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23:56:25

시 해리어

시해리어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호커 시들리 해리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SeaHarriers_FA2_in_Persian_Gulf.jpg
영문 British Aerospace Sea Harrier
운용과 퇴역
초도비행
도입 1978년 8월 20일(FRS1)
1993년 4월 2일(FA2)
퇴역 2006년 3월(영국 해군)
2016년 3월(인도 해군)

1. 개요2. 제원3. 파생형
3.1. 시 해리어 FRS.13.2. 시 해리어 FRS.513.3. 시 해리어 FA.2
4. 관련 링크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시 해리어는 영국 해군 전투기 VTOL/ STOVL 능력이 있다. 영국 해군에서는 2006년 3월에 전량 퇴역하였다.

여러가지 임무를 수행하는 다목적 전투기로 제공전투기, 정찰기, 공격기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시 해리어의 기본형은 호커 시들리 해리어로 여러가지 개량 작업을 통하여 완성하였다.

시 해리어는 인도 해군 영국 해군 항공모함에서 주로 사용한 함재기이다. 공군형에 비해 날개가 2m가량 짧으며, 이에 따라 하드포인트 수도 날개당 2개로 공군형의 날개당 4개에 비해 더 적다.

2. 제원

British Aerospace Sea Harrier[1]
분류 수직 이착륙 전폭기
개발사 호커 시들리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
제조사
초도비행 1978년 8월 20일
생산기간 1978년 ~ 1998년
배치기간 1980년 ~ ?
생산대수 총 98기
도입 1980년 4월 (FRS.1)
1983년 12월 10일 (FRS.51)
1993년 4월 2일 (FA.2)
퇴역 2006년 (영국 해군)
2016년 (인도 해군)
승무원 1인
전장 14.17 m
13m (기수 접을 시)
전폭 7.70 m
전고 3.71 m
익면적 18.68 m²
자체중량 6,616 kg
연료탑재중량 2,351 kg
최대이륙중량 11,884 kg (단거리 이륙 시)
7,992 kg (수직 이륙 시)
엔진 롤스로이스 페가수스 106 터보팬 엔진 x1기
엔진출력 96 kN (21,500 lbf)
최대속력 1,145 km/h (해수면 기준)
1,198 km/h (중고도 기준)
전투행동반경 최대 740 km (고고도 요격 시)
최대 463km (지상 공격 시)
페리항속거리 최대 3,220 km
실용상승한도 16,000 m
최대/소 중력하중계수 +7.8 G/−4.2 G
고도상승률 250 m/s
추력대비중량비 0.822
항전장비 페라티 블루 빅센 전천후 레이더
BAE 시스템스 AD2770 전술 공중 항법 시스템
탈레스 MADGE[2]
얼라이드 시그널 AN/APX-100 mk12 IFF
마르코니 스카이 가디언 200 RWR
BAE 시스템스 AN/ALE-40 채프/플레어 디스펜서 x2
하드포인트 날개 하부 4개소, 동체 하부 1개소
무장 기총 ADEN 30mm 리볼버 기관포 x2문 포드, 260발 탑재
로켓 마트라 로켓 포드
SNEB 68mm 로켓 x18발
공대공 미사일 AIM-9 사이드와인더
AIM-120 AMRAAM
공대지 미사일 ALARM 대방사 미사일
Marte 미사일 ARM
공대함 미사일 시 이글 미사일
폭탄 통상 무유도 폭탄
WE.177A 전술 핵폭탄
기타 외부 탑재물 주익 or 동체 하부 하드포인트에 455/864/1500L 보조연료탱크 2기
정찰 포드

3. 파생형

3.1. 시 해리어 FRS.1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761094.jpg

영국 해군 사양의 해리어로 1970년대의 군비축소바람에 해체된 주력 항공모함 아크로얄과 그 탑재기 팬텀을 대신하여 경항공모함 인빈시블 급에서 운용되었다. FRS는 Fighter(전투), Reconnaissance(정찰), Strike(공격) Mark 1 의 의미이며, 영국 공군 및 미 해병의 해리어에게 단순히 공대지 임무만 부여된 것과 달리, 시 해리어에게는 함대방공, 정찰, 적 함선과 지상 목표에 대한 공격능력이 요구되었고 이를 위해 공대공 레이더가 장착되었으나, 스페로우 등의 반능동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운용은 불가능하여 사이드 와인더 단거리 미사일만 운용했다. 또한 시 이글, 펭귄 등의 대형 및 소형 대함 미사일 운용이 가능하였다. 또한 공중전의 시계확보를 위해 공군용의 해리어와는 달리 처음부터 버블형 캐노피가 장비되었다.

포클랜드 전쟁에서 시 해리어는 마하2급의 최대속도를 내는 아르헨티나 미라주 계열 전투기와 민첩한 A-4 스카이호크 공격기를 상대로 공중전에서 23:0의 압도적인 전과[3]를 기록했다. 영국 해군뿐 아니라 인도 해군에서도 운용되었고, 영국 해군에서 먼저 퇴역한 이후 인도 해군에서도 MiG-29K에 의해 대체되었다. 인도 사양의 시 해리어는 FRS51로 불린다. 시 해리어 FRS1은 포클랜드 전쟁 후 연료탑재량과 무장 탑재량을 2배로 늘리는 개량을 실시했다. 이를 업데이트I이라고 부른다.

3.2. 시 해리어 FRS.51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282773.jpg

3.3. 시 해리어 FA.2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130429.jpg

포클랜드 전쟁 이후 개량된 사양의 영국 해군용 해리어이며 포클랜드의 전훈으로 해리어로 정찰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다고 판단된데다가 조기경보 사양의 시 킹 헬리콥터가 배치되면서 전투공격임무로만 사용되도록 임무가 변경되었고, 그 때문에 분류기호 FA도 Fighter(전투)/Attack(공격) Mark2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FRS.1에서 사용된 블루폭스 레이더보다 뛰어난 성능의 블루 빅센 레이더를 장착했다. 그 결과 AIM-120 AMRAAM의 운용이 가능해져 보다 폭넓은 방공임무가 가능해졌고, 걸프전과 코소보 내전 등 구 유고 연방 분쟁 등에 투입되어 나름의 활약을 보였다. 이를 두고 미 해군은 Small, but Mighty Fighter란 찬사를 보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블루빅센 레이더의 도입으로 기체 자체의 중량이 무거워진데다 영국 공군 미 해병대 해리어 II계열 해리어와는 달리 기체가 복합소재부품으로 대체되지 않았으며, 경량 항공모함 함재기라는 운용면에서의 제약 때문에 날개연장도 되지 않았다.

따라서 항속거리와 무장탑재량은 FRS.1보다 오히려 감소했으며, 열대지방 등 일부 지역에서는 늘어난 무게로 인해 추력이 부족하여 이륙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고, 공군의 해리어와는 호환되는 부품이 적은데다가 기체수가 소수여서 여러모로 부품비용도 비쌌다.

결국 2006년 전량 퇴역하여 대부분의 기체가 인도로 판매되었다. 대신 영국 해군에서는 F-35B의 도입까지 한시적으로 현재 공군의 GR.9 파견부대를 운용했다.[4] 그러나 영국 경제의 악화로 국방비가 대거 감축되면서 인빈시블급 항공모함 중 2척이 퇴역하면서 영국 정부가 모든 해리어 기종을 퇴역시키기로 결정했다. 2011년 GR 9도 퇴역하여 미국에 매각되었고, 마지막 남은 항공모함 일러스트리어스도 헬리콥터 항공모함으로 변경되었기에 퀸 엘리자베스급과 F-35B를 도입할 때까지 영국 해군에는 운용할 전투기가 하나도 남지 않게 되었다.

1998년에는 날개 하단 하드포인트에 장착 가능한 외장형 탑승용 포드인 엑신트 포드(Exint Pod)를 테스트했는데, 특수부대 병력을 목표 지점까지 빠르게 수송한다는 개념으로 개발된 물건이다. 시 해리어는 물론 AH-64에서도 테스트를 받아 영국 국방성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과도한 엔진 소음, 포드와 항공기 롤 축 사이의 거리로 인한 롤 중 높은 중력 가속도의 발생, 빠른 속도로 인한 불편함 등으로 인해 탑승자가 버틸 수가 없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결국 취소되었다.

탑기어 시즌 3 에서 사브 95와 경주를 벌였던 기종이 바로 이 FA.2로 단순히 자동차를 이긴 것을 넘어서서 현재까지 탑기어 트랙을 빨리 완주한 탈 것으로 군림하고 있다.[5]

4. 관련 링크

British Aerospace Sea Harrier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현대 영국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0066> {{{#ffffff 영국 왕립 공군
Royal Air Force

영국 왕립 해군 함대항공단
Royal Navy Fleet Air Arm}}}
회전익기 <colbgcolor=#000066> 공격헬기 WAH-64D, { AH-64E}
다목적 헬기 와일드캣 AH.1/HMA.2육/해, 그리핀 HAR.2, H135, AS365, 주피터 HT.1, AW101R, WS-51R
수송헬기 치누크 HC.4/HC.5/HC.6/HC.6A, 멀린 Mk.3i/Mk.4, 벨 212 AH.(1/3)육/R, 브리스톨 192 벨베데어R, 웨스트랜드 웨섹스R, 웨스트랜드 훨윈드R
대잠헬기 멀린 HM.2, SH-3R
전투기 1세대 글로스터 미티어R, 글로스터 자벨린R,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R, 드 해빌랜드 베놈R, 드 해빌랜드 시빅슨R, 슈퍼마린 어태커R, 슈퍼마린 시미터R, 캐나디어 세이버R, 캔버라 B(I)R, 폴랜드 냇R, 호커 시호크R
2세대 호커 헌터*, BAC 라이트닝R
3세대 팬텀 FG.1해/R, 팬텀 FGR.2R, 팬텀 F.3R, AFVG
4세대 / 4.5세대 타이푼 F2/FGR.4, 토네이도 IDS GR.1/GR.1A/GR.1B/GR.4/GR.4AR, 토네이도 ADV F2/F2A/F3R
5세대 라이트닝 II GR.1
6세대 { GCAP 템페스트}, BAE 템페스트
공격기 재규어 GR.1/GR.1A/GR.1B/GR.3/GR.3AR, 블랙번 버캐니어R, 호커 시들리 케스트럴R, 해리어 GR.1/GR.3/ GR.5/GR.5A/GR.7/GR.9R, 시 해리어R, TSR-2, 문플라워 GR.1, F-111K
전술폭격기 캔버라 B.2R
전략폭격기 빅커스 밸리언트 B.1/B(PR).1/B(PR)K.1R, 아브로 벌컨 B.1/B.1A/B.2R, 핸들리 페이지 빅터 B.1/B.1A/B.2R
수송기 보이저 KC2/KC3, A400M 아틀라스 C1, C-17A ER, 허큘리스 C4/C5, AW.660R, 쇼트 벨파스트R, 블랙번 버벌리R, 브리스톨 브리타니아R, 더글라스 다코타R, 핸들리 페이지 헤이스팅스R
지원기 조기경보기 { 웨지테일 AEW.1}, E-3D, 페어리 가넷 AEW.3R, 님로드 AEW3
대잠초계기 포세이돈 MRA1, 넵튠 NR.1R, 님로드R, 아브로 섀클턴R, 페어리 가넷R
정찰기 RB-45CR, 에어시커 R1, 섀도우 R1/R1A, 센티넬 R1R, 캔버라 PRR, 코멧 CR, P.66 펨브로크R
신호정보수집기 RC-135W
공중급유기 보이저 KC2/KC3, 아브로 벌컨 K.2R, 핸들리 페이지 빅터 BK.1/BK.1AR, 빅커스 밸리언트 BK.1R, 록히드 트라이스타R, 빅커스 VC10R
무인기 MQ-9A, 워치키퍼 WK450, 제피르
훈련기 프롭 텍산 T1, 어벤저, 프리펙트 T1, 튜터 T1, B.125 불독R, DHC-1 칩멍크R, T67 파이어플라이R, 비글 허스키R, HP.137 제트스트림R, 쇼트 투카노 T.1R
글라이더 바이킹 T1
제트 호크 T1/T2, 페놈 T1, 타이푼 T1/T1A/T3, 캔버라 TR, BAe 125R, 냇 T.1R, BAC 제트 프로보스트R
다목적기 팰콘 900LX, BAe 146, BAe 125R, 안도버 CR, 드 해빌랜드 헤론R, 디펜더 R Mk2/T Mk3R, BN-2 아일랜더 R Mk1/CC Mk2R, 파이어니어 CC.1R, DHC-3 오터R
※ 윗첨자*: 가상적기로 운용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의 제트전투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7CEFA>
1940년대
<colbgcolor=#EEE,#333>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colbgcolor=#fefefe,#191919> 미티어 | 뱀파이어 | 어태커 | 시호크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Me 262 | He 162 | He 280
195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라이트닝 | 베놈 | 시빅슨 | 스위프트 | 자벨린 | 헌터 | 시미터 | 버캐니어 | 폴랜드 냇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피아트 G.91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EFW N-20.10 에귀용 | FFA P-16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J 21R | J 29 툰난 | J 32 란센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J-451MM
196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호커 P.1121 | 호커 시들리 P.1154 | BAC TSR-2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EWR VJ 101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J 35 드라켄
파일:유럽 아이콘.png
유럽합작
SEPECAT 재규어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197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해리어 | 시해리어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VFW VAK 191B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AJ 37 비겐
파일:유럽 아이콘.png
유럽합작
파나비아 토네이도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J-22 오라오 / IAR 93 불투르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198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해리어 II | 토네이도 ADV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MBB 람피리데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루마니아
IAR 95
199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호크 200 시리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이탈리아- 브라질
AMX 인터내셔널 AMX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JAS 39 그리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L-159 ALCA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노비 아비온
2000년대
파일:유럽 아이콘.png
유럽합작
유로파이터 타이푼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0년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M-346FA
2020년대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FS202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휴르제트 공격형 | TAI 칸
2030년대
GCAP
파일:유럽 아이콘.png
유럽합작
FCAS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FA.2 기준. [2] Microwave Airborne Digital Guidance Equipment, 공중 디지털 전자파 유도 장비. [3] 다만 당시 아르헨티나 항공기들은 대함공격우선과 귀환할 연료잔량문제로 공중전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었다. [4] 사실 해군에서는 각종 문제점 때문에 시 해리어의 차기 개량형의 개발을 요구했으며, 시 해리어의 문제는 복합소재의 도입과 신형 페가서스 Mk.108 엔진으로 교체하면 해결될 일이었다. 하지만 공군용 해리어에 비해 소수인 시 해리어를 개량하는데 국방부가 예산을 쓰는 것을 원치 않았고, 추후 F-35B와 차기 항공모함 도입에 맞물려 시 해리어 계열기가 퇴역하게된 것이. 하지만 F-35B의 개발이 지지부진했던 관계로 성급한 결정이 아니었냐는 지적이 일부에서 제기되었다. [5] 단, 탑기어의 규칙에 따라 정식 기록으로는 인정되지 않으며 코스도 해리어가 도저히 소화할 수 없는 코너(특히 해머해드) 탓에 자동차가 도는 코스와 살짝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