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4 17:42:42

에피쿠로스

서양 철학사
고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 <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fff>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탈레스 · 아낙시만드로스 · 아낙시메네스 · 헤라클레이토스
피타고라스 · 필롤라오스
엘레아학파 크세노파네스 · 파르메니데스 · 제논 · 멜리소스
다원론자 엠페도클레스 · 아낙사고라스 · 데모크리토스
아테네 철학
소피스트 프로타고라스 · 고르기아스 · 히피아스 · 프로디코스 · 트라시마코스 · 칼리클레스 · 안티폰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헬레니즘-로마 제국 철학
안티스테네스 · 디오게네스
스토아학파 제논 · 세네카 · 에픽테토스 · 아우렐리우스 / 절충주의: 키케로
에피쿠로스 · 루크레티우스
회의주의 피론
플로티누스
기타 학파 아카데미아학파 · 키레네학파 · 메가라학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00 Greatest Greeks
※ 2009년 그리스 Skai TV 방송이 그리스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그리스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알렉산드로스 3세 게오르요스 파파니콜라우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소크라테스
6위 7위 8위 9위 10위
아리스토텔레스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플라톤 페리클레스
11위~10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미키스 테오도라키스 콘스탄티노스 카라테오도리 멜리나 메르쿠리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니코스 카잔차키스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오디세아스 엘리티스 호메로스 마노스 하지타키스 레오니다스 1세 히포크라테스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피타고라스 콘스탄티노스 카바피 마리아 칼라스 아르키메데스 아리스토틀 오나시스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엘 그레코 콘스탄티노스 11세 요르기오스 세페리스 리가스 페레오스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아리스 벨루키티오스 요안니스 메탁사스 니코스 갈리스 게오르기오스 카라이코스 데모크리토스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게오르기오스 게미스토스 플레톤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 야니스 마크리야니스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 야니스 리트오스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테미스토클레스 헤라클레이토스 투키디데스 에우클레이데스 파블로스 멜라스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아테네의 크리스토둘로스 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 테오도로스 자고라키스 디미트리 나노풀로스 무명용사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페이디아스 아리스토파네스 코스티스 팔라마스 에톨리아의 코스마스 마놀리스 안드로니코스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소포클레스 니코스 벨로야니스 코넬리우스 카스토리아디스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니콜라오스 마르지오리스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알렉산드로스 파나굴리스 요르요스 파파도풀로스 에피쿠로스 알렉산드로스 파파디아만티스 오톤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반젤리스 솔론 클레이스테네스 아이스퀼로스 바실리오스 2세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콘스탄티누스 1세 이온 드라구미스 코스타스 시미티스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테오 앙겔로풀로스 니코스 실루리스 스텔리오스 카잔티디스 차릴로스 플로라키스 에우리피데스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카롤로스 코운 유스티니아누스 1세 라키스 라조폴로스 헤로도토스 다나시스 벤고스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헬레네 글리카츠아흐와일러 카티나 팍시누 알리키 부지욱라키 마르코스 밤바카리스 그리고리스 람브라키스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바실리스 치차니스 피로스 디마스 마노스 로조스 마노리스 글레조스 엘레나 무잘라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필리포스 2세 디미트리스 혼 라스카리나 부불리나 탈레스 프락시텔레스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에피쿠로스
Έπίκουρος | Epicurus
파일:Marble_head_of_Epikouros.jpg
[1]
출생 기원전 341년경
그리스 사모스 섬
사망 기원전 271년경 (향년 72세)
그리스 아테네
직업 철학자
학파 에피쿠로스 학파 (창시)

1. 개요2. 생애3. 사상
3.1. 쾌락주의3.2. 죽음에 대하여3.3. 에피쿠로스의 신학
3.3.1. 에피쿠로스의 역설
4. 평가5. 한국어 번역6. 여담

[clearfix]

1. 개요

헬레니즘 시대, 에피쿠로스 학파의 창시자. 쾌락주의 철학을 펼쳤다.

2. 생애

에피쿠로스는 기원전 341년, 당시 아테네의 식민지였던 사모스 섬에서 태어나고 성장했다. 14세에 학교 선생들이 헤시오도스의 책에 나오는 혼돈 개념을 그에게 설명해 주지 못하자 선생을 얕잡아 보게 되어 철학을 접했다. 18세에 아테네로 넘어가 2년간 군복무를 했고, 학교 교사로 잠시 활동하다가 데모크리토스의 책을 만나고 본격적으로 철학을 하기 시작했다.[2]

32세에는 레스보스 섬의 뮈틸레네와 람사코스에서 학파를 세우고 5년을 지냈다. 그 후 다시 아테네로 돌아와서 철학 공동체인 '정원'을 세우고 35년 동안 제자들을 가르쳤다. '정원'의 구성원에는 여자와 노예는 물론 심지어 창녀도 속해 있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에피쿠로스를 비웃었다. 하지만 에피쿠로스를 비웃던 사람들도 에피쿠로스와 제자들 사이의 친밀한 관계는 부러워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게 제자와 친구들과 우정을 나누며 72세까지 살다가 요로 결석과 이질로 14일간 앓다가 죽었다. 그때 그는 따뜻한 물로 데워진 청동 욕조에 들어가 물을 섞지 않은 포도주를 가져오게 해 한 번에 들이켰다고 한다. 그리고 친구들에게 자신의 가르침을 기억하라고 지시하고서 숨을 거두었다.

아테네 사람들은 동상을 세워 그의 명예를 기렸다. 그의 친구들은 하나의 도시 국가를 넘어설 정도로 그 수가 많았으며, 그의 모든 제자들은 그의 학문적인 매력에 단단히 붙들렸다. 평소에 모든 사람들에 대한 인간애가 있어서 많은 사랑을 받았고, 친구들이 도처에서 그에게로 와서 그의 정원에서 그와 함께 살았던 덕분인지, 다른 학파들은 계보가 거의 끊어졌지만 그의 학파는 계보가 언제나 계속 이어지면서 무수히 많은 제자들을 차례로 배출하였다.

3. 사상

당대에 에피쿠로스가 남긴 저서는 300편이 넘으나[3]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는 것은,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가 지은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에 나오는 핵심 교설과 3편의 편지뿐이다.[4] 그 밖에는 파편들이거나 그가 살았던 때와 멀리 떨어지지 않은 시기에 에피쿠로스를 비판한 학자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알 수 있을 뿐이다. 특히, 로마 시대의 철학자 키케로의 『신들의 본성에 관하여』에서 에피쿠로스학파를 비판하면서 언급한 부분이 제일 많이 언급된다. 파편 중에는 18세기 베수비오산 근처의 헤르쿨라네움에서 발굴된 『자연에 관하여』의 파피루스 일부 단편들이 전해진다.

에피쿠로스의 사상은 데모크리토스를 계승하여 이를 발전시켰다고 볼 수 있다. 인식론에서의 감각과 자연학에서의 원자론적 관점이 유사하며, 윤리학적 면에 있어서도 데모크리토스의 '쾌활함'과 에피쿠로스의 '쾌락'이 정적으로 절제된 쾌락(쾌활함)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3.1. 쾌락주의

쾌락이 인생의 목적이라고 우리가 말할 때, 무지하거나 우리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거나 오해하는 일부 사람들의 생각처럼 방탕한 자의 쾌락을 말한다거나 관능적인 향락에서 주어지는 쾌락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몸에 괴로움도 없고 영혼에 동요도 없는 상태를 말한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2』 2021. 나남출판, p.391
우리는 쾌락을 선천적으로 좋은 것이라 인식하고, 쾌락을 기준으로 모든 선택과 기피를 행한다. 하지만, 모든 쾌락을 선택하지는 않는다. 어떤 쾌락은 종종 지나쳐서 불쾌감을 더 많이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반대로 어떤 괴로움은 참고 견딜 때 후에 더 큰 쾌락으로 돌아올 때도 있다. 에피쿠로스는 이러한 쾌락과 괴로움을 상호 비교 측정하여 무엇이 이익이고 무엇이 불이익인지를 판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에피쿠로스에 따르면, 술을 먹거나 성관계를 하거나 맛있는 것을 먹는 방탕한 생활은 지나치면 불쾌감을 유발하기 때문에 우리의 삶에 불이익이다. 그리고 이렇게 방탕한 쾌락을 제거하다 보면 인간에게 이익이 되는 진정한 쾌락은, '몸의 건강과 영혼의 평정'에 달려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에피쿠로스는 '몸에 괴로움이 없고 영혼에 동요도 없는 상태'를 추구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살아가는데 있어서 고통이 제거될 만큼의 꼭 필요한 쾌락만 충족되면 되는 것이다.[5]

그 필요한 쾌락의 충족은, 몸에 필요한 쾌락과 영혼에 필요한 쾌락의 두 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 있다. 몸에 대해서는 생존에 필요한 만큼의 욕망을 충족하여 몸에 괴로움이 없는 상태가 될 것을 추구하는데, 이를 아포니아(ἀπονία)라고 부른다. 영혼에 대해서는 망상과 죽음에 대한 공포 등이 인간에게 정신적인 고통을 주기 때문에 우주와 죽음, 욕망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영혼이 동요하지 않는 상태가 될 것을 추구하는데, 이를 아타락시아(ἀταραξία)라고 한다.[6] 그리고 이를 통해 '고통이 부재'하게 되면 인간은 행복한 삶을 즐기고 있는 것이라고 에피쿠로스는 주장한다.

그러므로 에피쿠로스가 말하는 쾌락은 최소한의 필요한 쾌락이 충족되는 것을 말한다. 단, 지속적으로 최소한의 필요한 쾌락이 충족되고 그 삶에 익숙해져서 그것에 만족할 수 있다면, 간혹 찾아오는 '사치스런 쾌락'을 즐기는 것을 에피쿠로스는 막지 않는다.[7] 따라서 쾌락에 절제를 요구하는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무조건적인 금욕주의를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없어도 행복하고 있으면 더 좋고!

3.2. 죽음에 대하여

죽음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게. 좋은 것과 나쁜 것은 모두 감각에 달려 있지만, 죽음은 감각의 상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죽음이 우리에게 아무것도 아니라는 올바른 인식은 우리로 하여금 죽게 되어 있는 삶을 즐길 수 있게 해준다. 그것은 삶에 무한한 시간을 부여함으로써가 아니라, 불사에 대한 동경을 제거함으로써 그렇게 하는 것이다. (..중략..)

우리가 살아 있을 때는 죽음이 우리 곁에 와 있지 않고, 죽음이 우리 곁에 와 있을 때는 우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죽음은 살아 있는 자들과도 관계가 없고 죽은 자들과도 관계가 없다. 왜냐하면 살아 있는 자들에게는 죽음이 존재하지 않고, 죽은 자들은 그들 자신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8]
에피쿠로스는 육신의 쾌락보다 사유의 쾌락을 더 높게 평가한다. 육신의 쾌락은 결핍에 따른 괴로움이 제거되면 증가하지 않고 단지 다양화될 따름이지만, 사유의 쾌락은 '사유에 가장 큰 두려움을 갖게 하는 것'에 대한 이성적인 헤아림에 의해 그 끝까지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유에 가장 큰 두려움을 갖게 하는 것'이 바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다. 따라서 사유를 통해 육신의 목적과 한계를 깊이 헤아려서 죽음의 공포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죽음이 우리 삶에 아무것도 아닌 이유는 무엇인가? 에피쿠로스의 논리에 따르면, 우리가 살아 있을 때는 살아 있기 때문에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고, 죽었을 때는 우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우리는 죽음의 두려움으로부터 우리의 삶을 굳이 괴로움에 빠뜨릴 필요는 없다.[9]

죽음의 두려움으로부터 벗어난 사람은 이제 자신의 한정된 삶을 나름대로 괴로움 없이 행복하게 살고자 할 것이다. 그리고 에피쿠로스는, 우리의 한정된 삶의 행복[10]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있다면, 그건 바로 우정이라고 말한다.[11] 외부 상황들에서 주어지는 불안거리를 잘 다스리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그들은 자신과 친숙하게 만들 수 있는 것들은 그렇게 했고, 도저히 그렇게 할 수 없는 것들은 그것이 설사 득이 된다고 하더라도 피했다. 이렇게 우정을 쌓음으로써 불안에서 안전을 보장받고, 그렇게 할 수 있는 이들은 모두 그렇게 함으로써 모든 이웃들이 서로 가장 즐거운 삶을 살아가게 된다는 것이다.[12]

3.3. 에피쿠로스의 신학

고대 서양 무신론의 대표 주자인 양 알려져 있으나, 엄밀히 말해서 에피쿠로스는 자체는 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신은 불멸하며 살아 있는 지복[13]의 존재이기에 행복하기 위해서 믿어야 된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 신은 대다수의 사람들이 말하듯 나쁜 사람에게 벌을 주고 착한 사람에게 상을 주는 그런 신은 아니다. 그 신은 우주의 운행에 관여하지 않는다.[14] 그리고 에피쿠로스에 따르면 영혼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어 죽은 이후에 영혼은 단지 흩어질 뿐 천국에 가는 것은 아니다.[15] 게다가 예언을 믿지 않았고, 설사 예언이 맞아떨어진다고 할지라도 예언에 따라 일어난 일에 아무런 신경을 쓰지 않았다.[16]
즉 에피쿠로스는 무신론자라기보다는 이신론자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에피쿠로스의 이러한 신 개념은, 세상을 주무르는 초월적인 인격신의 개념을 완전히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리스도교에서는 에피쿠로스를 ' 유신론자를 가장한 무신론자'라고 보았고, 그 때문에 중세에 이르러선 그의 책들은 대부분 다 불에 태워졌다.

3.3.1. 에피쿠로스의 역설

Epicurean paradox, riddle of Epicurus, Epicurus' trilemma
신은 악을 막을 의지는 있지만, 능력이 없는 것인가?
그렇다면 그는 전능하지 않은 것이다.

악을 막을 능력은 있는데 의지가 없는 것인가?
그렇다면 그는 악한 것이다.

악을 막을 능력도 있고 의지도 있는 것인가?
그렇다면 도대체 이 세상의 악은 어디에 기인한 것인가?

악을 막을 능력도, 의지도 없는 것인가?
그렇다면 왜 그를 신이라 불러야 하는가?

Vides ergo, magis propter mala opus nobis esse sapientia: quae nisi fuissent proposita, rationale animal non essemus. Quod si haec ratio vera est, quam stoici nullo modo videre potuerunt, dissolvitur etiam argumentum illud Epicuri.

Deus, inquit, aut vult tollere mala et non potest; aut potest et non vult; aut neque vult, neque potest; aut et vult et potest. Si vult et non potest, imbecillis est; quod in Deum non cadit. Si potest et non vult, invidus; quod aeque alienum a Deo. Si neque vult, neque potest, et invidus et imbecillis est; ideoque neque Deus. Si vult et potest, quod solum Deo convenit, unde ergo sunt mala? aut cur illa non tollit?

Scio plerosque philosophorum, qui providentiam defendunt, hoc argumento perturbari solere et invitos pene adigi, ut Deum nihil curare fateantur, quod maxime quaerit Epicurus. Sed nos ratione perspecta, formidolosum hoc argumentum facile dissolvimus. [...] Itaque nisi prius malum agnoverimus, nec bonum poterimus agnoscere. Sed hoc non vidit Epicurus, nec alius quisquam; si tollantur mala, tolli pariter sapientiam, nec ulla in homine virtutis remanere vestigia, cuius ratio in sustinenda et superanda malorum acerbitate consistit.
그러므로 악 때문에 우리에게 더 많은 지혜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것들이 앞서 제시되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이성적인 동물이 아닐 것이다. 그리고 스토아학파가 어떤 수단으로도 깨닫지 못했던 이것이 사실이라면, 에피쿠로스의 주장도 반박될 것이다. 그는 말하길,

신은 악을 없애기를 원하지만 그렇게 할 수 없다. 아니면 그는 없앨 수 있지만 원하지 않는다. 아니면 그는 원하지도 않고 할 수도 없다. 아니면 악을 없애기 원하고 그렇게 할 수도 있다. 만약 그가 원하고 할 수 없다면 그는 무력하다. 이것은 신에게 어울리지 않는다. 신이 악을 없앨 수 있지만 그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그는 악의적인 것이다. 이것도 똑같이 신에게 적절치 않다. 만일 신이 악을 없애길 원하지도 않고 할 수도 없다면 그는 악의적이고 무력하다. 그러므로 신이라고 할 수 없다. 신이 악을 없앨 수도 있고 원하기도 한다면, 이것이야말로 유일하게 신에 합당한 일이지만 왜 악이 존재하는가? 아니면 왜 신은 악을 없애지 않는가?

나는 섭리를 옹호하는 대부분의 철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이 논증에 동요하면서, 신은 아무 것도 신경 쓰지 않는다는 것을 거의 인정하게 되는 것을 알고 있는데, 이것이야말로 에피쿠로스가 특히 추구하는 주장이다. 그러나 논리적으로 생각해보면 이 끔찍한 논증은 쉽게 해결할 수 있다. [....] 그러므로 먼저 악을 인식하지 못하면 선도 인식할 수 없다. 그러나 에피쿠로스는 이것을 깨닫지 못했고 어느 누구도 마찬가지였다. 즉 악을 제거하면 선도 똑같이 없어지며 인간에게는 어떠한 덕의 흔적도 남지 않을 것인데, 덕의 본질은 악의 괴로움을 견디고 극복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에피쿠로스 단편 374, 락탄티우스, 『하나님의 분노에 대하여De ira Dei』 13

악의 문제 중 대표적인 예로 항상 언급되는 역설이다. 3세기 초 그리스도교 신학자 락탄티우스의 기록에서 처음 등장하며, 그에 따르면 에피쿠로스가 말한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학자들은 이 주장이 실제로 에피쿠로스가 한 말인지에 대해서는 의심하고 있다. 왜냐하면 에피쿠로스가 이해했던 신은 기독교 유일신이 아니라 그리스의 신들을 말하는 것이었고, 그리스의 신들은 '선하기만 한 존재'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어쨌든 당시 3세기경에 에피쿠로스는 무신론자로 알려졌었고 위의 역설 역시 무신론자의 대표적인 논리로 알려져 있었다.

데이비드 흄은 '(성경에서 말하는 것과 같은) 인격적인 신은 없다[17]고 보는 것이 더 개연성이 있다'는 논지의 주장을 하기 위해 위의 역설을 인용한다.

4. 평가

… 에피쿠로스는 이미 이런 종류의 선행 형식과 싸운 적이 있었다. 에피쿠로스가 무엇과 싸웠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루크레티우스를 읽어보라. 그는 이교도와 싸우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 그리스도교'에 맞서 싸웠다. 말하자면 죄 개념에 의한, 벌과 불멸 개념에 의한 영혼의 타락에 맞서 싸웠다. ㅡ 그는 지하적 제의들, 잠복하고 있던 그리스도교 전체와 맞서 싸웠다 ㅡ 불멸을 부정한다는 것은 당시에 이미 진정한 구원이었다. ㅡ 그리고 에피쿠로스가 이겼을 수도 있다. 로마 제국의 존경할 만한 사람은 전부 에피쿠로스주의자였기에
프리드리히 니체, <안티크리스트>

5. 한국어 번역

현재까지 전해지는 에피쿠로스의 글은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책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에 나오는 것이 전부다. 이 책은 학문적이나 철학적으로 엄밀한 책은 아니나, 스토아학파와 에피쿠로스학파를 언급한 부분에 한정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그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스토아학파와 에피쿠로스학파는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가 살았던 당 시대에도 성행했던 학파였기 때문에 그가 비교적 더 자세하고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는 점과, 그 학파들에 관련해서 남아있는 온전한 자료가 이 책이 거의 유일한 것이라는 점에서, 이 책은 핵심 텍스트로 취급된다. 이 책의 10편에서 에피쿠로스 얘기가 나오며, 그중 에피쿠로스가 직접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 3편의 편지는 그의 실제 생각과 문체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

한국에서는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에서 에피쿠로스에 해당하는 부분만 따로 때내서 1998년에 문학과지성사에서 《쾌락》이라는 제목으로 번역서가 출간되었다. 근데 절판되어 도서관에서나 볼 수 있다. 따라서 차라리 책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번역본을 보는 것이 낫다. 다행히 그리스어와 라틴어 번역으로 유명한 정암학당에서 2021년에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이라는 제목으로 원전번역을 해놨다. # 이와 똑같은 책이 2008년에 이미 동서문화사의 《그리스철학자열전》으로 먼저 나온 적이 있었는데, 이 번역본은 작가가 말은 안했지만 일본어 중역으로 의심된다. 따라서 그냥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을 빌려서 마지막 챕터 에피쿠로스 파트만 읽으면 도움이 될 것이다.[18]

2022년에는 현대지성 클래식에서 《에피쿠로스 쾌락》이 출간되었다. 원전 번역을 표방하고 있지만 의역이 많고 번역의 질은 나쁜 편이다.

6. 여담

  • 에피쿠로스와 그의 제자들은 평소에 매우 간소하고 검소한 생활을 했다. "아무튼 포도주 약 4분의 1리터[19]로 그들은 만족했으며, 물이 음료의 전부였다"고 디오클레스는 말했다. 하지만 에피쿠로스는 "친구들의 것은 공동의 것"이라는 피타고라스의 말대로 재산을 공동의 것으로 삼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그런 일은 서로 신뢰하지 않는 자들이 하는 것이며, 친구라면 굳이 그런 규칙을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이었다.
  • 카를 마르크스의 박사 학위 논문이 바로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 철학의 차이에 대한 것이다. 데모크리토스가 원자를 기계적 운동만 하는 것으로 본 반면 에피쿠로스는 원자가 우연적인 일탈 운동(편위, declination)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봄으로써 유물론적이면서도 자발적이고 다양한 운동이 가능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한 것을 높이 평가했다.
  • 에피쿠로스는 기독교에 의해 이단으로 간주되어 천 년간 잊혀졌었다. 그러다가 15세기 인문주의자 포조 브라촐리니가 남부 독일의 한 수도원의 서가에서 에피쿠로스주의 철학자이자 고대 로마의 시인인 루크레티우스의 《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를 발견함으로써, 유럽에 에피쿠로스가 다시 소개되었다. 이 책은 레오나르도 다빈치, 마키아벨리, 몽테뉴 등에게 읽히면서 더 많은 학자들에게 영향력을 끼쳤다. 17세기에는 프랑스 철학자 피에르 가상디가 에피쿠로스를 다룬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10권을 번역하고 주석을 달면서, 에피쿠로스는 더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 로마 시대의 수집상들은 고대 그리스 조각상의 복제품을 가지길 원했는데, 그걸 로만 카피(Roman copy)라고 한다. 위 작품도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있는 에피쿠로스 흉상으로서, 기원후 2세기경에 만들어진 로만 카피다. # [2] 에피쿠로스의 철학은 데모크리토스와 많이 비슷하다. 원자론은 물론이거니와, 윤리학에서도 데모크리토스는 '쾌활함'을 강조했는데, 에피쿠로스도 쾌락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비슷한 면이 많이 있다. 그래서인지 동시대 작가 티몬도 에피쿠로스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또 여기 자연학자들 가운데 가장 나중이며 가장 염치없는 자, 사모스에서 온 학교 선생의 아들, 살아 있는 것들 중에 가장 못 배운 자가 있다." [3] 물론 종이도 존재하지 않아서 출판을 상상도 못하던 당시의 책이니만큼 양은 우리가 생각하는 정도까지는 아니겠지만 [4] 그리스도교( 동서 대분열 이전의 교회) 신도들에 의해 무신론으로 여겨졌던 에피쿠로스학파의 사상이 심한 공격을 받아 저서들이 대부분 사라졌다. [5] 흔히들 그가 ' 쾌락주의'의 대표자였다는 것 때문에 방탕하고 문란한 사상가였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고 스토아학파에서도 이를 빌미로 에피쿠로스를 공격했지만 이는 전혀 잘못된 이해이다. 키레네 학파가 추구했던 방탕한 삶 등은 오히려 에피쿠로스가 비판했었던 것이었기 때문이다. [6] '평정심'을 요구한다는 측면에서 에피쿠로스의 아타락시아는 '무감정'을 뜻하는 스토아 학파의 아파테이아와 상당히 비슷하다. [7] "일단 결핍에 따른 괴로움이 제거될 경우에는 간소한 식사가 사치스러운 식사와 똑같은 쾌락을 가져다준다. (중략) 그러므로 단순하고 사치스럽지 않은 식사에 익숙해지는 것은 건강을 충분히 제공해 줄 수 있고, 사람으로 하여금 삶의 필수 요건에 주저 없이 대응할 수 있게 해주며, 우리가 오랜만에 사치스러운 성찬에 접했을 때 우리를 더 나은 상태에서 그것을 즐기게 하고, 운명에 대해서도 두려워하지 않는 자로 만들어 준다."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2》 2021. 나남출판, p.391) [8]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2》 2021. 나남출판. p.388 [9] 물론 그렇다고 죽음을 두려할 필요가 없으니 '빨리 죽는 게 낫다'는 식의 비관론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에피쿠로스는 "삶을 회피하지도 않고 삶의 중단을 두려워하지도 않아야 한다"면서, "가장 나쁜 것은 이렇게 말하는 것이다. 태어난 이상 최대한 빨리 하데스의 문을 통과하도록 할 것.(자살을 의미한다.)"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살아 있을 때 죽음의 공포 없이 삶을 누리라는 것이며, 죽음을 두려할 필요가 없다고 해서 빨리 죽어도 된다는 얘기는 아니다. [10] 에피쿠로스에게 있어서 행복이란, '괴로움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우정은, 두려움과 불안이라는 괴로움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갖게 해준다. [11] "전 생애에 걸친 지복을 위해 지혜가 요구하는 것들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우애의 획득이다. 어떤 두려움도 영구적이지 않으며 장시간 계속되지도 않는다는 사실에 자신감을 갖게 해주는 동일한 인식이, 한정된 삶의 조건들 속에서의 안전은 우애의 의해 가장 확실하게 형성된다는 것도 알게 해준다."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2》 2021. 나남출판. p.400) [12] "외부 상황들에서 주어지는 불안거리를 가장 잘 다스렸던 이 사람은 자신과 친숙하게 만들 수 있는 것들은 그렇게 했고, 친숙하게 할 수 없는 것들은 적어도 낯설게 만들지 않았다. 그러나 그렇게도 할 수 없었던 것들에 대해서는 어울리는 것을 피했고, 그렇게 하는 것이 득이 되는 것들은 모두 자신의 삶에서 몰아냈다. 이웃들로부터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힘을 가장 확실하게 가진 자들은 모두 그렇게 함으로써 가장 확고한 안전의 보증을 가지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서로 가장 즐거운 삶을 산다."(《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2》 2021. 나남출판. p.402) [13]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최상의 행복. [14] "더욱이, 천체들의 운행과 회귀, 식(蝕)과 뜨고 짐, 그리고 이런 것들에 이어지는 일련의 현상들이, 불멸과 동시에 만복을 누리는 어떤 존재가 그것들을 보살피고, 현재나 미래에 지시함으로써, 일어난다고 믿어서는 안 된다."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2》 2021. 나남. p.364 [15] "나아가, 집합체 전체가 와해되면 영혼은 흩어지며 더 이상 이전과 동일한 능력들을 갖지 못하고 움직이지도 않게 되어 결국에는 감각을 소유하지도 못하게 된다."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2》 2021. 나남. p.358 [16] "예언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비록 예언이 존재하더라도, 예언에 따라 일어난 일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아니다." (《쾌락》 1998. 문학과지성사. p.37) [17] 사랑과 증오의 감정에 따라 움직이고 기도나 제물에 의해 마음을 바꾸는, 변덕스럽고 탐욕스러운, 마치 인간 같은 신은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흄이 '신이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흄은 신의 존재 여부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는 불가능하다고 여겼고, 우리는 철학적으로는 이를 판단할 수 없다는 불가지론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여겼으며, 신에 대한 우리의 사고는 이성에 기반해서는 불가능하고 신앙적 태도 하에서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신론 참조. [18] 사실 동서문화사 자체가 일본어 중역이 많다고 평가받는 출판사이기도 하다. [19] 당시 단위로 1 코튈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