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02:45:13

야시장

야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MBC SPORTS+의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은 야시장(MBC SPORT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메이플스토리의 지역에 대한 내용은 야시장(메이플스토리)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상점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운영 방식별 분류
도매상 도매시장
소매상 공공 시장
지방 정부 소유 건물이나 땅에 개별 점포가 입점.
재래시장, 수산시장, 야시장, 시전, 벼룩시장
기업형 소매 시장
기업 소유 건물이나 땅에 개별 브랜드가 입점.
쇼핑몰 · 백화점 · 면세점 · 아울렛
소매점 단독 슈퍼마켓(슈퍼마트) · 할인점(울트라마트) · 편의점 · 대리점 · 체인점 · 플래그십 스토어 · 팝업스토어 · 노점 · 노포
업종별 분류
금은방 꽃집 드러그​스토어 떡집
매점 문구점 반찬가게 서점
세탁소 술집 음식점 식료품점
쌀집 약국 의류점 유흥업소
잡화점 정육점 제과점 철물점
지물포 청과점 카페· 다방 컴퓨터 가게
총포사 통닭집 통신사 대리점 고물상
전당포 식자재​마트 인쇄소 복권판매점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생활정보신문에 대한 내용은 벼룩시장(신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야_시_장.jpg
언어별 명칭
한국어 야시장
한자
영어 Night market

1. 개요2. 발생 배경3. 운영 시간4. 기타

[clearfix]

1. 개요

저녁부터 새벽까지 운영하는 술집이나 음식점, 기타 잡화상점 등이 한데 모여있는 재래시장. 주로 동아시아권, 특히 중화권 화교들이 많은 중국이나 대만,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원래 어원은 야시(夜市)이고, 중화권에서도 야시라 부르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야시장이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쓴다.

한국에서는 주로 학교 운동장을 빌려서 쓰거나 아파트 단지 내에서 하루 혹은 이틀동안 진행한다. 기본적으로 다양한 먹거리와 금붕어 잡기[1] 미니 바이킹, 에어바운스 등의 놀거리가 기본으로 들어온다는 점이 특징이다.

2. 발생 배경

야시장의 기원은 적도 부근 지역의 환경에서 기인한다. 이 지역들은 에는 과장이 아니라 살인적으로 덥기 때문에 그 시간에 무리해서 일해봤자 일사병같은 만 얻게 될 가능성이 크니 차라리 낮 시간대엔 휴식을 취하고 어느 정도 기온이 내려가면 그때부터 활동을 하는게 더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저녁에 장사를 하게 된 것이다. 하루를 마감하기 직전인 늦은 저녁 시간에 가게를 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장도 저녁에 볼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상인들도 시장을 낮이 아닌 저녁에 여는게 관습이 된 것이다.

특히 야시장 문화가 발달한 중화권의 경우는 집밥보다는 외식을 선호하는 문화가 겹쳐져서 단순 판매 뿐만 아니라 식당들도 그 시간에 영업을 하다보니 시장 규모가 상당히 클 수 밖에 없는데, 한밤에 대규모 시장이 열린다는게 다른 문화권에선 신기한 행위로 여겨져서 인기 관광 코스로 자리매김하기도 했다. 싼 가격에 비교적 괜찮은 음식을 사 먹을 수 있는 주요 장소로 보통 1만원 정도 있으면 2끼를 배부르게 먹을 수 있는 곳이 야시장이다.

3. 운영 시간

보통 밤 8시에 열어 새벽 5시에 닫는 동대문 시장의 영향인지 야시장이라고 하면 새벽 늦게까지 성업하는 시장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야시장의 개념은 해가 떠 있는 동안에는 더워서 장사가 안 되니, 저녁에 해 지면 영업을 시작하는 개념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야시장은 사실상 저녁 시장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

실제 영업 시작 시간은 오후 5시 쯤이고 마치는 시간은 국가와 시장마다 차이가 있다. 스린 야시장을 포함한 대만 대부분의 야시장 공식 운영시간은 0시 종료이고 가게들도 그 쯤 되면 문을 닫으며, 늦게는 말레이시아 등지에는 새벽까지 장사하는 곳도 있다.

4. 기타

  • 야시장을 비롯한 저녁 문화는 의외의 효과를 낳기도 했는데 바로 밤 시간대에도 안전 통행을 보장해주는 효과가 그것이다. 당연히 밤 시간대에 많은 인구가 돌아다니니 비례해서 저녁 시간대의 활동이 안전해지는 효과가 생길 수 밖에. 한편으로는 원래 야간 시간대에 영업을 안하던 외국계 매장들도 이들 야시장이 존재하는 국가에 진출하면 덩달아 영업시간이 연장되기도 한다.
  • 한국에서도 대만 등지의 야시장을 벤치마킹해 야시장을 재래시장에 개설하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전국 최초의 상설 야시장이자 가장 유명한 야시장은 부산 깡통시장 야시장이며, 2015년부터 시작된 서울밤도깨비야시장이 흥행에 성공하면서 전국적으로 퍼지고 있다.


[1] 금붕어 외에도 구피 도둑게, 발톱개구리, 아프리카왕달팽이 등의 여러 동물을 팔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