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 세계대학경기대회 FISU World University Games |
|
|
|
설립일 | 1923년 ([age(1923-01-01)]주년) |
창시자 | 프티장 |
대표 | Leonz Eder (2022년~ ) |
링크 | | | | | | | | | | | | |
[clearfix]
1. 개요
FISU(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u sport universitaire)가 주관하는 대학생 종합 운동 경기 대회.2. 역사
1923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 학생 경기 대회가 효시이며 1959년 토리노 대회부터 유니버시아드란 명칭을 사용했다. 동계 유니버시아드의 경우 1960년 프랑스 샤모니에서 첫 대회가 열렸다. 현재는 올림픽이 없는 홀수 해마다 2년 간격으로 대회가 열린다. 유니버시아드(Universiade)는 대학(University)과 올림피아드(Olympiad)를 합친 말이다.2020년 7월, FISU의 새로운 브랜딩 시스템의 일부로 유니버시아드라는 기존의 명칭 대신에 공식적으로 세계대학경기대회(World University Games)로 명칭을 변경한다고 선언하였다. 이에 따라 2021년 열리는 동하계 대회 때부터 이 명칭을 사용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 대유행으로 대회가 연기, 취소되면서 2023년 1월 개최된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대회부터 이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참고로 FISU는 1949년에 설립되었고 현재 스위스 로잔에 본부가 있다.
3. 상세
학원체육과 국가주의가 결합된 특성상 러시아, 중국, 일본, 대한민국이 강한 편에 속하며 미국과 서유럽은 올림픽 대회에 비해 메달 순위가 뒤지는 편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국가대표급으로 활동하는 대학생 선수들이 많이 참가하는 데다가, 금메달을 획득하는 경우, 병역 특례는 없지만[1] 연금점수가 아시안 게임 수준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선수들에게도 동기부여가 많이 되는 편. 미국의 경우 국가대표급인 대학생 선수는 많지만 이들의 참가 동기가 떨어져[2] 성적보다는 참가에 의의를 두는 선수들이 많이 나온다. 이 때문에 국제적으로는 과거엔 소련이 독보적으로 강했고 2000년대 이후로는 중국이 강했고 2010년대 중후반부터는 중국이 이전만큼 이 대회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반면[3]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엘리트 체육에 집중 투자하면서 일본의 전력이 강해지면서 일본이 최상위권에 위치하게 되기도 했다. 2011년 중국에서 열린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중국이 종합 우승했고, 2013년 러시아에서 열린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러시아가 개최국 버프+국가대표급 선수 참가+러시아에 유리한 종목 편성으로 압도적인 1위를 했다. 2015년 대한민국에서 열린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대한민국이 종합 1위를 했고, 2017년 대만, 2019년 이탈리아에서 열린 하계유니버시아드에서는 일본이 종합 우승했다가 2023년 중국에서 열린 하계유니버시아드에서 다시 중국이 종합 우승했다.한국은 축구에서 4번의 준우승(1번 우승) 기록도 있을 정도로 강한 편이다. 축구 강국의 대표급 선수들 중 대학 가는 사람이 얼마나 될지를 생각하면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테니스의 경우 미국 같은 국가에서는 대학 리그도 활성화되어 있고 그 수준도 상당히 높으나 선수들이 이 대회에 잘 참가하지 않은 덕분인지 한국 선수가 많은 메달을 획득하였다. 하계 대회에서는 1991년 셰필드 대회에서 처음으로 종합 10위 안에 든 것(종합 9위)을 시작으로 1995년 후쿠오카 대회에서 종합 5위, 1997년 시칠리아 대회에서 종합 9위, 2001년 베이징 대회에서 종합 10위를 기록했고, 2003년 대구, 2009년 베오그라드, 2011년 선전에서 종합 3위를 기록했다. 2005년 이즈미르 대회는 종합 7위, 2007년 방콕 대회는 종합 5위를 차지했으며 2013년 카잔 대회에서는 러시아-중국-일본에 이어 종합 4위에 올랐다. 2015년 광주 대회에서는 개최국 버프로 종합 1위를 기록했다. 그리고 2017년 타이베이 대회에서는 종합 2위에, 2019년 나폴리 대회에서는 종합 5위, 2021년 청두 대회에서는 종합 3위에 올랐다. 동계 유니버시아드의 경우에도 종합 1위의 기록을 갖고 있다. 2007년 토리노 대회로, 대한민국 스포츠 사상 처음 국제 종합 대회에서 종합 1위를 한 대회이기도하다. 동계 대회에서는 1972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유니버시아드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최정희, 옥춘선이 금 1, 은 2, 동 1을 획득하며 최초로 메달을 획득했으나 그 이후 메달을 따지 못하다가, 1989년 불가리아 소피아 대회 이후 1997년 전주-무주 대회[4]와 1999년 포프라드 대회를 제외하면[5] 종합 5위권 이내에 계속 들고 있을 정도로 엄청난 성과를 내고 있다.
실제로 대한민국은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미국, 중국, 러시아, 소련, 일본에 이어 역대 메달 순위 6위를(금메달 순, 총 메달 순 모두 동일),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러시아에 이어 역대 메달 순위 2위(단 총 메달 순으로는 러시아, 일본, 소련에 이어 4위)를 기록하고 있다. 동계 유니버시아드와 하계 유니버시아드 메달을 모두 합산하면 금메달 순과 총 메달 순 양쪽 모두 역대 메달 순위 6위. 또한 한국처럼 동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모두 종합 1위를 달성해본 국가는 러시아(구 소련 시절 포함), 중국과 일본 뿐이다. 그 외에는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미국과 이탈리아, 헝가리가,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가 종합 1위를 달성해 본 적이 있다.
2007년 토리노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 떨어져 참가 못했던 쇼트트랙 성시백 선수가 전관왕이라는 위엄을 달성했고, 이 버프로 모두 금메달 10개를 얻어 종합 1위를 했다. 다만 금메달 10개가 모두 쇼트트랙과 스피드 스케이팅에서만 나왔고 이외의 종목에서는 영화 국가대표의 모태가 되는 한국 스키점프 대표팀이 은메달 2개를 수상한 것이 전부였다. 그래도 이것만으로도 종합 1위를 한 것. 스키점프 대표팀은 2003년 타르비시오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타르비시오의 기적'으로까지 회자될 정도로 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9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한국에서 인지도가 꽤 높은 편이었으나 2년 주기로 자주 열리는 데다가 올림픽에서도 메달을 많이 따게 되면서 올림픽으로 눈을 많이 돌리게 되었고 대학생 및 그 연령대의 선수들 위주로 참가하는 특성상 관심도가 많이 떨어지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로는 동하계를 막론하고 한국이 톱 10, 아니 톱 5에 밥먹듯이 드는 대회가 되어서 그렇기도 하다. 2007년 토리노의 경우 스키점프 대표팀과 성시백의 활약 덕분에 주목 받게 된 경우. 그래도 이 대회 메달리스트 출신들이 올림픽이나 각 종목별 세계선수권 대회 등에서 맹활약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체육계에서는 마냥 경시할 수 없는 대회이다. 특히 체육계에서 학원 체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 한국 같은 경우는 더 그렇다.
대한민국에서는 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하였다. 2027년에 충청도에 2027 충청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대회의 특징이 있다면 시상식에 있는데, 금, 은, 동메달리스트들을 포디움에 세우고 그들에게 메달을 수여하며 각 메달리스트들의 국적별 국기를 게양하는 것까지는 올림픽이나 각 종목별 세계 선수권 대회 등과 똑같으나 국기를 게양할 때 금메달리스트의 국가(國歌)를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Gaudeamus Igitur(가우데아무스 이기투르, 우리 모두 즐거워 하자라는 뜻의 라틴어.)라는 제목의 음악을 연주하는 것이다. 이 노래는 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의 공식 찬가이기도 하며 중세시대 유럽의 대학가 생활을 풍자하는 내용에서 기원하는데, 당시 대학에서 축제나 행사 때 불렀던 학생들의 노래다. 지금도 유럽의 대학 및 연구기관, 학생회 등에서 졸업식 또는 축제 때 권주가로 널리 불리고 있다.
이렇게 된 데에는 복잡한 속사정이 숨어 있는데, 냉전 초기에는 민주주의 국가가 중심이 된 FISU와 사회주의 국가가 주축을 이룬 UIE가 각자 대학생 스포츠 대회를 개최했다. 그러다가 1959년에 두 단체가 통합해 지금의 유니버시아드가 출범한 것이다. 당시에는 이념 갈등이 극에 달한 시기였던지라 스포츠에서 체제 경쟁을 벌이다 보니 갈등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때문에 이념 갈등을 없애기 위해 1961년에 열린 소피아 대회부터 국가 대신 공식 찬가를 연주하기로 하였고, 이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것이다.
4. 대회 참가 자격
대회 출전 시점에 대학 또는 대학원에 학적이 등록되어 있거나, 국가로부터 대학(원)과 동등한 자격을 인정 받는 기관의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학생이어야 한다. 대회가 열리는 해의 전년도에 졸업했거나 학위를 취득한 자도 가능하다.이규혁의 경우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때 고등학생 신분으로 출전하기도 했다. 이는 이 당시 고려대학교 입학 예정자 신분이었기에 가능했다.
또한, 대회가 열리는 해에 만 18세 이상에 도달하거나 만 25세를 넘지 않아야 한다.[6][7] 2017년 동•하계 유니버시아드까지는 만 28세까지 가능했지만 2019년 동•하계 유니버시아드부터 변경됐다.
2023년에 열린 청두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는 본래 2021년에 열리는 것이 미뤄진만큼 참가 자격을 만 25세에서 만 27세로 늘리고 대회가 열리는 해의 전년도 졸업자에서 3년 전 졸업자까지 확대했다. 그러나 2021년 대회가 취소된 후 열린 2023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는 참가 자격을 늘리지는 않았다.
5. 종목
필수 개최종목과 개최국이 선택하는 선택종목이 있다. 선택종목은 동계는 2017 알마티 동계 유니버시아드, 하계는 2019 나폴리 하계 유니버시아드부터 3개까지로 제한되었다.- 하계 필수 개최종목(15개) : 육상, 농구, 배구, 수영( 경영, 수구, 다이빙), 펜싱, 체조( 기계체조, 리듬체조), 태권도, 유도, 탁구, 테니스, 양궁, 배드민턴
- 동계 필수 개최종목(9개) : 아이스하키, 바이애슬론, 컬링,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 알파인 스키, 프리스타일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노보드
축구도 필수 개최종목이었지만, 2019년 FISU 대학 월드컵 축구의 편성으로 인해 2019 나폴리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마지막으로 대회에서 제외되어 선택종목으로도 되지 않는다. 양궁은 2019년에, 배트민턴은 2021년에 필수 개최종목으로 추가되었다.
동계 종목 중 스키 오리엔터링은 2027년부터 필수 개최종목으로 추가될 예정이다.
필수 개최종목이 아닌 종목들을 위해 세계대학경기대회가 열리지 않는 해에 FISU 세계 대학 선수권 대회가 열리기도 한다.
6.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개최 도시
역대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rowcolor=#373a3c>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1959 토리노 |
1961 소피아 |
1963 포트알레그레 |
1965 부다페스트 |
1967 도쿄 |
|
<rowcolor=#373a3c>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1970 토리노 |
1973 모스크바 |
1975 로마 |
1977 소피아 |
1979 멕시코시티 |
|
<rowcolor=#373a3c>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1981 부쿠레슈티 |
1983 에드먼튼 |
1985 고베 |
1987 자그레브 |
1989 뒤스부르크 |
|
<rowcolor=#373a3c>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1991 셰필드 |
1993 버팔로 |
1995 후쿠오카 |
1997 시칠리아 |
1999 팔마 |
|
<rowcolor=#373a3c>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2001 베이징 |
2003 대구 |
2005 이즈미르 |
2007 방콕 |
2009 베오그라드 |
|
<rowcolor=#373a3c>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
2011 선전 |
2013 카잔 |
2015 광주 |
2017 타이베이 |
2019 나폴리 |
|
<rowcolor=#373a3c>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
2021 청두 |
2025 라인-루르 |
2027 충청 |
2029 노스캐롤라이나 |
미정 |
|
<rowcolor=#373a3c> 둘러보기 : 역대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 |
<rowcolor=#000000,#ffffff>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목록 | ||||
회기 | 연도 | 개최 국가 | 개최 도시 | 비고 |
1 | 1959년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토리노 하계 유니버시아드 |
최초의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유럽 최초 개최 20세기 최초 개최 |
2 | 1961년 |
[[불가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소피아 하계 유니버시아드 | |
3 | 1963년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포트알레그레 하계 유니버시아드 | 남아메리카 최초 개최 |
4 | 1965년 |
[[헝가리| ]][[틀:국기| ]][[틀:국기| ]] |
부다페스트 하계 유니버시아드 | |
5 | 1967년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도쿄 하계 유니버시아드 | 아시아 최초 개최 |
6 | 1970년 |
[[포르투갈| ]][[틀:국기| ]][[틀:국기|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
이탈리아 2회 개최(11년 만) 토리노 2회 개최(11년 만) 최초의 2회 개최 도시 |
7 | 1973년 |
[[소련| ]][[틀:국기| ]][[틀:국기| ]] |
모스크바 하계 유니버시아드 | |
8 | 1975년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
이탈리아 3회 개최(5년 만) |
9 | 1977년 |
[[불가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소피아 하계 유니버시아드 |
소피아 2회 개최(16년 만) 2번째 2회 개최 도시 |
10 | 1979년 |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 |
멕시코시티 하계 유니버시아드 | 북아메리카 최초 개최 |
11 | 1981년 |
[[루마니아| ]][[틀:국기| ]][[틀:국기| ]] |
부쿠레슈티 하계 유니버시아드 | |
12 | 1983년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
에드먼턴 하계 유니버시아드 | |
13 | 1985년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고베 하계 유니버시아드 | 일본 2회 개최(18년 만) |
14 | 1987년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
자그레브 하계 유니버시아드 | |
15 | 1989년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
|
|
16 | 1991년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셰필드 하계 유니버시아드 | |
17 | 1993년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버팔로 하계 유니버시아드 | |
18 | 1995년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후쿠오카 하계 유니버시아드 | 일본 3회 개최(10년 만) |
19 | 1997년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시칠리아 하계 유니버시아드 | 이탈리아 4회 개최(22년 만) |
20 | 1999년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
팔마 하계 유니버시아드 | 20세기 마지막 개최 |
21 | 2001년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베이징 하계 유니버시아드 | 21세기 최초 개최 |
22 | 2003년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 |
23 | 2005년 |
[[튀르키예| ]][[틀:국기| ]][[틀:국기| ]] |
이즈미르 하계 유니버시아드 | |
24 | 2007년 |
[[태국| ]][[틀:국기| ]][[틀:국기| ]] |
방콕 하계 유니버시아드 | |
25 | 2009년 |
[[세르비아| ]][[틀:국기| ]][[틀:국기| ]] |
베오그라드 하계 유니버시아드 | |
26 | 2011년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선전 하계 유니버시아드 | 중국 2회 개최(10년 만) |
27 | 2013년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카잔 하계 유니버시아드 | 러시아 2회 개최(40년 만) |
28 | 2015년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
대한민국 종합 1위 대한민국 2회 개최(12년 만) |
29 | 2017년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
타이베이 하계 유니버시아드 | |
30 | 2019년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
이탈리아 5회 개최(22년 만) |
31 | 2021년[10]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청두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세계대학경기대회" 명칭 변경 첫 하계 대회 코로나로 인해 2023년으로 연기[11] 중국 3회 개최(10년 만) |
- |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
코로나로 인해 2024년으로 연기되었으나, 2022년 2월 24일에 발생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대회 개최 취소 |
32 | 2025년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라인-루르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독일 2회 개최(36년 만) |
33 | 2027년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충청권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충청도 4개 광역자치단체(대전, 세종, 충북, 충남) 공동 유치[13] 대한민국 3회 개최(12년 만) |
34 | 2029년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노스캐롤라이나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미국 2회 개최(36년 만) |
7.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개최 도시
역대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1960 샤모니 |
1962 빌라스 |
1964 슈펜틀레류픔린 |
1966 세스트리에 |
1968 인스브루크 |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1970 로바니에미 |
1972 레이크플래시드 |
1975 리비그노 |
1978 슈펜틀레류픔린 |
1981 하카 |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1983 소피아 |
1985 벨루노 |
1987 스트르브게플레소 |
1989 소피아 |
1991 삿포로 |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1993 자코파네 |
1995 하카 |
1997 무주·전주 |
1999 포포라트·타트리 |
2001 자코파네 |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2003 타르비시오 |
2005 인스브루크 |
2007 토리노 |
2009 하얼빈 |
2011 에르주룸 |
|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
2013 트렌티노 |
2015 그라나다 |
2017 알마티 |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
2021 루체른 |
|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
2023 레이크플래시드 |
2025 토리노 |
미정 |
미정 |
미정 |
|
<rowcolor=#fff> 둘러보기 : 역대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 |
<rowcolor=#000,#fff>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목록 | ||||
회기 | 연도 | 개최국가 | 개최도시 | 비고 |
1 | 1960년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샤모니 동계 유니버시아드 |
최초의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20세기 최초 개최 유럽 최초 개최 |
2 | 1962년 |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
빌라스 동계 유니버시아드 | |
3 | 1964년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슈펜틀레류픔린 동계 유니버시아드 | |
4 | 1966년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세스트리에 동계 유니버시아드 | |
5 | 1968년 |
[[오스트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인스브루크 동계 유니버시아드 | |
6 | 1970년 |
[[핀란드| ]][[틀:국기| ]][[틀:국기| ]] |
로바니에미 동계 유니버시아드 | |
7 | 1972년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유니버시아드 | 북아메리카 최초 개최 |
8 | 1975년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리비그노 동계 유니버시아드 | 이탈리아 2회 개최(9년 만) |
9 | 1978년 | 체코슬로바키아 | 슈펜틀레류픔린 동계 유니버시아드 |
체코슬로바키아 2회 개최(14년 만) 슈펜틀레류픔린 2회 개최 도시(14년 만) 최초의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2회 개최 도시 |
10 | 1981년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
하카 동계 유니버시아드 | |
11 | 1983년 |
[[불가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소피아 동계 유니버시아드 | |
12 | 1985년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벨루노 동계 유니버시아드 | 이탈리아 3회 개최(10년 만) |
13 | 1987년 | 체코슬로바키아 | 스트르브게플레소 동계 유니버시아드 | 체코슬로바키아 3회 개최(9년 만) |
14 | 1989년 |
[[불가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소피아 동계 유니버시아드 | 소피아 2회 개최(6년 만) |
15 | 1991년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삿포로 동계 유니버시아드 | 아시아 최초 개최 |
16 | 1993년 |
[[폴란드| ]][[틀:국기| ]][[틀:국기| ]] |
자코파네 동계 유니버시아드 | |
17 | 1995년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
하카 동계 유니버시아드 |
스페인 2회 개최(14년 만) 하카 2회 개최(14년 만) |
18 | 1997년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 |
19 | 1999년 |
[[슬로바키아| ]][[틀:국기| ]][[틀:국기| ]] |
포포라트·타트리 동계 유니버시아드 |
슬로바키아 4회 개최(12년 만) 20세기 마지막 개최 |
20 | 2001년 |
[[폴란드| ]][[틀:국기| ]][[틀:국기| ]] |
자코파네 동계 유니버시아드 |
자코파네 2회 개최(8년 만) 21세기 최초 개최 |
21 | 2003년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타르비시오 동계 유니버시아드 | 이탈리아 4회 개최(18년 만) |
22 | 2005년 |
[[오스트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인스브루크 동계 유니버시아드 | 인스부르크 2회 개최(37년 만) |
23 | 2007년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토리노 동계 유니버시아드 |
대한민국 종합 1위 이탈리아 5회 개최(4년 만) |
24 | 2009년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하얼빈 동계 유니버시아드 | |
25 | 2011년 |
[[튀르키예| ]][[틀:국기| ]][[틀:국기| ]] |
에르주룸 동계 유니버시아드 | |
26 | 2013년 |
[[슬로베니아| ]][[틀:국기| ]][[틀:국기|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
이탈리아 6회 개최(6년 만) |
27 | 2015년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
그라나다 동계 유니버시아드 | 스페인 3회 개최(20년 만) |
28 | 2017년 |
[[카자흐스탄| ]][[틀:국기| ]][[틀:국기| ]] |
알마티 동계 유니버시아드 | |
29 | 2019년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크라스노야르스크 동계 유니버시아드 | |
30 |
|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
|
코로나로 인해 취소 |
31 | 2023년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세계대학경기대회" 명칭 변경 첫 동계 대회 레이크플래시드 2회 개최(51년 만) |
32 | 2025년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이탈리아 7회 개최(12년 만) 토리노 2회 개최(18년 만) |
[1]
1980년대에는 아시안 게임과 올림픽에서의 성적향상을 위해 유니버시아드에서 우승을 하면 병역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2]
NCAA의 규모와 수준을 보면 당연히 그럴 수 밖에 없다.
[3]
2017년 대만에서 열린 하계 대회에서는 의도적으로 선수단 규모를 상당히 줄여 파견했다.
[4]
홈 이점에도 불구하고 금 5, 은 2, 동 4로 6위에 그쳤다.
[5]
이 때는 홈에서 열린
1999 강원 동계 아시안 게임에 실력있는 대학생 선수들을 출전시키는 바람에 2진급에 해당하는 멤버로 유니버시아드에 출전했고 노메달에 그쳤다.
[6]
be at least 18 and no older than 25 years of age on the 31 December of the year of the event
[7]
예를 들어, 2023년 대회는 1998년 1월 1일생부터 2005년 12월 31일생까지 가능하다.
[8]
리스본에서 1969년 개최 예정이었으나 유치권을 반납해 1년 연기 후 토리노에서 개최했다.
[9]
원래 브라질리아로 개최지가 선정되었으나, 2014년 재정난 때문에 개최를 포기했다.
[10]
실제 개최는 2023년
[11]
2021년 8월 16일부터 8월 27일까지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022년 6월 26일부터 7월 7일 개최하는 것으로 연기되었다가 2022년 상반기 코로나19의 계속된 확산으로 다시 2023년으로 연기됐다. 개최는 2023년이나 명칭은 2021년을 유지한다.
[12]
실제 개최는 2024년으로 예정되어 있었다.
[13]
2022년 11월 12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FISU 집행위원회에서 공식 발표되었다.
[14]
2012년 재정 문제로 개최권 반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