裵 성 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衣,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미배정
|
|||||||
裴
|
|||||||
일본어 음독
|
ハイ
|
||||||
일본어 훈독
|
たちもとお-る
|
||||||
裴
|
|||||||
표준 중국어
|
péi
|
||||||
베트남어
|
bù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裵는 '성 배'라는 한자로, 한국과 중국의 성씨인 ' 배씨(裴氏)'를 뜻한다.2. 상세
원래는 '옷이 긴 모양', '옷이 치렁치렁한 모양'이라는 뜻이다. 설문해자에서는 아닐 비(非)가 가운데로 들어가는 裵(U+88F5)를 표준으로 쓰고 강희자전에서는 아닐 비가 위로 올라가는 裴(U+88F4)를 표준으로 쓰는데, 한국에서는 주로 裵를 쓰고 중국에서는 간체자·정체자 모두 裴를 쓴다.구성자인 非(아닐 비)자가 창힐수입법 버전마다 입력법이 달라지는 한자이나, 3대 창힐수입법이나 5대 창힐수입법으로 裵(Ux0088F5, ⿳亠非𧘇)를 卜中卜女(YLYV)로, 裴(Ux0088F4, ⿱非衣)를 中卜卜竹女(LYYHV)로 입력한다.
강희자전에는 1119페이지 2번째 글자로 수록되어 있다.
뜻을 나타내는 衣(옷 의)와 소리를 나타내는 非(아닐 비)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출전 | 원문 |
설문해자 | 長衣皃。从衣非聲。薄回切〖注〗臣鉉等案:《漢書》“裵回”用此。今俗作徘徊,非是。 |
청대 단옥재 설문해자주 |
長衣皃。此卽子虚賦裶字也。若史記子虚賦。弭節裵回。漢郊祀志。神裴回若畱放。乃長衣引伸之義。後漢書蘇竟傳注云。裴回謂縈繞淹畱是也。俗乃作俳佪、徘徊矣。从衣。非聲。薄回切。按當芳非切。十五部。舊在褺篆之後。今移此。 |
강희자전 | 《篇海》同裴。 |
3. 용례
3.1.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400,641명, 전체 성씨 중 26위로 주요 본관으로는 성주(星州/성산), 분성(盆城/김해), 달성(達城/대구) 등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배(성씨) 문서 참조.
3.2. 지명
3.3.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袞(곤룡포 곤)
- 裹(쌀 과)
- 裏(속 리)
- 裒(모을 부)
- 褻(더러울 설)
- 衰(쇠할 쇠)
- 哀(슬플 애)
- 襄(도울 양)
- 褎(우거질 유, 소매 수)
- 衣(옷 의)
- 衷(속마음 충)
- 褒(기릴 포)
- 表(겉 표)
5. 다른 뜻
5.1. 배씨 댕기
- 배씨댕기는 여자들의 정수리 위 가르마에 올리는 전통적인 장신구로 여자 아이들의 머리를 땋아 장신구로 썼다. 배씨댕기는 여아가 태어나서 처음 사용하는 장신구였으며, 아이의 건강과 운세를 위하여 병마와 액운을 막으려는 의미가 있다.
5.2. 매체에서
- 악귀(드라마)에서 배씨댕기에 관한 이야기가 나와 소재로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