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23:51:54

소용 정씨(문종)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선 광해군의 후궁 소용 정씨에 대한 내용은 소용 정씨(광해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조선의 후궁
[[틀:조선의 후궁(환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

<colbgcolor=#89236A><colcolor=#ffd400>
조선 문종의 후궁
소용 정씨 | 昭容 鄭氏
출생 <colbgcolor=#fff,#1f2023>미상
사망 미상
본관 동래 정씨
부모 부친 - 정갑손(鄭甲孫)
모친 - 강릉 김씨 김양남(金揚南)의 딸
형제자매 3남 8녀 중 장녀
배우자 문종
자녀 슬하 1남
장남 - 왕자(조졸)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조선 문종 간택 후궁. 아버지는 의정부 좌참찬을 지낸 정갑손(鄭甲孫)이며, 어머니는 김양남(金揚南)의 딸로 3남 8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2. 생애

1431년(세종 13) 세종 경복궁 사정전에서 왕세자 이향의 후궁을 간택하였는데, 가산군지사 권전(權專)의 딸, 장흥고 직장 홍심(洪深)의 딸과 함께 정씨를 낙점하였다.[1] 이때 세종은 정갑손을 장령(掌令)[2]으로 삼고, 쌀과 콩 30석을 내려주었다.

승휘(承徽)가 된 정씨는 아들을 낳았으나, 오래 살지 못하고 요절한 것으로 보인다.[3][4] 1451년(문종 1) 정갑손이 죽었는데, 그의 졸기에 '딸은 자라서 후궁(後宮)에 들어가 소용(昭容)이 되었다.'고 썼다. 이것으로 볼 때, 문종이 즉위한 뒤에 정3품 소용으로 봉작되었을 것으로 보인다.[5]

그 이후의 행적을 찾을 수 없다. 다만, 문종의 사후에 그의 후궁들은 모두 수성궁(壽成宮)으로 옮겨 거처하였기 때문에 소용 정씨도 수성궁에서 살았을 것이다.[6]
[1] 세종실록 51권, 세종 13년 1월 19일 갑신 6번째기사. # [2] 사헌부에 소속된 정4품의 관직으로 시정을 논하고 백관을 규찰하여 탄핵하는 일에 참여하고, 때로는 어사가 되어 밖으로 나가 백성들의 삶을 살폈다. [3] 세종실록 112권, 세종 28년 6월 6일 임인 2번째기사. # [4] 만약 오래 살았다면, 비록 서자이지만 문종의 아들이라는 이유로 세조에게 경계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5] 그런데 이때 같이 간택되었던 홍심의 딸은 종1품 귀인으로 봉작되었으니 품계에 많은 차이가 난다. [6] 수성궁은 문종의 후궁들이 모여 살던 궁가로, 연산군 대에는 성종의 후궁들이 들어가 살면서 정청궁(貞淸宮)으로 개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