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23:45:22

오스카급 잠수함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현대의 러시아 해군 군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191919> 잠수함 <colbgcolor=#fff,#191919> 재래식(SS) 위스키급R, 줄루급R, 로미오급R, 줄리엣급R, 폭스트로트급R, 골프급R, 탱고급R, 킬로급, 라다급, (칼리나급)
SSN 노벰버급R, 빅터급, 알파급R, 마이크급R, 시에라급, 아쿨라급, ( 하바로프스크급)
SSGN 에코급R, 찰리급R, 파파급R, 오스카급, 야센급, 머큐리급, ( 허스키급)
SSBN 호텔급R, 양키급R, 델타급, 타이푼급R, 보레이급
SSA 팔투스급, 로샤릭급, 사로프급
경비정 주크급CG/R, 스베틀야크급CG, 그라초노크급, 랩터급, 스텐카급, 몽구스급, 독스타바벳급, BK-16급, BK-18급, 쉬멜급
경비함 바실리 비코프급, ( 이반 파파닌급)
초계함 무하급R, 무라베이급R, 그리샤급, 나누추카급, 파르킴급, 타란툴급, 파우크급CG, 보라급, 부얀급, 부얀-M급, 카라쿠르트급, 게파르트급, 스테레구시급, 소브라지텔니급, 그리먀시급, ( 데르즈키급)
호위함 페트야급, 크리박급CG, 네우스트라시미급,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 프로젝트 22350M형)
구축함 카신급R, 우달로이급, 소브레멘니급, 프로젝트 21956형, ( 리데르급)
순양함 카라급R, 슬라바급, 키로프급
항공순양함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 러시아 연방의 항공모함 계획)
상륙정 무레나급R, 아이스트급R, 주브르급, 세르나급, 듀공급, 온다트라급
상륙함 LPH ( 이반 로고프급), 미스트랄급
LSD 이반 그렌급
LST 이반 로고프급R, 앨리게이터급, 로푸카급
소해함 나탸급, 소냐급, 고랴급, 리다급, 알렉산드리트급
위그선 룬급R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4B형R,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프로젝트 864형,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R, 우랄급R, 유리 이바노프급, 비시냐급
군수지원함 벨랸카급, 삿코급, 루자급, 발라급, 다우가바급, 비테그랄레스급, 무나급, 유니 파티잔급, 암게마급, 프로젝트 323A/323B형
구난함/잠수함구조함 프로젝트 23040형, 프로젝트 05360형, 엘브루스급, 카쉬탄급, 콤무나
잠수함지원함 프로젝트 1886형R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프로젝트 22010형, ( 프로젝트 22011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R
※ 윗첨자R: 퇴역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과 러시아의 원자력 잠수함 계보 파일:러시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최초의 원자력 추진 잠수함

노벰버급 공격원잠


 
2세대 공격원잠

빅터급 공격원잠


 
2세대 공격원잠

알파급 공격원잠


 
3세대 공격원잠

시에라급 공격원잠


 
3세대 공격원잠

아쿨라급 공격원잠


 
4세대 공격원잠

야센급 공격원잠


기타/ 유도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에코급 / 찰리급 / 오스카급 / 머큐리급
파일:소련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소련·러시아 해상병기의 계보 : 항공모함 | 전략 원자력 잠수함 | 원자력 잠수함
}}}}}}}}}
파일:oscar_2_class_l3.jpg
파일: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949 «Гранит».jpg
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949 «Гранит»

1. 개요2. 제원3. 함생
3.1. 건조3.2. 운용
4. 벨고로드급 잠수함5. 동형함
5.1. 북방함대 소속5.2. 태평양함대 소속5.3. 건조 취소
6. 여담7. 후속함 논의8. 미디어에서의 등장9. 모형화10. 관련 링크11. 관련 문서

1. 개요

오스카급 순항유도탄 원자력 추진 잠수함(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949) 소련 해군이 건조하여 소련 해군이 운용했고, 현재는 러시아 해군이 운용하는 잠수함이다.

미국 해군 항공모함 전단에 대한 대책으로 소련 해군이 내놓은 순항유도탄 원자력 잠수함으로, 오스카는 나토 코드명이며 본명은 Project 949 Granit( 그라니트), 개량형인 오스카 2는 Project 949A Antey( 안테이)이다.

2. 제원

이전급 찰리급
다음급 야센급
계획 2척[오스카-I급]
18척[오스카-II급]
건조 2척[오스카-I급]
11척[오스카-II급]
수상배수량 12,500 ~ 14,700t
수중배수량 16,500 ~ 19,400t
전장 155m
전폭 18.2m
흘수 9m
추진 장치 원자로 가압수형 수랭식 2기
증기 터빈 97,990SHP급 2기
프로펠러 2축
수상 최고 속력 15kn (약 28km/h)
수중 최고 속력 32kn (약 59km/h)
작전 수행 120일
잠항 심도 600m
승조원 94 ~ 107명
무장 대잠 533mm급 어뢰 발사관 4문
650mm급 어뢰 발사관 2문
SET-40 중어뢰
스타투스-6 핵어뢰
기뢰 32발
대함 SS-N-15 스타피시
SS-N-16 스탤리온
SS-N-19 쉽렉

3. 함생

3.1. 건조

미국의 항공모함들이 자국 해안에 찰싹 달라붙어 함재기를 날려대는 꼴을 보기 싫었던 소련군은 처음에는 똑같은 항공모함 전단을 건조해서 저지하고 싶었다. 그러나 항공모함 전단 세트 아이템을 똑같이 따라서 맞추려다간 너무 비싸서[5] 가랑이가 찢어질 판이기도 했고, 키예프급 항공중순양함이나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중항공순양함 등 일단 어정쩡하게나마 따라 만들어 본 물건들도 성능이 좋지 않아서, 좀 더 현실적인 방안들 중 하나로 선택된 것이 오스카급이다.[6]

소련은 이미 찰리급, 에코급 잠수함과 같은 비슷한 용도의 잠수함들을 운용하고 있었지만 오스카급은 이들보다 훨씬 거대한 수중배수량 18,000t 이상의 대형 원자력 잠수함[7]으로서 이중압력 선체를 채용하고 있으며 수중에서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외부 선체와 내부 선체 사이에 두께 8인치에 달하는 고무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중속도가 최대 30노트에 달해 목표물을 무리없이 추적할 수 있다.
파일:edR1jly.gif
P-700 그라니트 순항 미사일의 파괴력

오스카급은 좌우 각각 12개의 경사 발사기에 총 24발의 그라니트 순항 미사일을 탑재하고 있으며, 그라나트 미사일은 인공위성에 의해 유도되는 7톤짜리 대형 미사일이다. 탄두 중량만도 무려 1톤에 달하는 그라나트 미사일은 서방 측에서는 쉽렉이라고 불리는데, 사정거리가 무려 625km에 달하며 최대 마하 2.5에 달하는 속도로 목표물을 공격한다.

3.2. 운용

파일:external/www.ausairpower.net/000-Oscar-II-dnsc8704343.jpg
수중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 오스카급

혼자서 항공모함 전단 전부를 해치우자고 만들어진 오스카급 잠수함은 대단히 비쌌지만, 그래도 항공모함 전단 풀 세트를 갖추는 것보다는 월등히 저렴했으므로 소련 해군은 오스카급 잠수함을 다수 주문하여 배치했다.

소련의 붕괴 후에도 잠수함 전력은 유지 최우선 순위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카급을 비롯한 중요 잠수함의 관리 상태는 우선순위고 뭐고 상관없이 죄다 나락으로 굴러 떨어진 상태였고, 결국 쿠르스크 함 침몰사건이라는 비극을 낳게 된다.[8]

4. 벨고로드급 잠수함

1992년 기공된 후 경제난, 군비축소 등으로 건조가 중단되었던 K139 벨고로드 함이 Project 09852(K329)라는 별개의 함급으로 재지정되어 건조가 재개되었음이 2015년 알려졌다.
파일:external/pp.vk.me/XuERFYGoBb8.jpg

미국 시울프급 3번함 지미 카터함처럼 적 해안에의 특수부대 투입, 적 해저 시설물 사보타주, 적 해저 광케이블 도청, 해저지형 정찰 등에 투입될 것으로 보이며, 장거리 정찰/ 도청/적 해저 시설물( 해저 케이블 등등) 사보타주/해양정보수집 임무용 핵추진 잠수정 팔투스급 1척을 함저부에 도킹하고(팔투스급은 그동안에는 델타급 잠수함 개조함 '파드마스코비예' 함에 도킹하여 활동해 왔다) 함 상부에는 특수부대 투입용 드라이독 쉘터를 장착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다. 또한 장거리 핵추진 핵어뢰 Статус-6(Status-6)을 장비하여 유사시 적 해군기지, 항구도시에 대한 기습 핵공격도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크기 또한 더욱 커져 길이가 무려 184m에 달하고 수중배수량은 24,000톤에 이르러 타이푼급을 제치고 세계 최대 길이의 잠수함이 될 예정이다.

2018년 3월 1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Статус-6의 개발 완료를 공표했다. # 2019년에는 Статус-6이 실전배치되면서 포세이돈으로 명명되었다.

2019년 4월 23일 벨고로드 함의 진수식이 열렸다. #

2021년 10월 1일 미하일 부드니첸코(Mikhail Budnichenko) 세브마쉬(Sevmash) 조선소 국장은 TASS와의 인터뷰에서 벨고로드(Belgorod) 핵잠수함이 올해 말까지 국가 시험을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

2022년 7월 8일 세브마쉬 조선소가 성명을 통해 벨고로드 핵잠수함을 러시아 해군에 인도하였다고 밝혔다. #

2022년 10월 3일~4일간의 기사에 따르면 벨고로드함이 출항했는데, 핵실험을 위한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출항만을 알린 3일자 외신 기사 외신발 핵실험 목적 출항 주장이 실린 4일자 국내 기사

5. 동형함

5.1. 북방함대 소속

함번 함명 분류 진수 취역 상태
K-525 아르한겔스크
(Архангельск)
949형 1980년 5월 3일 1980년 12월 30일 스크랩
K-206 무르만스크
(Мурманск)
1982년 12월 10일 1983년 11월 30일
K-148 크라스노다르
(Краснодар)
949A형 1985년 3월 3일 1986년 9월 30일
K-119 보로네시
(Воронеж)
1988년 12월 16일 1989년 12월 29일 2020년부터 예비함으로 전환
K-410 스몰렌스크
(Смоленск)
1990년 1월 20일 1990년 12월 22일
K-266 오룔
(Орёл)
949AM형 1992년 5월 22일 1992년 12월 30일
K-141 쿠르스크
(Курск)
949A형 1994년 5월 16일 1994년 12월 30일 2000년 8월 12일 침몰
K-329 벨고로드
(Белгород)
09852형 2019년 4월 23일 2022년 7월 8일 특수작전용으로 전환

5.2. 태평양함대 소속

함번 함명 분류 진수 취역 상태
K-173 크라스노야르스크
(Красноярск)
949A형 1986년 3월 27일 1986년 12월 31일 스크랩
K-132 이르쿠츠크
(Иркутск)
1987년 12월 27일 1988년 12월 30일 949AM형으로 개장(refit) 중
K-442 첼랴빈스크
(Челябинск)
1990년 6월 18일 1990년 12월 28일 949AM형으로 개장(refit) 중
K-456 트베리
(Тверь)
1991년 6월 28일 1992년 8월 18일 상태 불명
K-186 옴스크
(Омск)
1993년 5월 10일 1993년 12월 15일
K-150 톰스크
(Томск)
1996년 7월 20일 1996년 12월 30일

5.3. 건조 취소

함번 함명 분류 기공 상태
K-135 볼고그라드
(Волгоград)
949A형 1993년 9월 2일 부품용으로 사용
K-160 바르나울
(Барнаул)
1994년 4월 1일

6. 여담

파일:external/gcaptain.com/6e8ba60f9a1f5d53d149bb99223448e7.jpg
2014년 6월 10일 러시아 국방부에 따르면 백해 근처에서 악천후로 조난당할 위험에 빠진 작은 배에서 보낸 무전을 받고 오스카급이 구조하는 사건이 있었다. 당시 나갔던 오스카급은 K-119 Voronezh였고 북해함대 소속의 잠수함이었다. 다행히 승조원은 모두 구조되어 세베로드빈스크 항으로 옮겨졌다. #

바다코끼리가 정박 중인 오스카급에 올라와서 꼬장을 부린 일이 있다. # 몇몇 군인들은 아예 바다코끼리 옆에서 인증샷도 찍었다.

2015년 4월 17일 세베로드빈스크 조선소에서 K-266 오룔에 화재가 발생했다.

7. 후속함 논의

오스카급의 후계함으로 계획되였던 순항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은 Project 881 머큐리급 잠수함으로 수중배수량 25,000t, 길이 170m에 달하는 대형 원자력 잠수함으로서 오스카급에 비해 정숙성이 크게 향상되고 최대 사거리 800km이며 초음속 램제트 엔진을 장착하여 최대 속도가 마하 4에 달하는 Volid 대함 미사일 24발을 수직발사기에 장착하는 함으로 구상되었다.

기본적인 설계는 1989년 완성되었으나 냉전이 끝나면서 가격문제와 러시아 해군의 교리의 변경으로 취소되었으며 이 잠수함의 설계는 신형 전략 원자력 잠수함인 보레이급 전략 탄도미사일 원자력추진 잠수함에 영향을 주었다. 그림을 보면 선체모양이 보레이급과 상당히 비슷한 것을 볼 수 있다.

8. 미디어에서의 등장

파일:Call-of-Duty-Modern-Warfare-3-02.jpg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에서는 오스카급 잠수함께서 친히 기뢰밭이 된 허드슨 만에 출장오신다. 그리고 주인공과 델타 포스는 수중침투를 하여 오스카급 잠수함에 폭탄을 붙여 부상시키고 미사일 컨트롤을 장악해 순항미사일을 전부 발사해버린다. 여기서도 모던 워페어의 고증오류가 보인다. 오스카급의 미사일 발사관은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모습인데 게임속에서는 발사관이 평범한 VLS처럼 묘사되며 여기에 더불어 당연하게도 미사일도 수직으로 발사된다. 이렇게 생겼다.
  • 모던 워쉽
    파일:MW_RF_Kursk.jpg
    그 유명한 7번함 쿠르스크가 2티어 잠수함으로 등장한다.

    막강한 화력과 높은 체력을 자랑하나, 암걸릴듯한 속도와 선회력, 그리고 넓은 피탄면적 등의 단점도 가지고 있어 좋은 평가를 받진 않는다.

    파일:MW_RF_Belgorod.jpg
    이후 2023년 7월 벨고로드함이 베틀패스 40레벨 보상함선으로 추가되었는데, 핵어뢰인 포세이돈, 핵 순항미사일인 부레베스트닉 등 고위력 무장들을 가득 들고 나온데다 산소량도 많아서 사기 배 자리에 올라 있는 중이다.

9. 모형화

쿠르스크 함 침몰사건으로 유명한 쿠르스크가 있는 오스카-II급(안테이급)이 더 자주 모형화된다.
  • 1/350
    • 트럼페터
      2014년 제품으로, 쿠르스크 함을 모형화했다. 디테일이 좋고 미사일 발사관 등 다양한 가동 부위를 자랑한다.
    • 즈베즈다
      2003년 오스카-I급을 발매했다가 2012년 신금형으로 쿠르스크 함을 모형화했다.
    • 레벨
      2005년 제품으로, 역시 쿠르스크 함을 모형화했다.

10. 관련 링크

(영어 위키백과)Oscar-class submarine

11. 관련 문서


[오스카-I급] [오스카-II급] [오스카-I급] [오스카-II급] [5] 1922년 CV-1 랭글리를 시작으로 수많은 항공모함을 건조하며 많은 관련 기술과 경험을 쌓았던 미국과 달리 소련은 항모 건조 기술이 없다시피 했기에 단기간에 미국의 항모전단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미국이 지출한 비용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이 필요했다. [6] 구 소련은 순항 미사일 샤워로 미 해군 항공모함 전단을 저지하기로 했으며, 이에 따라 대양에서는 키로프급& 슬라바급 순양함, 오스카급 공격원잠이 대함미사일 플랫폼 역할을 맡았고 본토 근처에서는 본토에서 발진한 백파이어 폭격기가 대함미사일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망망대해에서 미 해군을 찾기 위해 초수평선 레이더와 인공위성을 쫙 뿌려놓았다. 여기에 깜놀한 미 해군은 최강의 방공전투기 F-14 AIM-54의 조합으로 발사 플랫폼을 먼저 요격하고, 이지스 방공구축함들로 2차 저지선을 펴는 것으로 대응하게 된다. [7] 잘 감이 안 온다면 자국의 전략원잠 델타급 잠수함보다도 훨씬 큰 크기며 오하이오급 잠수함보다 근소하게 작은 크기다. 일개 공격원잠치고는 과하게 거대한 크기다. 대 항모 결전 병기로서 설계된 잠수함이고 예산의 제약을 받지 않는 소련의 잠수함이기에 이런 말도 안 되는 크기로 완성될 수 있었던 것. [8] 이 때 양적으로든 질적으로든 모든 면에서 철저하게 망가진 러시아군은 아직까지도 붉은 군대 시절의 위용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R&D 역량은 가까스로 보전했다는 것이 한가닥의 위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