이에, 유니콘 기업에 등극했다는 기사가 보도된 바 있다.
[1] 한화로 약 1조 3,000억 원이지만, 국내에서는 통상적으로 기업 가치 1조 원 이상의 기업을 지칭한다. [2] 유니콘의 uni-가 1을 뜻하는 것과 같이 10을 뜻하는 접두사 deca-와 유니콘을 의미하는 접미사 -corn을 합쳐 만든 말이다. [3] 일부 매체에서 유니콘과 같이 데카콘을 신화 또는 유례를 알 수 없는 이야기 속 상상의 동물에 비유했다고 설명하지만, 이는 잘못된 정보로 유니콘과 달리 데카콘이라는 상상의 동물은 없다. 데카콘을 맨처음 언급한 블룸버그에서도 10조 원 이상의 가치를 이룬 기업들의 경이로움을 설명하며 이 기업들의 업적은 유니콘을 넘어 뿔 열 개 달린 데카콘이라는 새로운 가상의 동물까지 만들어냈다라 평한 것이 전부이다. [4] 대략 122조 원. [5] 2023년 5월, 660억 달러 기업 평가를 받으며 20억 달러를 조달 받았는데 이는 기존 1,000억 달러에서 30% 이상 하락한 수준이다. [6] 2019년 매출액. 2020년, 2021년 재무제표는 공개하지 않음. [7] 舊 그랩 [8] 기업명 비공개 [9] 상장기업은 2022년 8월 22일 종가를 기준으로 함. [뉴욕거래소] [11] 舊 블루홀 [12] 원래 타다 서비스를 만든 VCNC의 서비스였으나, 2021년 5월에 인수. [유가증권시장] [14] 舊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유가증권시장] [16] 舊 CJ 게임즈 [17] CJ ENM에서 분할한 시점. CJ게임즈와 CJ넷마블이 합병한 시점은 2014년 10월이다.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스닥] [21] 당시 환율 기준 [22] 딜리버리히어로의 우아한형제들 인수 조건부 승인 시점. 최초 매각 보도 시점은 2019년 12월 13일.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25] 2019년 3월 12일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상장. [유가증권시장] [27] CJ게임즈와 CJ넷마블의 합병이 이루어진 2014년 10월 기준으로 봐도 옐로모바일의 유니콘 등재 시기보다 앞선다. [28] 이 기간 동안 한 해도 흑자를 기록한 적이 없다.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봐도 2017년에만 35억 원의 흑자를 기록했을 뿐, 5년간 1,088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