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8:59:20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퇴역하여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서울 지하철 전동차 /현황 보기
(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열차번호 · 기타 서울 지하철 열차번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이적 전 차량번호)
파일:서울시메트로9호선 CI.svg
파일: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_logo.png 파일:남서울경전철 로고.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1000호대
VVVF
저항
-
2000호대
VVVF
저항
초퍼( 상세)
3000호대
VVVF
-
초퍼
4000호대
VVVF( 상세)
-
초퍼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Seoulmetro8_icon.svg
5000호대 6000호대 7000호대
( 상세)
8000호대
파일:Seoulmetro9_icon.svg 파일:UiLine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9000호대 UL000호대 SL000호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저항 · 초퍼 전동차 상세설명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초저항 직각형
저항 · 초퍼
광폭형
GEC 초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WR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차번 미정 DL000호대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 현황)
초퍼 ( 상세 ·  현황)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 현황)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Seoul Metro 3000 Series Chopper Control EMU
}}}
파일:3호선_3035.jpg
외부
파일:347inside.jpg
내부
차량 정보
(이적 전)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ef7c1c> 이적 전 시기 1983 ~ 1993년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10량 1편성 / 6량 1편성
생산량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330량
(파일:Seoulmetro2_icon.svg 114량 + 파일:Seoulmetro3_icon.svg 216량)
운행 노선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1983~1993)
파일:Seoulmetro3_icon.svg 서울 지하철 3호선(1985~1993)
도입시기 직각형
( 2호선)
1983 ~ 1984년 (3차분)
1991년 (6차분)
광폭형
( 3호선)
1985년 (1차분)
1991 ~ 1992년 (4차분)
제작사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1]
소유기관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운영기관
차량기지 파일:Seoulmetro2_icon.svg 군자차량사업소
파일:Seoulmetro3_icon.svg 지축차량사업소
편성번호 파일:Seoulmetro2_icon.svg 301 ~ 315 ( 직각형)
파일:Seoulmetro3_icon.svg 316 ~ 347 ( 광폭형)
}}}}}}}}}
차량 정보
(이적 후)
<colcolor=#ef7c1c> 이적 후 시기 1993 ~ 2022년
열차 형식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10량 1편성
생산량 480량
(152량 + 328량)
운행 노선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1985~2022)
도입시기 광폭형 1984 ~ 1985년 (1차분)
1990 ~ 1991년 (3차분)
1990 ~ 1992년 (4차분)
1993년 (5차분)
2010년 ( 개조분)
제작사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2]
소유기관 서울교통공사
운영기관
차량기지 수서차량사업소
지축차량사업소
편성번호 301 ~ 348 ( 광폭형)
316 ~ 320 , 341 ~ 344 ( 개조광폭형)[3]
최종 퇴역 시기 2022년 8월 23일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ef7c1c> 전장 19,500㎜
전폭 3,160㎜
전고 3,750㎜
궤간 1,435㎜
차중 Tc 33.0t
M 41.8t
M' 42.21t
T 32.0t
급전방식 직류 1500V
운전보안장치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
제어방식 GEC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동력장치 직류 직권전동기
(G319AZ형)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 영업 90㎞/h
설계 100㎞/h
가속도 3.0㎞/h/s
감속도 상용 3.5㎞/h/s
비상 4.5㎞/h/s
MT 비 6M 4T (Tc-M-M'-M-M'-T-T-M-M'-Tc) }}}}}}}}}
1. 개요2. 편성3. 상세4. 분류
4.1. 이적 전 (1983~1993)
4.1.1. 직각형 GEC 초퍼 (1983~1984, 1991)
4.1.1.1. 3차분 (1983~1984)4.1.1.2. 6차분 (1991)
4.1.2. 광폭형 GEC 초퍼 (1985, 1991~1992)
4.1.2.1. 1차분 (1985)4.1.2.2. 4차분 (1991~1992)
4.2. 이적 후 (1993~2022)
5. 노후화 문제
5.1. 퇴역5.2. 보존
6. 기타
6.1. 개번 이력6.2.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6.3. 조성 변경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운행되었던 GEC제[4] 초퍼제어 전동차.

디자인은 다르지만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에 기초하고, 한국 최초로 하부가 광폭형으로 설계되어 차체 폭이 넓고 출입문이 볼록한 형상이다. 전면부에는 비상탈출용 관통문이 설치되었다.

서울 지하철 3호선의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했고, 2022년 9월 30일자로 모든 편성이 퇴역했다.

2. 편성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조성
<colcolor=#ef7c1c> ↑ 구파발· 대화 방면
30## (1) Tc(운전실)
31## (2) M(MG, 공기압축기, 축전지)
32##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3## (4) M(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4## (5) M'(팬터그래프, 제어장치)
35## (6) T(무동력객차)
36## (7) T(무동력객차)
37## (8) M(MG, 공기압축기, 축전지)
38## (9) M'(팬터그래프, 제어장치)
39## (10) Tc(운전실)
삼송· 수서· 오금 방면
  • ##의 범위
    • 광폭형(일반형): 01~48
    • 광폭형(개조형): 16~20, 41~44
  • 일부 편성은 앞과 뒤가 바뀌는 경우도 있는데, 차륜 편마모 방지를 위해 지축차량사업소의 방향전환용 루프선, 수서차량사업소의 삼각선으로 이용해서 바뀌었던 것이다. 수서차량사업소에서 수서역 출고선, 오금역 출고선, 3호선 본선을 합쳐 삼각선을 이루게 되어 오금출고-수서입고 또는 수서출고-오금입고 다이아로, 그리고 지축출고-오금입고-수서출고-지축입고 크로스다이아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두, 세 번째 다이아는 오금역에서 수서기지 입고 시 가락시장역 부근에서 평면 교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첫 번째 다이아가 빈도수가 조금 더 높다. 과거 수서~오금 연장 개통 전 수서차량사업소는 삼각선이 없었기 때문에 수서기지 소속은 수서출고-지축입고 다이아로 운행 후 지축차량사업소의 루프선을 이용하여 방향전환 후 지축출고-수서입고 다이아로 운행되었다.[5]

3. 상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기술적인 사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교통공사 광폭형 GEC 초퍼제어 전동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차분에 해당되는 1984년~ 1985년에 제작된 광폭형 GEC 초퍼제어 차량은 출입문 내부에 손잡이가 있었지만 3~5차분에 해당되는 1990년부터 1993년에 제작된 차량은 출입문 내부에 손잡이가 없었다.

구 428~434편성에 해당되는 2차분은 1994년에 285~291편성으로 개번하면서 2호선으로 이적되었다. 따라서 3호선에는 2차분이 없다. 또 3차분에 한해서만 창문, 출입문 창틀이 금색 쇠창틀로 적용되었다.

4. 분류

도입 연식 및 창문 사양에 따라 5차로 분류된다.
<rowcolor=#f7d358> 분류 제어방식 도입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이적 전 (1983~199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 직각형
( 2호선)
<colbgcolor=#666c71> 3차분 <colbgcolor=#f7d358> GEC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colcolor=#373a3c,#ddd> 1983~1984년 (6량 15편성)
6차분 1991년 (4량 6편성)
10량화에 따른 무동력 부수 객차
전량 퇴역
광폭형
( 3호선)
1차분 GEC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1985년 (6량 25편성)
전량 퇴역
4차분 1991년 (6량 7편성)
순수 6량 증차분
1992년 (4량 6편성)
10량화에 따른 무동력 부수 객차
전량 퇴역
}}}}}}}}} ||
이적 후 (1993~2022)
<colcolor=#ffffff> 광폭형
( 3호선)
<colbgcolor=#666c71> 1차분 <colbgcolor=#f7d358> GEC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1985년 (6량 27편성 + 8량 7편성 + 10량 8편성)
전량 퇴역
3차분 1990~1991 (10량 6편성)
전량 퇴역
4차분 1990~1992년 (4량 27편성)
10량화에 따른 부수 객차
전량 퇴역
5차분 1993년 (2량 7편성)
10량화에 따른 무동력 부수 객차
전량 퇴역

4.1. 이적 전 (1983~1993)

4.1.1. 직각형 GEC 초퍼 (1983~1984, 1991)

4.1.1.1. 3차분 (1983~1984)
파일:20240629_193120.jpg
<rowcolor=#ffffff> 구 310편성(현 270편성)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983년~1984년 기준 GEC 초퍼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00A84D> 1983년~1984년 기준 GEC 초퍼 조성(6량)[C]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c)
비고
301편성 3001 3201 3501 3203 3503 3002
302편성 3003 3204 3504 3206 3506 3004
303편성 3005 3207 3507 3209 3509 3006
304편성 3007 3210 3510 3212 3512 3008
305편성 3009 3213 3513 3215 3515 3010
306편성 3011 3216 3516 3218 3518 3012
307편성 3013 3219 3519 3221 3521 3014
308편성 3015 3222 3522 3224 3524 3016
309편성 3017 3225 3525 3227 3527 3018
310편성 3019 3228 3528 3230 3530 3020
311편성 3021 3231 3531 3233 3533 3022
312편성 3023 3234 3534 3236 3536 3024
313편성 3025 3237 3537 3239 3539 3026
314편성 3027 3240 3540 3242 3542 3028
315편성 3029 3243 3543 3245 3545 3030
}}}}}}}}} ||
4.1.1.2. 6차분 (1991)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991년에 10량화 된 GEC 초퍼 조성(10량)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00A84D> 1991년에 10량화 된 GEC 초퍼 조성(10량)[C]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310편성 3019 3228 3528 <colbgcolor=#CCFFFF> 3229 <colbgcolor=#CCFFFF> 3529 <colbgcolor=#CCFFFF> 3719 <colbgcolor=#CCFFFF> 3720 3230 3530 3020
311편성 3021 3231 3531 3232 3532 3721 3722 3233 3533 3022
312편성 3023 3234 3534 3235 3535 3723 3724 3236 3536 3024
313편성 3025 3237 3537 3238 3538 3725 3726 3239 3539 3026
314편성 3027 3240 3540 3241 3541 3727 3728 3242 3542 3028
315편성 3029 3243 3543 3244 3544 3729 3730 3245 3545 3030
}}}}}}}}} ||

4.1.2. 광폭형 GEC 초퍼 (1985, 1991~1992)

4.1.2.1. 1차분 (1985)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984~1985년 3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6량)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ef7c1c> 1984~1985년 3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6량)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C)
비고
316편성 3031 3246 3546 3247 3547 3032
317편성 3033 3248 3548 3249 3549 3034
318편성 3035 3250 3550 3251 3551 3036
319편성 3037 3252 3552 3253 3553 3038
320편성 3039 3254 3554 3255 3555 3040
321편성 3041 3256 3556 3257 3557 3042
322편성 3043 3258 3558 3259 3559 3044
323편성 3045 3260 3560 3261 3561 3046
324편성 3047 3262 3562 3263 3563 3048
325편성 3049 3264 3564 3265 3565 3050
326편성 3051 3266 3566 3267 3567 3052
327편성 3053 3268 3568 3269 3569 3054
328편성 3055 3270 3570 3271 3571 3056
329편성 3057 3272 3572 3273 3573 3058
330편성 3059 3274 3574 3275 3575 3060
331편성 3061 3276 3576 3277 3577 3062
332편성 3063 3278 3578 3279 3579 3064
333편성 3065 3280 3580 3281 3581 3066
334편성 3067 3282 3582 3283 3583 3068
335편성 3069 3284 3584 3285 3585 3070
336편성 3071 3286 3586 3287 3587 3072
337편성 3073 3288 3588 3289 3589 3074
338편성 3075 3290 3590 3291 3591 3076
339편성 3077 3292 3592 3293 3593 3078
340편성 3079 3294 3594 3295 3595 3080
}}}}}}}}} ||
4.1.2.2. 4차분 (1991~1992)
  • 341~347편성(이적 후 278~284편성) (총 6량 7편성) - 1991년 도입
  • 342~347편성(이적 후 279~284편성) (10량 증결분, 총 4량 6편성) - 1992년 도입
  • 제작사
  • 차량기지: 지축차량사업소
  • 운행 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991년 제작분 3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6량)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ef7c1c> 1991년 도입분 3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6량)[K]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C)
비고
341편성 <colcolor=#ef7c1c> 3081 <colcolor=#ef7c1c> 3296 <colcolor=#ef7c1c> 3596 <colcolor=#ef7c1c> 3297 <colcolor=#ef7c1c> 3597 <colcolor=#ef7c1c> 3082
342편성 <colbgcolor=#CCFFCC> 3083 <colbgcolor=#CCFFCC> 3298 <colbgcolor=#CCFFCC> 3398 <colbgcolor=#CCFFCC> 3299 <colbgcolor=#CCFFCC> 3599 <colbgcolor=#CCFFCC> 3084
343편성 3085 3300 3600 3301 3601 3086
344편성 3087 3302 3602 3303 3603 3088
345편성 3089 3304 3604 3305 3605 3090
346편성 3091 3306 3606 3307 3607 3092
347편성 3093 3308 3608 3309 3609 3094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992년 10량 증결된 3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10량)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ef7c1c> 1992년 10량 증결된 3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10량)[K]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342편성 <colbgcolor=#CCFFCC> 3083 <colbgcolor=#CCFFCC> 3298 <colbgcolor=#CCFFCC> 3398 <colbgcolor=#CCFFCC> 3698 <colbgcolor=#CCFFCC> 3599 <colbgcolor=#CCFFCC> 3783 <colbgcolor=#CCFFCC> 3784 <colbgcolor=#CCFFCC> 3299 <colbgcolor=#CCFFCC> 3599 <colbgcolor=#CCFFCC> 3084
343편성 3085 3300 3600 3400 3700 3785 3786 3301 3601 3086
344편성 3087 3302 3602 3402 3702 3787 3788 3303 3603 3088
345편성 3089 3304 3604 3404 3704 3789 3790 3305 3605 3090
346편성 3091 3306 3606 3406 3706 3791 3792 3307 3607 3092
347편성 3093 3308 3608 3408 3708 3793 3794 3309 3609 3094
}}}}}}}}} ||

4.2. 이적 후 (1993~2022)

4.2.1. 광폭형 GEC 초퍼 (1984~1985, 1990~1993)

파일:315편성초퍼.jpg 파일:IMGP2438.jpg
<rowcolor=#ffffff> 동호대교를 건너는 서울메트로 시절 315편성(구. 415편성)[10] 수서차량기지의 335편성
  • 1차 도입분
    • 301~333, 336~344편성 (총 6량 42편성) - 1984~1985년 도입
    • 316~318, 320, 323, 327~330, 332~333, 336, 338~340편성 (10량 증결분, 총 17편성 46량(323, 328~329, 336, 338~340편성: 2량 7편성 + 316~318, 320, 322, 327, 332~333편성: 4량 8편성)) - 1984~1985년 도입
  • 2차 도입분
    • 3호선에는 없음((285~291편성(변경 전 428~434편성)[11] (총 6량 7편성) - 1989년 도입)에 해당)
  • 3차 도입분
    • 334~335, 345~348편성[12] (총 6편성, 58량(334~335, 345~347편성: 10량 5편성 + 348편성: 8량 1편성)) - 1990년 도입
    • 348편성 (10량 증결분, 총 2량 1편성) - 1991년 도입
  • 4차 도입분
    • 301~315, 319, 321, 324~326, 330~331, 337, 341~344편성[13] (10량 증결분, 총 4량 27편성) - 1990~1992년 도입
  • 5차 도입분
    • 323, 328~329, 336, 338~340편성[14] (순수 10량 증결분, 총 2량 7편성) - 1993년 도입
  • 제작사
    • 대우중공업(285~292편성 및 301~347편성의 모든 칸, 348편성의 1~4, 6~8번째 칸과 마지막 칸)
    • 한진중공업(278~284편성 및 348편성의 5, 9번째 칸)
  • 차량소속
  • 일반석 구조
    •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1985년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한 전동차로, 도입 당시 3호선 전동차는 316편성부터, 4호선 전동차는 401편성부터 차호가 부여되었다. 다만 처음에는 3000호대 차량도 4호선에서 운행하는 등 구분이 엄격하지는 않았다. 당시 차호는 316편성은 3030호대, 401편성은 4000호대였다. 이는 2호선 GEC 초퍼 전동차가 301~315편성으로 부여되었기 때문이었다.

1993~1995년 4호선 4000호대 GEC 초퍼 전동차가 2~3호선으로 이적했다. 이와 함께 2호선 GEC 초퍼 전동차도 261~275편성으로 변경되었다. 4호선의 GEC 초퍼제어 전동차가 2, 3호선으로 이동한 이유는 4호선이 사당역 이남 구간이 연장되었기 때문이다. 과천정부청사, 서울대공원(서울랜드), 과천경마공원 연계 교통 확보와 평촌신도시 건설로 인해 과천선이 생겼고, 금정역 이남은 안산선과 직결운행하면서 산본신도시, 그리고 안산시와 연계되는 광역전철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4호선은 새로운 방식인 VVVF 제어 전동차를 새로 도입하여 운행하는 것이 결정되었고 남은 차량들을 2~3호선 시격 단축 목적으로 이동시킨 것이다. 그렇게 1994년경부터 301~315, 334~335, 341~348편성이 4호선에서 유입되어 총 25편성이 늘어난 48편성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일부 차량의 2호선 양도가 겹치면서 본래 3호선에서 다니던 차량은 316~333, 336~340편성으로 23편성에 불과했다.

1984~1985년산 차량들은 1985~2010년까지 25년 동안 운행했다.

2005년 전에는 제동완해음 소리가 굉장히 시끄러웠으나 그 이후에는 소음기 장착으로 조용해졌다.

1984~1985년 도입분과 1989~1993년(모델명: DEC-07, DEC-12) 도입분은 출입문 개폐 속도에 차이가 있었다.
파일:PG-1985-0021-005.jpg
<rowcolor=#ffffff> 내장재 교체 전 내부[15]
(가연재)
<rowcolor=#ffffff> 335편성 대화 - 수서 구동음

4.2.2. 개조형 GEC 초퍼 (2010)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_MG_1058.jpg 파일:20190212151229_IMG_1098.jpg
<rowcolor=#ffffff> 서울메트로 시절 구 320편성 지축차량기지의 구 318편성
파일:suseo341.jpg 파일:343편성.jpg
<rowcolor=#ffffff> 수서차량기지의 구 341편성 동호대교를 건너는 구 343편성
2010년 경, 1984~1985년 도입된 전동차가 폐차되면서 10량으로 증결될 당시 도입된 부수 객차들이 남아돌았고, 일부 무동력차를 Tc 차량(운전실)으로 바꾸고 재조합하여 운행을 시작했다. M차 54량, T차 68량이 남았는데 1편성당 M차 6량, T차 4량씩 조합해 개조 초퍼제어 전동차로 반입되었다. 이때 재편성되지 못한 T차 32량은 5년 조기폐차되었다(302~305, 307~311, 319, 324, 330~331, 337, 342~343편성의 T차). 즉 원래 있던 중간 객차의 노약자석과 통로문이 있던 부분을 잘라서 그 부분을 운전실칸으로 바꾼 셈이다(301, 312, 323, 328~329, 336, 338~340편성의 T차). 당시에 84~85년식은 내장재 개조를 거치지 못한 상태로 운용되었으나, 이 부수 객차들은 내장재 개조를 거쳐 가연재 및 불연재 차량이 한 편성이 되어 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초기에는 2호선 광폭형 GEC 초퍼 276~277편성 부수객차 중 T차는 3호선 개조형 GEC 초퍼 전동차의 TC칸으로 개조할 예정이었고 M차는 개조형 GEC초퍼 전동차의 중간객차로 쓰일 예정이었다. 원래 내구연한이 남은 M차 54량, T차 68량 중 M차 2량과 T차 36량이 조기폐차될 예정이었으나 추후 276~277편성 부수객차가 조기폐차로 변경이 되면서 기존 3호선 GEC초퍼 부수객차 조기폐차 예정이었던 M차 2량과 T차 36량 중 M차 2량과 T칸 4량은 해당 계획에서 빠지게 되었다.

새로 편성하면서 랜덤으로 조합한 탓에 번호를 개번하기 전 어느 편성에서 가져왔는지 알기 꽤 복잡해졌는데, 아래의 조성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개조 GEC 초퍼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fff><colbgcolor=#ef7c1c> 개조 GEC 초퍼 조성
개번 전 차호 기준이며, 빨간색은 부수객차를 운전석으로 개조한 차량이다.
모든 차량이 1990년 이후 제작된 고무창틀 차량이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소속
316편성 <colbgcolor=#CCFFCC> 3501 <colbgcolor=#CCFFCC> 3303 <colbgcolor=#CCFFCC> 3403 <colbgcolor=#CCFFCC> 3302 <colbgcolor=#CCFFCC> 3402 <colbgcolor=#CCFFCC> 3506 <colbgcolor=#CCFFCC> 3606 <colbgcolor=#CCFFCC> 3304 <colbgcolor=#CCFFCC> 3404 <colbgcolor=#CCFFCC> 3601 지축차량사업소
317편성 3512 3305 3405 3307 3407 3513 3613 3308 3408 3612
318편성 3523 3309 3409 3310 3410 3514 3614 3311 3411 3623
319편성 3529 3301 3401 3306 3406 3521 3621 3321 3421 3629
320편성 3528 3319 3419 3330 3430 3515 3615 3315 3415 3628
341편성 3536 3312 3412 3313 3413 3525 3625 3325 3425 3636 수서차량사업소
342편성 3538 3314 3414 3324 3424 3526 3626 3326 3426 3638
343편성 3539 3331 3431 3337 3437 3541 3641 3341 3441 3639
344편성 3540 3342 3442 3343 3443 3544 3644 3344 3444 3640
}}}}}}}}} ||
  • 344편성 중 무동력차 2량(3544, 3644호)은 2010년에 중간차만 잔존하면서 개번없이 그대로 운행했다.
  • 3309, 3409, 3313, 3413, 3513, 3613, 3314, 3414, 3514, 3614는 개조 전에는 CRT 모니터가 없었다가 개조 후에는 CRT 모니터가 장착되었다.
전두부 또한 영국형 GEC 차량과 완전히 다르게 생겼고, 해당 디자인에 대한 혹평이 많은 편이다.

기존 대비 애매하게 개량된 부분이 있어서 영국형 GEC와도 부품이 호환되지 않고, 그 때문에 관리 방법에도 차이가 있다. 다만 보이지 않는 부분이 알게 모르게 약간 개량된 것뿐이었고, 차량의 성능 자체는 1984년 그대로였다. 이에 반입 이후 계속 최후순위 예비차 애물단지 신세였다. 현업에서도 "어차피 10년 쓰고 또 신차로 교체할 거 뭐 이런 걸 개조했냐"는 평이 주를 이루었다.

2020년 12월부터 노후화 및 폐차를 이유로 조성이 일부 변경되었다.

2020년 12월, 317편성의 3017, 3917호와 320편성의 3020, 3920호가 서로 변경되었다.

2021년 2월, 317편성의 3717, 3817호와 318편성의 3318, 3418호가 서로 변경되었다.

2022년 3월, 320편성의 3120~3420호와 344편성의 3144~3444호가 서로 변경되었다.
<rowcolor=#ffffff> 편성 교체 시기 교체투입된 차량 편성제외된 차량
<colcolor=#ef7c1c> 320 2020년 12월 3017, 3917 3020, 3920
318 2021년 2월 3717, 3817 3318, 3418
344[344편성] 2022년 3월 3120~3420 3144~3444
2021년초부터 퇴역하기 시작했고 2022년 4월 30일에 344편성을 끝으로 운행이 종료되어 개조 초퍼는 현역으로 볼 수 없게 되었다. 이로써 서울에서 초퍼 차량들은 모두 퇴역했다.

5. 노후화 문제

파일:201904031515049830_121.jpg
파일:3044.jpg
2022년 기준으로, 3호선 전 초퍼제어 열차는 내구연한이 모두 최소 30년이 넘은 차량에 해당되었다. 연식이 극도로 오래된 탓에 내외부적으로 노후화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었다. 위의 사진에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측면 차체 외관 형태는 부식이 심했다. 특히나 개조형 GEC 초퍼의 노후화가 더 심한 편이었고, 도색이 갈라지고 부식되어 외관 상태가 불결한 편이었다. 그 외에도 차량 운행 도중에 일부 설비가 꺼지는 등 내구 연한이 남은 차량들 또한 차량의 노후화로 인한 문제점 발생 빈도가 잦았다. 운행 말기에는 관리 상황이 예전보다는 다소 나아져서 잔고장이 상당히 줄어들었지만 기본적으로 차량 자체의 안전을 고려해 운행에 자주 투입시키지는 않았다. 무엇보다 지금은 퇴역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초퍼 제어 장치 및 핵심 부품의 단종으로 정비 관리 자체가 매우 어려워졌다. 결국 동, 하계 운휴를 시행했고 3호선은 2014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시간표로 개정되면서 초퍼제어 열차의 운행비율이 줄어들기 시작되었다. 2015년 중반 실시된 1차 다이아 개정을 기점으로 초퍼의 잦은 다이아가 삭제되어 장거리 운용에서 빠지게 되었고 2017년 이후로는 구파발행 비중이 늘어났다. 퇴역 시기에 가까워진 2020년 하반기부터는 2차 다이아 개정에서는 운행이 거의 없거나 운행해도 대부분 구파발 또는 수서 착발 열차로 운행했다.

5.1. 퇴역

2009년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가 기존 1984~1985년산 초퍼 차량 대차용으로 도입되면서 2009년 6월부터 지축차량사업소 소속 301편성(2009년 6월 14일 마지막 운행)을 시작으로 폐차 및 부품 해체 작업을 시작했고, 2009년 7월 중순부터 수서차량사업소 소속도 321편성을 시작으로 폐차되기 시작하면서 2010년 9월까지 1984~1985년산 GEC차량이 전부 폐차되었다. 2010년 5월 24일까지 모두 퇴역했지만 사실상 오금으로 연장된 이후부터는 거의 운행에 나오지 않았다. 나오더라도 단다이어나 예비차, 출퇴근 시간대 탄력배차를 위한 증편으로 나오는 정도였다. 매각 업체 계약 지연으로 일부 후기 편성은 한동안 지축차량사업소에 유치되어 있었다.

확인되는 기록상으로 3호선의 1차분 GEC 전동차 마지막 운행 기록은 2010년 4월 30일 S3095 열차 수서행으로 운행한 333편성이며, 개조 GEC 전동차는 2022년 4월 14일 S3404열차 구파발행으로 운행한 344편성을 끝으로, 2차분 GEC는 2022년 8월 23일 S3101열차 수서행으로 운행한 345편성을 끝으로 운행하지 않았다.

2009년 철도안전법 개정에 따라 정밀안전진단 시행 결과에 따라 사용기한 연장이 가능해졌고 이에 1990년 제작 영국형 GEC 전동차 6개 편성은 2015년에 폐차되지 않고 2번의 사용기한 연장을 통해 2022년까지 운행했다. 하지만 초퍼 사이리스터 소자를 비롯한 대부분의 주요 부품이 단종된 데다가 신차가 도입되어 2023년을 넘기지 못하고 폐차되었다.

수서차량사업소 배속 전동차도 폐차는 지축차량사업소에서 진행된다. 대다수의 차량들이 제3860열차(수서역 → 구파발역 임시다이아)로 공차회송을 하기도 했지만, 일부 차량들은 수서역에서 행선기에 구파발행을 표시하고 수서발 구파발행으로 달리면서 구파발역까지 마지막 영업 운행을 하며 마지막 승객들을 모신 직후 지축차량사업소의 주공장에서 부품 적출, 이후 폐차되었다.

2009~2010년 대폐차 후로 NH시간대에는 운행을 하지 않아도 될 만큼 개체수가 줄었으며, 이에 평일 RH시간대 단거리 위주로 운행하거나 예비차 또는 비상대기용으로 사용되었다.

대폐차 이후 남은 차량들의 운행 종료 및 폐차 내역은 아래와 같다.
<rowcolor=#ffffff> 연도 해당차량
2020년 12월 320편성 3020호 및 3920호
2021년 1월 317편성 3117~3817호 8칸
2월 316편성의 10칸, 318편성의 3318, 3418호
4월 320편성
5월 348편성 3448, 3848호
316~317편성
11월 320편성
12월 318편성 10칸(운행종료)
2022년 2월 341~343편성 30칸(운행종료)
3월 319~320, 348편성 30칸(운행종료)
4월 344편성 10칸(운행종료)
5월 335편성(5월 2일 운행종료)
320, 344편성(폐차)
7월 334편성, 347편성(운행종료)
9월 345편성, 346편성(운행종료)
10월 345편성, 347편성(폐차)
2023년 1월 334편성, 346편성(폐차)
  • 348편성의 3448호와 3848호도 사용기한 만료로 2021년 2월 임시로 휴차되었다. 다만 318편성은 317편성 부수칸 중 정밀안전진단 기한이 유효한 객차로 조성 변경 이후 운행에 복귀했고, 316~317편성이 진단기한이 만료됨에 따라 예비차 확보를 위해 기존 수서차량사업소 소속이었던 344편성이 2021년 2월 말부터 지축차량사업소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4월 휴차되었던 320편성은 317편성의 Tc와 재조합, 중정비 시행 후 운행에 복귀했다. 동년 11월에는 320편성의 1991년산 객차(2~5호차)가 정밀안전진단이 시행되었다. 2~5호차를 제외한 다른 6칸은 1992년 제작분이라 2022년까지 사용 가능했기에 조성 변경 사항은 없었다.[17]
  • 2021년 5월 348편성은 정밀안전진단 시행과 동시에 지축차량기지의 예비차 확보를 위해 지축소속으로 변경되었다.
  • 316~317편성은 지축소속 개조 GEC 전동차 중 최초로 폐차되었다.
  • 2022년 3월 319~320, 348편성 30칸의 운행 종료로 인해 지축차량사업소 차량 부족으로 335편성이 지축차량사업소로 배속 변경되었으며, 318, 342~343편성이 폐차되었다. 이후 318~319, 341~343, 348편성은 차적에서 삭제되었다.
  • 2022년 4월 344편성 10칸의 운행이 종료되면서 개조 초퍼는 더 이상 운행하지 않았다. 동년 5월 320편성과 344편성이 폐차되면서 개조 GEC 초퍼는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사실상 차적이 삭제된 셈이며, 이후 335편성마저 차적에서 삭제되었다.
  • 2022년 5월에는 이전까지 그나마 다녔던 초퍼제어 전동차들마저도 운행을 거의 하지 않거나 한 대 정도 짧게만 운행했다. 이미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들이 2/3 이상 다녀서 특수한 상황을 빼면 운행하지 않았다.
  • 2022년 6월 이후로는 거의 기지에서만 방치되어 있어 사실상 퇴역 수순을 밟는 정도였다. 그 탓에 폐차 직전 초퍼를 보기 위해 수서기지로 가는 철도 동호인도 있었다. 사실상 운행은 종료되었지만 퇴역은 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 그러나 신 347, 348편성의 대차 문제로 운행에 투입이 늦어지자 구 345, 346편성이 7월 말 ~ 8월 말까지 퇴역을 앞두고 계속 단다이아 운행에 투입되어 운행했다. 하지만 하루 한 번 정도로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탓에 우연의 일치로만 볼 수 있었다. 9월에는 두 편성 모두 한 번도 투입되지 않고 있다가 9월 30일을 끝으로 사용 중지되면서 전 편성이 퇴역했다. 2022년 8월 23일 S3101(구파발→수서) 열차로 운행한 345편성이 마지막 운행이었다. 파란색 일색이던 3호선 초퍼제어 전동차의 운행중지와 함께 수도권 전철 3호선에 운행 중인 열차의 도색이 개통 37년만에 노선 색상인 주황색으로 단일화되었다.
  • 2023년 1월, 마지막까지 기지에 남아 있던 334, 346편성이 지축차량사업소에서 폐차반출되면서 수도권의 초퍼제어 열차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18]

5.2. 보존

1차 생산분 초기 편성 중 301편성(반입 당시 4호선 401편성)은 당시 서울메트로에서 신정차량기지 보관을 거쳐 후에 설립될 지하철 박물관에 전시할 매우 구체적인 보존 계획이 있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무산되고 결국 폐차 매각반출되었다. 301편성을 비롯한 1984년 제작 전동차들은 4호선 출신에다 내구 연한도 내장재 개조를 발주한 시점으로부터 4~5년밖에 남지 않아, 시트 모켓만 불연재로 교체 후 2009년 퇴역시까지 운행했다.[19]
<colbgcolor=#EF7C1C> 마지막까지 운행되었던 구 346편성. 일부 부품을 빼고는 결국 보존없이 폐차되었다.
이후 공사 차원에서의 공식적인 보존계획은 없으나 2차 생산분 차량 중 하나이자 마지막까지 운행하였던 346편성(반입 당시 4호선 437편성)을 동태보존은 아니더라도 철도 유튜버들을 초청하여 영상기록으로 남김과 동시에 346편성 3046호의 운전대, 전조등, 수제동기 등 일부 주요 부품을 보존하여 현재 지축차량기지 실내 수장고에 보관하고 있다. 그리고 2024년 8월 ~ 11월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개최되는 서울지하철 50주년 기념 '서울의 지하철' 전시에 이 부품들을 전시품으로 활용하였다.

1차 생산분인 1984년산 308편성(반입 당시 4호선 408편성) TC 3008호 1량은 퇴역 후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으로 운송되어 2009년부터 2014년까지 극저온실험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다가, 2014년 12월 27일에 제2의 사용 목적을 다하고 인입선을 통해 의왕역 구내로 나와 의왕측선에서 트레일러에 실려 고철로 반출되어 사라졌다. 최후의 내장재 미개조인 가연재 GEC 차량인 셈이다.

1차 생산분에 해당되는 1985년산 차량들 중 일부는 매각반출 후 폐차되지 않고, 2010년에 경기 안성시 삼죽면 마전리 금수원(317,318,319,333편성), 전북 남원시 덕과면 용산리 舊 덕과초등학교 덕과북분교 부지(316, 318, 320편성), 경북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舊 길안초등학교 묵계분교 부지(316, 340, 341, 343, 344편성)세 군데[20]로 나뉘어 보존을 위해 운송되었으나, 금수원 부지와 덕과초교 부지는 세월호 이후 점진적으로 모두 철거되어 현재 3호선출신 차량은 금수원에 3833호 단 1량밖에 남아있지 않고, 묵계초교 부지는 아직 철거된 전동차 없이 현재도 약 20량 가량이 대차를 포함하여 보존 중이나, 서울메트로 공식 블로그에 올라왔던 해당 차량들의 반출운송 과정 사진을 미루어 볼 때, 대차는 이미 산소절단 등으로 분리되었고, 보존된 위치에서는 단순히 대차 위에 얹어만 놓은 것으로 보인다.

2차 생산분에 해당되는 1990년산 제작 차량인 335편성(반입 당시 4호선 440편성)의 TC 3035호 1량은 2022년 퇴역 후 개인이 구매하여 경기도 양평군에 차체가 원형 보존되었다. 이 차량은 현재 미디어 촬영용으로 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고, 차량 소유주 측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CCTV와 보안장치가 가동중이니, 절대로 접근 및 출입하지 말 것을 당부했으며, 단순 철도 동호인들의 개인적인 촬영목적의 방문은 받지 않는다고 한다. 2,3호선 전체 GEC차량을 통틀어 1990년산 금속창틀이 적용되었던 일부 차량들 중 유일하게 보존된 차량이다.

개조분에 해당되는 차량들은, 선두칸은 전량 매각 및 폐차반출 후에도 추가적인 보존 없이 해체된 것으로 보이며, 해당건을 낙찰했던 업체 중 한 곳의 로드뷰를 찾아보면 이례적으로 차체와 하부기기, 상부기기 및 팬터그래프를 분리하지 않고 온전한 모습으로 실려간 개조316편성의 모습이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개조316편성의 원형매각 또는 보존을 시도했거나 시도하려고 했으나 어떠한 이유로든 무산되고 나중에는 결국 해체한 것으로 보인다. 선두칸 이외에는 개조341편성의 부수칸 1량이 해당 사업장에 현재도 잔존중이며, 개조317편성의 부수칸 3량 정도가 주소만 다른 경상북도 김천시 인근의 같은 계열사 사업장 내부에 보존된 것을 트럭 기사가 확인했다.[21]

현재 남아있는 3000호대 GEC 전동차는 금수원에 1량, 안동 폐교에 약 20량(선두칸 9량), 양평 세트장에 1량(선두칸), 고철업체에 아직 해체되지 않은 차량 약 4량으로, 총 약 26량(선두칸 10량) 정도가 보존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동태보존 형식으로는 아쉽게도 단 한 대도 남지 않게 되었다.

1990년대와 2000년~2010년대까지만 해도 이 열차는 3호선의 상징이고 얼굴이었다. 2호선과 마찬가지로 이제는 VVVF 차량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다만 그래도 2022년까지 운행을 해서 아직도 해당 자료나 사진으로는 많이 찾아볼 수 있다.

6. 기타

파일:S3101.jpg 파일:S3095.jpg
<rowcolor=#ffffff> 열차번호 표시기 미개조 차량 열차번호 표시기 개조 차량
345편성은 285편성과 함께 구 서울지하철공사 최초로 행선지 표시기가 롤지에서 LED로 2004년에 교체되었으며, 상단 우측 사진에 보이듯이 미개조 차량 중 유일하게 2007년에 열차번호 표시기가 LED로 교체되었다. 2006년에는 구 319~320편성이 212~213편성과 함께 LED로 교체되었으며 2009년 6월에 334~335, 346~348편성의 행선지 표시기가 LED로 개조되었다.

2002년 차내 천장에 CRT 모니터를 설치해 엠튜브(現 한국이동방송) 사에서 이동방송을 내보냈는데, 초창기에는 한일 월드컵 중계방송을 객실 내에서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다가[22] 이후에는 인기 드라마를 틀어주는 등 좋은 평가를 얻었다. 단, 구 309, 313~314, 318편성에는 설치되지 않았으며, 운행 말기에는 주로 서울교통공사 관련 광고 및 기타 광고 표출 용도로만 사용되다가 광고판에 스티커로 광고를 하거나 송출을 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한국이동방송사와 이동방송의 계약이 만료되었기 때문이다. CRT 모니터가 오래된 탓인지 일부 칸 객실은 뜨지 않는 경우가 있었고, 화면 하단 검은색 바탕에 자막이 뜨지 않을 때도 있었으며, 전자총 고장으로 일부 색이 나오지 않거나 화면의 위치가 맞지 않는 곳도 있었다. CRT 모니터는 1차분 VVVF 차량에서 객실 중앙의 LCD 모니터로 계승되어 사용되고 있다.
<rowcolor=#ffffff> LCD 모니터
일부 차량에서는 간혹 출입문 안내방송이 강희선 성우로 통일된 서울교통공사 안내방송이 아닌 홍성헌 성우로 녹음된 서울메트로 시절 안내방송으로 나왔으며, 복불복으로 들을 수 있었다.

334편성의 3534, 3634호는 일명 '짝짝이 출입문'이 존재했다. 출입문 1개가 고무 패킹으로 되어 있었다. 또 346편성은 3호선 전 차량 중 유일하게 내부디자인 시범 교체 차량으로 키낮이 손잡이가 연두색으로 되어 있었다. 348편성 3448, 3848호는 1991년 한진중공업 제작으로, 유일하게 타 제작사 차량이 끼어있었다.

2011년 중반기에 미개조 차량의 전면부 중앙에 있는 비상문을 수선했다. 서울메트로 로고와 호차번호 형태를 스티커로 바꾸었다.
파일:3544.jpg
<rowcolor=#ffffff> 초록색 손잡이
316편성 3016, 3916호와 344편성 3344, 3444, 3544호의 노약자석 손잡이가 구 301편성 및 구 343편성의 일부 부수차 개조로 인해 초록색 손잡이가 달려 있았다. 구 301편성, 구 343편성 운행 당시 노약자석 손잡이가 초록색 손잡이였다.
파일:319CRT.jpg
<rowcolor=#ffffff> 표시 프로그램 오류로 인해 Windows 10에서 자체적으로 경고 메시지가 표출되었다.
2017년 12월 말부터 천장에 달린 CRT 모니터에 역번호가 뜨기 시작했는데, 새로 개통한 원흥역이 시스템 상에 반영되지 않아 원흥역부터 역 안내가 한 개 역씩 밀렸다. 그래서 일부 차량은 운영 체제를 Windows 10으로 업그레이드했다.[23] 반면에 서울교통공사 VVVF 2호선 1~2차분, 3호선 1차분 전동차의 모니터는 아직도 Windows XP를 사용하고 있다.

이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 구간 역들의 부역명을 안내하지 않는다.
<rowcolor=#ffffff> 구 302편성 주행 영상(옥수→압구정)
<rowcolor=#ffffff> 2010년 오금 연장 직후 대화→삼송 안내방송이다.
2001년도에 씨네 트레인이 다니기도 했다.[24]
2002년 11월 말에 성탄열차가 다닌 적 있다.

퇴역분 중 일부가 공사현장 사무실로 쓰이는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25]

319편성은 2010년 런닝맨 15회에 출연했다.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기 운행 당시 출발 시, 그리고 정차 시 약간의 브레이크 마찰 같은 소리가 났었고, 제동완해음도 워낙에 컸었다. 하지만 소리가 큰 데다가 소음으로 간주되어서 2000년대 중후반쯤 개조해서 더 이상 그런 소리는 나지 않게 되었다.
<rowcolor=#ffffff> 2004년에 촬영된 옥수역에 진입/발차하는 구 306편성.[26]

6.1. 개번 이력

<rowcolor=#ffffff> 편성 번호 개번
<rowcolor=#ffffff> 개번 시기 개번 전 개번 후
1993년 <rowcolor=#00a84d> 301~315편성 261~275편성
<colcolor=#EF7C1C> 316~338편성 <colcolor=#EF7C1C> 316~333, 336~340편성
339~347편성 276~284편성
424~427편성 341~344편성
1994년 401~415편성 301~315편성
1995년 436~441편성 334~335, 345~348편성
1993년도에 광폭형 GEC 초퍼 316~338편성이 10량화 되면서 316~333, 336~340편성으로 개번했고 4호선에서 운행했던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가 3호선으로 이적되면서 1993년에 424~427편성이 341~344편성으로 개번했고 1994년에는 401~415편성이 301~315편성으로, 1995년에는 436~441편성이 334~335, 345~348편성으로 개번했다.

6.2.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내장재 개조는 2004년 이후 대부분 차량에 실시되었으나, 1984년 11월 5일부터 1984년 12월 28일까지 도입된 301~314편성까지는 제외되었고, 일부 객차는 시트 재질만 난연재 모켓시트로 교체해 내구 연한이 도래되는 2010년까지 운행하고 폐차되었다. 구 301~309편성의 경우 84년 제작 객차들의 과반수가 시트 재질 교체 없이 도입 당시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2009년부터 퇴역했다. 이들 특징은 주로 과거 4호선에서 운행하다가 3호선 공백 편성을 채웠으며, 각각 1990년대 도입된 4량만 내장재 개조를 실시했다. 당시 승객들은 내장재를 개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트 재질이 푹신하다는 점 특성상 84년식 객차들만 골라 착석하기도 했다.
<rowcolor=#ffffff> 구 303편성
303편성처럼 증결분 객차가 섞인 편성은 내장재 개조 후의 모습과 개조 전의 모습이 공존하기도 했다. 4~7번째 칸만 해당했다.
<rowcolor=#ffffff> 두 대의 GEC 초퍼제어 차량
315편성은 전 편성에 내장재 개조가 실시되었다. 1, 10번째 칸은 1985년 제작이고, 2~3, 8~9번째칸은 1984년 제작이고, 4~7번째칸은 1992년 제작이다. 이는 구 416편성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구 416편성은 구 318, 328~329, 337편성의 부수칸으로 각각 편입되었다. 인터넷에서 구 301~315편성은 내장재 미개조라는 정보가 돌아다니는데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실제로는 구 301~314편성만 해당된다.

개조를 담당한 회사가 흥일기업, 로윈(現 다원시스)이었는데, 흥일기업은 2009~2010년 대폐차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1990년 도입분 334~335, 345~348편성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나머지는 로윈이 실시했다.
<rowcolor=#ffffff> 분류 편성 객차번호
<colbgcolor=#EF7C1C><colcolor=white> 흥일기업 개조 (2004년)
광폭형
(GEC)
<colcolor=#EF7C1C> 334 3034-3134-3234-3334-3434-3534-3634-3734-3834-3934
335 3035-3135-3235-3335-3435-3535-3635-3735-3835-3935
345 3045-3145-3245-3345-3445-3545-3645-3745-3845-3945
346 3046-3146-3246-3346-3446-3546-3646-3746-3846-3946
347 3047-3147-3247-3347-3447-3547-3647-3747-3847-3947
348 3048-3148-3248-3348-3448-3548-3648-3748-3848-3948
로윈 개조 (2005년)
광폭형
(GEC)
301 3301-3401-3501-3601
302 3302-3402-3502-3602
303 3303-3403-3503-3603
304 3304-3404-3504-3604
305 3305-3405-3505-3605
306 3306-3406-3506-3606
307 3307-3407-3507-3607
308 3308-3408-3508-3608
309 3309-3409-3509-3609
310 3310-3410-3510-3600
311 3311-3411-3511-3611
312 3312-3412-3512-3612
313 3313-3413-3513-3613
314 3314-3414-3514-3614
315 3015-3115-3215-3315-3415-3515-3615-3715-3815-3915
316 3016-3116-3216-3316-3416-3516-3616-3716-3816-3916
317 3017-3117-3217-3317-3417-3517-3617-3717-3817-3917
318 3018-3118-3218-3318-3418-3518-3618-3718-3818-3918
319 3019-3119-3219-3319-3419-3519-3619-3719-3819-3919
320 3020-3120-3220-3320-3420-3520-3620-3720-3820-3920
321 3021-3121-3221-3321-3421-3521-3621-3721-3821-3921
322 3022-3122-3222-3322-3422-3522-3622-3722-3822-3922
323 3023-3123-3223-3323-3423-3523-3623-3723-3823-3923
324 3024-3124-3224-3324-3424-3524-3624-3724-3824-3924
325 3025-3125-3225-3325-3425-3525-3625-3725-3825-3925
326 3026-3126-3226-3326-3426-3526-3626-3726-3826-3926
327 3027-3127-3227-3327-3427-3527-3627-3727-3827-3927
328 3028-3128-3228-3328-3428-3528-3628-3728-3828-3928
329 3029-3129-3229-3329-3429-3529-3629-3729-3829-3929
330 3030-3130-3230-3330-3430-3530-3630-3730-3830-3930
331 3031-3131-3231-3331-3431-3531-3631-3731-3831-3931
332 3032-3132-3232-3332-3432-3532-3632-3732-3832-3932
333 3033-3133-3233-3333-3433-3533-3633-3733-3833-3933
336 3036-3136-3236-3336-3436-3536-3636-3736-3836-3936
337 3037-3137-3237-3337-3437-3537-3637-3737-3837-3937
338 3038-3138-3238-3338-3438-3538-3638-3738-3838-3938
339 3039-3139-3239-3339-3439-3539-3639-3739-3839-3939
340 3040-3140-3240-3340-3440-3540-3640-3740-3840-3940
341 3041-3141-3241-3341-3441-3541-3641-3741-3841-3941
342 3042-3142-3242-3342-3442-3542-3642-3742-3842-3942
343 3043-3143-3243-3343-3443-3543-3643-3743-3843-3943
344 3044-3144-3244-3344-3444-3544-3644-3744-3844-3944

6.3. 조성 변경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1년 2월 기준 GEC 초퍼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f7c1c><rowcolor=#ffffff> 편성 교체투입된 차량 편성제외된 차량
<colcolor=#ef7c1c> 318 3717, 3817 3318, 3418
320 3017, 3917 3020, 3920
<colcolor=#ffffff><colbgcolor=#ef7c1c> 2021년 2월 기준 GEC 초퍼 조성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타 차량으로부터 편입된 부수객차는 색깔 표시했다.
연두색 바탕은 1990년 이후 제작된 고무창틀 차량이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소속
318편성 <colbgcolor=#CCFFCC> 3018 <colbgcolor=#CCFFCC> 3118 <colbgcolor=#CCFFCC> 3218 <colbgcolor=#CCFFCC> 3717 <colbgcolor=#CCFFCC> 3817 <colbgcolor=#CCFFCC> 3518 <colbgcolor=#CCFFCC> 3618 <colbgcolor=#CCFFCC> 3718 <colbgcolor=#CCFFCC> 3818 <colbgcolor=#CCFFCC> 3918 지축
320편성 3017 3120 3220 3320 3420 3520 3620 3720 3820 3917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2년 3월 기준 GEC 초퍼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f7c1c><rowcolor=#ffffff> 편성 교체투입된 차량 편성제외된 차량
<colcolor=#ef7c1c> 344[344편성] 3120~3420 3144~3444
<colcolor=#ffffff><colbgcolor=#ef7c1c> 2022년 3월 기준 GEC 초퍼 조성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타 차량으로부터 편입된 부수객차는 색깔 표시했다.
연두색 바탕은 1990년 이후 제작된 고무창틀 차량이다.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소속
344편성 <colbgcolor=#CCFFCC> 3044 <colbgcolor=#CCFFCC> 3120 <colbgcolor=#CCFFCC> 3220 <colbgcolor=#CCFFCC> 3320 <colbgcolor=#CCFFCC> 3420 <colbgcolor=#CCFFCC> 3544 <colbgcolor=#CCFFCC> 3644 <colbgcolor=#CCFFCC> 3744 <colbgcolor=#CCFFCC> 3844 <colbgcolor=#CCFFCC> 3944 지축[344편성]
}}}}}}}}} ||


[1] 341~347편성(10량 증결분 제외) [2] 348편성의 3448, 3848호 [3] 2010~2022년 차호 [4]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에서 기술이전 생산 [5] 정방향으로 운행 중인 348편성(2008.09.15.), 출처: 네이버 블로그 [C]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연두색 바탕은 1989년~1990년 제작분인 고무창틀 객차이며 하늘색 바탕은 최창틀 객차, 녹색은 증결분 신조객차, 굵은 글씨체는 전부 3분할 개폐식 창문이 적용된 차량임을 알린다. [C] [K] [K] [10] 2009년 12월 폐차 [11] DEC-04 [12] DEC-07 [13] DEC-07 [14] DEC-12 [15] 해당 열차는 가연재 당시 녹색 바닥이었기 때문에 4호선에서 운행을 하다가 3호선으로 이적된 차량이다. [344편성] 2022년 소속변경: 수서→지축 [17]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18]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19] 관련 게시글: 「ソウル地下鉄3号線」 [20] 모두 유병언 사유지이다. [21] 두쪽 다 상부기기와 대차는 없으며 그냥 열차칸만 덩그러니 맨땅에 올려져있는 상태이다. [22] 「[2002년 뉴스]MBC 지하철 3호선 월드컵 경기 생중계」, 출처: 유튜브 [23]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24] 관련 게시글: 「3号線イベント列車【2001年】」, 2001년 5월 3일 [25] 관련 영상, 출처: 유튜브 [26] 서울메트로로 사명이 바뀌기 전인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시절에 운행한 것이다. [344편성] [344편성]